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비만 및 복부 비만과 여성 성기능 장애와의 관련성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비만 및 복부 비만과 여성 성기능 장애와의 관련성"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미국의 National Health and Social Life Survey에서 1749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성기능 장애를 조사한 결과 여 성에 있어서 성기능 장애는 43%로 남성의 31%보다 유병률 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 국내의 경우 남성 중 33.8%와 여성 중 54.2%에서 성기능 장애를 보인다는 역학 조사가 있으며2) 최근 연구로는 347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 에서 39.8%의 여성이 성생활에 문제가 있다고 응답하였 다.3)

이처럼 성 기능 장애의 유병률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음

에도 불구하고 남성 성기능 장애에 대한 연구와 치료법의 발전에 비하여 여성의 성기능 장애에 대한 관심은 부족하였 는데 이는 여성에서 남성에 비해 성 반응에 있어 심리적, 사 회적, 생물학적 인자가 더욱 깊이 관여한다는 점4), 객관적 측정이 쉽지 않은 점, 보수적인 사고의 영향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비만과 성기능과의 관련성에 대한 외국의 연구에서 체질 량지수가 높은 경우 성생활의 질이 낮다는 연구와5) 허리둘 레가 작을수록 성 생활 빈도가 높다는 연구가 있으며6) 폐경 여성에서 성욕 감소가 비만과 복부둘레, 엉덩이 둘레와 연 관성이 있다는 연구7), 대사증후군과 여성 성기능 장애와의

비만 및 복부 비만과 여성 성기능 장애와의 관련성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김혜은․조유리․박혜순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bdominal Obesity and Sexual Dysfunction Among Korean Women

Hye eun Kim, You ri Jo, Hye soon Park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요 약

연구배경: 여성 성기능 장애의 유병률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비만, 특히 복부 비만과 여성 성 기능 장애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7년 2월부터 4월까지 서울 소재 일개 대학병원 가정의학과 외래를 방문한 환자 및 보호자 중 20세 이 상 여성을 대상으로 여성 성기능 장애를 알아보는 설문을 시행하였고, 키(cm), 체중(kg)을 측정하여 체질량 지수 (Body mass index, BMI, kg/m2)를 계산하였고 허리둘레(cm)를 측정하였다.

결과: 현재 성 행위 대상자가 있는 22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평가를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5.2 ± 7.7세였고 체중은 59.0 ± 8.1 kg, BMI는 23.6 ± 3.2 kg/m2, 허리둘레는 78.8 ± 8.0 cm였다. 성기능 항목 요인 별 분석에서 BMI 25 kg/m2 이상 비만군은 정상 체중군에 비해 만족도 항목, 성행위 항목 및 성기능 평가 전체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고 성교 빈도도 낮았으며 다변량 분석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허리둘레 85 cm 이상 복부 비만군은 정상 허리둘레군에 비해 만족도 항목, 성행위 항목 점수 및 성기능 평가 전체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 고 성교 빈도도 낮았으며 다변량 분석에서도 거의 같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 비만 및 복부 비만 여성에서 정상 체중군에 비해 성기능 만족도가 낮았고 성교의 빈도도 낮았다.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중심단어: 비만, 복부비만, 성기능 장애, 여성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교신저자: 박혜순, (138-736) 서울시 송파구 풍납동 388-1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교실 Tel: 02)3010-3813, Fax: 02)3010-3815, E-mail: hyesoon@amc.seoul.kr, Mobile: 011-742-6607

(2)

관련성이 있다는 연구가 있다.8)

최근 국내에서도 여성 권리 신장과 서구 문화의 영향으 로 여성 성기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여성 성 기능 장애와 비만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 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의 정도가 외국에 비해 심하지 않 은 한국 여성에서 비만 및 복부 비만과 성기능과의 관련성 이 어떤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1. 연구대상

2007년 2월부터 4월까지 서울 소재 일개 대학병원 가정 의학과 외래에 진료를 위해 내원한 환자 및 보호자 중 설문 에 동의한 20세 이상 성 행위 대상자가 있는 여성을 대상으 로 설문지를 시행하였다. 225명의 여성들이 설문에 응하였 으며 이들 중 미혼 여성과 사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현재 배 우자가 있는 222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대 상자들 중 고혈압으로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는 32명 (14.4%), 당뇨는 7명(3.2%), 고지혈증 11명(5%), 우울증은 6명(2.7%)으로 대부분은 건강검진 등을 위해 내원한 경우 로 특별한 질환은 없었다. 본 연구는 임상연구심의위원회 (IRB)의 승인을 받았고 설문 전 대상자들에게 비밀이 유지 될 것임을 고지하였다.

2. 신체계측

같은 기계로 가벼운 옷을 입은 상태로 키, 체중을 재고 체질량지수(BMI)는 체중(kg)을 키 제곱(m2)으로 나누어 계 산하였다. 허리둘레는 측정 오차를 줄이기 위해 1명의 연구 자에 의해 측정되었으며 숨을 내쉰 상태에서 늑골 하단부와 장골능 상부 중간 지점을 측정하였다.11) 비만의 정의는 아 시아·태평양 지침에 따라 체질량 지수(BMI) 25 kg/m2이상 으로12) 하였고 복부 비만은 대한 비만학회에서 한국인에게 적절한 분별점으로 제시한 여성에서 85 cm 이상으로13) 의하였다.

3. 성기능 평가 설문지

여성 성기능 장애 평가는 자기 보고형 설문지 척도를 이 용하여 평가하는 방법이 많이 쓰이고 있어9)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여성 성기능 설문지 중 타당도 연구를 거친 여성 성기 능 평가를 위한 설문지를10) 사용하였다. 설문은 자발적으로 이루어졌으며 대상자 전원에 대해 연구자가 10~15분간의 직접 면담을 시행하였다. 설문 문항은 사회 인구학적 요인 21문항과 결혼 생활 만족도 2문항, 성기능 평가 23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사회 인구학적 요인은 결혼 상태, 자녀 수, 첫 자녀 출산 연령, 첫 월경 연령, 성교 시작 연령, 폐경 여 부, 현재 약물 치료 및 동반 질환 여부와 흡연, 음주력, 교육

정도, 직업, 운동 여부로 구성되어 있다.

성기능 평가 문항은 만족도(satisfaction) 요인, 흥분 (excitement)요인, 성 행위(sexual activity)요인, 성적 욕구 (drive)요인, 배우자(spouse) 요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문 항 별로 Likert scale 4단계(전혀 아니다~매우 그렇다), 5단 계(안함~주 2~3회 이상)로 되어 있어 점수가 낮을수록 성기 능 장애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설문지의 각 항목의 분별점 에 대해서는 정해져 있지 않아 각 요인에 해당하는 항목의 점수를 더하여 분석하였고 성 기능 평가 항목 전체 점수의 합을 구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4. 통계 분석

신체 계측치에 따른 인구 사회학적 변수, 성기능 설문 점 수 중 연속 변수 간 평균 비교는 t-test와 one-way ANOVA 를, 범주형 변수는 chi square test를 시행하였다. 통계 분석 은 SPSS versio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통계학적 유 의성은 P-value 0.05 이하로 하였다.

결 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5.2 ± 7.7세였고 체중은 59.0 ± 8.1 kg, BMI는 23.6 ± 3.2 kg/m2, 허리 둘레는 78.8

± 8.0 cm였다. 성교 시작 연령은 24.3 ± 2.7세였고, 결혼 상태는 결혼이 217명(97.7%)이었고 재혼이 5명(2.3%)이었 다. 폐경 전 여성은 149명(67.1%), 폐경 후 여성은 73명 (32.9%)이었다. 직업을 가진 사람은 101명(45.5%)이었고, 현재 치료받고 있는 질환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50명 (22.5%), 남편이 치료받고 있는 질환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 은 52명(23.4%)이었다(Table 1).

2. 인구사회학적, 생활습관에 따른 성기능 점수 각 변수들에 따른 성기능 설문 전체 점수를 비교하였을 때 50세 이상, 폐경 후 여성, 음주를 하지 않는 경우, 본인 이나 배우자에게 동반 질환이 있는 경우에 그렇지 않은 경 우보다 성기능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3. 비만과 성기능과의 관련성

BMI를 기준으로 정상체중군(BMI < 23 kg/m2), 과체중 군(23 kg/m2 ≤ BMI < 25 kg/m2), 비만군(25 kg/m2 BMI)으로 분류하였을 때 정상체중군은 109명 과체중군은 55명, 비만군은 58명이었으며 세 군 간 나이 및 폐경 여부 는 차이가 없었다. BMI 25 kg/m2 이상 비만군에서 만족도 항목(26.2 ± 4.9) 및 전체 점수에서(50.5 ± 8.1) 성기능 점 수가 낮았고 성행위 항목에서는(5.4 ± 2.8) 비만할수록 성 기능 점수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월 1회 이상 및 주

(3)

1회 이상 성교를 하는 빈도에 있어서도 비만군에서 더 낮았 다(Table 3).

허리둘레를 기준으로 80 cm 미만군, 80~85 cm 사이, 85

cm 이상군으로 대상자를 분류하였을 때 세 군 간 나이와 폐경 여부는 차이가 없었다. 허리 둘레 85 cm 이상 복부 비 만군에서 만족도 항목 점수가(26.0 ± 4.8) 낮았고 성행위 Table 1.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 (n = 222)

Variables Mean ± SD

Age (year) 45.2 ± 7.7

Height (cm) 158.4 ± 5.5

Weight (kg) 59.0 ± 8.1

BMI (kg/m2) 23.6 ± 3.2

Waist circumference (cm) 78.8 ± 8.0

Age at starting sexual activity (year) 24.3 ± 2.7

Categories No (%)

Marital status Married 217 (97.7)

Remarried 5 ( 2.3)

Menopause Premenopause 149 (67.1)

Postmenopause 73 (32.9)

Alcohol None 94 (42.3)

Drinker 128 (57.7)

Smoking Ever smoker 15 ( 6.8)

Never smoker 207 (93.2)

Regular exercise (≥ 3 times/week) No 161 (72.5)

Yes 61 (27.5)

Employment No 121 (54.5)

Yes 101 (45.5)

Comorbidity Absent 172 (77.5)

Present 50 (22.5)

Husband's comorbidity Absent 170 (76.6)

Present 52 (23.4)

Table 2. Assessment of sexual dysfun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life style and comorbidity in the study subjects

Variables Categories No (%) Total score P-value

Age (year) 20~39 66 (29.7) 53.0 ± 7.6 0.018*

40~49 94 (42.3) 54.3 ± 7.1

≥ 50 62 (27.9) 50.8 ± 7.4

BMI (kg/m2) < 25 164 (73.9) 53.8 ± 7.0 0.003

≥ 25 58 (26.1) 50.5 ± 8.1

Waist circumference (cm) < 85 172 (77.5) 53.7 ± 7.0 0.005

≥ 85 50 (22.5) 50.3 ± 8.2

Menopause Premenopause 54.0 ± 7.3 0.002

Postmenopause 50.8 ± 7.3

Maritalstatus Married 53.0 ± 7.4 0.934

Remarried 53.2 ± 10.2

Employment No 50.7 ± 7.4 0.674

Yes 53.2 ± 7.5

Alcohol None 51.5 ± 8.1 0.015

Drinker 54.0 ± 6.8

Smoking Ever smoker 52.6 ± 9.7 0.893

Never smoker 53.0 ± 7.3

Regular exercise (≥ 3 times/week) No 53.0 ± 7.4 0.910

Yes 52.8 ± 7.5

Comorbidity Absent 53.7 ± 7.0 0.011

Present 50.3 ± 8.4

Husband's comorbidity Absent 53.7 ± 7.4 0.006

Present 50.4 ± 7.1

*P by one way ANOVA.

P by t-test.

(4)

항목(5.4 ± 2.7) 및 전체 점수에서는(50.3 ± 8.2) 복부 비만 이 있을수록 성기능 점수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Table 4).

고 찰

비만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고14), 많은 수의 여성 들이 성기능 장애를 호소하고 있다는 연구에서1-3) 비만한 여성과 성기능 장애와의 연관성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고 생각한다. 비만 환자에서 성기능 만족도가 낮고, 성관계 빈도가 적다는 것은 삶의 질 측면에서 중요하다.5) 본 연구 에서 여성 성기능과 비만과의 관련성을 보기 위해 설문지

요인을 만족도(satisfaction), 흥분(excitement), 성적 욕구 (drive), 성행위(sexual activity), 배우자(spouse)요인으로 분 류하고10) 각 요인 별 해당 문항 점수의 합과 점수 총 합을 구하였다.

BMI 25 kg/m2 이상 비만군에서 만족도 요인, 성 행위 요인, 성기능 평가 전체 점수에서 정상 체중군에 비해 성기 능이 낮았고 허리 둘레 85 cm 이상인 복부 비만군에서도 정상 허리둘레군에 비해 성기능이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성 교 빈도에서도 비만군과 복부 비만군에서 성교 빈도가 낮았 다. BMI 18 kg/m2 미만 저체중군은 본 연구에서 6명이었고 이들에서 의미있는 성기능 장애는 보이지 않았다.

Table 3. Assessment of sexual dysfunction according to BMI level by 3 groups BMI < 23 kg/m2

(n = 109)

23 kg/m2 ≤ BMI < 25 kg/m2 (n = 55)

BMI ≥ 25 kg/m2

(n = 58) P-value

Mean ± SD Mean ± SD Mean ± SD

Age (year) 44.2 ± 8.0 45.9 ± 7.4 46.5 ± 7.3 0.134

Satisfaction 28.4 ± 4.0b 28.7 ± 4.0b 26.2 ± 4.9a 0.002*

Excitement 9.0 ± 1.6 9.1 ± 1.6 8.8 ± 1.6 0.752

Sexual activity 6.7 ± 2.4b 6.1 ± 2.7a,b 5.4 ± 2.8a 0.007*

Drive 3.4 ± 1.5 3.7 ± 1.5 3.5 ± 1.4 0.357

Spouse 6.3 ± 1.1 6.1 ± 1.0 6.5 ± 1.3 0.284

Total score 53.8 ± 6.6b 53.7 ± 7.8b 50.5 ± 8.1a 0.014*

No (%) No(%)

Coital frequency

≥ 1 times/month 89 (81.7) 38 (69.1) 33 (56.9) 0.001

≥ 1 times/ week 58 (53.2) 31 (56.4) 16 (27.6) 0.004

Marital satisfaction Satisfied 87 (79.8) 37 (67.3) 49 (84.5) 0.736

*P by one-way ANOVA.

P by chi square test.

The same letter indicate non-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based on Turkey's multiple comparison test.

BMI, body mass index (kg/m2).

Table 4. Assessment of sexual dysfunction according to waist circumference level by 3 groups WC < 80 cm

(n = 138)

80 cm ≤ WC < 85 cm (n = 34)

WC ≥ 85 cm

(n = 50) P-value

Mean ± SD Mean ± SD Mean ± SD

Age (year) 44.5 ± 7.8 46.0 ± 7.6 46.8 ± 7.4 0.153

Satisfaction 28.6 ± 4.0b 28.2 ± 4.3b 26.0 ± 4.8a 0.001*

Excitement 9.0 ± 1.6 8.7 ± 1.4 9.0 ± 1.7 0.630

Sexual activity 6.7 ± 2.5b 5.9 ± 2.6a,b 5.4 ± 2.7a 0.008*

Drive 3.4 ± 1.5 3.7 ± 1.4 3.7 ± 1.4 0.223

Spouse 6.3 ± 1.1 6.5 ± 1.2 6.3 ± 1.2 0.668

Total score 53.9 ± 6.9b 53.0 ± 7.7a,b 50.3 ± 8.2a 0.016*

No (%) No (%)

Coital frequency

≥ 1 times/month 109 (79.0) 23 (67.6) 28 (56.0) 0.002

≥ 1 times/ week 74 (53.6) 17 (50.0) 14 (28.0) 0.003

Marital satisfaction Satisfied 111 (80.4) 22 (64.7) 40 (80.0) 0.638

*P by one-way ANOVA.

P by chi square test.

The same letter indicate non-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based on Turkey's multiple comparison test.

WC, waist circumference.

(5)

성욕이 없이도 성관계가 가능하므로 성관계의 빈도만으 로 성기능 장애 여부를 판단할 수는 없지만 비만 및 복부 비만군에서 만족도 요인 점수가 낮고 실제 관계 빈도도 더 적은 것으로 보아 비만군은 대조군에 비해 성 기능 만족도 가 낮고 관계 횟수도 적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는 비만한 사람들이 성기능 장애를 보인다는 다른 연구들의 결과와 일

치한다.6,15,16) 또한 비만 환자에서 체중 감량이 성기능 장애

호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도17) 있으며 이는 비만 과 성기능 장애와의 관련성을 설명해 준다. 비만과 성기능 장애의 관련성은 인슐린 저항성과 그와 연관된 호르몬 변화, 비만관련 동반 질환과 약물, 정신적인 문제로 추정된다.18) 비만으로 인한 인슐린 저항성은 성호르몬 결합 글로불린에 영향을 주어 성 호르몬에 변화를 일으키며, 고지혈증 등 심 혈관계 위험 요인과의 관련성 및 비만 자체로 인한 정신 사 회적 스트레스요인이 비만 환자에서 성기능 장애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18)

여성 성기능 평가 방법으로 외성기 혈류검사, 감각 검사, 호르몬 검사 등이 시도되고 있지만 외래에서 쉽게 시행하기 에는 제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아직까지 여성 성기능 평가 방법으로 자기 보고형 설문지 척도를 사용한 평가가 가장 타당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9) 현재 여성 성기능 장 애 평가를 위해 개발된 자기 보고형 평가 척도는 DSFI (Derogatis Sexual Function Inventory)19), BSFI-W (Brief Sexual Function Index for Women)20), FSFI (Female Sexual Function Index)21), SFQ (Sexual function questionnaire)가22) 있는데 설문 문항이 응답자의 거부감을 주거나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점 등으로 외래에서 쉽게 시 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문화 에 적합하고 응답하기 간단하면서 여성 성기능 전반에 대한 평가를 위해 만든 여성 성기능 평가를 위한 설문지를10) 용하였는데 성기능 장애라고 정의되는 분별점(cut off value)은 아직 확립되지 않은 상태이다.23) 설문지 요인에 있 어서 FSFI의 경우 성적 욕구(desire), 성적 흥분(arousal), 윤 활액(lubrication), 절정감(orgasm), 만족감(satisfaction), 성 교 동통(pain)의 6가지 요인으로, DISF의 경우 성적 인식 (sexual cognition), 성적 욕구(drive), 각성(arousal), 성적 행 동(behavior), 오르가즘(orgasm)의 5가지 요인으로, BISF-W 는 성적 흥미(interest), 성행위(sexual activity), 만족도 (satisfaction)의 3가지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연구에 서 사용한 설문지에서도 비슷한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비만에 대한 정의를 체질량지수(BMI) 25 kg/m2 이상으로12), 복부 비만은 여성에서 85 cm 이상으로13) 정의 하였는데 분별점에 따라 결과가 다를 수도 있지만 이 는 비만에 의한 다른 위험 요인도 증가하는 분별점으로 인 식되고 있는 기준치로13) 한국 여성에게 적용하는 데에는 타 당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 여성

성기능 장애와 비만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연구는 없었다는 점에서 기본적 자료로서의 의미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에서 성기 능 장애에 대한 분별점수를 적용할 수 없었다는 점에서 외 국의 연구와 비교하는데 한계가 있었고, 서울 소재 일개 대 학병원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일반 인구를 대표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설문 참여자의 평균 연령 이 45.2 ± 7.7세로 성적으로 활발한 젊은 연령이 부족하였 다는 점, 단면 조사연구로 인해 인과 관계를 명확하게 파악 하기 어렵다는 점을 제한점으로 들 수 있다. 성기능에 영향 을 줄 수 있는 요인은 다양하여 폐경24), 고혈압25), 당뇨26), 우울증27) 등의 동반 질환과 약물28), 남편 요인28) 등이 있는 데 본 연구에서는 병원에 내원한 환자 및 보호자를 대상으 로 하였기 때문에 기존에 만성 질환을 가진 사람들이 많이 포함 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약물 복용력과 과거 병력을 현재 치료 받고 있는 동반 질환 여부로 연구 대상자들의 특성을 파악한 결과 참가자의 동반 질환 및 배우자의 동반 질환 유병률이 한국인 전체를 대표 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와29) 비교 시 오히려 질환 유 소견자가 적게 포함되었다는 점에서 질병 요인이 결과에 미 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비만 및 복부 비만 여성에서 정상 체중군에 비해 성기능 만족도가 낮았고 성교의 빈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나 비만 및 복부 비만이 여성에서 성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직까지 비만과 여성 성기능 장애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으로 향후 더 많은 수를 대상으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bdominal Obesity and Sexual Dysfunction Among

Korean Women

Background: Despite its prevalence, female sexual dysfunction (FSD) is often under diagnosed mainly due to the lack of awareness and reliable information on this condition.

Method: Sexual function was assessed according to a self-administered female sexual function questionnaire. A face-to-face interview was done with all study subjects.

Weight (kg), height (cm) and waist circumference (cm) were measured in a total of 222 women, who had visited the outpatient clinic of Family Medicine Department at a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

(6)

Results: The patient mean age was 45.2 ± 7.7 years, the mean weight was 59.0 ± 8.1 kg, the mean body mass index (BMI) was 23.6 ± 3.2 kg/m2 ,and the mean waist circumference was 78.7 ± 8.0 cm. The items on the questionnaire were classified into 5 parts: sexual drive, sexual excitement, sexual activity, sexual satisfaction, and Spouse-related factor. Women with BMI greater than 25 kg/m2 were classified as “obese” and reported lower scores on sexual satisfaction, sexual activity, and overall totalscore, and less frequent sexual intercourse.

Abdominally obese women, waist circumferences of more than 85 cm, also reported similar results. Controlling for potential confounding factors did not change either of these findings demonstrat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sexual dysfunction .

Conclusion: Both total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were associated with lower sexual satisfaction and less frequent intercourse in Korean women.

Key word: Obesity, Abdominal obesity, Sexual dysfunction, Women

참 고 문 헌

1. Laumann EO, Paik A, Rosen RC. Sexual dysfunction in the United states, prevalence and predictors. JAMA 1999;281(6):537-44.

2. 이홍식, 김진학, 유계준, 이호영. 기혼남녀의 성기능 장 애 빈도. 대한의학협회지 1987;30:1017-22.

3. 윤하나, 정우식, 홍재엽, 박영요, 유은희, 김종현. 한국 여성의 성생활 양태 및 성기능 장애의 양상. 대한비뇨 기과학회지 2001;42:102-14.

4. Darling CA, Davidson JK, Cox RP. Female sexual response and the timing of partner orgasm. J Sex Marital Ther 1991;17(1):3-21.

5. Kolotkin RL, Binks M, Crosby RD, stbye T, Gress RE, Adams TD. Obesity and sexual quality of life.

Obesity(silver spring) 2006;14(3):472-9.

6. Brody S. Slimness is associated with greater intercourse and lesser masturbation frequency. J Sex Marital Ther 2004;30(4):251-61.

7. Kirchengast S, Hartmann B, Gruber D, Huber J.

Decreased sexual interest and its relationship to body build in postmenopausal women. Maturitas 1996;23(1):63-71.

8. Esposito K, Ciotola M, Marfella R, Di Tommaso D,

Cobellis L, Giugliano D. The metabolic syndrome: a cause of sexual dysfunction in women. Int J Impot Res 2005;17(3):224-6.

9. Rosen RC. Assessment of female sexual dysfunction:

review of validated methods. Fertil Steril 2002;77suppl 4:89-93.

10. 서상연, 유태우, 허봉렬. 여성 성 기능 평가를 위한 설문 지 개발. 가정의학회지 2003;24(2):172-82.

11. WHO(1998).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12. World health organization western pacific region.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2000.

13. 이상엽, 박혜순, 김선미, 권혁상, 김대영, 김대중 등. 한 국인의 복부비만 기준을 위한 허리둘레 분별점. 대한비 만학회지 2006;15(1):1-9.

14. Flegal KM, Carroll MD, Ogden CL, Johnson CL.Prevalence and trends in obesity among US adults, 1999-2000. JAMA 2002;288(14):1723-7.

15. Assimakopoulos K, Panayiotopoulos S, Iconomou G, Karaivazoglou K, Matzaroglou C, Vagenas K, et al.

Assessing sexual function in obese women preparing for bariatric surgery. Obes Surg 2006 Aug;16(8):

1087-91.

16. Seftel AD. The metabolic syndrome: a cause of sexual dysfunction in women. J Urol 2005 Oct;174(4 Pt 1):1364-5.

17. Werlinger K, King TK, Clark MM, Pera V, Wincze JP. Perceived changes in sexual functioning and body image following weight loss in an obese female population: a pilot study. J Sex Marital Ther 1997 Spring;23(1):74-8.

18. Trischitta V. Relationship between obesity-related metabolic abnormalities and sexual function. J Endocrinol Invest. 2003;26(3 Suppl):62-4.

19. Derogatis LR, Melisaratos N. The DSFI:a multidimentional measure of sexual functioning. J Sex Marital Ther 1979;5:244-81.

20. Taylor JF, Rosen RC, Leiblum SR. Self-report assessment of female sexual function: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Brief Index of Sexual functioning for Women(BISF-W). Arch Sex Behav 1994;23(6):

627-43.

21. Rosen R, Brown C, Heiman J, Leiblum S, Meston C, Shabsigh R, et al. The female sexual function index (FISFI): A multidimentional self-report instrument of

(7)

the assessment of female sexual function. J Sex Marital Ther 2000;26:191-208.

22. Quirk FH, Heiman JR, Rosen RC, Laan E, Smith MD, Boolell M. Development of a sexual function questionnaire for clinical trials of female sexual dysfunction. J Women's Health Gend Based Med 2002;11:277-89.

23. 서상연, 신택수, 유태우, 허봉렬. 여성 성 기능 연관요인 분석-가정의학과 외래 환자를 중심으로. 가정의학회지 2003;24:721-30.

24. Schwenkhagen A. Hormonal changes in menopause and implications on sexual health. J Sex Med 2007 Mar;4 Suppl 3:220-6.

25. Doumas M, Tsiodras S, Tsakiris A, Douma S, Chounta A, Papadopoulos A, et al. Female sexual

dysfunction in essential hypertension: a common problem being uncovered. J Hypertens 2006 Dec;24(12):2387-92.

26. Bhasin S, Enzlin P, Coviello A, Basson R. Sexual dysfunction in men and women with endocrine disorders. Lancet 2007 Feb 17;369(9561):597-611.

27. Lewis RW, Fugl-Meyer KS, Bosch R, Fugl-Meyer AR, Laumann EO, Lizza E, et al. Epidemiology/risk factors of sexual dysfunction. J Sex Med. 2004 Jul;1(1):35-9.

28. Stadler T, Bader M, Uckert S, Staehler M, Becker A, Stief CG. Adverse effects of drug therapies on male and female sexual function. World J Urol 2006 Dec;24(6):623-9.

29. 보건복지부. 2005 국민 건강영양조사. 2006.

수치

Table 2.  Assessment  of  sexual  dysfun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life  style  and  comorbidity  in  the  study  subjects
Table  3.  Assessment  of  sexual  dysfunction  according  to  BMI  level  by  3  groups BMI  &lt;  23  kg/m 2 (n  =  109)  23  kg/m 2  ≤ BMI  &lt;  25  kg/m 2(n  =  55) BMI  ≥ 25  kg/m 2(n  =  58) P-value

참조

관련 문서

This Presentation contains financial forecasts with respect to Bakkt’s projected financial results, including Total Revenue, Total Revenue less Transaction-Based Expenses

• 클라우드 기반의 통합 관리 솔루션인 Pure1 을 통해 전체 스냅샷의 카탈로그 관리 제공. • 클라우드로 전송 시, 퓨어스토리지의 Cloud Block Store와의

Women, health, and wellbeing(여성 건강 문제와 여성 복지). Finding voice: Feminist music therapy and research with women survivors of domestic violence.

Comparison of the prevalence of Malnutrition and Overweight, Obesity between South Korean families and North Korean refugees families 15 Table 5.. Comparison of the

High complication rate in locking plate fixation of lower periprosthetic distal femur fractures in patients with total knee arthroplasties.. Management and

In this study, a famil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health, self-resilience, recre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were

더욱이 기성세대에 비하여 호기심은 많으나 미성숙한 판단력과 스스로를 통제하 는 능력이 부족한 초등학생들의 인터넷 사용 증가는 올바른 인터넷 사용 교육의

This study aims to identify whether socioeconomic level of parents affects obesity of adolescents and whether the relations between adolescent's obe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