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옻 복용 후 발생한 스티븐슨 존슨 증후군 1예 좋은강안병원 내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옻 복용 후 발생한 스티븐슨 존슨 증후군 1예 좋은강안병원 내과"

Copied!
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S 363 -

■ S-601 ■

옻 복용 후 발생한 스티븐슨 존슨 증후군 1예

좋은강안병원 내과

*김민성, 이용규, 이창석, 박정민, 윤택수, 윤상석, 강동윤, 김도영, 김철영, 임영배

서론: 스티븐스 존슨 증후군과 중독성 표피괴사 융해증은 생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수 있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대부분 약물이나 감염 등에 의해 유발되며, 급성의 심한 괴사성 피부병변과 함께 한 군데 이상의 점막(구강, 결막, 외음부) 병변을 수반하는 질환이다. 두 질환 은 근본적으로 같은 질환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두 질환을 정량적으로 구분하여 체표면의 10% 이하를 침범한 경우는 스티븐스 존슨 증후군, 30% 이상을 침범한 경우는 중독성 표피괴사 융해증, 10~30%를 침범한 경우는 두 질환의 중첩으로 정하여 분류한다.과거의 문헌들에는 의하면 100가지 이상의 약물이 스티븐스 존슨 증후군이나 중독성 표피괴사 융해증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으나 음식물 로 섭취한 후 발생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옻의 복용 후에 발생한 증례는 극히 드물다. 저자들은 옻 복용 후 전신 홍반성 발진 및 수포, 점막 미란으로 내원하여 스티븐스 존슨 증후군 및 중독성 표피괴사 융해증을 진단하고, 스테로이드 및 예방적 항생제를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한 1예가 있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증례: 48세 남자 환자가 옻닭을 먹은 후 약 24시간 이후부터 하지부터 다수의 홍반성 구진이 생기면서 복부, 상지로 번지는 전신 발적과 수포가 생겨 전신 홍반성 발진, 수포 및 점막 미란 등의 피부 증상과 심한 탈수 소견을 주소로 인근 병원에서 수액 치료를 하는 상태에서 본원 내과로 전원 되었다. 과거력 및 가족력상 특이소견은 없었 으며, 진찰 소견상 급성 병색에 생체 활력 징후는 정상이 었으나 전신쇠약감 호소하였으며, 피부 병변은 양측 하지에 가피와 수포가 혼재되 어 있었으며 전신에 홍반성 반점 구진상 피부발진과 수포, 구강 점막 탈락 소견이 관찰되었으나 급성 염증을 일으킬만한 감염의 소견은 없 었다. 검사실 소견을 보면 혈액검사 상 WBC 17800/mL (Seg 85%), ESR/CRP 35/16.97 mg/dL, BUN/Cr 65.4/4.3 mg/dL으로 상승되었으며, 기타 배양검사에서 동정되는 결과는 없었으며, 흉부 방사선 및 심전도 검사는 모두 정상 소견을 보였다. 병력 청취 및 증상에서 스티븐스 존슨 증후군과 그에 동반된 급성 콩팥 기능 상실로 진단내렸으며, 이에 메칠프레드니솔론 125 mg 1일 2회 정주 시행하고, 2차 감염의 방지 를 위한 드레싱, 예방적 항생제 사용하였다. 수액 및 전해질, 영양 상태 교정 등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면서 경과 관찰 하였다. 치료 14일 후 피부 및 전신 증상 호전 되었으며, 혈액 검사에서 정상화 되어 옻 복용에 대한 주의 후 퇴원하였으며, 현재 외래 경과 관찰 중이다.

■ S-602 ■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ful adherence to follow-up among adult asthma patients: three year follow-up study from a tertiary hospital

1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Institute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Medical Research Center, 3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Woo-Jung Song1,2, Jae-Woo Jung1,2, Min-Hye Kim1,2, Jae-Woo Kwon1,2, Tae-Wan Kim1,2, Sae-Hoon Kim1,2,3, Hye-Ryun Kang1,2, Heung-Woo Park1,2, Yoon-Seok Chang1,2,3, Sang-Heon Cho1,2, Kyung-Up Min1,2, Yoo-Young Kim1,2

Background: Asthma is chronic inflammatory airway disorder which requires steady and long-term treatment. Nonadherence to medical treatment is a major problem in asthma as well as other chronic diseases. Despite all the effort to evalu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adherence, the major factor affecting adherence of asthmatics to their treatment are not clear. We aimed to investigate the patient factors associated with adherence to medical therapy after their diagnosis of asthma.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medical records of adult asthmatics who visited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2005 and March 2007. A total of 541 patients (mean age, 50.9 years; 232 males, 309 females) were newly diagnosed with asthma based on symptoms and methacholine bronchial responsiveness. Successful adherence was defined as maintenance of their outpatient follow-up at least 36 months. Asthmatics who dropped out from their outpatient follow up before 36 months were classified as nonadherence group. We evaluated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uccessful adherence by comparing characteristics between successful adherence group and nonadherence group. Results: The overall rates of adherence at 12 and 36 months were 49.5% (268/541) and 26.1% (141/541), respectively. Patients successfully followed up at 36 months were older (mean 56.4±16.7 vs. 49.0±17.9, p<0.001, 95% CI) and had lower initial FEV1 (% of predicted) (81.6±18.5 vs. 88.7±53.1, p=0.018, 95% CI) compared with patients who failed to poor adherence group. However, factors like gender, methacholine PC20, sputum eosinophil, sinusitis, or atopic status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uration of outpatient follow-up. Conclusion: The age and initial FEV1 before treatment of the asthmatics wer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adherence outcome at 36 months.

참조

관련 문서

University Ilsan Paik Hospital, Goyang, Korea 3 ,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Ajou University Hospital, Suwon, Korea 4 ,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Universit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1 , Kangbuk Samsung Hospital, Sungkyunkwan University

From the Departments of Urology and 1 Patholog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2 Department of Urology, Ajou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uwon,

2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Many institutions have already modified the WBRT field

1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2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Diseases Etiology Research Center, Yonsei

1 Alexandria University, Faculty of Medicine, Physiology department, Alexandria, Egypt; 2 Alexandria University, Faculty of Medicine, Alexandria clinical research

1 Department of Pediatrics,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Center,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2

Medicine, Seoul; 3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Korea University Ansan Hospital,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san;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