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노년층 고관절부 골절 환자의 골 밀도와 골절 형태의 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노년층 고관절부 골절 환자의 골 밀도와 골절 형태의 분석"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노년층 고관절부 골절 환자의 골 밀도와 골절 형태의 분석

윤강섭・조환성 ・강승백

서울특별시립 보라매병원 정형외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목 적 : 노년층 고관절부 골절 환자의 골 밀도를 측정하여 골다공증과 고관절부 골절 사이의 관계를 알아 보고 골다공증 치료의 시작 기준점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골다공증으로 인한 고관절부 골절로 내원한 48명을 대상으로 낙상의 형태, 체형, 골 밀 도 등을 분석하였다. 골 밀도는 Hologic QDR-4500W (S/N 49492)형 DEXA로 대퇴 근위부와 요추 부를 측정하였다.

결 과 : 고관절부 골절 환자의 골 밀도는 대퇴부 합계에서 0.555 g/cm2로서 T-score가 -3.3, Z- score가 -1.5이었으며, 요추부의 골 밀도 역시 0.649 g/cm2로 저하되었다. 골절 환자 군에서 전자부 의 골 밀도는 대응 정상 군에 비해 2배 이상의 감소를 보여주었고, 경부 골절 군에서 전자부 골절 군보 다, 경부 및 Ward`s삼각에서 낮은 골 밀도를 나타내었다(p<0.05). 고관절부 골절 위험 한계치는 T- score가 -1.8 이었다.

결 론 : 노년층 고관절부 골절 환자들은 대퇴골과 요추부의 심한 골 밀도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노년층에 서 고관절부 골절의 예방을 위해서는 적어도 T-score가 2.0 이하인 경우에는 골다공증의 적극적인 치료 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색인 단어 : 고관절부 골절, 골다공증, T-score

의학의 발달과 함께 인간의 평균 수명이 연장되 고, 그로 인한 고령층의 질병 양상의 변화가 최근 의 학의 큰 관심이 되고 있다. 노년기의 가장 흔한 대사 성 골 질환인 골다공증은, 연령이 많아짐에 따라 골

형성의 감소와 골 흡수의 증가로 인해 전반적인 골 량의 감소를 초래하고, 그로 인한 골절과 같은 부가 적인 합병증이 급격히 증가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골다공증은 주로 노년층에서 발생하는 심각 한 손상인 고관절부 골절의 주요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의료 수준이 향상되어 평균 수명이 증가하 면서 그 빈도가 증가 추세에 있고, 치료 및 재활 기 법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합병증과 사망률이 매우 높 은 질환이다.

폐경기 후 여성에서 발생하는 제 1형 골다공증은 소주골의 감소로 척추의 압박 골절을 특징으로 하 며, 노인성 골다공증인 제 2형 골다공증은 피질골과 소주골이 모두 감소하며 고관절 부위의 골절이 호발 된다. 고관절 주위의 골절은 5 0대 이후 현저하게 증 가하여5 ), 주로 6 5세 이후의 노년층에서 주로 발생되 며, Melton 등1 5 )은 8 0대에서는 여자 3명 중 1명,

※ 통신저자 : 윤 강 섭

서울특별시 동작구 신대방2동 3 9 5 보라매병원 정형외과

Tel : 82-2-840-2102 Fax : 82-2-840-2599 E-mail : ksyoon@brm.co.kr

본 논문의 요지는 2 0 0 1년도 대한고관절학회 추계학술대 회에서 발표 되었음.

본 논문은 보라매병원 연구비 지원으로 이루어진 것임.

(2)

남자는 6명 중 1명에서 고관절부의 골절을 일으킨다 고 하였다. 고관절 부위의 골절 자체도 문제가 되지 만, 그로 인한 장기간의 병원 입원과 재활 치료, 국 소적 합병증이나 전신적인 합병증은 사망률의 증가 를 가져오며, 속발되는 사회경제적 손실은 지대하다 고 할 수 있다4 , 1 4 ). 골 밀도는 이러한 골의 강도를 예 측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며, 골 밀도가 낮고, 연령이 높을수록 골절의 위험도 높다 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일반인들 사이에도 이런 골 다공증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고, 골 밀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많은 방법들이 개발되어 보다 간 편하고 정확하게 골 밀도의 측정이 가능하여졌으며, 골 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많은 약물 치료도 개발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노인성 고관절 부 골절 환자의 골 밀도를 측정하여 골다공증과 고 관절부 골절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고관절 부위의 골절을 예방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치료를 시작해야하는 기준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2 0 0 0년 1 2월부터 2 0 0 1년 8월까지 고관절부 골절 로 본 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대사성 질환이나 스테

로이드 복용 환자, 병적 골절, 단순 낙상 외의 고 에 너지 손상, 고관절부 골절 과거력이 있는 환자를 제 외한 4 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골절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때 연구간 측 정 변수들을 일반화하기 위하여 G r e e n s p a n의 H i p Fracture Model을 사용하였으며7 ), 여기에는 낙상 의 높이, 방향, 타격 부위를 나타내는 낙상의 방향 (orientation of the fall), 연령, 약물, 신경학적 증상 등을 포함하는 보호 반응 (protective res- ponse), 바닥의 상태나 체질량 지수 (body mass i n d e x )를 나타내는 국소적 충격 흡수 기전 ( l o c a l shock absorber), 골 밀도를 반영하는 골의 강도 (bone strength) 등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2 6명의 환자는 대퇴골 경부 골절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연령은 7 3 . 6세 이었고, 여자가 2 1명으로 많았으 며, 평균 체중은 51.4 kg이었다. 이들의 체질량 지수 는 평균 21.8 kg/m2이었으며 골절과 골 밀도 검사간 의 기간은 평균 4 . 1일 이었다. 22명은 전자간 골절이 었는데, 이들의 평균 연령은 7 5 . 6세 이었고, 여자가 1 4명으로 많았으며, 평균 체중은 54 kg이었다. 이들 의 체질량 지수는 평균 21.3 kg/m2이었으며 골절과 골 밀도 검사간의 기간은 평균 3 . 4일로 대퇴골 경부 골절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낙상의 방향과 보호

Fig. 1. The BMD was measured by DEXA (Hologic QDR-4500W, S/N 49492) in the proximal femur and lumbar spine. A. The proximal femur was measured in five areas as follows: 1) Neck 2) Trochanter 3) Intertrochanteric 4) Ward`s triangle 5) Total. B. For lumbar spine, L1, L2, L3 and L4 vertebral body were measured

(3)

반응도 양 군 간에 차이는 없었으며, 단지 대퇴골 경 부 골절 환자의 평균 신장이 1m 53cm으로, 전자간 골절의 1m 59cm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았다 (p=0.05, Table 1).

골 밀도는 Hologic QDR-4500 W (S/N 49492) 형 D E X A를 사용하여, 대퇴 근위부의 대퇴 경부, 전자부, 전자간, Ward 삼각과 합계, 제 1~4 요추 부를 측정하였고, 정상 최대 골 밀도와의 차이인 T - s c o r e와 성별, 나이별 대응 정상 골 밀도와의 차이 인 Z - s c o r e를 구하였다 (Fig. 1). 골다공증의 기준 은, T-score가 -1.0 이상은 정상, -1.0 에서 - 2 . 5 사이는 골약화증 (osteopenia), -2.5 이하는 골다공

증으로 분류하는 세계 보건 기구 (WHO) 분류를 참

조하였다2 1 ).

통계적 방법으로 Chi-square test를 사용하였고, 변수들과 골절 형태간의 상관관계를 알기 위하여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est를 사용하였다.

1. 골절 환자들의 골 밀도

Table 2 에서는 전체 고관절부 골절 환자에서의 골 밀도와 T-score, Z-score를 보여주고 있는데, 고 Table 1. Data of the patients

Neck Fx. Intertrochanteric Fx. p value

No. of patients 26 22

Sex (M:F) 5:21 18:14 0.31

Age (yrs) 73.6± 8.6 75.6±10.1 0.54

Weight (kg) 51.4±11.6 54.0±9.7 0.42

Height (m) 1.53± 0.09 1.59±0.1 0.05

BMI (kg/m2) 21.8±4.2 21.3±3.2 0.66

Fall Height

≥ stand 22 19 0.87

Fall Direction

side 16 13 0.88

Impact area

hip or leg 25 21 0.85

Time* (days) 4.1±2.2 3.4±2.1 0.79

*time between fracture and DEXA examination

Table 2. Bone mineral density of the hip fracture patients compared to the normal and age-matched people

BMD(g/cm2) T-score* Z-score

Neck 0.509±0.149 -3.1 -1.1

Troch1 0.386±0.156 -3.2 -1.6

Inter2 0.655±0.21 -3.0 -1.4

Ward3 0.316±0.184 -3.6 -1.0

Total 0.555±0.183 -3.3 -1.5

Lumbar total 0.649±0.178 -3.7 -2.0

T-score* : difference of standard deviation compared to peak reference value Z-score: difference of standard deviation compared to age-matched value Troch1 : Greater Trochanteric area

Inter2 : Intertrochanteric area Ward3 : Ward`s triangle area

(4)

관절부 골절 환자의 골 밀도는 대퇴 경부에서 0 . 5 0 9

±0.149 g/cm2, 전자부에서 0 . 3 8 6±0.156 g/cm2, 전자간 부위에서 0 . 6 5 5±0.213 g/cm2, Ward 삼각 부에서 0 . 3 1 6±0.184 g/cm2로서, 모든 부위에서 정 상 최대 골 밀도와 성별, 나이별 대응 정상 골 밀도 에 비해 각각 3배 이상과 1배 이상의 표준편차만큼 저하되었으며, 대퇴부 합계에서의 골 밀도 역시 낮 은 수치를 보였고 (0.555 g/cm2, T-score : -3.3, Z-score : -1.5), 요추부의 골 밀도도 0.649 g/cm2 로 (T-score : -3.7, Z-score : -2.0) 저하되었다.

하지만 대퇴 경부 골절 군과 전자간 골절 군 사이에 는 유의한 골 밀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2. 골절 위험 한계치 (fracture threshold)

고관절부위 골절에 대한 골절 위험 한계치는 고관 절 부위의 골절 환자의 90 백분위수 ( p e r c e n t i l e )에 해당하는 골 밀도 수치로 하였고, 그 이하의 골 밀도 는 골절의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간주하였다. 전체 고관절부 골절 환자를 대상으로 한 골절 위험 한계 치는, 대퇴 경부에서 0.692 g/cm2, 전자부에서 0.576 g/cm2, 전자간 부위에서 0.945 g/cm2, Ward 삼각부에서 0.526 g/cm2, 대퇴골 전체는 0.827 g/cm2로서 대퇴골 전체의 T - s c o r e는 - 1 . 8 이었다. 대퇴 경부 골절 군과 전자간 골절 군의 골절 위험 한계치들을 분석하여도 대퇴 경부 골절 군에서

Table 3. Fracture threshold (T-score) in femur neck fracture, intertrochanteric fracture and overall hip fracture patients

90 percentile 95 percentile

FNF4 NF5 Overall FNF INF Overall

Neck -2.01 -1.64 -1.70 -1.56 -1.46 -1.50

Troch1 2.01 -1.47 -1.51 -1.38 -1.24 -1.50

Inter2 -1.74 -1.24 -1.40 -1.42 -1.07 -1.40

Ward3 2.15 -1.37 -1.32 -1.92 -0.57 -1.30

Total -1.93 -1.30 -1.80 -1.35 -1.27 -1.30

Lumbar total -1.62 -1.36 -1.51 -1.42 -1.29 -1.41

Troch1: Greater Trochanteric area Inter2: Intertrochanteric area Ward3: Ward`s triangle area FNF4: femur neck fracture INF5: Intertrochanter fracture

Table 4. BMD (g/cm2) of femur neck and Ward’s triangle area in femur neck fracture and intertrochanteric fracture F N F4 I N F5 P value

Neck 0.47±0.14 0.56±0.14 0.037

Troch1 0.36±0.13 0.42±0.18 0.260

Inter2 0.61±0.18 0.71±0.25 0.171

Ward3 0.26±0.17 0.40±0.17 0.011

Total 0.52±0.16 0.61±0.20 0.130

Lumbar total 0.63±0.18 0.68±0.18 0.100

Troch1: Greater Trochanteric area Inter2: Intertrochanteric area Ward3: Ward`s triangle area FNF4: femur neck fracture INF5: Intertrochanter fracture

(5)

는 T-score -1.93, 전자간 골절 군에서는 T - s c o r e - 1 . 3에서 벌써 골절 위험 한계치를 나타내었다 (Table 3).

3. 대퇴부 골절의 유형에 따른 골 밀도의 비교

대퇴 경부 골절 군과 전자간 골절 군 사이에는 낙 상의 형태, 체형, 성별, 나이 등의 변수 사이의 차이 는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p>0.05, Table 4), 대퇴 경부 및 Ward 삼각부의 골 밀도가, 대퇴 경부 골절 군에서 전자부 골절 군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p=0.04, p=0.01, Table 4). 또한 골 밀도의 차이 가 대퇴 경부 골절의 전위 정도나 전자간 골절의 불 안정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able 5).

우리나라의 의료 수준의 향상과 평균 수명의 연장 은 노인들에 대한 질병과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을 고 조시켰으며, 이들에 의한 의료비의 지출은 사회경제 적으로 매우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4 , 1 5 ). 골다공 증도 이런 측면에서 일반인이나 의료인들 사이에 많 은 관심을 일으키는 분야의 하나이며, 골다공증의 발생 원인으로 연령, 운동량, 생활 습관, 인종, 환경 등 많은 요인이 고려되고 있다1 6 ).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이나 그 후유증으로 인한 장애를 고려할 때 골 다공증의 예방, 진단 및 조기 치료는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Wallace2 0 )는 고관절 부위의 골절의 빈

도 증가가 노인 인구의 증가율보다 높음을 주장하면 서, 골 밀도 변화의 측정이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 의 예방과 치료에 매우 중요하다고 하였다.

Riggs 와 M e l t o n1 7 )은 골다공증을 두 가지 형태로 분류하였는데, 제 1형 골다공증은 여성 호르몬의 감 소에 기인한 폐경기 후 골다공증으로, 50~65세 사 이의 여성에 호발하며, 주로 망상골의 감소를 초래 하여 척추의 압박 골절과 원위 요골의 골절을 초래 한다고 하였다. 제 2형 골다공증은 7 0세 이상의 노 인에게 호발하는 노인성 골다골증으로, 골 형성의 감소와 골 흡수의 증가로 인해 피질골의 감소를 초 래하며 고관절부의 골절과 상완골의 골절이 흔하다 고 하며, 골다공증의 위험도를 결정하는 두 가지 기 본 요소로 최대 성인 골 밀도 (peak adult bone d e n s i t y )와 점진적인 골 밀도의 감소로 보았으며, 대퇴 경부의 골 소주의 모양 변화가 골다공증과 관 계 있다고 하였다.

Melton 등1 5 )의 보고에 의하면, 골 밀도가 감소할 수록 대퇴 경부 골절은 이제곱으로 증가하고, 대퇴 전자간 골절은 세제곱으로 증가한다고 하면서, 골 밀도가 0.1 g/cm2의 차이가 나면 골절의 위험도는 3배로 증가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고관절부 골절 환자의 골 밀도는 대퇴 경부에서 0 . 5 0 9±

0.149 g/cm2, 전자부에서 0 . 3 8 6±0.156 g/cm2, 전자간 부위에서 0 . 6 5 5±0.213 g/cm2, Ward 삼각 부에서 0 . 3 1 6±0.184 g/cm2로서, 모든 부위에서 정 상 최대 골 밀도와 성별, 나이별 대응 정상 골 밀도 에 비해 각각 3배 이상과 1배 이상의 표준편차만큼

Table 5. Relationship berween severity of osteoporosis and displacement in femur neck fractures and stability in intertrochanteric fractures

T-score of Neck fx. group >-1.0 -1.0 to -2.5 <-2.5

Norma Osteopenia Osteoporosis

Displaced 0 3 21

Undisplaced 0 0 2

p value = 0.535

T-score of >-1.0 -1.0 to -2. <-2.5

Intertrochanteric fx. group Normal Osteopenia Osteoporosis

Unstable 0 6 10

Stable 0 2 4

p value = 0.751

(6)

저하되었으며, 대퇴부 합계에서의 골 밀도 역시 낮 은 수치를 보였으나(0.555 g/cm2, T-score : -3.3, Z-score : -1.5), 대퇴 경부 골절 군과 전자간 골절 군 사이에는 유의한 골 밀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 다. 대퇴골 전자간 골절은 경부 골절보다 고령에서 발생하고6 ), 체중과 신장이 작으며1 9 ), 주로 전신적이 고 심한 골다공증을 동반한다고 하였으나, 이러한 결과는 Melton 등1 5 )이 주장한 환자에 따른 특이한 병태 생리로, 대퇴골 근위부의 선택적 피질골 손실 은 대퇴 경부의 골절을 초래하며, 골 소주의 선택적 흡수는 전자간 골절을 일으킨다는 설명에 근거할 수 있을 것 같다.

대퇴 전자부의 골 밀도는 장 등1 0 )에 의하면 7 0세 이상의 경부 골절 군에서는 전자간 골절 군보다 Ward 삼각부의 골 밀도 값이 낮았으며, 이는 고령 에서 발생하는 경부 골절의 한 요인에 될 수 있을 것 이라고 하였고, 본 연구에서도 대퇴 경부 골절 군과 전자간 골절 군 사이에는 낙상의 형태, 체형, 성별, 나이 등의 변수 사이의 차이는 없었음에도 불구하 고, 대퇴 경부 및 Ward 삼각부의 골 밀도가, 대퇴 경부 골절 군에서 전자부 골절 군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p < 0 . 0 5 ) .

물론 골 밀도의 감소가 고관절 부위의 골의 강도 나 골절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은 사실이나1 , 2 ), 골 다공증 외에도 낙상 ( f a l l )이라는 외부의 힘이 아주 중요한 요소라고 Cook 등3 )은 주장하였다. 여러 신 체적 원인들에 의해 외부 자극에 대한 신체 보호 반 응이 낮아지고 근력이 감퇴하며, 특히 약물 등에 매 우 민감하여 넘어질 가능성이 훨씬 많으며, 이것이 고령에서 고관절부 골절이 많은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라고 하였다. 장 등1 0 )도 고관절부 골절의 유형과 골 밀도 값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 다고 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에서도 골 밀도의 차이 가 대퇴 경부 골절의 전위 정도나 전자간 골절의 불 안정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는 것은, 고 관절부의 골절 양상이 단순히 고관절부위의 골 밀도 에만 관여된 것이 아니라, 낙상의 형태에 따라서도 관련이 있음을 추론할 수 있는 것이다.

골절 위험 한계치를 규정할 때, Nordin1 6 )은 젊은 사람 골 밀도의 -2SD 이하를, Mazess1 3 )는 젊은 사 람 골 밀도의 -4SD 이하를 기준으로 하였고, Riggs

1 8 ), 장과 문9 ), 김 등1 2 )은 비외상성 척추 골절 환자

의 요추 골 밀도 중 90 백분위수 ( p e r c e n t i l e )에 해 당하는 골 밀도를 골절 위험 한계치로 하였다. 유 등

2 2 )은 G r u b b8 )이 요골 원위부에서 D E X A를 이용하

여 골절 환자의 골 밀도의 기준으로 잡은 95 백분위 수 ( p e r c e n t i l e )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정상군의 약 9 0 %가 골절 위험 한계치 아래의 골절 위험 군에 속 하여 5 0세 이상에서는 정상 군에서도 골절이 발생할 확률이 높음을 주장하였고, 골다공증 외에도 낙상이 라는 외력이 고관절부 골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였으며, 골 밀도와 노인의 특성 및 질병 등을 종합 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정 등1 1 )에 의한 연구에서도, 골절이 있는 골다공증 환자 군과 골절이 없는 골다공증 환자 군 사이에 역학적 및 이 학적 차이가 없음을 밝히면서, 골절의 유무와 관계 없이 일단 골다공증의 범주에 있는 환자들은 특별한 원인적 소인이 없어도 골절의 위험이 상당히 높은 상태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관절 부위의 골 절 환자의 90 백분위수 ( p e r c e n t i l e )에 해당하는 골 밀도 수치를 하였고, 그 이하의 골 밀도는 골절의 위 험도가 높은 것으로 간주하였다. 고관절부 골절 전 체 환자를 대상으로 한 골절 위험 한계치는, 대퇴 경 부에서 0.692 g/cm2, 전자부에서 0.576 g/cm2, 전 자간 부위에서 0.945 g/cm2, Ward 삼각부에서 0.526 g/cm2, 대퇴골 전체는 0.827 g/cm2로서 대 퇴골 전체의 T - s c o r e는 -1.8 이었다. 대퇴 경부 골 절 군과 전자간 골절 군의 골절 위험 한계치들을 분 석하여도, 대퇴 경부 골절 군에서는 T-score -1.93, 전자간 골절 군에서는 T-score -1.30에서 벌써 골 절 위험 한계치를 나타내었다. 세계 보건 기구 ( W H O )에서도 골다공증 기준은 T - s c o r e가 -1.0 이 상은 정상, -1.0 에서 -2.5 사이는 골약화증 ( o s t e o p e- nia), -2.5 이하는 골다공증으로 분류하는 바2 1 ), 현 재 국내 의료 보험에서는 T - s c o r e가 -3.0 이하를 골 다공증 치료시작 기준으로 삼고 있는데, 이는 예방 이 중요한 골다공증이라는 특성을 감안하면 수정이 필요한 기준으로 생각되며, 본 연구 결과에서도 T - s c o r e가 -2.0 이하가 되면 고관절부 골절의 위험성 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국민이 골다공증에 대한 관심이 높고, 이에 대한 각종 약물 치료가 시행 되고 있는 현실을 볼 때, 현재 보험 급여의 기준은

(7)

골다공증과 그로 인한 골절의 예방적인 측면에서 보 면 그 기준이 너무 높은 것이며, 이로 인한 일반인의 의료비 증대는 막대한 것이라 생각된다. 앞으로 대단 위의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본 연구를 기초로 한다 면 골다공증 의료 보험 기준을 T-score -2.0 이하로 낮추어 국민의 의료비 절감과 골다공증과 골절의 위 험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관절부 골절 환자들은 같은 나이에 비해 전자부 와 요추부의 심한 골 밀도 감소를 보여주었으며, 대 퇴 경부와 Ward 삼각에서의 골 밀도는 대퇴 경부 골절 시 전자부 골절보다 더욱 낮은 결과를 나타내 었다. 향후 대단위 연구가 더 필요하겠지만, 노년층 에서 고관절부 골절의 예방을 위해서는 T - s c o r e가 2.0 이하인 경우에는 골다공증의 적극적인 치료가 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REFERENCES

01) Bell GH, Dunber O and Beck JS : Variations in strength of vertebrae with age and their relation to osteoporosis. Calcif Tissue Res, 1:75-86, 1967.

02) Carter DR and Hayes WC : Bone compressive strength: The influence of density and strain rate.

Science, 194:1174-1176, 1976.

03) Cook PJ, Exton-Smith AN, Blocklehurst JC, et al : Fractured femurs, falls and bone disorders. J Coll Physician Land, 16:45-49, 1982.

04) Cummings SR, Kelssey JL, Nevitt MC and O’

Dowd KJ : Epidemiology of osteoporosis and osteo - porotic fractures. Epidemiol Rev, 7:178-208, 1985.

05) Fred H : Proximal femoral fracture. Clin Orthop, 218:12-18, 1987.

06) Gallagher JC, Melton LJ, Riggs BL and Bergstrath E : Epidemiology of fractures of the proximal femur in Rochester, Minesota. Clin Orthop, 150:163-171, 1980.

07) Susan L. Greenspan, Elizabeth R. Myers, Lauri A. Maitland, Takimo H. Kido, Meryl B.

Kransnow, and Wilson C. Hayes : T r o c h a n t e r i c bone mineral density is associated with type of hip fracture in the elderly. J Bone Miner Res, 9:1889-

1894, 1994.

08) Grubb SA : Bone density in osteopenic women: A modified distal radius density measurement proce - dure to develop an “At Risk”value for use in screen - ing women. J Orthop Res, 2:322-327, 1984.

09) Jahng JS and Moon SH : Measurement of bone mineral density in osteoporotic fracture of the spine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J Korean Orthop Assoc, 27:57-64, 1992.

10) Jahng JS, Yoo JH and Sohn JS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actures of the hip and the bone miner - al density over fifty years. J Korean Orthop Assoc, 32(1):46-52, 1997.

11) Jung ES, Lee YK, and Baek SI : Differences of bone mineral density between osteoporotic group with or without compression fracture of the spine. J Korean Society Fracture, 11(3):629-633, 1998.

12) Kim SJ, Cho JL, Han JH and Cho SS : Rela-tion - ships between osteoporosis and pathologic frac - tures. J Korean Orthop Assoc, 27:1284-1292, 1992.

13) Mazess RB : Bone density in diagnosis of osteo - porosis; Thresholds and breakpoints. Calcif Tissue Int, 41:117-118, 1987.

14) Melton LJ and Riggs BL : Epidemiology and costs of osteoporotic fractures. In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osteoporosis. social and clinical aspects. 23-31, 1986.

15) Melton LJ, Heinz WW, Linda SR, Michael O and Riggs BL : Osteoporosis and the risk of the hip frac - ture. Am J Epidemiology, 124:254-261, 1986.

16) Nordin BEC : The definition and diagnosis of osteoporosis. Calcif Tissue Int, 40:57-58, 1987.

17) Riggs BL and Melton LJ : Evidence for two dis - tinct syndromes of involutional osteoporosis. Am J Med, 75:899-901, 1983.

18) Riggs BL, Walkner HW, Seeman E, et al : Changes in bone mineral density of the proximal femur and spine with aging: Differences between the postmenopausal and senile osteoporosis syndromes.

J Clin Invest, 70:716-723, 1982.

19) Vega E, Mautalen C, Gomez A, Melo L and Sahores AO : Bone mineral density in patients with cervical and trochanteric fracture of the proximal femur. Osteoporosis Int, 1:81-86, 1991.

20) Wallace WA : The increasing incidence of fractures of the proximal femur: An orthopedic epidemic.

Lancet, 25:1413-1414, 1983.

21) WHO : Assessment of fracture risk and its applica -

(8)

Bone Mineral Density and Hip Fracture in Elderly People

Kang Sup Yoon, M.D., and Whan Seong Cho, M.D.*, Seung Baik Kang,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eoul City Boramae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Purpose :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of elderly patients with hip fractures was measured in order to estimate the relationships with other groups, and to suggest a reference value for starting an osteoporosis treatment program in order to decrease the incidence of the hip fracture, if possible.

Materials and Methods : Forty-eight hip fractures associated with osteoporosis were examined.

BMD was measured by DEXA (Hologic QDR-4500W, S/N 49492) in the proximal femur and lumbar spine.

R e s u l t s : BMD of the hip fracture patients was decreased compared to that of normal and age- matched people (femur total : 0.555 g/cm2, T-score = -3.3, Z-score = -1.5). BMD of the neck and Ward’s triangle area in the femur neck fracture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at in the intertrochanteric fracture group (p<0.05). The severity of osteoporosis did not affect fracture dis- placement in femur neck fractures, or the stability in intertrochanteric fractures. The fracture thresh- old in the overall hip fracture group was -1.8 of T-score.

Conclusion : BMD of elderly hip fracture patients was decreased compared to that of normal and age-matched people, and a T-score less than -2.0 could be considered as a minimal criterion for start- ing an osteoporosis treatment program.

Key Words : Hip fracture, Osteoporosis, Fracture threshold, T-score ABSTRACT

tion to screening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Report of a WHO study group. World Health Organ Tech Rep Ser. 843:1-129, 1994.

22) Yoo MC, Han JS, Kim IW and Lee HK : B o n e

mineral density and fracture threshold in the patients with femoral neck & intertrochanteric frac - tures due to osteoporosis. J Korean Orthop Assoc, 28:1851-1865, 1993.

수치

Fig. 1. The BMD was measured by DEXA (Hologic QDR-4500W, S/N 49492) in the proximal femur and lumbar spine

참조

관련 문서

대전자 재부착 기구(trochanter reattachment device)등을 이용하여 고정하였다(Fig.. 무시멘트 인공 고관절 치환술의 도입 초기에는 고령에서 발생하는 고관절부

Bone mineral content (BMC)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of the lumbar spine, total hip, and proximal femur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exercise... Results : 1) Body

To maximize the benefit of treating hallux valgus with foot orthotics, researchers should furthur conduct studies with other groups of people in order to uncover

Methods to overcome insufficient bone due to poor bone quality, the pneumatization of a maxillary sinus and other anatomical limitations of implant placement

Also, in order to estimate the consequentially colliding relations of the benefits and cost of using location based services, perceived value, security

Purpose: Calcaneal fracture is a rare fracture, which accounts for about 2% of all fractures, but is one of the most common fractures in the ankle bone.. There is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the functional outcomes of the continuous and discontinuous fractures, retrospectively, in multiple thoracolumb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requency and related factors of advanced airway management for patients with cardiac arrest by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