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상관계란 무엇인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대상관계란 무엇인가?"

Copied!
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online©ML Comm

42

원 저 □

精神分析:第 19 卷 第 1 號 2008

J Korean Psychoanalytic Society

Vol. 19, No. 1, Page 42~45, 2008

대상관계란 무엇인가?

*

이 무 석**

What is the Object Relations?

*

Moo-Suk Lee, M.D., Ph.D.

**

서 론

분석가들은 환자들이 어떤 대인관계의 패턴(object rela- tions)을 갖고 있는 것을 발견한다. 이 패턴은 배우자를 선 택할 때도 적용되고 모든 대인관계에서 반복 된다. 흔히 그 패턴은 분석 시간에 전이 형태로 나타난다.

20대 중반의 청년이 분석을 받고 있었다. 그는 분석 실 문 앞에 도착하여 노크할 때 마다 두려움을 느낀다.

노크 소리의 크기 때문이다. 너무 크게 두드리면 분석 가가 화를 내고 고함을 칠 것 같다. 그렇다고 너무 작 게 두드리면 들리지 않을 것이다. 어느 날 분석가는 이것을 다루었다.“내가 화를 낼 것 같아서 두려워하 시는 것만 같았다. 그렇게 느끼는 이유가 있을 것 같 은데요” 환자는 초등학교 때 경험이 생각났다. 학교에 서 귀가했다. 방에 들어가려고 문을 열었다. 아버지가 무언가를 수리 하느라고 방바닥에 부속품들을 널어놓 고 있었다. 아버지가“들어오지 마” 라고 명령했다. 그 러나 어린 환자는 방에 발을 들여 놓았다. 무언가를 밟았고 아버지의 주먹이 날라 왔다. 그의 아버지는 충 동적이고 처벌적인 분이었다. 그의 손가락을 자르겠다 고 칼을 든 일도 있을 정도 였다. 분석시간에 아버지 전이가 발생하였다. 그는 분석가를 이런 가학적인 아 버지로 보고 있었다. 늘 분석가에게 혼날까봐 노심초 사했다. 의식적으로는 분석가가 그런 사람이 아니고 따뜻하게 이해해 주는 분이라는 것을 인정했지만 막 상 분석실 문 앞에 서면 그는 노크 소리의 크기 때문

에 고민했다. 어릴 때 아버지의 방과 현재 분석가의 방을 착각하고 있었다. 분석가를 어릴 때 아버지의 방에 침입(?)했을 때 자기를 처벌 했던 아버지 상으로 착각하고 있었다. 그때 아버지와 그의 관계는 가해자- 피해자 관계 였고 내재화 되어 있던 이 관계를 오늘 분석실에서 분석가와 반복하고 있었다.

그는 이런 가해자-피해자 관계를 다른 사회적 대인 관계에서도 반복했는데, 예컨대 구두시험 볼 때 시험 관이 무서운 공격자로 보여서 취업 시험에 실패했었 다. 다행히 이런 내적 대상관계가 이해되고 풀려서 수 개원 후에는 구두시험을 통과할 수 있었다.

유아기의 대인관계가 성격발달에 어떤 영향을 줄까? 유 년기의 대인관계가 성장 후 대인관계에 지속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까? 유년기 대인관계는 내재화 되는 것인가? 인간의 대인관계는 실제 대상(인물)과 이루어지는 것일까? 아니면 자기 속에 만들어진 대상의 이미지(인물의 대상 표상)와 관 계를 맺고 그 이미지에 대한 감정을 느끼는 것일까? 대상 관계 이론은 이런 의문들에 대한 해답을 준다(Arlow 1980;

Buckley 1986). 먼저 용어의 정의를 내려야 겠다.‘대상관 계(Object Relations)’와‘대상과의 관계(Object Relation- ship)’이다. 본 논문에서 말하는 대상관계는‘Object Rela- tions;나와 내적 대상 표상과의 상호작용’을 말한다. 이는 대상과의 관계(Object Relationship), 즉‘나와 실제 타인 과의 상호작용, 대인관계’와는 다른 개념이다(이병욱 2005).

인간의 성격발달에 대한 정신분석 이론은 크게 두 편으로 나눌 수 있다. 욕구이론과 환경론이다. 욕구이론은 본능적 욕구가 추진력이 되어서 성격이 형성된다는 이론이다(drive theory). 대표적인 학자가 지그문트 프로이트이다. 그는 욕 구의 충족이 인간 행동의 목적이라고 보았다. 환경론은 멜 라니 크라인과 영국 대상관계 이론가들이 주장하는 이론이 다. 아이를 둘러싼 환경 속에서 아이가 만난 어떤 인물(대 상)들이 아이의 성격 발달에 지배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이

접수완료:2008년 1월 1일 / 심사완료:2008년 2월 1일

*본 논문은 2007년 2월 24일 건국대 강당에서 열린 2007 정신과 전 공의를 위한 정신분석 워크샾에서 발표되었음.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Department of Psychia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Gwangju, Korea

(2)

이 무 석

43

다. 특히 그 인물들과 나눈 관계의 양상이 내재화되어 아이

의 성격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자세히 보면 욕구론 을 주장하는 프로이트도 대상관계의 중요성을 이야기하고 있고 환경론을 주장하는 멜라니 클라인도 본능을 그녀의 이 론의 근간으로 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프로이트가 설명한 대상관계에 대해서 고찰하고, 대상관계 이론에 대해 서 설명하겠다.

본 론

프로이트와 대상관계

대상관계이론의 뿌리는 사실 프로이트의 이론에 두고 있 다. 비록 프로이트가 대인 관계(object relations) 보다는 본 능욕동(instintual drive)을 좀 더 본질적인 것으로 생각했 다고는 하지만 그는 현실 환경이나 대상관계 또한 중요시 했다(유범희 1998).

프로이트는 1914년에 발표한 논문‘자기애(On Narci- ssism)’에서 유아의 마음속에서 자기상과 대상상이 어떻게 분화하며 성장하는가를 설명했다. 특히 그가 1917년에 발 표한 논문,‘애도와 우울(mourning and melancholia)’ 대상 상실과 우울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그는 사랑하는 대상의 상실이 우울을 가져오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사랑 하는 사람이 죽었을 때 정상적 애도 반응을 하는 사람들은 죽은 사람을 포기하고 기쁨을 줄 수 있는 새로운 대상을 찾는다. 이론적으로 설명한다면 죽은 사람에게 주었던 리비 도가 죽은 이에게서 떨어져 나와 내게 돌아오는 것이다. 그 래서 자아는 그 리비도를 다른 대상이나 일에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대상 상실에 대한 병적인 반응을 보이 는 사람(melancholia), 즉 우울증에 걸리는 사람은 죽은 사람을 마음속에 계속 살려둔다. 동일화 보다 더 유아기적 수준의 방어기제인 함입(introjection)을 통해서 마음속에 이미지로 존재하게 된 그 사람이다. 이 함입에는 자기애적 동기가 작용하고 죽은 사람에 대한 양가적인 감정(infatile ambivalence)이 실려 있다. 죽은 대상이 사랑 만 하는 대상 이 아니고 증오하는 대상이기도 하다. 죽은 사람이 실제로 어떤 사람인가와 관계없이 환자의 내면에서 그 사람은 유 아기 대상이 되어있기 때문에 포기할 수 가 없는 것이다(in- ability to accept separateness of object). 리비도는 죽은 사람에게 계속 붙어 있고 공격성, 증오심도 그를 향해서 아 직도 불을 뿜고 있다. 그런데 이제는 현실의 그가 죽어 버 렸기 때문에 자기 내부에 있는 죽은 사람을 향해서 분노가 터진다. 우울증 환자들의 자기 비난과 자학은 이렇게 설명 할 수 있다. 죽은 사람의 그림자가 산 사람의 자아에 그림

자를 드리우고 있는 것이다. 대상의 상실이 자아의 상실로 나타났다(Object-loss is transformed into ego-loss).

프로이트는 현실과 환경을 너무 무시하고 욕구 만 이야 기한다고 비난을 받았다. 그러나‘애도와 우울’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는 현실적 대상 상실이 인간의 마음속에서 일 으키는 중요한 반응에 대해서 깊은 관심을 가졌었다.

대상관계 이론의 중요 개념들

대상관계이론의 핵심 단어(key word)는 내재화, 자기 표 상과 대상 표상, 내적 대상관계, 외형화, 전이 등이다. 이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정신분석이론중 특별한 노선(particular line)인 대상관 계이론(object relation theory)은 지난 40~50년간 영국 정신분석 학회를 중심으로 그 중요성이 증가되어 왔다. 이 것은 어린이의 대상관계(object relations)의 역할을 강조 하는 이론이다. 어릴 때의 대상관계가 성인의 정신생활에 서도 계속 이어진다는 이론이다. 여기에는 영국의 Melanie Klein, Fairbairn, Winnicott와 미국의 Margaret Mahler, Heinz Kohut등의 업적이 크다. 이 이론의 중심 되는 사상 은 이렇다. 현재의 관계형성을 하는데는 이미 과거에 이루 어진 기본 관계 경향(basic inbuilt tendency)의 영향을 받 는다는 것이다. 어린이는 어릴 때의 대상관계(주로 모자 관 계나 부자 관계)를 내재화(internalization) 한다. 어린이는 대상 인물들을 제 식대로, 그리고 제 상상에 의해서 수정한 채로 내재화 한다. 이것이 대상 표상(object representa- tion)이 된다. 따라서 내재화 대상이 꼭 사실과 일치한다고 볼 수는 없다. 그래서 환자들이 때로 아버지를 흉폭스러운 악마처럼 얘기하지만 실제 아버지가 그런 분이 아닐 수가 있는 것이다. 마음속에서 자기 이미지와 대상 이미지는 특 정한 관계의 패턴을 형성한다. 이렇게 내재화된 어릴 때의 대상관계(내적 대상관계)가 성장 후에 인간관계를 맺을 때 재현 된다. 아래에서 살펴 볼 본 T부인의 경우는 어릴 때 의 여동생과 가졌던 증오의 관계를 동거남과 관계에서 재 현 시켰다. 이런 재현 현상을 대상관계 이론에서는 외형화 (externalize)라 한다. 정신분석을 받을 때는 치료자를 자 신의 내적 대상으로 보고 사랑도하기도 하고 증오 하기도 하는 전이 형태로 외형화(externalize)되어 나타난다. 전이 (transference)를 내적 대상관계(internal object relations) 의 외형화로 보는 전이의 개념은 오늘 날의 분석기법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 결과 오늘날 전이분석이 분석 작업의 가 장 핵심적인 기법이 되었다. 전이가 환자의 무의식을 현재 의 분석실에서 경험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이다. 다음 증례 는 병적 내적대상관계(pathological object relationship)

(3)

대상관계란 무엇인가?

44

가 불행한 결혼생활과 신경증의 원인이 된 여인의 정신분 석 증례이다. 분석가는 런던 대학의 Joseph Sandler교수 였다(이무석 2003).

T 부인은 50세이고 회사의 사장이었다. 이혼녀였고 장성한 두 아이와 살고 있었다. 그녀는 이란성 쌍둥 이 였고, 쌍둥이 여동생은 일분 늦게 태어난 막내로 귀여움을 독점했다. 내게 분석 받으러 오기 전에 다른 지방에서 수년간 치료를 받았지만 별로 효과를 보지 못했다. 그녀는 불안발작과 히스테리성 실신 증상을 포함하여 많은 전환장애의 증상을 보였다. 직장동료 들과도 문제가 많다고 했다. 지난 2년간 T 부인은 동 갑내기 남자와 동거생활을 하고 있는데 늘 싸움만 했 다. 그들의 관계는 가학-피학적인 관계(sado-maochistic relationship)였다. 남자는 가학자 였고 그녀는 피학자 였다. 교묘하고도 노골적으로 그녀는 그를 성내게 하 였고 그는 쉽게 이에 반응하여 화를 냈다. 화가 나면 그 는 그녀를 심하게 비난하고 친구들에게도 함부로 행동 했다. 파티에서 나가버리기도 하고, 다른 사람들 앞에 서 그녀에게 창피를 주었다. 그가 이렇게 분노를 터트 려도 그녀는 절대로 화를 내지 않았다. 다만 굴욕감과 우울함에 빠질 뿐 이었다. 얼핏 보아서는 왜 그들이 헤 어지지 않고 함께 살고 있는지 이해하기 힘들었다. 그 들은 끊임없이 싸운다. 성생활은 횟수도 드물고 만족 감도 없다. 서로 상대방이 성생활에 협조를 안 해준다 고 불평한다. 그녀는 오르가즘(organism)을 못 느낀다.

다만 자위 행위할 때 가끔 오르가즘을 느낄 뿐이었다.

분석 첫해에 분명해진 것은, 그녀가 자신의 가학적 소원(sadistic wish)과 경쟁소원에 대한 매우 심한 죄 책감을 갖고 있다는 것이었다. 이것은 매우 재주가 있고 똑똑한 쌍둥이 여동생과 어머니에 대한 감정에 서 유래한 것이었다. 그녀는 항상 동생보다 뒤떨어졌 고, 동생 보다 읽기도 더 못했다. 그러나 그녀는 놀랍 도록 똑똑한 여자였고 신경증 때문에 어려움이 많은 속에서도 상당한 성공을 거둔 여인이었다. 직장에서도 그녀는 동료들의 실수를 용서하는 법 없이 계속 비난 했고 동료들이 일에 무관심하다고 분노를 터뜨렸다.

T 부인의 생활은, 특징적으로 자기 파괴적인 사건 들이 많았다. 예컨대, 지갑이나 열쇠를 자주 잃어버린 다. 극장표를 사고 보면 그날 피치 못할 다른 약속이 있어서 갈 수 없는 날짜의 표였다. 기차를 잘못 타기 도 하고 중요한 서류를 분실하는 등등의 사건들이 많 았다. 그러나 다행히 분석을 받기 시작한 후 일 년

만에 심한 죄책감이 풀리고, 자기 내부에 미움과 경 쟁심이 숨어 있었다는 것을 이해하고 나서 이런 일이 사라졌다.

분석이 2년째 접어들었을 때 양상이 변하기 시작하 였다. 수치심과 굴욕감이 더욱 심해졌는데 이것은 전 이(*치료자를 자신의 마음속에 있는 어떤 사람으로 착각하는 현상)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녀는 분 석가에 대한 감정이나 가족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 싫 어했고 회피했다. 예컨대 그녀의 저항을 보면“분류하 기, 혹은 꼬리표 부치기(labelling)” 라고 내가 이름 지 어준 메카니즘을 사용했다.“내가 자기 도취적(narci- ssistic)이라는 말이군요?” , 혹은“이것은 투사(projec- tion)지요?” 하는 식으로 꼬리표를 붙여 처리해버렸다.

그런 기간이 지나자 드디어 T 부인은 자신을 드러낼

수 있게 되었다. 수치심과 굴욕감으로 괴로워하며 이

것을 번번이 타인에게 투사해 버리는 자신의 모습을

정면으로 대할 수 있게 되었다. 사실 분석의 첫 수개

월 동안 그녀는 타인들을 엄청나게 비난했다. 자신은

남들에게 피해를 보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사실은 거

꾸로 그녀가 남들을 모욕하고 창피를 주고 있었다. 그

녀는 통찰력을 갖게 되었다. 자신이 사람들에게 창피

를 주고 있으며, 동거하고 있는 남자는 물론 직장 동

료들까지도 무의식적으로 곤경에 빠뜨리고 있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동거하고 있는 남자는

그녀의 이런 태도에 대해서 폭발적인 반응을 보였는

데, 그 이유는 그도 역시 죄책감이 많았고 수치감을 잘

느끼는 성격 이었기 때문이었다. 그가 이렇게 폭발해

버리기 때문에 남 보기에는 그녀가 피해자로 보이는

것이다. 그의 분노 반응은 그에 대한 그녀의 도발을

정당화시켜주었다. 말하자면 도발(provocation)의 정

신기제를 사용하여 그녀는 부끄러운 자화상을 그에게

옮겨주어 버렸다(*이렇게 함으로 창피한 사람은 이제

는 그녀가 아니고 화를 터트리고 몰상식한 행동을 하

는 동거하는 남자가 된다). 그래서 우리는 그녀와 이

남자 사이에 존재하는 어떤 끈(tie)을 볼 수 있다. 그

녀에게 그는 필요한 사람이었다. 그는 그녀의 수치스

런 자화상과 사납고 가학적인 자신을 가져가 버리는

운반자 역할을 하고 있었다. 그래서 그녀에게는 그가

필요했고 그에게는 그녀가 필요했습니다. 흥미 있는

것은 전 남편과의 이혼 이유이다. 전 남편은 말이 없

고 반응도 없고, 무덤덤하고 재미없는 사람이었기 때

문에 헤어졌다고 했다. 추측건데 전남편은 그녀의 도

발에 반응을 해주지 안했던 것 같다.

(4)

이 무 석

45

정신분석을 통해서 이해된 것은 다음과 같다. T 부인의 내

적인 대상관계는, 한편으로는 내적인 대상(internal object) 에게 창피를 주고 모욕을 주는 관계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그 대상으로부터 창피와 모욕을 당하는 그런 관계를 번갈아 가며 갖는 것이었다. 그녀로부터 비난 받는 대상들은 그녀 의 수치심을 가져가는 운반자였다. 그녀의 내면 세계는, 그 녀가 비난하는 대상(남편)과 그녀에게 수치심을 주는 대상 (쌍둥이 여동생)을 무의식에서 동일화함으로 어느 정도 마 음의 평안을 유지하였다. 물론 그녀가 경험한 모욕감에는 자학 요소도 있었다. 동시에 그녀는 타인들에게 가학적이 되기도 하였다. 예컨대, 갈 수 없는 날짜의 극장표를 샀을 때는 피할 수없이 그녀가 같이 가자고 초청한 사람에게 실 망을 안겨 줄 것이며 자신에게도 실망을 줄 것이다(*이런 식으로 자신과 타인에게 가학적이다). 같은 기전을 직장의 대 인관계에서도 볼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분석 작업은 대부 분 병적인 내적 대상관계(pathological internal object rel- ations)의 외형화(externalise;마음속에 만들어진 인간관 계, 예컨대 여동생과의 관계를 현재의 어떤 인물과의 관계, 예컨대 동거남과의 관계로 바꾸어 놓는 것)에 모아졌다. 이 런 내적 대상관계가 마침내 치료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 게 되었다.

결 론

Arlow(1980)는 대인관계에서 상대에게 공격적이 되거 나 사랑하게 되는 것은 실제 인물이 문제가 아니고 그 인물

에 대한 주관적 이미지(mental representation)가 지배적 인 영향을 미친다고 했다. 우리는 사람을 만날 때 실제 인물 과 만난다고 생각하지만 심리적 현실(psychological reality) 을 드려다 보면 실은 내 안에 만들어진 그의 이미지와 만 나고 있는 것이다. 그것도 내 무의식적 환상에 의해서 왜곡 된 이미지일 경우가 많다. 여기에 착안한 정신분석의 이론 이 대상관계이론이다. 저자는 대상관계이론의 중요 개념들, 즉 내재화, 내적 대상 표상, 내적 대상관계, 외형화, 전이에 대해서 임상 예를 들어 설명했다. 프로이트가 대상관계를 무 시했다는 오해를 풀어주기 위해서 두개의 논문, 즉‘자기애’

와‘애도와 우울’을 소개했다. 이들 논문에서 프로이트는 내적 대상관계에 대한 통찰을 이미 보여 주었다.

References

이무석. 정신분석에로의 초대. 서울: 이유;2003. p.106-110.

Arlow JA. Object concept and object choice. Psychoanalytic Quar- terly 1980;59:109-133.

Buckley P. Introduction. Essential Papers on Object Relations.

New York: Univ. Press;1986. p.11-25.

Freud S. On Narcissism SE 7. London: Hogarth Press;1914.

Freud S. Mourning and Melancholia SE 14. London: Hogarth Press;1917.

Lee BW. What is object relations? J Korean Psychoanalytic Soci- ety 2005;16:194-201.

Yu BH. A review of the development of object relations theories.

J Korean Psychoanalytic Society 1998;9:93-106.

ABSTRACT

What is the Object Relations?

Moo-Suk Lee, M.D., Ph.D.

Arlow J(1980) insist that the mental representations are the fundamental reason of the human reaction to the others when they love or hate him/her. In fact, one meet one’s own representation of other when he meet other. It is the psychological reality. Furthermore, the representations of other are frequently distorted by unconscious fatasies.

The psychoanalytical theory which discribe such aspect of human interaction is the object relations.

The author reviewed the core concepts of the object relations theory such as introjection, internal object representation, internal object relations, externalisation and transference in regard to the clinical illustrations. The author also introduce Freud’s papers of ‘Narcissism’ and ‘Mourning and Melancholia’ which discribed the insight of internal object relations prior to the other papers of British theorists of object relations.

KEY WORDS:Object relations·Object representation·Self representation.

참조

관련 문서

title author publisher pub_branch keyword Compilers Smith McGraw-Hill New York parsing Compilers Jones McGraw-Hil New York parsing Compilers Smith McGraw-Hill New

For Executive Committee: President, President-Elect, Secretary General, Treasurer, Chairperson of External Relations, Chairperson of Internal Relations, Chairperson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occurs when a foreign object lodges in the throat, blocking the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aSystem design performs many design tasks at different levels of abstraction.. `Requirements, Specifications, Architecture, Coding,

가속도의 법칙: The acceleration of an object as produced by a net force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magnitude of the net forc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net force

The Acquisition of French Subject, Direct Object and Genitive Restrictive Relative Clauses by Second Language Learners.. Processing relative clauses

Indirect costs of a cost object are related to the particular cost object but cannot be traced to it in an economically feasible (cost-effective) way.. For example,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