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베타 선원에 따른 베타서베이미터(표면오염감시기)의 교정인자 비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베타 선원에 따른 베타서베이미터(표면오염감시기)의 교정인자 비교"

Copied!
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136 -

베타 선원에 따른 베타서베이미터(표면오염감시기)의 교정인자 비교

이영주 ․ 성기방

한국수력원자력(주) 원자력발전기술원

E-mail: ramsess55

@khnp.co.kr

중심어 (keyword) : 표면오염감시기, 교정인자(기기효율), 불확도, 베타면적선원, 표면방출률

서 론

원자력 발전소 현장에서 일차적으로 신속하게 표 면오염관리를 하고자 할 경우 주로 베타서베이미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때 사용하는 서베이미터는 사용 목적에 맞게 교정하여 사용해야 한다. 교정을 위해서 는 국가측정표준과 소급성이 유지되는 밀봉베타면적 선원을 이용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베타선원의 경우 C-14, Cl-36, Cs-137, Tc-99, Sr/Y-90등이 있다. 베 타선원은 핵종별로 붕괴형식(순수베타붕괴 혹은 광자 수반) 및 에너지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동일 검출기 에 대해서 베타입자의 검출효율 확인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동일 장비에서 여러 베타선 원을 이용하여 베타에너지에 따른 교정인자를 비교하 였고 그 측정불확도를 평가 하였다.

필요 장비 및 교정절차

베타서베이미터를 교정하기 위해서는 기준 면적선 원, 교정장치(선원지지대), 선형성 확인선원 등이 필요 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측정표준과 소급성이 유지되 는 베타면적선원 5종 (C-14, Cl-36, Cs-137, Tc-99, Sr/Y-90)을 이용하였다.

교정결과의 재현성을 유지하기 위해 교정장치를 제 작하였다. 교정장치는 측정위치 재현용 선원고정 구조 물로서 유효 검출부 외의 영역에서 알파 또는 베타입 자를 완전히 차단시키기 위해 납으로 차폐하여 제작 하였다. 피교정 측정기의 선형성을 확인하기 위해 서 로 다른 크기의 표면방출률을 갖는 베타 핵종 3개를 사용하여 선형성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불확도 요

소로 반영하였다. 선형성 확인 선원은 점선원 형태인 Cl-36을 사용하였으며 그 표면방출률이 대략 1, 5, 10 배로 유지되는 것을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검출 기 형태가 NE102 Plastic scintillator인 직사각형 타입 Thermo-eberlin사의 ASP-2/HP380B 장비를 사용하였다. 교정인자는 기기효율의 역수로 식(1)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

⋅

⋅

(1)

S

E

: 기준 면적선원의 표면방출률 A

D

: 검출기 유효면적

A

S

: 기준 면적선원의 면적 M : 기기 지시값

k

t

: 기준 면적선원의 방사능붕괴 보정인자 k

l

: 기기의 선형성 보정인자

k

r

: 기기와 선원과의 거리보정인자

식 (1)에서 kl, kr 는 불확도 평가 요소로만 적용 하여 1을 적용하였으며, 불확도 평가요소로서 kl (기 기의 선형성 보정인자)는 실제 선형성 확인선원을 이 용하여 통계적인 기법으로 산출하였으며 kr (기기와 선원과의 거리보정인자교정인자)의 경우 KASTO 절 차서에 주어진 참고값을 인용하였다. 기준 면적선원 균질도 불확도는 선원면적과 검출기 면적이 동일하므 로 무시하였다.

교정 결과 및 측정불확도 평가

동일 장비에 대해서 베타면적선원(5종)에 따른 교 정인자(기기효율)를 그림 1에 나타내었다.

(2)

- 137 -

5가지 베타선원 중에서 Cl-36, Sr/Y-90 ,Cs-137의

기기효율이 대략 20%로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Tc-99의 기기효율은 대략 15%로 나타났다.

그림 1 선원별 에너지와 기기효율

그런데 C-14의 경우는 기기효율이 다른 선원에 비해 서 현저하게 낮게 측정되었다. 사용한 장비의 검출감 도의 영향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동일모델의 검출기 3개를 이용하여 동일 방법으로 기기효율을 측정한 결 과 그림 1에서와 마찬가지로 10%미만의 효율을 나타 내었다. 다른 선원에 비해 C-14에서 기기효율이 현저 히 낮게 측정된 이유는 방출되는 베타입자가 다른 선 원에 비해 10배 이상 낮은 에너지를 가지기 때문이라 고 추론할 수 있다.

검출기의 선형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각기 다른 표 면방출률을 가진 점선원형태의 Cl-36을 이용하여 측 정하여 결과를 그림 2에 나타내었다.

그림 2 검출기 선형성 측정결과

선형성 확인은 총 3개의 선원을 이용하여 각 선원 별로 10회씩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사용된 검출기 3개 모두 R2값이 0.97이상으로 높은 선형성 을 나타내었고 그 결과는 통계적인 방법(A-type 불 확도)을 이용하여 기기선형성보정인자 불확도(kl)로 평가하였다.

식(1)에서 산정한 각각의 불확도 성분을 평가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측정불확도 총괄표

양( Xi ) Cs-137 Sr/Y-90 Cl-36 C-14 Tc-99 확률 분포 S

E

1.000 1.000 1.000 1.000 1.000 정규 A

D

1.321 1.321 1.321 1.321 1.321 사각형 A

S

0.577 0.577 0.577 0.577 0.577 사각형 M 0.745 0.571 0.883 3.599 0.743 t

k

t

0.000 0.000 0.000 0.000 0.000 정규 k

l

1.458 1.458 1.458 1.458 1.458 t k

r

0.046 0.043 0.046 0.043 0.046 사각형 확장불확도

(%) 4.8 4.7 4.9 8.5 4.8 정규

불확도 전파법칙에 의해서 구한 각 선원별 확장불 확도는 신뢰수준 약 95 %( k= 2)에서 대부분 5% 미 만의 분포를 보였다. 단 C-14의 경우 불확도를 합성하 기 위해서는 상대표준불확도로 전환을 하게 되는데 선 원계수율이 상대적으로 적게 측정되었기 때문에 불확도 가 높게 평가되었다.

결 론

밀봉베타선원에 따라 교정인자가 최대 50% 까지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조사하고자하는 지역의 주 오염 핵종을 미리 파악하고, 그에 맞게 교정용 선원을 선택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표면오염도 평가 시 최 종 표면오염도가 최대 50%까지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IEC 60325에서는 기기효율과 관련 하여 제작자는 적어도 3가지 에너지 범위(0.2 MeV 미만, 0.2 MeV~0.5 MeV, 0.5 MeV 이상)에서 교정 효율을 측정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끝으로 교정인자의 확장불확도는 모두 10% 미만으로 평가되었다.

참 고 문 헌 (REFERENCES) 1. 알파 및 베타 표면오염감시기 표준교정절차(KASTO

4-26- 3050-044)

2. INTERNATIONAL STANDARD(IEC 60325.

2002~2006 Edition)

참조

관련 문서

원료에 따른 바이오에탄올의 특성

심뇌혈관질환과 사회경제적 수준과의 관련성을 보면,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이 낮을수 록 심뇌혈관질환의 발생 위험도가 높고 건강수준도 낮으며,소득수준과

다양한 패턴을 설정하고 재질의 따른 동일한 패턴의 충격 분산 비교 및 흡수 능력 또한 비교하는 패턴에 따른 충격 흡수 비교 실험을 진행하는 것인데

본 프로그램은 도체와 부도체, 전기회로를 연결 하는 방법 , 전지와 전구의 연결 방법에 따른 전구의 밝기 비교, 여러 가지 전기부품 기 호 탐색 및 전기 회로도

본 연구에서는 모래의 입도분포와 세립분 함유량에 따른 액상화 저항 강도를 상대밀 도에 따라 분석 후, 국내 풍화토 지반에 따른 액상화 저항 강도를 확인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가소 알루미나 입도에 따른 아크 전기로의 전력 사용량 및 전 극봉의 소모 상태를 실제 운전 실험과 각종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시행하였고,

따라서,본 논문에서는 엘보우 내부에 감육 결함을 가공한 실 배관 시편을 이용한 파열시험을 수행하여,감육 결함의 기하학적 형상과 하중 형태에

본 논문에서는 치매진단을 위한 MRI 에서 대뇌 피질 두께에 미치는 자장 세기와 스캔 방향의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영상 촬영조건에 따른 두께 차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