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Body Composition of Korean Adult Men and Runner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Body Composition of Korean Adult Men and Runners"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한국 성인과 육상선수간의 체구성에 관한 비교 연구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김형태․최봉근․윤태영․최중명․유동준․박순영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Body Composition of Korean Adult Men and Runners

Hyung Tae Kim, Bong-Keun Choe, Tai-Young Yoon, Joong-Myung Choi, Dong-Joon Lew, Soon-Young Par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ABSTRACT

This study was done for the purpose of determining body composition of Korean national athletic runners. In order to determine the body composition, 20 runners were randomly selected and their body compositions were obtained by using of DEXA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and Bioelectrical Impedance Fatness Analyzer. Beyond that physique, namely, body height, body weight, chest girth and sitting height were measured. In addition to various physical indexes, body fat rate of body composition of each body region, body composition rate according to body region, bone mineral content of each body region, total bone calcium content and bone density, were analyz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was established. The conclusions obtained are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The average age was 21.6±1.7 (control group : 22.0±1.6, runner group : 20.8±1.7).

The physique and nutritional index of the subjects (control and runner group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standard value of Korean.

2. The body fat amount

By anthropometric method, the rate of body fat of control group were 18.2±2.5%, and 19.9±

1.7% respectively. By BIA method, the rate of body fat were 12.8±5.3% and 7.5±2.8%. While, by DEXA method, the rate of body fat 22.5±9.0% and 14.0±3.1%. The rate of body fat of runner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by two methods.

The three methods were reasonable for control group. The anthropometric and DEXA method were reasonable for runner group, but BIA method was not.

(2)

서 론

생리학적인 면에서 볼 때 표준체격 (標準體格)이란 건강상 가장 적당한 지방침착으로 이상적인 체중을 가 진 상태를 말하며, 이는 소위 "Desirable weight" 또는

"Ideal weight" 등으로 표현되고 있다[1].

일반적으로 성장발육과 건강의 정도를 평가하는 계 측치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신장, 체중, 흉위, 좌고, 체 표면적, 체밀도, 체용적, 체지방량 등이 있는데, 이 가 운데 신체 계측치인 신장, 체중, 흉위 및 좌고 등은 손 쉽게 직접 측정할 수가 있으나 다른 계측치는 직접 측 정이 불가능하거나 또한 측정이 가능하더라도 어려운 점이 있어, 지금까지 이들을 결정하는데 직접측정이 가능한 다른 계측치 들을 사용하여 간접적 수치로 추 정하여 비교하여 왔다. 특히 신체구성 요인 중 비만증 에 관계되는 체지방량과 골에 관계되는 요인, 즉 골밀 도, 골광물질함량, 총골칼슘량 등이 보건학적으로 중 요시되고 있으며, 성인병과 갱년기 이후의 골다공증 등의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로서 체구성 성분의 측정 이 보편화되어 최근에는 다양한 측정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한편 일반인과 운동선수간의 체구성 성분에 대한 연 구에서는 Nilsson 등[2]은 운동선수가 비운동선수에 비해 하지부의 말단에서 보다 큰 골밀도치를 보이며, 수영선수들에 비해 역도나 던지기 선수들에게서 보다

높은 골밀도치를 보이는 것을 보고하였다. 또한 비운 동선수중 활동적인 사람들이 비활동적인 사람들보다 골밀도치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운동선수들 중 지구력을 요하는 경우는 체지방량보다는 근력과 골 밀도가 높은 선수가 운동조건에 적응키 쉬운 선수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스포츠 활동을 위해서는 체구 성 성분의 파악 후, 적절한 지도를 함으로써 좋은 성적 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일본의 경우 이 분야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우리 나 라의 경우 이 분야의 연구가 일반인의 체구성에 관한 연구는 약간 있으나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하여 동시 에 체구성 측정방법으로 행해진 연구는 거의 없는 실 정이다.

본 연구는 성장이 거의 완료단계에 있는 건강한 일 반대학생과 운동선수 중 육상선수 (단거리 및 중장거 리 선수)를 대상으로 체구성에 관한 비교를 하고자 하 였으며, 체구성 성분 분석을위해 생체측정법, BIA법 (Bioelectrical Impedance Method) 및 DEXA법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Method)을 이용하여 측정방법별 체구성 성분을 산정함으로써 운동선수와 일반인간에 체구성 성분 측정법에 따른 비교 및 두 군 간이 체구성 성분 차이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3. Body composition rates according to body region

The fat-free tissue (73.2% and 81.7%) accounted for the most part of body composition of both groups, then the body fat (22.6% and 13.7%), and next bone mineral content (4.2% and 4.6%) in order.

4. Bone mineral contents

The total bone mineral contents were 2732.1±354.6 g (4.2%) and 3116.2±263.7 g (4.6%).

5. Bone mineral density (g/cm2

)

Bone mineral density of control group and runner group were 0.984±0.108g/cm2 and 1.066±

0.077 g/cm2 respectively.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Key Words: Body composition,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zer, Body Fat, Bone Mineral Content, Bone Mioneral Concentration

(3)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1997년 3월 1일부터 1998년 10월 31일까지 약 2년 간에 걸쳐서 일반대학생 35명과 우수 육상선수 (단거 리 및 중장거리) 20명의 총 55명을 임의 선정하였다.

2. 연구방법 1) 생체측정

연구대상자의 생체측정은 신장, 체중, 흉위, 좌고 등 이고, 측정상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동일인이 처음 부터 끝까지 측정하였다.

2) 생체측정에 의한 체지방량 (생체측정법) 생체측정치 중 신장과 체중을 이용하여 체지방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체표면적, 체용적, 체밀도 및 체지방 량을 다음에 제시하는 공식에 의하여 산출하였다.

① 신체표면적 (Body surface area, m

2

)

신체표면적 (Body surface area, m2)은 신장과 체중 을 이용하여 Du Bois의 공식을 이용하였다[3].

체표면적 : S = W0.425× H0.725× 71.84

② 신체용적 (Body volume, L)

신체용적 (Body volume, L)은 김기용[4] 공식에 의 하여 계산되었다.

신체용적 : V = S× (54.84×W÷H +14.04)

③ 신체밀도 (Body density, kg/L)

신체밀도(Body density, kg/L) = Body weight (kg)÷Body volume(L)

④ 체지방량 (Body fat weight, %)

체지방량은 Keys와 Brozek[5]의 공식에 의해 계산 되었다.

체지방률 (Body fat weight, %) = (4.750

D

- 4.142)×1 00

3) BIA법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zer method)에 의한 체지방량 측정

체지방 측정을 위하여 Bioelectrical Impedance Fatness Analyzer GIF-891 (길우상사)을 이용하여 측 정하였다.

4) DEXA법에 의한 체구성

골밀도의 측정은 DPX (Lunar사, USA)를 이용하였 으며, X-선을 에너지원으로 K-edge filter를 이용하여 40과 70Kev의 이중 energy로 측정하는 장치를 사용하 였다.

5) 측정자료의 처리

얻어진 수치는 SAS (Ver. 6.12)[5]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를 하였다

연구결과 1. 생체측정치

1) 체격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 일반대학생과 운동선수, 즉 육상단거리 및 중장거리 선수 등을 선정하여 체격을 측정한 성적은 (Table 1) 에서 보는 바와 같다.

평균연령은 일반인이 22.0±1.6세, 운동선수군이 20.8±1.8세로 각각 나타났으며, 평균 신장은 일반인 이 171.3±5.1 cm 로 Park[6]이 보고한 한국인의 표준 치와 거의 일치하고 있으나 운동선수군은 176.2±4.6 cm로 이보다 평균신장치가 월등히 우수하였다. 체중 의 경우는 일반인과 운동선수군의 경우 65.2±1.2 kg 과 67.8±3.5 kg으로서 역시 운동선수군이 우수하였고, 흉위의 경우 90.3±5.6 cm와 90.7±3.5 cm로 거의 같 았다. 그러나 좌고의 경우 90.9±2.9 cm 와 95.6±4.1 cm로 운동선수군이 월등히 우수하였다. 이는 신장이 운동선수군이 컸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2) 체격에 관한 각종체격 및 영양지수

비체중은 신장에 대한 체중의 비로, 발육상태를 판 정하는데 사용되는 지수이다. Table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38.0±2.7과 37.8±1.7으로 나타났고, 비흉위는 신장에 대한 흉위의 대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지수는 52.7±3.0과 51.5±2.5로 다같이 정상 흉위형에 속하 고 있다. 비좌고는 신장에 대한 좌고의 비로, 중추와 내장기관을 포함하는 부분이고, 이에 운동지주기관인 각부를 합친 신장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며, 지수는 53.1±1.0과 52.2±1.4로 각각 나타났다.

Röhrer 지수, Kaup 지수는 어느 것이나 Park[6]이 제시한 한국인 성인의 정상범위에 속하고 있다.

(4)

Vervaeck 영양지수는 체중과 흉위의 합을 신장으로 나눈 수치이며, 영양의 양부를 판정하는 뛰어난 지표 라 지목되고 있다. Pelidisi 영양지수는 체중의 10배의 입방근을 좌고로 나눈 수치로, 발육에 따른 변동이 거 의 없고, 좌고를 이용하여 영양상태를 판정하는 것이 특징이다. 100 정도가 이상적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95.4±3.6과 91.5±4.1로 100 이하였다. 종래의 보고 에 의한 한국인의 평균은 95였으며[7], 영양상태는 양 호하다고 판단된다.

체질량지수 (BMI)의 정상치 범위[8]는 남자가 20∼

25, 여자가 19∼24 사이인데 본 성적은 공히 이에 속 하고 있다.

2. 생체측정치에 의한 체지방량 및 체지방률 생체측정치 중 신장과 체중을 이용하여 체지방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체표면적, 체용적 및 체밀도를 다음 에 제시하는 식에 의하여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Table 2에 나타내었다.

Table 1. The Mean Values of Physique and Nutritional Indices

Control Runner

No. of exam. 35 20

Age 22.0±1.6* 20.8±1.8

Body height (cm) 171.3±5.1 176.2±4.6

Body weight (kg) 65.2±7.0 67.8±3.5

Chest-girth (cm) 90.3±5.6 90.7±3.5

Sitting height (cm) 90.9±2.9 95.6±4.1

Relative body weight 38.0±2.7 37.8±1.7

Relative chest-girth 52.7±3.0 51.5±2.5

Relative sitting height 53.1±1.0 54.2±1.4

Rohrer index 1.3±0.1 1.2±0.1

Kaup index 2.2±0.2 2.2±0.1

Vervaeck index 90.7±6.1 89.3±3.8

Pelidisi index 95.4±3.6 91.5±4.1

Body mass index 22.2±2.1 21.5±1.2

* mean±standard deviation

Table 2. The Mean Values of Body Surface Area, Body Volume, Body Density and Body Fat

Control Runner

Body surface area(m2) 1.76±0.12 1.82±0.06

Body volume(L) 61.70±6.69 63.37±3.54

Body density (kg/L) 1.06±0.01 1.05±0.01

Body fat (kg) 11.88±0.17 13.29±1.14

Body fat (%) 18.23±2.35 19.85±1.72

(5)

평균체표면적이 일반인군은 1.76±0.12 m2 운동선수 군은 1.82±0.06 m2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체용적은 61.70±0.06 kg/L와 63.37±3.54 kg/L로 각각 나타났 다. 체지방량과 율 (%)은 11.88±0.17 kg (18.23±

2.35%)와 13.29±1.14 kg (19.85±1.72%)으로 각각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정상인 남자의 체지방률은 Keys[9]에 의하면 10∼15%를 차지한다고 보고하고 있는데 본 성적은 양쪽이 다같이 이보다 모두 높게 나 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임피던스법에 의한 체성분 분석 임피던스법 (BIA법)에 의한 체성분 분석은 Table 3 에서 보는 바와 같다.

일반인군은 8.3±4.1 kg (12.8±5.3%), 운동선수군 은 5.0±1.9 kg (7.5±2.8%)로 각각 나타나고 있었다.

즉 일반인은 12.8±5.3%로서 Keys[9]가 제시한 정상 인의 체지방률 10∼15%내에 있음을 알 수 있으나, 운 동선수군은 너무나 차이가 심하여, 운동선수에게는 적 용이 곤란한 것으로 사료된다.

대사율은 양쪽이 1772.6±181.1 kcal와 1876.4±

102.9 kcal로 양쪽이 다같이 거의 같은 경향을 보여주 고 있었다. 그러나 한국인 영양권장량[10]으로 제시하 고 있는 한국성인 1인 1일 권장대사율은 남자가 2,400 kcal, 여자는 2,200 kcal인데, 이 권장량보다 모두가 못 미치고 있다.

신체 총수분량을 보면 일반인이 40.3±4.6 kg, 운동 선수군이 43.7±2.9 kg으로 각각 보여주고 있었으며 Table 3. The Mean Values of Body Fat (kg, %) by Bioelectric Impedance Analyzer

Method

Control Runner

Body fat (kg) 8.3±4.1 5.0±1.9

Body fat (%) 12.8±5.3 7.5±2.8

Lean body mass (kg) 56.9±6.0 61.7±3.4

Metabolic rate (Kcal) 1772.6±181.1 1876.4±102.9

Total water (kg) 40.3±4.6 43.7±2.9

Table 4. The Mean Values of Body Fat (kg and %) According to Body Position with Reference to DEXA Method

Control Runner

Arms kg 1.6±0.8 1.1±0.2

% 2.4±1.2 1.6±0.4

Legs kg 5.1±1.9 3.4±0.7

% 7.8±2.8 5.1±1.0

Trunk kg 7.1±3.3 4.1±1.3

% 10.9±5.0 6.1±1.9

Head kg 0.9±0.1 0.8±0.1

% 1.3±0.1 1.2±0.1

Whole body kg 14.7±5.9 9.3±2.1

% 22.5±9.0 14.0±3.1

(6)

양쪽에 차이가 있었다 (p<0.05).

4. DEXA법에 의한 체성분 분석

DEXA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법을 이용하여 얻어진 체지방률은 Table 4에서 보는 바와 같다. 일반인군은 14.7±5.9 kg (22.5±9.0%), 운동선 수군은 9.3±2.1 kg (13.9±3.1%)로서 운동선수군은 Keys[9]가 제시한 정상인의 체지방률 10∼15%와 밀 도법에 의한 한국인 정상치 14.9±0.3%[1]내에 있음 을 알 수 있으나, 일반인군은 이 수치보다 월등히 높은 22.5±9.0%에 달하고 있다. 그러나 1993년에 DEXA 법에 의한 한국인 체지방률[6] 19.4±5.5%에는 상당 히 접근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신체부위별로 보면 체지방률이 일반인과 운동 선수군 다같이 체간부>하지부>상완부>두부 등의 순으 로 나타나고 있으나, 양군이 다같이 그 비율의 차이는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5. 생체측정법, BIA법 및 DEXA법에 의 한 체지방량과 율의 비교

생체측정법 (종래의 방법)에서 얻어진 체지방량과 율을 BIA법과 DEXA법으로 얻어진 수치와 비교한 성 적은 Table 5에서 보는 바와 같다.

체지방률의 비교에서, 일반인의 경우는 DEXA법에 의한 체지방률이 22.5±9.0%로 제일 높고 BIA법에 의한 체지방률이 12.8±5.3%로 제일 낮아 통계학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p<0.05), 운동선수군의 경우 생체측정법에 의한 체지방률이 19.9±1.9%로 제 일 높고 BIA법에 의한 체지방률이 7.5±2.8%로 제일 낮아 양군간에 서로 다른 양상을 보여주고 있었다 (p<0.001).

Table 5. The Comparison of Body Fat(%) Among AM, BIA and DEXA Methods in Control and Runner Group

Control Runner

AM kg 11.9±0.2 13.3±1.1

% 18.2±2.4 19.9±1.9

BIA kg 8.3±4.1 5.0±1.9

% 12.8±5.3 7.5±2.8

DEXA kg 14.7±5.9 9.3±0.1

% 22.5±9.1 14.0±3.1

* AM : Anthropometric Method

BIA : Bioelectrical Impedance Fatness Analyzer Method DEXA :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Method

Table 6. The Mean Values of Body Composition by DEXA Method

Control Runner

(g) (%) (g) (%)

Bone Mineral Content 2732.1±354.6 4.2 3116.2±263.7 4.6

Lean Body Mass 47393.0±6076.5 73.2 55658.4±3478.3 81.7

Body Fat Weight 14667.7±5879.2 22.6 9322.1±2054.7 13.7

Total 64793.2±4103.4 100.0 68097.5±932.2 100.0

(7)

6. 신체부위별 체구성 비율

신체부위별 체구성 비율을 보면 Tables 6에서 보는 바와 같다. 즉 일반인군의 경우 체구성 비율 중 골광물 질 비율이 전체중의 4.2%, 제지방조직이 73.2%, 체지 방률이 22.6%의 구성비율로 나타나고 있는데 반해 운 동선수군의 경우 체구성 비율 중 골광물질 비율이 4.6%, 제지방조직이 81.7%, 체지방률이 13.7%의 구 성비율로 나타나고 있어 운동선수군이 일반인군보다 골광물질과 제지방조직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으 며, 체지방 비율은 반대로 일반인보다 운동선수군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7. 골밀도(Bone mineral density : g/cm2)

최근 들어 대사성 골질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골밀도를 측정하여 대사성 골질환을 이해하고 병의 경 과 및 치료효과의 판정에 이용하려는 노력이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 있어서도 최근 Dual photon absorptiometry가 보급되면서 골밀도 (bone mineral density)에 대한 연구 보고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 며[6], 그 외의 보고에 있어서는 대사성질환 또는 신장 질환 환자에서의 골밀도 변화에 대하여 보고하고 있 다. 이러한 골밀도의 이용은 Christiansen 등[11]이 보 고한 바에 의하면 골밀도의 국소적 측정만으로도 인체 내의 총칼슘량을 추정할 수 있으며, 현재는 골절의 위 험들을 예측하거나 골조송증 환자에게만 유용한 것이 아니라, 당뇨병, 갑상선 질환 등 여러 내분비질환의 골

변화에도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신체부위별 골밀도 는 Table 7에서 보는 바와 같다.

일반인군은 평균 골밀도치는 0.984±0.108 (g/cm2) 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선수군은 1.066±0.077 (g/cm2) 로 운동선수군이 높게 타나나고 있었다. 또한 모든 신 체부위에서 운동선수군이 일반인군보다 높게 나타나 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고 찰

인간의 체격은 지역과 시대에 따라 다르며, 특히 생 활환경에 의하여 커다란 차가 있다고 하겠다. 표준체 중을 결정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은 그것이 국민의 건 강관리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질병의 예방과 치료의 기초 자료로서 매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6,12∼14].

체중은 보건학적 및 생리해부학적인 설명의 척도이 며, 체중의 상당 부분은 비활동성으로 간주되는 체지 방조직이다. 칼로리 섭취가 소비보다 많은 경우에 여 분의 energy는 지방조직의 지방으로 저장되는 것은 이 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15,16].

생리학적인 면에서 physical fitness와 체중과의 관 계는 최근에 이르러 많은 관심을 갖게 하였다. 그 예로 서 Spiegel[17]은 비만증이 동맥경화증과 깊은 관계가 있고, 미국의 경우 physical fitness를 중요시하는 공중 근무자 (Flying status)의 체중최고허용기준은 표준체 중에 15%를 가산한 선으로 저하시키지 않으면 안되 며, 이상적인 목표는 10%를 가산한 수준이 아니면 안 된다고 하며, 체중이 신체적성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지적하고 있다[18∼20].

Table 7. The Mean Values of Bone Mineral Density(g/cm2) According to Body Position by DEXA Method

Control Runner

Arms 0.754±0.106 0.650±0.062

Legs 1.091±0.129 1.177±0.077

Trunks 0.954±0.111 0.023±0.091

Head 1.531±0.150 1.670±0.228

Total 0.984±0.108 1.066±0.077

(8)

한편 의학적인 비만의 개념은 연구자들에 따라 그 평가방법과 기준에 차이가 있으나 대체적인 경우, 표 준체중보다 20% 이상 증가한 경우, 이상비만이라 정 하는 것이 보통인데 때로는 15%이상으로 정하는 일도 있다.

생체는 주위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그 형태와 구조 가 어느 정도로는 변화한다고 하는 것은 주지의 일이 며, 사람도 예외는 아니고, 고대인으로부터 현대인에 이르기까지의 그의 체격에 많은 변화를 초래케 하여 왔다. 또 이러한 변화는 환경과 영양상태의 변화에 대 응한다고 생각되고 있다. 특히 제2차 세계대전 후, 한 국에 있어서는 생활양식의 급격한 변화, 영양상태의 향상이 눈부셔서 체위의 향상도 현저하였다[6,7,1421∼

25].

사람의 신체조직을 직접 측정하는 일은 불가능하다.

현재 행하여지고 있는 체지방측정법은 어느 것이나 간 접법이며, 얻어지는 자료는 추정치이다. 수중체중법은 체밀도의 측정에는 우수한 방법이라 하겠으나 최종적 으로는 본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체밀도를 추정하는데 불과하다. 한국에서는 컴퓨터단층촬영기에 의한 전신 촬영은 실용화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BIA법 (BIoelec- trical Impedance Fatness Analyzer)과 직접적으로 전 신의 체지방량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DEXA법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을 이용하였다.

DEXA법에서는 40에서 70 Kev의 두 종류의 energy peak를 가지는 X선을 사용하여 전신을 25 cm2로 잘게 주사(走査)시켜 전신조성을 분석한다. 이 결과 측정정 도도 대략적으로 향상하였고 측정시간도 10에서 20분 으로 단축되었으며, 특히 방사선피폭량은 통상의 흉부 X선 직접촬영의 약 200분의 1이하로 저하하였다.

DEXA법은 신체 각 부위별로 조성을 분석하는 자료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임상뿐만 아니라 기초적 연구에 도 대응시킬수 있는 기구로서 평가되고 있다[8,26,27].

본 연구에서는 첫째 DEXA법에 의해 얻어진 체지방측 정치를 기준으로 다른 측정방법에 의해 추정된 체지방 측정치 간에 타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둘째, 생체측정법에 의한 체지방량은 신장과 체중을 이용하여 체표면적, 체용적 그리고 체밀도를 다음의

공식에 의히여 산출하였고, 세 번째 방법으로는 BIA 법 (Bioelectrical Impedance Fatness Analyzer method)에 의한 체지방량 측정으로 Bioelectrical Impedance Fatness Analyzer GIF-891 (Gilwoo co.)를 이용하여 체지방량을 측정하였다.

이상의 3가지 방법을 비교하여 보면 이중X선법과 생체측정법이 거의 같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었다. 현 재까지는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성적에 의하면 일반적 으로 건강한 정상인 성인 남자의 체지방률은 Key와 Brozek[9]의 보고에 의하면 10∼15%를 차지한다고 보고하고 있는데, BIA.법이 이보다도 낮은 율을 보여 주고 있으며, 생체측정법과 이중X선법은 이보다 높은 율을 보여주고 있었다. 본 연구의 일반인군과 운동선 수군의 생체측정법에 의한 체지방률은 거의 같은 양상 을 보이며 또한 DEXA법에 의한 Park[6]의 성적과도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본 연구의 DEXA법 성적은 일반인군에서는 비슷한 양상을 보이나 운동선 수군은 밀도법에 의한 Park[1]의 생체측정법에 성적과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일반인들에게는 생체측정법에 의한 체지방량, BIA법, DEXA법에 의한 체지방량 측정 및 산출은 모 두 적용이 되겠으나 운동선수의 경우 BIA법에 의한 체지방량 산출은 부적합한 것으로 사료되며, 생체측정 법과 DEXA법은 운동선수군들에게도 적합한 방법으 로 간주된다.

요 약

본 연구는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에 의 한 체구성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국가대표급 육상선 수 20명 및 일반 대학생 35명을 임의 선정하여 체격 (신장, 체중, 흉위, 좌고) 측정 및 체구성 성분 측정을 위해 BIA법과 DEXAqqj을 시행하였다. 체지방량 측 정과 Bone densitometry에 의한 신체부위별 체지방량 및 총체지방률, 신체부위별 조직구성비율, 신체부위별 골광물질, 골밀도 등을 측정하여 얻은 성적을 분석하 여 육상선수군과 일반인군과의 차이와 측정방법간의 차이를 알아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9)

1. 일반적 특성

평균연령은 21.6±1.7세 (일반인군 : 22.0±1.6세, 운동선수군 : 20.8±1.7세)였다.

일반인군과 운동선수군 모두 한국인 표준치보다 체 격 및 영양지수 모두 우세하였다.

2. 체지방량

생체측정법에 의한 체지방률은 일반인군이 18.2±

2.5%, 운동선수군이 19.9±1.7%로 각각 나타나 두 군 간에 통계적 차이는 볼 수 없었다. BIA법에 의한 체지 방률은 12.8±5.3%와 7.5±2.8%, DEXA법에 의한 체 지방률은 22.5±9.0%와 14.0±3.1% 등으로 각각 나타 났으며 운동선수군의 체지방률이 일반인군의 체지방 률보다 낮았다.

측정방법간에는 생체측정법, BIA법, DEXA법은 일 반인에게 모두 타당하며, 운동선수의 경우 생체측정법 과 DEXA법은 타당하나, BIA법은 운동선수에는 적합 하지 않았다.

3. 신체부위별 체구성비율

일반인군과 운동선수군이 다같이 제지방조직이 73.2% 와 81.7%였고, 다음은 체지방조직이 22.6%와 13.7%, 골광물질이 4.2%와 4.6% 등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선수군이 제지방조직과 골광물질 비율이 높게 나 타나고 있으나 반대로 체지방 비율은 운동선수군이 낮 게 나타나고 있었다.

4. 골광물질

일반인과 운동선수군의 신체부위별 골광물질 함량 과 비율은 총 골광물질 함량은 2732.1±354.6 g (4.2%)과 3116.2±263.7 g (4.6)였다.

5. 골밀도(Bone mineral density, g/cm2) 골밀도는 일반인군이 0.984±0.108 g/cm2이며, 운동 선수군은 1.066±0.077 g/cm2로서 운동선수군의 골밀 도가 높게 나타났다.

참 고 문 헌

1. Park SY: Studies on body composition in adult

Koreans with reference to ideal body weight and total body fat. Kyung Hee Med Jouranl 2:23-41, 1977

2. Nilson BE, Westlin NE: Bone density in athletes.

Clin orthtop 77:179-182, 1971

3. DuBois D, Dubois EF: Clinical Calorimetry. V.

The Measurement of the surface area of men Arch Med 15:868, 1915

4. Kim KY: Predicted of human body volume from

height and weight. The Kor J Physio 4:37-44, 1970

5. SAS Institute Inc: SAS/STAT User's Guide,

Release 6.03 Edition. Cary, NC: SAS Institute Inc 1028 pp, 1988

6. Park SY: Study on the standard body compo- sition in Korean adults by Dual Energy X-ray Asorptiometry. The Med J of Teikyo Univ 16:545-565, 1993

7. Park SY: Study on physical growth and devel-

opment and nutritional status in Korea. Theses Collection, Kyung Hee Univ, Seoul, Korea, 9:761-794, 1979

8. 大野 誠, 池田義雄, 川上憲司 : 體脂肪率測定 による肥滿測定法 第3報, (DEXA 法;近赤外分 光法, BIA法, 皮脂厚法間の比較), 第12回日本 肥滿學會記錄誌, 日本 肥滿學會 12:287-289,

1991

9. Keys A, Brozek J: Body fat in adult man. Physio

Rev 33:245-325, 1953

10.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6th Revision, Seoul, 1995

11. Christiansan C, Riis BJ, Rodbro P: Prediction of

rapid bone loss in postmenopausal women.

Lancet 1:1105, 1987

12. Brozek J: Human body composition: Approaches

(10)

and applications (Symposia of society for the study of human biology, Vol. 7) New York, Pergamon Press 1-30, 1965

13. Diehl HS, Dalrymple W: Healthful Living. 9th

ed, New York, Mcgraw-Hill Book Co, pp171- 185, 1973

14. Kwon EH, Park SY: A study administration

status and measures to improve physical condition of primary, middle,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Student Health Service, Seoul National University 1-218, 1968

15. Nam KY: The total body fat amount in the

human body. Armed Forces Medical J 2:27-30, 1962

16. Olson RE: Advance in human nutrition: Obesity

as a nutritional disorder. Fed Proc 18:58-67, 1959

17. Spiegel ES: Changing concepts in physical stan-

dard for flying. Aerospace Med 31:941-948, 1960

18. Lee WC: Study on the body fat amount and it's

effects on physical fitness of ROKAF academy cadets. J Aviation Med ROKAF 15:103-116, 1967

19. Lee WC, Kim MY, Lee YS: Experimental study

on physical fitness related with body fat amount.

J Korean Vet Med Asso 11:13-29, 1971

20. Park KW: Measurement on fat free body weight

on ROKAF pilots. J Aviation Med ROKAF 11:33-41, 1963

21. Kokida K: Korean body structure (Ⅰ). J Chosun

and Manchurian Med 172:15-35, 1935

22. Kokida K, Ekeda F: Korean body structure (Ⅱ).

J Chosun and Manchurian Med 182:1-32, 1936

23. Kubo T: Beiträgezur physischen anthropologie

der Koreaner. Mitteilungen aus der M e d i z i n- ischen Fakultat der Kaiserichen Universitätzu Tokyo 12:53-114, 1913

24. Park SY: Studies on the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 standard body weight and normal adapted body weight of Korean. J of National Academy of Science ROK, National Science Series, 16:117-152, 1977

25. Chin SH, Choi JM, Koo DS, Park SY: A Study

on the body composition of Korean adult male with special reference to standard body weight and total body fat amount. The Kyung Hee Univ Med J 13:159-182, 1988

26. LuKaski HC: Validation of tetrapolar bioelec-

trical impedance method to assess human body composition. J Appl Physiol 60:1327, 1986

27. 卵木智, 小林 正, 前川 聰: 二重X線法による肥

滿度の解析. 第12回日本肥滿學 會記錄誌, 日本 肥滿學會 12:285-286, 1991

수치

Table  2.  The  Mean  Values  of  Body  Surface  Area,  Body  Volume,  Body  Density  and  Body  Fat
Table  4.  The  Mean  Values  of  Body  Fat (kg  and  %)  According  to  Body  Position  with  Reference  to  DEXA  Method
Table  6.  The  Mean  Values  of  Body  Composition  by  DEXA  Method
Table  7.  The  Mean  Values  of  Bone  Mineral  Density(g/cm 2 )  According  to  Body  Position  by  DEXA  Method

참조

관련 문서

Results: In this research,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sub-factors of body composition, cardiopulmonary endurance, and heart rate variability in obe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Da Vinci body board exercise program affects the body balance and physical stress of women with body imbalan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BOSU Ball exercise, which can develop core muscles in middle-aged women, affects body composition and

In the change in body composition, body weight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all items in the exerci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 above results, participation in judo sports club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body compos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i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after 12 weeks of practice with middle-aged women centered

In this thesis, tracked vehicle's dynamic performance of the two models, single-body model and Multi-body model, were compared through the numerical simulation.. Th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12-week swimming exercis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blood lipids and inflammatory indicators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