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응급의료센터의 공간구성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최 성 봉* 김 광 문**

Choi

,

Sung-Bong Kim

,

Kwang-Moon

Abst ract

The patient characters in medical emergency facilities is in emergent situation and very wide medical area. 80,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is facilities should be more efficient than general medical ones. For this reason, patient who visit medical emergency center should be triaged by each property of patient. And then the clinical space is to be composed in response to flow of each patient group that triag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method of the spatial composition and architectural details of medical emergency center

키워드

:

웅급의료센터, 진료공간 구성, 환자분류, 응급환자 대기, 출입구 분리

1.

를응 ‘-

1. 1

연구의 배경 목적

최근 들어 응급의료체계법의 시행과 교통사고 의 증가 및 대형사고의 발생으로 인해 웅급의료 의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응급환자정보센 터의 총 접수 건수는 1996년 562,068건에서 1997년 602,028건으로 증가하였고, 웅급의료센 터도 1995년 3277>> 소의 6,300병상에서 1997년 에는 350개소의 6 ,750병상으로 증가하여 집중적 인 관심을 모으고 있는 실정이다 1)

본 연구는 웅급의료시설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효과적인 웅급의료센터의 운 영을 위한 건축계획적 결과를제공하는데 그 목

*

정회윈,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석사과정

** 명예회장, 한양대 건축공화부 교수, 공학박사

적을 두고 있다

1.2

면구범위 및 방법

본 연구의 진행을 위해 응급병상 50병상 이싱 의 국내 웅급의료센터 5개소를 대상으로 인터뷰 조사와 도변조사 및 동선추적조사를 시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구성원리를 찾아내어 웅급의료센터 의 부문별 공간구성 및 그에 따른 소요실에 관한 건축계획적인 결과를 결론으로 도출하였다.

2. 응급의료시설의 종류와 문제점

2.1 응급의료시설의 종류 및 특성

우리 나라에서 응급의료를 담당하고 있는 전문 시설은 웅급의료지정병원, 응급의료센터, 권역벨 웅급의료센터의 3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이중 권역별 웅급의료센터의 경우는 지역의료

韓國혐짧f필폐止施設學會詩、 第 5 卷 第 8 號 1999年 6 月 63

(2)

의 개념에서 설립되는 지역의 중심기관이다. 이 시설들은 규모나 역할이 서로 다르지만 웅급의료 기관의 일반기준과 개별기준을 만족시켜야 한다.

2.2

응급의료시설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최근 웅급환자의 급증으로 중증환자에 대한 응 급처치의 지연, 대기시간의 증가, 웅급처치 질의 하락 그리고 전반적인 시설내의 혼잡함이 웅급의 료시설을 운영하는데 있어 가장 큰 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2) 이러한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 내원 환자의

50%3)

이상을 차지하는 경증 환자의 치료가 가장 큰 원인으로 이들을 환자분 류를 통해 중증환자와 경증환자를 분리하여 치료 하는 것이 하나의 해결방안이라 할 수 있다.

2.3

환자분류

(triage)

웅급환자가 응급의료시설에 내원 하면 각 시설 에서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집중적인 치료를 제 공하기 위해 종류에 따라 환자들을 분류하여 입 실시킨다.

분류기준으로는 중증도별 분류, 연령 별 분류의 2가지 기준이 있다 연령별 분류는 성인환자와 소아환자로 분류하며, 중증도 분류 체계는 교 통정리형, 순간점검형, 종합형의 3가지 형태로

<표 1> 과 같이 정의되었다. 이를 살펴보면 교

표 1. 중증도 분류 체계')

Hr

교통정리형 순간점검형 종합형 분류자 비전문직 간호사/의사 간호사 환자 사정 환자의 제한된 주관적 완전한사정,

사정 기준

7 ;ζ→」→;ι「그 λ;

객관적 호소 활력증상측정,

분류 응급/

긴급/웅급/지연 긴급/응급/준응

?;-τX二s:. 형식 비응급 급/비웅급

낀i:3rT E즈「

간호

없음 없음 0λA1Et]L

진단

대기실, 치료 치료실설치 실, 중증도 분 계획된 사정 진료 대기실/

류실에서 치료 을 행하는 분 치료 치료실

와퇴원 가능

π 근 λg1

계획 ,진단절차없음 ·지침에 의한 진단 증상 일관성

이과U서 。 。8λ}으n

일관적임 기록 없음

평가 없음 일관성 없음 일관적임 체계

통정리형은 중증도 분류를 응급과 비응급의 2가 지로, 순간점검형은 긴급, 응급, 지연으로 분류하 고 있다. 이중 종합형이 가장 발전된 체계로 환 자사정은 특별히 훈련된 간호사에 의해 실시되 고, 환자의 중증도는 긴급, 웅급, 준응급, 비응급 의 4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3. 조사대상 센터의 개요 및 운영현황

3.1

조사대상 시설 개요

A , B , C 센터는 도면조사와 인터뷰 조사 및 동 선 추적조사를 실시하였고, D 센터는 도면과 인터 뷰 조사, 국내의 권역별 응급의료센터는 아직 개 원한 곳이 없기 때문에

E

권역별 센터는 도면조 사만을 사행하였다.

<표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센터의 응급 병상수는

E

권역별 센터를 제외하면 50~60병상 이내의 시설이다.

3.2

조사대상 시설의 운영현황

3.2.1

인력구성

<표 3> 에서 구분 각 센터의 웅급의학 전문의 와 전공익수는 A 센터가 13명, B 센터가 10명

C

센터가 8명이며, 의사 합계를 보면 A 센터가

33

명으로 까장 많고, B 센터가 32명, C센터가 17명 임을 알수 있다.

간호사의 수는 A 센터가 42명으로 가장 많고

표 2 조사대상센터의 시설개요

본윈

으。그닙

센터면적 조사내용 τ 。t:-Oð

구분

벼。사 。/

TL

벼。사

사용층

(m사 도변인터동선

π 。쳐ci

위치

T

까『

조사 뷰 조사

A 센터 1.

550 54

1 층

919.38 O O O

혼합형 서울

B 센터

2

,1

62 56

1 층

885.76 O O O

혼합형 서울

C센터

90E, 905

1층

1,505.94 O O O

혼합형 경기도

D센터

82E, 52

1층

1,07

1.

50 O O -

혼합형 인천

E 권

401)

지하

역별

93::: 33')

1 층~

18,106

.4

9 O

도「 E 티1 혀 대전

센터

1323)

4층

주)

:

1) 핀찰병상이 없으므로 응급처치병상만 겨]산한 수 2) 증환자 병상수

3) 웅급의료센터 전용 임원병상수

64

韓國離福f職學會誌

(3)

표 3 조사대상 응급의료샌터별 인력현황

파견 의사

간호 간 합호계사 웅급

구분 전문의 전공의 레지 인턴 간호사

조무사 벼。사 ðT

더 s 합계

A 센터

4 9 8 12 42

다2

33 54

B 센터

4 6 10 12 32 38 13

r--

56

38

C 센터

3 5 0 7 15 32 7

뎌2

56

D 센터

3 3 0 0 25 10

r--

6 52 25

주) : E 권역별 센터는 미개원으로 항목에서 제외

B 센터가 38명, C센터가 32명으로 가장 적은 것 으로 조사되었다. 결과적으로 C센터의 의료인력 수가 다른 센터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매우 작 음을 알 수 있다.

3.2.2

환자현황

1) 연간 내원 환자수

조사대상 센터별 연간 내원환자 규모를 살펴보 면 <표 4> 와 같다.

최근 3년간의 환자 추이를 보면

A, B,

C센터 에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D 센터의 경우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다.

2) 조사 당일 내원환자 구성

<표 5> 를 보면 조사당일 3센터에는 각각

A

센터 65명, B 센터 65명, C센터 57명의 환자가 내원 하였다.

이중 성인환자는 A 센터와 C센터가 각각 49명 과 43명으로 전체 내원 환자의 75 .4%를 차지하 였고, B 센터는 53명으로 8 1. 5%의 비율을 보여

표 4 조사대상 센터벌 연간 내원 환자수

二’l 닝 ι-

1995 1996 1997 버。사

전체

。 -/L

버。샤 응급 。 -2「-

A 센터

27,819 30.651 1,550 54

B 센터

42,222 53,553 56.819 2.141 56

C센터

34,339 38,313 57.086 905 56

D 센터

38,175 38,962 38,519 825 50

주)

F 권역변 센터논 u1 개원으로 인해 항목에서 제외

응급의료센터의 공간구성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표 5 내원환자 구성 현황

구푼 A 센터 B 센터 C 센터 환자수 병상수 환자수 벼。사 ðT 환자수 병상

’:

전체 내원환자

65 54 65 56 57 56 (100)

(1

00)

(1

00)

(1

00)

(1

00)

(1

00

성인

49 44 53 49 43 10

연령 환자

(75

.4)

(8

1.

5) (8

1.

5) (87.5) (75

.4)

(82

.1

τ닙~T 근「 소아

12 10 10 7

11

10

환자 (1

8.5)

(1

8.5)

(1

5

.4) (1

2.5) 09.3)

(1

7.';;

èl1 응급

54(83

.1%)

32(49.2%) 41

(71.

9%)

환자

중증도 용급 긴닝~T 근「 환자

6(9.2%) 31 (47.7%) 13(22.8%)

도착전 사망

1(

1.

6%) 0 0

불명환자

4(6

.1%)

2 (3

.1%)

3(5.3%)

주) : E 권역별 센터는 미개원으로 항목에서 제외

A , C센터보다 다소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소 아환자는

A, B,

C 센터 각각

18.5%, 15.4%,

19.3%로 나타나 전반적으로는

15-20%

정도로 조사되였다(그림 1).

70 70

ffi ffi DA벙g 응급센터

60

I n I쨌 π

짧鍵 8영원응급센터

I

60 .0병원옹긍샌이

50 ~ 5c

440

11 1.

40

30 30

20 20

10

n.:..

10

전서판지 싱인판지 소이흰지 비용급한자 응급흰지 도최전 시앙 불명한지

그림 1 센터별 내원환자 구성

3.2.3

내원환자 평균 대기시간

<표 6> 에서 내원 환자의 평균대기 시간을 비 교할 때 A 센터는 나머지 두 센터보다 매우 긴 대기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B,

C 센터에서는 fast-track 을 운영하여 응급환자와 비응급환자를 분리해서 두 구분 그룹의 처치공간을 분리하고 있는 반면 A 센 터는 -응급환자와 비웅급환자의 분리 없이 모 두 같뜬 공간에서 처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 로 파악된다

韓國醫濟福피止施設學會誌 第

5

卷 第

8

1999年 6月 65

(4)

6

내원환자 평균 대기시간

(단위 분)

구 분 A 센터 B 센터 C 센터 전체 내원환자 36.2(65 명) 5.8(65 명) 4.3(57 명)

비응급환자 77.6(54명) 9.0(32 명) 응급환자 22.2(6맹)

5.4

(3 1 명) 소아환자 1

) 8.8

(1 2명)

3.1

(1 0병)

웅급병상수

54 56

주 ) : 1) 소아환자는 모두 포함하여 산정 하였음 ( )안 항복연 내원환자수

3. 3

동선조사

3. 3. 1

환자동선

9.8 (41 명) 0(13 명) 3(11 명)

56

환자의

동선은 <그림

2> 와

같이

조사대상

에서 환자분류를 시 행 하여 fast-track을 이 용 하는 환자와

웅급처치병상을

이용하는 환자로 구 분할 수 있다 두 그룹의 환자는 처치병상 및

fast-track의 진료공간에서 검사공간

사이를

직이고 있다. 이는 센터 내부의 가장 큰 흐름으 로 운영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그림 2. 환자의 치료동선

3.3.2

간호사동선

간호사의 업무는

간호대기실을

중심으로

이루어

진다

응급처치병상에서의

작업은

환자의

활력측정

간단한

처치 및 채혈 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간 호대기실에서의

업무는 환자관찰, 겁체운반, 환자

기록

작성 퉁이며, 이중 가장

두드러지는 작업은 환자관찰이 (그림 3) .

3.3.3 의사동선

의사의 업무

역시

간호사와 마찬가지로

응급처치 병상과 간호대기실을

왕복하며 행해지고

있다(그

4).

그림 3 간호사의 작업동선

! 、 曉t-렘 〈응급;;:1 ;;:1병상〉 편콸웰|

;學j」- 찌짧필 찌- 때

〈간호대기실〉

그림 4 의사의 작업동선

3.4

환자분류 현황

<표

7> 에서

중증도

분류는 모든 센터에서

급과

비웅급의 2종류로

분류하고 있다

연령분류는

A

,

B

,

C 센터에서 성인과 소아로 분 류하고 았다.

3.5 조사센터의

부문구성과 이용현황

3.5.1

진료부문

1)

초진구역

각 센터의

초진구역 구성을

보면 환자

분류실 의 운영윤 A , B ,

C 센터에서

운영하고 있으나 A

센터는 단순히 환자의 분류를

위한 분류실만을 운영하고 있고, B C 센터는

비응급환자

치료실까

지 운영하고 있어

응급환자와

비웅급환자를 분리 하고 있다

2)

비장급환자구역

비웅급환자구역을

운영하고 있는 B

,

C센터를 살

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 7. 조사대사 시설별 환자분류 현황 구 분 A 센터 B 센터 C센터 D 센터

중증도 응급/비웅

웅급/비용

웅급/ 비용 용급/비웅 급/소생 급/소생 급/소생 급/소생

분류 내과/외과 내과/외과

종류 진료파 산부인과

/산부인과 /산부인과 없음 연령 성인/소아 성인/소아 성인/소아 없음 주)

R 권역별 센터 는 미개원 P 로 조사대 상에서 제외

66 韓國醫쩨빠h없設學會誌 第

(5)

<그림 5> 는 B 센터 fast-track의 환자 동션을 나타내고 있다 @과 @는 환자가 센터 내부로 들 어오는 동선으로 CD은 응급환자가 @는 보행환자가 fast-track으로 들어오는 동션을 나타낸다.

las!-track

그림 5. B 센터

fast -rack

이용환자 동선

@번은 의사의 진찰을 받은 비응급환자들이 치료 받는 동선으로 이곳에 비응급환자의 응급처치를 위 해 3개의 병상을 운영하고 있다

@,@,@번은 의사의 진찰을 받은 후 검사를 하 기 위해 움직이는 환자들의 동선이다 @번은

X-

ray촬영 동션으로 촬영실과 수술실 사이의 공간은 촬영대기 환자와 수술실 맞은편 부출입구 통행자 등으로 매우 혼잡한 곳이다 따라서 X-ray촬영자 의 대기공간의 마련이 필요하다.@번은 초음파 검 사 환자의 동선,@번 동선은 CT ,

MRI

촬영자의 동선으로 센터 외부에 있는 촬영실로 이몽하여 촬 영한다.

<그림 6> 은 C센터의 fast-track에서의 환자 움 직임을 보여주고 있다.@번은 응급환자 출입동선 으로 B 센터의 경우와 같이 바로 응급환자 구역으 로 들어가고,@번은 보행환자가 분류실로 이동하 여 간호사의 문진을 받는 동선이다. 역시 내원 첫 단계에서는 응급/비응급환자의 분리가 이루어지나

@번 동선의 비응급환자 검사동선과 @번의 응급환 자 동선이 합쳐진다

환자가 분류실에 들어오면 분류 간호사는 문진,

혈압측정 등을 통해 환자의 중증도를 판단하고, 판 단결과에 따라 비응급환자는 CD,@,@의 동선에 따 라 치료실이나 진료실에서 의사에게 펼요한 처치를 받는다.

X-ray

촬영이 필요한 경우는 @번 동선을 따라 보

조사의 도움을 받아 촬영실로 이동한다 이 경우 홀 을 가로질러 외과계 응급환자구역을 관통하기 때문 에 이 구역의 복도는 통과교통의 역할을 하게되어 매우 혼잡하고 진료동션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응급의료센터의 공간구성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그림

6.

C센터

fast -track

이용환자 동선

3)

응급환자구역

조사대상 센터 모두 <그림 7> 의 C 센터와 같 이 의료진의 시각과 직각방향으로 병상을 배치하 고 있다.

a거리에 있는 @과 @병상은 간호대기설과 가 장 가깝기 때문에 환자관찰 및 모니터 관찰이 가 장 좋은 위치이다. 그러나 b거리에 있는 @과

@

병 상판 CD,@병 상에 시 야가 차단되 어 관찰이 어 렵다. 이러한 현상은

c

, d거리로 멀어질수록 더 심화된다 A 구역에서 관찰이 가능한 위치의 병 상은 @병상 뿐이지만 거리가 너무 멀어서 이 또 한 쉽지 않다.

E그 E그 C그

간호대기

b

”드그 I d

λ 구역 구역

• 오니터

-f

의효진 ,1.,1'삭

그림 7. C센터의 환자 및 모니터 관찰

4)

판찰구역

<표 8> 을 보면 D 센터 관찰병상의 비율이 가장

높아 GO.O%를 보이고 있다. 반면 E권역별 센터는

상층부에 독자적으로 ,환자의 엽원용으로 132뱅상

과 33병상의 중환자 병상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韓國醫擔福社施設學會誌 第

5

卷 第

8

號 1999年 6 月 67

(6)

센터 내에 관찰 병상을 두지 않고 있다. 결과적으 로 입원병상의 의존도가 높을수록 관찰병상의 비율 이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표 8 센터별 관찰병상수

구분 권역별

6)

소아환자구역

조사대상 센터의 내원환자 중 소아환자의 비율은

평균

21.4%

차지하고 있으며, C 센터는 처치실을

운영하고 있고, A , B 센터는 처치대를 설치하고 있 다 처치대만을 설치하는 것은 치료과정을 청각 및 시각적으로 차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른 환자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3.5.2

진단 검사 부문

조사대상 센터 대부분이

X-ray

촬영실 접한 위 치에 설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환자들이 촬영을 위 해 이동할 경우 센터 내부를 관통하는 동선이 생기 기 때문에 웅급환자 구역 내부의 정체성이 손상되 고 있다‘ 특히, B 센터는 내부에

X-ray

촬영실을 두고 있지만 센터구석에 설치하여 내부로의 통과동 선이 발생하고 있다.

3.5.3

공공부문

각 센터의 보호자 대기실은 공간 및 대기의자의 부족으로 혼잡한 경향을 띄고 있다 이 공간은 환 자가 진료구역에서 웅급처치를 받는 동안 보호자나 문병객이 대기하는 곳이나 앉아서 대기하기 어려운 환자들은 여러 개의 의자를 붙여서 누워있는 상황 이 발생하고 있기 때 문에 일반 문병객들은 서서 대 기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4. 공간구성 원리

4.1

응급의료센터의 공간구성 원리

4. 1. 1

건축적 공간분류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센터 내의 혼잡도를 줄이 기 위해 중증도별, 연령별 환자분류를 시행하고,

공간적으로는 진료구역이 분류별 환자의 흐름과

68 韓냉醫濟빼11:施設J휴會誌 第

5

卷 영J↑ JL1999年 6月

동일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진료공간의 공간적 분류는 건축적인 중증도 분 류라고 볼 수 있는데 이는 환자의 중증도에 따라

<그림 8> 과 같이 진료구역을 소생구역, 응급환 자구역, 비웅급환자구역으로 그룹화 하여 분류해 야한다.

많팩3

환자분류

<screening)

L셰얻흰자

랜팩표고

딛웰]

싱띠 1 소생슐 시앵흰자 응급환자

그템

8

환자분류와 분류별 진료공간

4. 1. 2

출입구의 분리

환자의 분류별 진료부문 구성 은 환자가 처음 내원 하는 장소인 출입구에서부터 시작되어 구급 차량을 이용하는 환자가 이용하는 응급출입구와 보행환자 및 방문객 등이 이용하는 일반출입구로 분리하여 두 그룹의 동선이 합쳐지거나 교차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는 센터 전체의 건축적 중 증도 분류 구성이 완전하게 하기 위한 전제조건 으로 응급출입구를 이용하는 환자에 대해서는 신속한 치료가 시행되도록 웅급출입구를 응급 처치구역과 연결시켜 즉각적인 치료가 시행되 도록 하고, 일반출 입구를 이용하는 환자는 의 료진에게 환자분류를 받고, 접수를 하도록 계 획한다(그립

9).

4. 1. 3

의료행위의 연속성

간호사 및 의사의 동선조사에서 응급환자구역

에서 의료진의 작업중 웅급처치병상과 간호대기

실 사이의 공간 이동이 가장 많았다 따라서 진

료행위 과정에서 문병객의 동선이나 진료와 관계

없는 서비스 동선은 주 진료동선과는 분리되 어야

하며, 진료공간 내에 해당 진료와 관계없는 장비

로 인해 움직임에 방해가 없도록 해야 한다.

(7)

영안출입구

비응급환자

응급환지

그림 9 출입구 분리

4. 1.4

환자 관찰 및 프라이버시

동선조사에서도 의사와 간호사의 간호대기실에 서의 주된 업무가 환자관찰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진료구역은 의료진의 관찰이 항상 가능하 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그러나 환자의 상병에 따 라 환자의 모습이 다른 환자에게 보여질 경우 프 라이버시를 침해당할 수도 있기 때문에 환자 상 호간에는 시야를 차단하여 환자의 프라이버시를 유지 하도록 한다 (그림

10)

흰지싱호긴시이차딘

떨 →

• •

간호대기실

융급처치법상

그림

10

의료진의 환자관찰과 환자상호간 시야 차단

5.

료; ‘-

이와 같은 연구의 진행에 따라 다음과 같이 결 론을 도출하였 다.

1)

웅급의료 센터에 내원하는 환자는 중증도별,

연령별 분류를 시행하여 각 환자의 특성 에 맞는 진료공간을 구성하도록 한다

2)

환자분류에 따라 초진구역, 비응급환자구

응급의료센터의 공간구성에 관한 건축계획석 연구

역,소생구역,응급환자구역,소아구역,관찰구역 의 6개 구역으로 진료구역을 설정하여 각 분류-별 환자의 전용 치료공간을 마련하여 비응급환자의 동선활 웅급환자의 동선과 분리해야 한다,

3)

비웅급환자구역에는 fast-track올 운엠하 고, 긴호대기실, 진료실,

처치실을

설치하여

비웅

급환자는 이 구역에서 진단 및 처치를 시행하여 귀가시킴으로서 웅급환자구역의 혼잡도를 줄일 수있다.

4) 웅급환자구역에서는 의료진의 환자관찰이 한 눈에 이루어지도록 의료진의 관찰 방향과 병 상이 통일하도록 배치한다. 또한 간호대기 실 과 처치병상 사이의 공간은 의료진의 작업똥선 에 방 해가 없는 구조로 해야한다

5) 진단·검사부문에는

최소한 가장 이용빈도

가 높은

X-ray

촬영실과 응급검사실을 운영하여 웅급환자구역과

비응급환자구역에서의

접근이 용 이한 위치에 배치한다. 이때 비응급환자의 검사 동선이 웅급환자구역을 통과하지 않도록 한다.

<註>

1)

보건복지통계연 보, 보건복지부, 1997

2)

최희강 : 웅급실환자 중증도 분류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대, p.2 , 1997

3) 응급의료체계의 장기적인 발전방향 보건 사회

부‘ p32

,

1993

4)

최희강 : 웅급실 환자 중증도 분류 도구 개발

관한 연구,

서울대,

1997

참고문헌

1.

박윤형

:

웅급의료정책과 웅급의료에 관한 법 률, 군자출판사, 1998

2

우래 나라 응급의료체계의 발전방향, 보건복 지 부 http://www.mohw.go.kr/databank/

s6el.html,

1998

3.

한꼭병원건축학회, 삼성 서울병원 공간이용 평까에 관한 연구, 강북 삼성병원 1995

4. Leonard M. Riggs Jr. : Emergency Depar tment Design, American College of Emerge

슐國짧f향福n此施設행웰誌 ~ 5 卷 第

8

號 1 999年 6n 69

(8)

ncy Physician, 1993

5. Richard L. Miller, Earl S. Swensson : New Direction Hospital and Medical Facilities, AIA, 1984

6.

박순션

:

일부 종합병원의 의료전달체계확립 전후의 웅급실이용에 관한 비교연구, 충남대,

1997

7.

이특구

:

구급의료시설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 구, 한양대

,

박사학위 논문,

1987

8.

김태현

:

지역사회를 위한 웅급전문병원의 계 획과 설계방안, 아주대, 석사학위논문,

1994

70 韓國醫擔做施設學會誌

수치

표  6  내원환자 평균 대기시간  (단위  분)  구  분  A 센터  B 센터  C 센터  전체  내원환자  36.2(65 명)  5.8(65 명)  4.3(57 명)  비응급환자  77.6(54명)  9.0(32 명)  응급환자  22.2(6맹)  5.4  (3 1 명)  소아환자 1 )  8.8  (1 2명)  3.1  (1 0병)  웅급병상수  54  56  주 )  :  1)  소아환자는  모두  포함하여  산정  하였음  (  )안 은  항복

참조

관련 문서

Therefore, this study speculated on block building toys that can enhance spatial sense in infant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sociability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levels of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medical institution workers regarding COVID-19, and to provide the database for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mployment education program implemented by the Gwangju Education Office Employment Suppor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o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tate of first aid education completion, knowledge level and abiliti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ncepts of wayfinding and choice architecture in the information book and to find a connection for the proper provision

Objective :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performance of hand washing in daily life for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students.. Methods : The study subjec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educational value of modern early childhood learners' emotional cultivation and to present a method of ar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after 12 weeks of practice with middle-aged women cent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