•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ssociation between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in Older People Living Alone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ssociation between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in Older People Living Alone"

Copied!
7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보건학 석사학위 논문

독거노인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in

Older People Living Alone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보 건 학 과

(2)

독거노인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in

Older People Living Alone

지도교수 이 윤 환

이 논문을 보건학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14년 12월 15일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보 건 학 과

조 광 근

(3)

조광근의 보건학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장 이 윤 환 인

심 사 위 원 박 재 범 인

심 사 위 원 홍 창 형 인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년 12월 15일

(4)

감사의 말씀

어느덧 끝이 보이지 않을 것 같던 대학원 생활을 마무리하려 하니 학업을 좀 더 열심히 했으면 좋았을 텐데 라는 후회감과 시간이 너무 빨리 지나가 버 린 것 같은 아쉬운 기분이 마음속에 교차합니다.부족한 저를 자세하고 명쾌 한 강의와 지도로 보건정책 분야에 흥미를 느끼게 해주시고 논문을 마무리 하 는데 아낌없는 격려와 가르침으로 이끌어주신 이윤환 교수님께 깊은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느낍니다. 그리고 논문 심사 과정에서 많은 가르침과 조언을 아끼지 않으신 박재범 교 수님과 많은 업무로 바쁘신 중에도 심사에 참여하여 따뜻한 격려와 꼼꼼한 지 도를 해주신 홍창형 교수님께도 감사의 마음을 드립니다.보건학과에 들어와 서 힘들어하던 저에게 큰 열정으로 쉽고 즐거운 강의를 선사해주신 많은 보건 대학원 교수님들께도 모두 감사드립니다.더불어 통계가 약했던 저에게 전문 적이고 방대한 지식으로 힘들었던 과정을 이겨낼 수 있도록 많은 지도를 해주 신 이은현 교수님께도 감사의 인사를 드리고 싶습니다. 또,저에게는 항상 마음의 고향이신 어머니와 아버지,논문 작성으로 바쁘다 는 핑계를 대며 자주 찾아뵙지도 못하고 아들의 의무를 소홀히 하여 매우 죄 송스럽고 감사합니다.그리고 임신 중에도 불구하고 저의 논문작업을 위해 힘 든 내색 하지 않고 항상 챙겨주며 응원해 주었던 아내 양은진에게도 미안하고 고마운 마음을 너무 많이 느낍니다. 대학원에 입학하여 서로 인사하고 정보를 나누며 같이 대학원 생활을 보냈 는데,어느새 졸업을 앞두고 있는 13학번 대학원 동기들께도 깊은 감사와 따 뜻한 마음을 느낍니다.특히 처음에 적응 못하던 저를 잘 이끌어 대학원 생활 을 이렇게 보람 있게 마무리 할 수 있게 해준 이영남 선생님께도 진심으로 감 사한 마음을 전하고 싶습니다.그리고 저를 대학원의 길로 인도해 주시고 많

(5)

은 도움과 격려를 해주신 대학원 선배이자 직장 선배인 이정임 선생님께도 감 사한 마음을 느끼고 항상 보답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또한 저의 멘토이며, 닮고 싶은 직장선배인 김준 선생님께도 감사의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그동안 바쁘다는 핑계로 자주 보지 못했던 친구들과 동기들,많은 형님들께도 모두 미안하고 고맙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바쁜 병원 생활 중에도 저를 배려해 주시며 이해해주신 박명화 파트장님을 포 함한 미생물 파트 식구들에게도 너무 감사드리고,저를 병원으로 이끌어 즐겁 게 직장 생활을 할 수 있게 해주신 김영선 기사장님을 비롯한 진단검사의학과 직원 분들에게도 깊은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그동안 훌륭한 많은 교수님들의 가르침들을 밑천 삼아 보건학도로서 공중 보건과 건강 증진을 도모하는데 힘을 보탤 수 있는 보건학자가 되도록 끊임없 이 노력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

조광근 올림

(6)

차 례

국문요약

Ⅰ.서론

1

.연구의 필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연구의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Ⅱ.이론적 배경

1

.독거노인의 실태와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2

.독거노인의 자살생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3

.노인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4

.선행연구 고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5

Ⅲ.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7

2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과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8

3

.연구에 사용된 변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9

4

.분석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3

(7)

Ⅳ.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요인별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4

2

.대상자의 스트레스와 관련요인들에 따른 자살생각과의

관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8

3

.스트레스에 따른 독거노인의 자살생각 ·

·

·

·

·

·

·

·

·

·

·

·

·

·

·

·

·

·

3

2

Ⅴ.고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6

Ⅵ.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2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3

부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1

영문초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1

(8)

표 차 례

표 1

.스트레스와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의 정의 ·

·

·

·

·

·

·

·

·

·

·

·

·

·

·

1

9

표 2

.연구에 사용된 통제 변수의 정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2

2

표 3

.대상자의 요인별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6

표 4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분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7

표 5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8

표 6

.관련 요인들과 자살생각과의 관계 ·

·

·

·

·

·

·

·

·

·

·

·

·

·

·

·

·

·

·

·

·

·

·

·

3

0

표 7

.독거노인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련성 ·

·

·

·

·

·

·

·

·

·

·

·

3

4

(9)

그 림 차 례

(10)

부 록 차 례

부록 1

.가중치 및 분산 추정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2

부록 2

.설문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4

부록 3

.스트레스를 2

가지로 분류한 후 독거노인의 스트레스

(11)

국문요약

최근 우리나라는 고령화로 인한 노인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 다.노년기는 경제적 빈곤,질병,고독,상실 등의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사 건들이 증가하는 반면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방식이나 능력은 저하됨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는 더욱 증가하게 되었다.그리고 이러한 스 트레스 증가가 노인의 심리에 악영향을 미쳐 자살생각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많은 사례들을 통해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독거노인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이 어떠한 관련 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관련요인이라 생각 되는 여러 요인들과 자살생각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를 분석하여 독거노인들의 자살생각 수준을 낮출 수 있는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연 구를 시행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2012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5기 3차년도 자료 중 우리나라 지역사회 거주 65세 이상의 독거노인에 대한 대표성이 있는 자료이 며 총 8057명 중 독거중인 노인 316명을 대상으로 통계분석 하였다.분석방 법으로는 카이제곱 검정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사회경제적,인구사회학적,신체적,정신건강 관련요인을 통제하였 을 때 독거노인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이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은 나이가 80대 이상인 경우 60대에 비하여 3.7 배 높았고 우울증상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없는 경우 보다 4.9배 높았다.스 트레스를 대단히 많이 받는 경우에도 거의 받지 않는 경우보다 8.1배 높은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즉,나이가 많을수록,우울경험이 있는 경우에 서,스트레스 인지율이 높은 경우에 있어서 자살생각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12)

이상과 같은 결과는 다음과 같은 연구의 함의를 갖는다.첫째,독거노인들의 스트레스 증가가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이를 독거노인 자살예방의 사회복지 실천의 이론적 근거로 제시할 수 있다.둘째,조절효과가 입증된 스트레스 대처 방안의 재강화와 그보다 더 좋은 효과를 낼 수 있는 새 로운 대처방안의 탐색이 요청된다.셋째,자살관련 기구나 그 밖의 공공기관들 간의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자살에 관한 정보공유 및 독거노인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건강관리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여 독거노인의 건강을 증진하고 자살생 각을 미리 차단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스트레스가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고려할 때 독거노인이 스트레스 덜 받는 환경을 조성하여야 독거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자살생각을 낮출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앞으로 좀 더 다양한 요인들의 분석과 다면적 연구를 바탕으로 노인의 스트레스 및 자살생 각을 감소를 시키고자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핵심어 :독거노인,스트레스,자살생각

(13)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현대사회는 빠른 경제성장과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평균수명이 연장 되었고 사망률과 출산율이 저하됨으로 인해 노인인구가 급속도록 증가하고 있 다.UN은 전체 인구중 65세 이상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에 따라 고령화 사회 (7-14%미만),고령사회(14-20% 미만),초고령사회(20% 이상)로 분류하고 있 는데,우리나라는 1970년대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인구의 3.1%에 불과하였으나, 1990년 5.1%, 2000년 7.2%, 2012년 11.8%로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2030년에는 24.3%로 예측되어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통계청,2012).그리고 이러한 노인인구의 증가는 선진 국과 비교해 볼 때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빠른 변화로 인해 노인은 경제적 빈곤,질병,고독,상실 등의 경험 등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우울,주택문제,노인학대의 문제와 더불어 노인자 살 등의 새로운 사회적 이슈를 발생시키고 있다.이로써 노화와 노인들의 처 지와 관련된 문제들이 많이 생겨났으며,이러한 현상들이 우리의 생활 주변에 흔해지게 되어 ‘노인’하면 ‘문제’란 말을 뒤에 붙여야만 자연스러울 정도가 되 었다(최성재와 장인협,2006). 우리나라에서의 자살은 심각한 사회문제이다. 자살로 인한 사망건수가 1996년 5,959건, 2000년 6,444건, 그리고 2008년에는 12,858건으로 계속 증가해 왔으며,2009년에는 한국이 OECD 국가 중 자살률에서 1위를 차지하 였다.그중에서도 65세 이상 노인들의 자살이 가장 심각한 편인데 2005년부 터 2011년까지의 자료에 의하면 2009년 기준,65세 이상의 노인 10만 명당 자살률은 78.8명으로 20-24세 20.3명, 30-34세 31.2명, 40-44세 31.0명

(14)

50-54세 41.3명보다 높게 조사되어 노인자살의 심각성을 보여주고 있다(통계 청,2012). 이러한 노인층의 인구증가로 인한 노인복지문제가 이슈가 되어가고 있는 가 운데 노인복지문제 중 노인자살관련 문제는 우리나라의 적절한 관리나 대처 미흡으로 매년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노인집단과 다른 인구집단의 자살 성공률을 비교해 보면,젊은 집단의 경우 자살시도 대 수행의 비율이 200:1인 반면 노인들의 경우 4:1에 이를 정도로 매 우 치명적이다(parkin& stengel,1995).이러한 결과는 다른 연령층에 비해 노 인집단은 기도만하면 자살에 성공할 확률이 매우 높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최광현,2005).즉 노인자살의 경우 우발적 사건에 의해 즉각적으로 일어나기 보다 오랜 기간 유지되어온 스트레스와 어려움 때문에 발생하기 때문에 개입 을 위한 시간 확보가 가능하다.또한 노인 자살은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경우 보다 오랜 기간 겪은 삶의 고통에 대한 마지막 선택으로,매우 계획적으로 이 루어지는 경우가 많다(통계청,2012). 이는 노령의 신체 특성상 취약성이 큰데다가 대체로 혼자 사는 노인이 많아 자해행위 이후 치명상을 입기 전에 조기에 발견될 가능성도 적고,죽고자 하 는 욕구가 강해 좀 더 치명적인 자해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노인은 자살 수행을 시도하기 이전에 자살 계획을 다른 사람에게 알리 는 경우도 적고,좀 더 치밀하게 자살을 계획하는 경향이 있다.이는 자살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 노인을 자살 시도를 하기 전 가능한 더 이른 시기에 발 견하고 개입하는 것이 자살의 수행을 막거나 치명적인 손상으로 진행되는 것 을 막을 수 있는 중요한 대책임을 알 수 있게 한다(이흥식 외,2009). 대부분의 자살과정에서는 자살시도 전에 자살생각의 과정을 거치는데,자살 생각이란 직접 자살을 시행하기 전 ‘죽고 싶다’는 마음이 드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자살의 영어단어인 ‘Suicide’는 어원적으로 라틴어 Sui(자기 자신)와 caede(죽이다)의 합성어이다.즉 자살이란 그 원인이 개인적이든 사회적이든

(15)

당사자가 자유의사에 의하여 자신의 목숨을 끊는 행위를 말한다(최형임, 2008).

Simons와 Murphy(1985)는 자살에 대한 생각 정도가 아주 경미한 수준이 라도,이후 심각한 수준으로 발전되거나 바로 자살 시도로 연결될 수 있다고 보았고,자살생각이 반드시 자살로 이어진다고 할 수는 없지만 자살생각은 자 살시도의 중요한 예측 지표가 되며,자살생각을 감소시킴으로 자살시도를 예 방 할 수 있다고 하였다(홍나미,1998재인용). 이렇듯 노인자살문제는 높은 자살률을 가진 우리나라에서도 높은 수치를 기 록하며 앞으로 다가오는 고령화 사회에 우리가 꼭 해결해야하는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노인들 중에서도 가족이 없거나 가족과 떨어져 혼자 사는 독거 노인들 이 자살 위험에 더 취약할 것으로 여겨진다.고령화 현상은 독거노인의 급격 한 증가의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는데,2012년 독거노인의 수는 119만 명으로 2000년(54만 명)에 비해 2.2배나 증가하였으며,2035년에는 현재 독거노인의 3배(343만 명)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예비노인들의 의식변화 및 미 혼이나 이혼하는 가구의 증가로,사회적으로 보호의 필요성이 높은 독거노인 이 증가하고 있는데,이것은 예비노인의 90%이상이 부부끼리 혹은 혼자 살기 를 희망하고 있으며,예비노인 1인 가구 중 미혼율은 3배,이혼율은 2.3배나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보건복지부,2012).특히 홀로 된 노인들이 자살의 위험에 처할 가능성이 높고,지리적으로나 사회적으로 그리고 정서적으로 고 립된 노인일수록 자살에 이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배진희와 엄기 욱,2009).독거노인과 일반 노인 간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 데,일반노인의 경우 우울만이 자살사고에 영향을 주는 유일한 변인으로 나타 났으나,독거노인의 경우는 우울성향 이외에도 다른 요인들이 영향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선행연구(이봉재와 오윤진,2008)를 감안할 때,독거노인을 중심으로 자살관련 변인들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자살사고와의 관련성을 파악

(16)

해 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본 연구는 그 중에서도 전국단위로 수집된 자료 를 바탕으로 여러 요인들 중 독거노인의 스트레스가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하여 주목하고자 한다.많은 선행연구에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의 선행 요인(이봉재와 오윤진,2008)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일부지 역의 소수의 노인을 살펴보았거나,일반노인을 대상으로 연구된 것들이 대부 분이고 독거노인의 자살과 관련된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자살과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들이 우울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서 정신건강의 다른 변인들에 대한 연구들이 부족한 실정이다.따라서 본 연 구는 전국 규모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자료를 활용하여 노인의 스트레스 이외의 관련요인들을 통제하면서 독거노인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련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17)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레스가 노인의 자살생각에 주는 영향을 파악하여 스 트레스가 어느 정도의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특히 자살위험도가 높은 독거노인들의 자살생각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밝혀내어 노인 자살예방 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의 실태를 파악한다. 둘째,스트레스가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본다. 셋째,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갖는 다른 요인들을 통제하고 스트레스 와 자살생각에 대한 관련성을 파악한다.

(18)

Ⅱ.이론적 배경

1

.독거노인의 실태와 특성

일반적으로 독거노인(Olderpeopleliving alone)이라하면,배우자 및 친족, 비 친족 중 누구하고도 함께 거주를 하지 않으며 시설이 아닌 일반가정에서 혼자 살고 있는 단독세대이거나 그 상태에 있는 노인을 의미한다(이혜원, 1997).이렇게 독거노인이란 개념상 혼자 사는 노인을 의미하지만 현실적으로 는 가족의 경제적 지원이나 간병,정서적인 유대감 형성 등의 기능들을 제대 로 제공받지 못하는 계층으로 인식되어가고 있다.독거노인은 자신이 선택한 생활방식으로 자발적인 독거를 선택하는 경우와 자신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다 양한 이유에 의해서 이웃 혹은 가족과의 단절된 생활방식을 취할 수밖에 없도 록 되는 비자발적인 형태가 있다(채현탁,2006). 대부분의 한국 독거노인은 산업화로 인한 도시로의 이동과 핵가족화,노인 부양의식의 약화 등으로 인한 비자발적인 형태의 독거였지만,최근에는 자녀 들과의 갈등을 피해 자신의 편안한 노후생활을 누리기 위해서나 황혼이혼 등 에 따른 자발적인 독거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인구의 수명연장과 함께 예비노인인 베이비부머와 그 전후 세대의 90%이상이 부부끼리 혹은 혼자 살기를 희망하고 있으며,이들의 미혼율은 3 배,이혼율은 2.3배나 급증했기 때문에 독거노인의 수도 늘어가고 있는 추세 이다. 최근 급속히 증가하는 독거노인은 1980년대 이후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데 2012년 독거노인의 수는 119만 명으로 2000년 54만 명에 비해 2.2배나 증

(19)

가하였고,2035년에는 현재 독거노인의 3배인 343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보건복지부,2012). 그리고,이들 독거노인은 자신의 건강상태를 가족과 함께 거주하는 노인에 비해 더 나쁘게 평가하고 있고,동일한 질환이라도 더 심각하고 상태가 나쁜 질환으로 지각하고 있으며 경제 수준이 낮고 사회적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장인순,2006). 앞으로 독거노인 증가현상은 계속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다.독거노인의 증 가현상 자체만으로는 큰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미비한 가족 및 사회적 지지 의 보호체계 만으로 삶을 살아가야 하는 노인들이 많아지고 그러한 점에서 심 각한 사회문제도 대두될 가능성이 크다. 대부분의 저소득 독거노인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으로부터 기본적인 생활을 보장 받고 있다.따라서 저소득 독거노인이라 함은 65세 이상의 노인이 사별, 이혼 등의 이유로 배우자와 동거하지 않은 채 혼자 생활하는 노인가구로 재가 노인 복지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국민기초생활보장대상자,또는 차상위 계층 에 해당하는 노인을 일컫는다(윤기윤,2007). 윤희숙(2013)의 연구에 따르면 노인빈곤을 알아보기 위해 노인 본인의 자 산 분포 현황은 전수 조사,가구 유형별 자산 현황은 샘플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노인빈곤이 독거노인 가구에 집중되어 있었다는 사실을 보고했다.독 거노인 빈곤율은 70.9%에 이르는 반면,자녀 세대와 거주하는 가구의 경우 노인 빈곤율 18.7%로 전체 인구의 빈곤율과 유사한 수준을 나타냈다.독거노 인이라고 해서 모두 빈곤한 것은 아니다.경제 상태에 따라 삶의 경제적 여유 가 있어 자녀의 도움 없이도 생활을 영위하는데 어려움이 없는 노인들이 있는 반면,만성적 빈곤의 문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면서 가족으로부터 적절한 부 양을 받을 수 없는 노인들도 있다(백학영,2006). 이처럼 많은 독거노인들은 외로움과 가난,질병 등의 취약한 문제에 노출되

(20)

어 있을 뿐 아니라 가족들의 경제적 지원 및 정서적 유대감의 인적자원을 기 대하지 못하는 열악한 환경에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이재법,2004). 노년기에 겪게 되는 자연스러운 변화들은 독거노인들의 자아존중감을 저해 하는 또다른 요인으로 분석된다.노년기에 겪는 다양한 신체적,경제적,사회 적 상실감은 이들의 자아존중감을 저하시키며 이로 인해 노인들은 스스로의 행동을 더 이상 통제할 수 없다는 더욱 큰 상실감을 느낀다(Galea외,2007). 이렇게 상실된 자아존중감은 중요한 타인으로부터 신뢰,사랑,돌봄,가치감 등이 보장될 때 향상된다(Krause,1987).하지만 독거노인들은 그러한 지지 체계가 없으므로 이는 계속되는 자아존중감의 저하로 이어지며,결국 도움 받 을 수 없는 상황에서 자신에게 닥친 문제에 무력감을 느끼며 살아 갈 희망이 없다는 판단을 하면서 충동적으로 자살을 하게 된다(홍강의,2008). 이렇듯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건강하여 일상생활수행에 어려움이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 독거노인의 심리적,사회적 고립에 대한 방치는 곧 커다란 사회문제가 될 것이 분명하기에 독거노인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관리가 필 요하다(주소희,2010).

(21)

2

.독거노인의 자살생각

1)자살과 자살생각

자살의 사전적 정의는 ‘스스로 자기의 목숨을 끊음’이며,자살을 뜻하는 영

어단어인 ‘suicide`는 자기자신(sui)을 죽인다(caedo)라는 라틴어에서 비롯되 었다.세계보건기구(WHO)는 ’행위자 스스로를 죽이려는 의도를 가지고 행한 죽음‘으로 정의하고 있으며,Judith,Keller와 Shapiro(1982)는 “자기 자신을 해롭게 하거나 위험에 빠뜨리게 하여 죽음의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정의하 였다.Durkheim(1887)은 자살을 자살자 스스로 본인의 행위의 결과를 알고도 행하는 적극적 또는 소극적 행위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결과로 인한 모든 죽 음의 경우를 뜻하며 이로 인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행위로 정의하였다. 자살이라는 개념은 매우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자살행위에 대 한 자발적 의도와 행위에 대해 죽게 될 것을 알면서도 이를 피하지 않거나 죽 으려는 의도를 가지고 죽음 이른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이처럼 자살의 개념 은 포괄적이어서 자살생각(suicidalideation),자살시도(attempted suicide),그 리고 자살행위(suicidebehavior)에 이르는 연속적인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다 (Harwood & Jacoby,2000).

자살생각은 죽음에 대해서 생각하고 죽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자살 방법과 장소,시간 등을 생각하는 것이고 자살의도는 소지품 등을 처분하고,주변인들 에게 유서를 작성하거나 자해적 행동 등을 하는 것을 뜻한다.또한 자살시도 는 매우 치명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죽고자 하는 시도로써 자해로 그치는 준 자살의 개념이다.자살행동은 자기 스스로 만든 죽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생이 끝나는 것을 뜻하며,다른 말로는 죽음에 이른,완결된 자살을 의미한다 (Mazza,1988).

(22)

그중 일반적으로 자살생각은 죽음에 대해 깊이 생각하는 것을 말하며,좁은 의미로는 막연하게 죽고 싶다는 생각에서부터 어디서,어떤 방법으로 죽을 것 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생각을 말한다(서에스더,2010).그러므로 자살생각이 자살시도,자살로 이어지는 자살행위의 연속적 과정의 출발점으로 보았고 (Dubow,Blum,Reed & Bush 1989),Kumar와Steer(1995) 역시 자살하기 위한 바램,상상 또는 계획은 실제 자살시도에 앞서는 과정으로 설명하였다. Calson과 Cantell(1982)에 의하면 자살생각이 심각했던 사람의 42%와 자살 생각이 경미했던 사람의 34%가 후에 자살을 시도하였으나,자살생각을 전혀 가지고 있지 않았던 집단에서는 단 한명도 자살시도를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이처럼 자살생각은 자살에 이르는 단계 중 첫 번째 단계로 볼 수 있고 자살생각이 반드시 자살시도나 자살행위로 이어진다고는 할 수 없지만 자살시 도의 중요한 예측지표가 되므로 자살생각을 감소시킴으로써 자살시도를 예방 할 수 있다(Beck,Kovacs,& Weissman,1979;Simon& Murphy,1995).

따라서 본 연구에서 자살생각은 결국 자살행동의 중요한 선행요인이자 예측 지표가 되기 때문에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을 통하여 자살을 설명하려고 한다. 2)독거노인의 자살의 특징 노년기에 접어든 노인은 이전에 겪어보지 못했던 다양한 상실을 동시다발적 으로 경험하며 많은 스트레스에 직면하게 된다.배우자의 죽음,신체적 건강상 태의 하락,퇴직으로 인한 직업의 상실,경제력의 감소,사회적 관계의 축소 등이 해당되는데,성공적 노화를 위해 이러한 개인적 상실과 스트레스를 잘 준비하고 대처한다면 자아통합을 경험하며 생을 마감할 수 있지만,그렇지 못 할 경우 다양한 상실들이 서로 영향을 주어 심리적 불균형이 생기고 무기력과 절망감을 경험하며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김수현과 최 연희,2007).그리고 이러한 상실감은 특히 혼자 생활하는 독거노인에게 자살

(23)

의 고위험군이 된다(Osgood,1992). 또한 이러한 상실감은 일반 비독거노인들 보다 독거노인의 삶의 질을 더 많 이 위협할 것으로 추측 된다.독거노인의 경제적 자원의 결핍은 가족이나 친 인척과 함께 생활하는 비독거노인보다 더 고립되게 만들어 버린다(손정남, 2012).또한 정서적 유대감을 느끼지 못하고 우울감에 빠지게 되고 사회적 지 지자원이 풍부한 비독거노인에 비하여 여러 일상생활의 제한을 경험하며 외로 움과 소외감 그리고 자존감의 상실 등을 경험함으로써 낮은 삶의 만족도를 나 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최영,2005).특히 독거노인의 경우 자녀가 없거 나 자녀와의 교류가 단절되어 있기 때문에 심리적,정서적 고립감과 외로움이 일반가구 노인에 비해 더욱 높은데 이러한 상태가 독거노인의 우울성향을 높 이게 되며 이로 인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서경 현과 김영숙,2003).

(24)

3

.노인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스트레스의 사전적 의미는 ‘적응하기 어려운 환경에 처할 때 느끼는 심리적, 신체적 긴장상태’를 뜻한다.스트레스는 생애주기 전체에 걸쳐 경험할 수밖에 없는 일반적 현상이며,어떤식으로든 스트레스를 평생 경험하지 못하는 사람 이 없을 정도로 우리의 삶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이러한 스트레스는 ‘개인이 가진 자원을 초과하여 개인의 안녕상태를 위협한다고 평가되는 개인과 환경간 의 특정한 관계’라고 정의될 수 있다(김현순과 김병석,2008).또한 Lazarus 와 Folkman(1984)도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스트레스란 “자기가 할 수 있는 능력의 한계를 초과하거나 자신의 안위를 위협하는 정도에 의해서 평가받는 개인과 환경과의 관계”라고 하였다. 스트레스(stress)의 어원은 라틴어의 ‘stringere'라는 말에서 유래 되었으며, 팽팽하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긍정적 스트레스(eustress)와 부정적인 스 트레스(distress)의 두 가지가 있으며,긍정적 스트레스는 치유와 쾌락을 뜻하 며,부정적 스트레스는 질병과 불쾌함이라고 정의하였다(이미애,2009). 일반적인 스트레스 증상을 크게 4가지로 나누어 보면 신체적 증상,정신적 증상,감정적 증상,행동적 증상으로 나눌 수 있다. 신체적 증상은 피로,두통,불면증,근육통이나 경직(특히 목,어깨,허리), 심계항진(맥박이 빠름),흉부통증,복부통증.구토,전율,사지냉감,안면홍조, 땀,자주 감기에 걸리는 증상이 나타난다.정신적 증상은 집중력이나 기억력 감소 우유부단,마음이 텅 빈 느낌,혼동이 오고 유머감각이 없어진다.그리고 감정적 증상은 불안,신경과민,우울증,분노,좌절감,근심,걱정,불안,성급 함,인내부족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마지막으로 행동적 증상은 안절부절함, 손톱깨물기,발떨기 등의 신경질적인 습관,먹는 것,마시는 것,흡연,울거나 욕설, 비난이나 물건을 던지거나 때리는 행동이 증가한다(질병관리본부,

(25)

2012). 노년기의 스트레스의 특징은 각 영역별 스트레스원이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어,다른 영역에도 영향을 미치며,노화과정은 비가역적이고,연속적이며, 축적적이고,진행적인 특성이 있다(Mayers,1985).다른 발달단계에 비해 노 년기의 경우 스트레스를 가져오는 삶의 부정적인 사건들은 증가하는 반면 스 트레스를 경감시키기 위한 대처자원이나 능력은 이전보다 줄어들기 때문에 부 정적 사건의 영향은 이전 시기보다 더욱 커지고 그로 인해 자살을 포함한 스 트레스의 부정적 결과와의 연관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김현순과 김병석,2007).또한 인간은 인생주기에서 특정 연령에 따르는 스트레스를 경 험하며 스트레스가 누적되면 심리적으로 신경이 예민해져 걱정과 불안,초조, 긴장 등의 현상으로 신경쇠약과 우울,의욕상실 등의 징후가 나타나고 정서 상태의 불안정과 비탄 및 증오감을 갖게 되며 극도의 경우에는 자살에 이르게 된다(최상규,2004).이렇듯 연령이 증가할수록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게 되 고,이러한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방식이나 능력은 저하되므로 노인들은 스트 레스로 인한 피해에 더욱 취약해지게 된다.이처럼 증가되는 노인의 취약성은 중년이나 청년에 비해 충분한 자원을 가지지 못한 것과 관계가 있으며,이러 한 자원은 신체적,심리적,사회적 스트레스에 의해 도전을 받게 되어 노인은 공포,의존성,만성질병,죽음에 직면하게 된다(김조자 외,1992). 자살에 영향을 주는 스트레스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자신의 심각한 질병 이나 상해,가까운 가족의 심각한 질병이나 상해,부모나 배우자,자녀의 죽 음,이혼,안정적인 관계의 붕괴,가까운 친구나 이웃과의 문제,무직,직업의 상실,심각한 경제적 위기,법적문제,중요한 것의 상실 등이 있다(박봉길과 전석균,2006).결국 현실에서 존재하는 스트레스를 심각하게 받으면,스트레 스로부터 도피하려는 욕구가 야기되며,결과적으로 자살행동으로 나타나게 된 다(baumeister,1990;정호영과 노승현,2007재인용). 특히,독거노인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수준은 가족들과 동거하는 노인들에

(26)

비해 더 높으며 이는 자살과 직접적인 관련성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서인균과 조혜정,2013).장미희와 김윤희(2005)의 연구에서도 배우자가 있 는 노인보다는 배우자가 없는 노인에게서 스트레스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 났고,노인의 자살생각에 스트레스는 직접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또한 독거노인의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우울성향이 높을수록,자 아통제감이 낮을수록 자살생각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이들 요인 중 스트레스는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봉재와 오윤진, 2008).일반적으로 독거노인의 경우 가족으로부터 지원 결여,낮은 교육수준 과 월 평균 가구 소득 등 스트레스를 경험할 수 있는 환경에 처해있어 스트레 스를 경험하는 상황이 비독거노인보다 많기 때문에,스트레스에 취약한 노인 계층 중에서도 독거노인에 대한 관심이 요구된다.

(27)

4

.선행연구 고찰

일반적으로 노인자살과 관련된 요인으로는 직업역할의 상실,만성질환,건

강악화,배우자의 상실,경제적 불안정,신체적정신적장애,사회관계 범위의 축소,가족불화,우울증상 등이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한 가지가 아닌 여러 가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노인자살을 유발한다(강석균,2008).

Shiloh와 Cathy(2000)의 연구에 의하면 스트레스가 인체의 면역기능,갑상 선과 카테콜라민 체계를 떨어뜨리고 스트레스 호르몬의 상승을 가져와 강한 스트레스는 자살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하였으며,이문섭(2007)의 연구에서 환 경적,개인적 스트레스요인이 우울과 자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형수(2002)에 의하면 경제적 변인이 노인자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사회 통합변인은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고,우울변인이 노인자살의 가장 큰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경제상태,가족통합,건강상태,지역 사회활동 순으로 설명했다.또한 “생애주기별 자살현황과 대책”에서는 노년기 에 처해진 상황,예를 들어 건강,경제력이나 역할의 상실이 청,장년층 때와 는 급격히 변화되어 현재 노인역할에 대한 뚜렷한 문화적 규범이 없어 혼란감 이 조성되는 일종의 아노미(무규범)상태에 봉착하게 되고,이 때문에 사회규제 력이 약화되어 노인자살이 유발될 수 있다고 한다(김형수,2006). 서화정(2005)은 노인이 자살생각을 하게 되는 원인을 범주화하여 사회 인 구학적 요인(성별,연령,종교,교육수준,결혼여부,주거형태),개인 심리적 요 인(자살기도경험,정신질환 정도,상실경험,가족력,사고경향),사회 환경적 요인(대인관계,삶의 보람 상실,사회적 원조조직 결여)으로 구분하여 설명하 고 남성의 경우와 종교가 없는 경우,연령이 많을수록,경제적 수준이 낮을수 록,우울감이 많을수록,스트레스 사건을 많이 경험할수록,분노 표출을 많이 할수록 자살생각을 많이 한다고 한다.또한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사회참여

(28)

가입단체와의 관계가 좋지 않을수록,삶의 보람이 없다고 여길수록 자살생각 을 많이 한다고 하였다. 노인들의 신체적 건강상태는 생활하는데 있어서 중요하게 작용하는데 대부 분의 노인들은 건강상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주관적인 건강상태는 주관적 으로 지각하는 자신의 건강에 대한 평가를 말하는데,노인들이 스스로 인지하 는 건강상태는 노인이 여러 가지 심리적 요인과의 관계를 잘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았다(장미희,2008). 이민숙(2005)의 연구에서는 노인의 건강상태가 나쁘다고 지각할수록 노인 의 우울 및 자살생각이 높아지는 것으로 결론되어졌으며,서동우(2005)의 연 구에서는 건강상태가 좋지 못할 경우에는 자살생각과 자살계획 및 시도율이 높았다.또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지각된 건강상태가 가장 큰 예측요인 으로 확인되었으며(장미희,2008)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한 인식이 좋을수록 자살생각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이은주,2004).특히 김영미 (2013)의 연구에서는 주관적 건강 인지율이 우울과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스트레스나 우울이 증가하면 자살생각도 많아진다는 연구결과도 보고되었다(구춘영,2013;박순천,2005;배지연,2004). 이처럼 노인의 자살생각에는 여러 가지의 원인들이 상호관계를 맺으며 영향 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독거노인의 스트레스를 중심 으로 다른 여러 가지 요인을 통제한 후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29)

Ⅲ.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연구 설계 모형은 다음 <그림 1>과 같다. 문헌 고찰을 통해서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다음과 같이 포함하였다.성별,연령을 인구 사회학적 요인으로 정하고,사회 경제적 요인으로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을,신체적 요인으로 주관적 건강 인지율,활동 제한 유무,암 유병 여부,입원 여부를 포함하였고,독거노인의 정신건강 관련 요인은 우울증상 경험으로 하였다. 이러한 요인들에 의해 독거노인의 자살생각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고 이들 을 통제한 후 스트레스에 따른 독거노인의 자살생각과의 차이가 있을 수 있는 지 알아보고자 한다.

<그림 1

> 연구 모형

(30)

2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과정

국민건강영양조사는 1995년에 공표된 국민건강증진법 제16조에 근거하여 독립적으로 시행하던 ‘국민영양조사’와 ‘국민건강조사’를 통합한 전국 규모의 건강 및 영양조사이다.본 조사는 국민의 건강행태,만성질환 유병현황,식품 및 영양섭취실태에 관한 법정 조사 자료로,본 연구에서는 2012년 1월부터 12월까지 실시한 제 5기 3차년도(2012)조사 자료를 이용하였고,192개 표 본조사구를 추출하여 3,800가구의 만1세 이상 가구원 전체를 대상으로 실시 하였다.본 연구는 노인이 대상이므로 65세 이상 인구를 대상으로 하였고,그 중 독거노인인 남성(47)명,여성(269)명으로 총 3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제5기(2010-2012)전체 참여자수는 1차년도(2010)8958명,2차년도(2011)8518 명,3차년도(2012)8057명이었고,참여율은 약 80% 수준을 유지하였다(국민건 강영양조사,2012). 국민건강영양조사는 건강설문조사,영양조사,검진조사로 이루어졌으며,본 연구에서는 건강설문조사 영역의 자료를 변수로 사용하였다.

(31)

변수명 구분 조작적정의 스트레스 대단히 많이 느낀다 평상시 일상생활 중에 느끼는 스트레스의 인지 수준 많이 느끼는 편이다 조금 느끼는 편이다 거의 느끼지 않는다 자살생각 없다 최근 1년 동안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는지 여부 있다

3

.연구에 사용된 변수

1)종속 변수 국민건강영양조사 건강설문조사 중 정신건강부문의 1년간 자살생각으로 ‘최 근 1년 동안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해 본 적이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예’,‘아 니오’로 응답한 범주형 자료를 이용하였다. 2)독립 변수 본 연구의 독립변수는 정신건강부문의 스트레스인데 ‘평소 일상생활 중에 스 트레스를 어느 정도 느끼고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대단히 많이 느낀다’,‘많 이 느끼는 편이다’,‘조금 느끼는 편이다’,‘거의 느끼지 않는다‘로 구분되어 있 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종속변수,독립변수의 항목은 표 1과 같다.

<표 1

> 독거노인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정의

(32)

3)통제 변수 첫째,사회 경제적 관련 요인으로 교육수준,가구소득을 사용하였다.교육수 준은 ‘중졸이하‘,’고졸‘,대졸이상’으로 구분하였고,가구소득은 ‘100만원 이하’, 100만원 초과-200만원 이하‘,’200만원 초과-300만원 이하‘,’300만원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둘째,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 성별과 연령을 사용하였다.성별은 남성과 여 성으로,연령대별은 65-69세,70-79세,80세 이상으로 구분하였다.국민건강 영양조사는 60-69세와 70세 이상으로 구분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자살생각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연령대별로 구분하였 다.하지만 노인복지법 또는 각종 통계에서 사용되는 노인의 기준이 65세 이 상 이므로 60대 인구 중 65세 이상인자로 결정하여 60대는 65-69세로 정하 였다. 셋째,신체적 요인으로 주관적 건강인지율,활동제한 유무,암 유병 여부, 입원 여부를 이용하였다.주관적 건강인지율은 ‘매우 좋음’,‘좋음’,‘보통’,‘나 쁨’,‘매우 나쁨’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매우 좋음’과 ‘좋음’을 묶어 ‘좋음’으로 ‘매우 나쁨’과 ‘나쁨’을 ‘나쁨’으로 분류하여 사용하였다.활동제한 유무는 ‘현 재 건강상의 문제나 신체 혹은 정신적 장애로 일상생활 및 사회활동에 제한을 받고 계십니까?’라는 질문에 ‘예’,‘아니오’로 응답한 범주형 자료를 사용하였 다.암 유병 여부는 위암,간암,대장암,유방암,자궁경부암,폐암,갑상샘암, 기타암 중 지금까지 앓은 적 있음에 ‘예’,‘아니오’로 응답한 범주형 자료를 사 용하였다.입원 여부는 ‘최근 1년 동안 입원한 적이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예’,‘아니오’로 응답한 범주형 자료를 사용하였다. 넷째,정신건강 관련 요인으로 우울증상 경험에 대한 것으로 ‘최근 1년 동 안 연속적으로 2주 이상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슬프거나 절망감 등 을 느낀 적이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예’,‘아니오’로 응답한 범주형 자료를

(33)

사용하였다.

(34)

요인 변수명 구분 조작적 정의 사회 경제적 관련 요인 교 육 수준 초졸 이하 교육수준 재분류 코드 졸업은 현 학력으로 수료,중퇴,재 학/휴학은 이전 학력으로 분류 중졸 고졸 대졸 이상 가 구 소득 100만원 이하 가구의 총 월소득을 사분위수로 나 타낸 것 100-200만원 200-300만원 300만원 이상 인 구 사 회 학 적 요 인 성 별 남 독거노인의 성별 여 연 령 65-69세 실제 생년월일을 확인 70-79세 80세이상 신 체 적 요인 주관적 건 강 인지율 좋음(1,2) 스스로가 생각하는 본인의 건강상태 1.매우좋음,2.좋음,3.보통,4나쁨,5. 매우나쁨 보통(3) 나쁨(4,5) 활동 제한 유무 예 옷입기,세수하기,목욕하기,식사하 기,이동,화장실 사용,대소변 조절, 몸단장하기,집안일,식사준비,빨리, 외출등의 일상생활 및 사회활동에 제한을 받는지 유무 아니오 암 유병 여부 예 암을 앓은 적이 있는지에 대한 여부 아니오 입원 여부 예 최근 1년 동안 입원 여부 아니오 정 신 건 강 관 련 요인 우울 증상 경험 예 최근 1년 동안 우울증상을 경험한 여부 아니오

<표 2

> 연구에 사용된 통제 변수의 정의

(35)

4

.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는 65세 이상 노인 중에서 독거노인만을 추출하였고,스트레스 가 종속변수인 자살생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그 상대적 위험도를 파 악하려고 한다.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SPSS 19.0 forwindow 통 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대상자의 요인별 특성과 스트레 스를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고,관련 요인들과 종속변수인 자살생각과의 유의 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카이제곱 검정(Chi-squaretest)을 실시하였다.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에 대한 연관성과 다른 관련 요인을 통제하기 위하여 모든 통제 변수와 함께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측정된 값을 일반화하기 위하여 2010년 자료 이용 지침에 따라 가중치를 부 여하고 모든 통계 방법은 복합표본분석 방식으로 하였다(국민건강영양조사 자 료 활용 워크샾 자료집,2012).

(36)

Ⅳ.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요인별 특성

분석에 사용된 최종 응답자는 316명이며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의 분포를 보 면 자살생각을 가진 응답자가 70명(24.5%)이고 자살생각을 가지지 않은 응답 자가 216명(75.5%)이었다.따라서 우리나라 독거노인의 4분의 1정도는 자살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고 할 수 있었다. 대상자의 요인별 특성은 <표 3>에서 보는 것처럼 사회 경제적 관련 요인 중 교육수준은 총 독거노인 316명중 설문에 응답하지 않은 28명을 제외하고 살펴본 결과 초졸 이하가 228명(79.2%),중졸이 24명(8.3%),고졸이 24명 (8.3%),대졸 이상이 12명(4.2%)로 초졸 이하가 가장 많았고,대졸 이상이 가 장 적은 분포를 보였다.가구 소득은 설문에 응답하지 않은 4명을 결측으로 제외시키고 살펴본 결과 100만원 이하가 240명(76.9%),100만원 초과 200 만원 이하가 51명(16.3%), 200만원 초과 300만원 이하가 16명(5.1%), 300 만원 초과는 4명(1.6%)으로 100만원 이하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인구 사회학적 요인 중 성별은 남자가 47명(14.9%)이고 여자가 269명 (85.1%)로 여자의 비율이 높았다. 독거노인의 나이 분포는 60대가 63명 (19.9%), 70대가 187명(59.2%), 80대 이상이 66명(20.9%)로 70대의 분포가 가장 많았다. 신체적 요인 중에서는 설문에 응답하지 않은 22명을 제외하였을 경우 스스 로 건강상태가 좋다고 생각한 경우가 51명(17.3%),보통이라고 생각한 경우 가 110명(37.4%),나쁘다고 생각한 경우가 133명(45.2%)로 건강이 나쁘다고 생각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활동 제한 여부는 ‘예’라고 응답한 경우가 63명 (21.6%),‘아니오’라고 대답한 경우가 228명(78.4%)로 나타났다.암 유병 여

(37)

부는 303명(95.9%)의 응답자가 암을 앓은 적이 없었고,13명(4.1)만이 암을 앓은 경험이 있었다.최근 1년간 입원한 적이 있었던 응답자는 모른다고 대답 한 3명을 제외 하고 313명으로 살펴본 결과 입원 경험이 있는 경우가 26명 (8.3%)이었고 287명(91.7%)은 입원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건강 관련요인 중 우울증상 경험여부는 설문에 모른다고 대답한 30명 을 제외한 286명중 63명(22.0%)만이 경험이 있었고,223명(78.0%)는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8)

요인 변수명 구분 수(명) 백분율(%) 사회경 제적 관련 요인 교육 수준 초졸 이하 228 79.2 중졸 24 8.3 고졸 24 8.3 대졸 이상 12 4.2 가구 소득 100만원 이하 240 76.9 101-200만원 51 16.3 201-300만원 16 5.1 300만원 초과 5 1.6 인구 사회학 적 요인 성 별 남자 47 14.9 여자 269 85.1 연 령 65-69세 63 19.9 70-79세 187 59.2 80세이상 66 20.9 신체적 요인 주관적 건강 인지율 좋음(1,2) 51 17.3 보통(3) 110 37.4 나쁨(4,5) 133 45.2 활동 제한 여부 예 63 21.6 아니오 228 78.4 암 유병 여부 예 13 4.1 아니오 303 95.9 입원 여부 예 26 8.3 아니오 287 91.7 정신건 강관련 요인 우울 증상 경험 여부 예 63 22.0 아니오 223 78.0

<표 3

> 대상자의 요인별 특성

(전체:316명)

(39)

변수명 구분 수(명) 백분율(%) 스트레스 인지정 도 대단히 많이 느낀다 10 3.5 많이 느끼는 편이다 49 17.3 조금 느끼는 편이다 117 41.3 거의 느끼지 않는다 107 37.8 자살 생각 있다 70 24.5 없다 216 75.5 <표 4>에서 나타난 것처럼 독거노인의 평소 스트레스 인지정도는 모른다고 대답하여 결측 시킨 33명을 제외한 283명중 ‘대단히 많이 느낀다’는 10명 (3.5%),‘많이 느끼는 편이다’는 49명(17.3%),‘조금 느끼는 편이다’는 117명 (41.3),‘거의 느끼지 않는다’는 107명(37.8)으로 ‘조금 느끼는 편이다’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은 모른다고 대답한 30명을 결측 시 킨 286명이 응답하였으며 자살생각을 경험한 경우가 70명(24.5%),자살생각 을 경험 하지 않은 경우가 216명(75.5%)으로 나타났다.

<표 4

>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분포

(전체:316명)

(40)

자살생각 전체 없다 있다 스트레스 인 지 정 도 * 대단히 많이 느낀다 3(30.0) 7(70.0) 10(100) 많이 느끼는 편이다 28(57.1) 21(42.9) 49(100) 조금 느끼는 편이다 92(78.6) 25(21.4) 117(100) 거의 느끼지 않는다 92(86.0) 15(14.0) 107(100)

2

.대상자의 스트레스와 관련요인들에 따른 자살생각과의 관

대상자의 스트레스와 사회 경제적 관련 요인,인구 사회학적 요인,신체적 요인,정신건강 관련요인에 따른 자살생각의 관계를 카이제곱 검정(X²test)으 로 분석하였다.그 결과 나이,주관적 건강 인지율,활동 제한 여부,우울증상 경험 여부,스트레스가 자살생각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1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

<표 5>에서와 같이 스트레스에 따른 자살생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p<0.001).분포를 살펴보면 ‘대단히 많이 느낀다’의 70.0%가 자 살생각이 있다고 한 것에 비해 ‘많이 느끼는 편이다’는 42.9%,‘조금 느끼는 편이다’는 21.4%,‘거의 느끼지 않는다’는 14.0%가 자살생각이 있었다고 응답 했다.따라서 스트레스를 많이 느낄수록 자살생각이 더 높은 경향이 있었다.

<표 5

>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

단위:명(%) *p<0.001,X²=27.42

(41)

2

)관련 요인들과 자살생각과의 관계

<표 6>의 관련 요인들 중에서 교육수준,가구소득,성별,암 유병 여부,입 원 이용 여부를 제외한 연령,주관적 건강 인지율,활동제한 여부,우울증상 경험여부에서 자살생각과 유의한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p<0.01).먼저 연령에 따른 분포를 보면 60대의 경우 21.7%가 자살생각이 있다고 하였고 70대의 경우 20.6%,80대 이상의 경우는 41.2%로 60대와 70대는 비슷하나 80세 이 상의 고령 노인들에게서는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주관적 건강 인지율 에서의 분포를 보면 ‘좋다’고 인지한 경우에는 16.0%가 자살생각이 있다고 응답했고,‘보통’인 경우는 15.2%,‘나쁘다’라고 인지한 경 우는 35.1%가 자살생각이 있다고 응답하여 ‘나쁘다’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높 았다. 활동 제한 여부에서의 분포는 제한이 있는 경우에 39.3%가 자살생각이 있다 고 응답하여 제한이 없는 경우인 20.4%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증상 경험여부에서는 우울을 경험한 응답자가 52.4%의 자살생각을 가 지고 있었으며,우울을 경험하지 못한 응답자는 16.6%만이 자살생각을 가지 고 있다고 응답하여 우울을 경험할수록 자살생각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42)

요인 변수명 구분 자살생각 없다 있다 ⅹ² p n(%) n(%) 사회 경제적 관련 요인 초졸이하 169(74.4) 58(25.6) 0.803 0.849 교육 수준 중졸 19(79.2) 5(20.8) 고졸 18(78.3) 5(21.7) 대졸이상 10(83.3) 2(16.7) 100만원 이하 159(72.9) 59(27.1) 4.454 0.187 가구 소득 101-200만원 38(82.6) 8(17.4) 201-300만원 14(93.3) 1(6.7) 300만원 초과 4(80.0) 1(20.0) 인구 사회학적 요인 성별 남자 36(85.7) 6(14.3) 2.765 0.096 여자 180(73.8) 64(26.2) 나이 65-69세 47(78.3) 13(21.7) 9.394 0.009 70-79세 139(79.4) 36(20.6) 80세 이상 30(58.8) 21(41.2) 신체적 요인 주관적 건강 인지율 좋음 42(84.0) 8(16.0) 14.811 <0.001 보통 89(84.8) 16(15.2) 나쁨 85(64.9) 46(35.1)

<표 6

> 관련 요인들과 자살생각과의 관계

(전체:316명)

(43)

요인 변수명 구분 자살생각 없다 있다 ⅹ² p n(%) n(%) 신체적 요인 (계속) 활동 제한 여부 있다 37(60.7) 24(39.3) 9.273 0.002 없다 179(79.6) 46(20.4) 암 유병 여부 있다 7(58.3) 5(41.7) 2.003 0.174 없다 209(76.3) 65(23.7) 입원 이용 여부 있다 19(79.2) 5(20.8) 0.205 0.650 없다 195(75.0) 65(25.0) 정신건강 관련 요인 우울증상 경험여부 있다 30(47.6) 33(52.4) 34.038 <0.001 없다 186(83.4) 37(16.6)

<표 6

> 관련 요인들과 자살생각과의 관계(

계속)

(전체:316명)

(44)

3

.스트레스에 따른 독거노인의 자살생각

스트레스,사회경제적 관련 요인,인구 사회학적 요인,신체적 요인,정신건 강 관련 요인에 따른 독거노인의 자살생각과의 통계적 검정을 통해 유의성을 검증하였고,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대한 독립변수의 설명력을 보기 위해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자살생각에 대하여 ‘있다’,‘없다’의 두 범주로 구성되 어 있는 종속변수를 사용 하였으므로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binary rogisticregression)을 실행하였고,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들이 추가됨에 따 라 스트레스의 설명력의 변화를 보기 위하여 4단계의 단계적 분석을 실시하 였다.스트레스와 자살생각만을 분석한 결과를 모델Ⅰ,스트레스에 사회경제적 관련요인과 인구 사회학적 요인을 추가하여 분석한 결과를 모델Ⅱ,모델Ⅱ에 신체적 요인을 추가하여 분석한 결과를 모델Ⅲ,모델Ⅲ에 정신건강 관련요인 을 추가하여 모든 요인들을 통제한 결과를 모델Ⅳ로 분류하였다. <표 7>의 모델Ⅰ에서처럼 스트레스와 자살생각만을 분석하였을 경우에는 ‘대단히 많이 느낀다’와 ‘많이 느끼는 편이다’에서 자살생각과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p<0.001).‘대단히 많이 느낀다’의 경우 ‘거의 느끼지 않는다’는 군에 비해 14.8배 높은 자살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많이 느끼는 편 이다‘의 경우는 ’거의 느끼지 않는다‘고 응답한 군에 비해서 4.7배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와 사회 경제적 관련요인과 인구 사회학적 요인들을 동시에 통제하 고 회귀분석을 실시한 모델Ⅱ에서도 역시 ‘대단히 많이 느낀다’와 ‘많이 느끼 는 편이다’에서 자살생각과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p<0.001).‘대단히 많이 느낀다’의 경우 ‘거의 느끼지 않는다’는 군에 비해 19.2배 높은 자살생각을 가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많이 느끼는 편이다‘의 경우는 ’거의 느끼지 않 는다‘고 응답한 군에 비해서 4.5배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5)

모델Ⅲ의 회귀분석을 실시한 경우에서도 스트레스를 ‘대단히 많이 느낀다’와 ‘많이 느끼는 편이다’에서 자살생각과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p<0.01).‘대단 히 많이 느낀다’의 경우 ‘거의 느끼지 않는다’는 군에 비해 17.2배 높은 자살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많이 느끼는 편이다‘의 경우는 ’거의 느끼지 않는다‘고 응답한 군에 비해서 4.2배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마지막으로 모델Ⅳ의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스트레스를 ‘대단히 많이 느낀다’ 에 해당하는 군만이 유의하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스트레스를 ‘대단히 많이 느낀다’에 해당하는 군은 거의 느끼지 않는 군에 비하여 자살생 각을 할 가능성이 8.1배 높다.따라서 모든 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독거노인 은 스트레스를 대단히 많이 느끼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자살생각 확률 이 더 높게 나타났다.

(46)

변수명 구분

모델Ⅰ 모델Ⅱ 1모델Ⅲ 모델Ⅳ OR (95%CI) OR (95%CI) OR (95%CI) OR (95%CI) 스트레 스 인지정 도 거의 느끼지 않는다 1 1 1 1 조금 느끼는 편이다 1.72 (0.84-3.53) 1.84 (0.87-3.88) 1.73 (0.78-3.86) 1.39 (0.60-3.23) 많이 느끼는 편이다 4.76 (2.14-10.59) 4.58 (2.00-10.48) 4.20 (1.67-10.51) 2.58 (0.96-6.93) 대단히 많이 느낀다 14.83 (3.42-64.20) 19.22 (3.93-93.84) 17.26 (3.29-90.52) 8.15 (1.31-50.41) 교육 수준 대졸이상 1 1 1 초졸이하 0.85 (0.13-5.60) 0.85 (0.12-5.84) 0.66 (0.09-4.41) 중졸 2.00 (0.24-16.72) 2.36 (0.26-21.44) 1.56 (0.16-15.22) 고졸 1.11 (0.13-9.07) 1.03 (0.12-8.78) 0.89 (0.10-7.65) 가구 소득 300만원 초과 1 1 1 100만원 이하 2.35 (0.15-34.80) 1.30 (0.08-19.20) 1.09 (0.06-18.57) 101-200만 원 1.04 (0.06-16.64) 0.55 (0.03-8.98) 0.55 (0.03-10.56) 201-300만 원 0.34 (0.01-10.58) 0.18 (0.01-6.98) 0.15 (0.01-10.49) 성별 남자 1 1 1 여자 1.90 (0.67-5.35) 1.99 (0.67-5.95) 1.81 (0.60-5.46) 나이 65-69세 1 1 1 70-79세 0.90 (0.39-2.04) 0.98 (0.41-2.30) 1.27 (0.51-3.18) 80세 이상 2.17 (0.83-5.64) 2.29 (0.84-6.22) 3.73 (1.25-11.12)

<표 7

> 독거노인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련성

(47)

변수명 구분

모델Ⅰ 모델Ⅱ 모델Ⅲ 모델Ⅳ OR (95%CI) OR (95%CI) OR (95%CI) OR (95%CI)

주관적 건강 인지율 좋음 1 1 보통 0.59 (0.20-1.70) 0.45 (0.14-1.40) 나쁨 1.38 (0.50-3.75) 1.29 (0.45-3.68) 활동 제한여 부 없다 1 1 있다 1.78 (0.85-3.75) 1.74 (0.80-3.79) 암 유병여 부 없다 1 1 있다 1.69 (0.41-7.00) 2.07 (0.48-8.86) 입원 이용여 부 없다 1 1 있다 0.30 (0.08-1.13) 0.29 (0.07-1.21) 우울증 상 경험여 부 없다 1 있다 4.96 (2.33-10.52)

<표 7

> 독거노인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련성(

계속)

수치

표 차 례 표 1 .스트레스와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의 정의 · · · · · · · · · · · · · · · 1 9 표 2 .연구에 사용된 통제 변수의 정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2 2 표 3 .대상자의 요인별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6 표 4 .스트레
그림 1 .연구 모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7

참조

관련 문서

The effect of group exercise on physical functioning and falls in frail older people living in retirement villag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yman JF, Croghan

농어촌 삶의 질 향상 정책은 주민들의 생활여건 개선에 필수적인 과제들을 추진하고, 지금까지 충분히 조명받지 못했던 농어촌의 가능성과 잠 재력을 되살리는 과제들을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mental health (stress perception, sufficiency of sleep,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on alcohol drinking

이상과 같은 TRIZ 의 문제해결 과정을 종합해 보면 , TRIZ 는 분야를 초월하여 해결을 모색하며 문제해결을 위한 적절한 , 지식을 활용한다는 것이 기존의

본 연구의 결과는 지방자치단체 행정업무의 성과평가를 위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우선,전문가들은 행정관리측면에 있어서 행정 전산화와 같은

이와 같은 결과는 과학교과의 수행평가 평가지 채점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았다는 김규리와 이승희 (2010) 의 연구와 유사하다 수행평가의 평가지는 학생의.

 삭제를 하려는데 큐가 empty 이면,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내보내고 삭제를 멈춘다..  다음과

주기율표의 같은 족에 위치한 원소는 동일한 최외각 전자 배치를 갖는다.. 주기율표의 같은 족에 위치한 원소는 유사한 화학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