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하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지하수"

Copied!
1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Nov. 2007

지하수

Daejeon University

(2)

ㅇ 표면하수의 분류

- 토층수 : 흙 속에 존재하는 물 공극을 통해 유동 유속이 매우 낮음 - 수직적 분포

ㆍ비포화대(통기대, unsaturated zone 혹은 vodose zone)

=> 토양대와 토양수 : 지표면에서부터 식물의 뿌리구간 ㆍ중간대(intermediate zone 혹은 gravitational zone)

=> 중력수 : 중력에 의해 토양을 통과하는 토양수분의 잉여부분 지하수위에 따라 두께가 변동

ㆍ모관대(capillary zone) : 모세관 현상에 의한 물의 상승 가능지역 ㆍ포화대(saturated zone) : 지하의 토사 혹은 암석의 공극에 충만

되어 있는 물. 통상적으로 지하수

(3)

표면하수 수직적 분포

(4)

ㅇ 보유수(held water)

- 모관수(capillary water)

ㆍ모관작용을 받아 지하수면 위쪽으로 올라오는 물 ㆍ점토나 유기질이 많을수록 양이 많아짐

- 흡착수(absorbed water)

ㆍ토립자의 표면에 굳게 흡착되어 있는 물 ㆍ100 ± 5℃ 이상 가열시 분리

- 결합수 : 100℃ 이상 가열해도 분리 되지 않는 물 ㆍ토립자와 일체로 취급

ㅇ 흙의 모관성

- 물은 항상 모관 포텐셜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 - 모관수에 염류의 용해량이 많을수록 저포텐셜

- 세립토에서는 조립토보다 모관상승 속도가 느림 - 흙 입경이 클수록 고포텐셜

(5)

지하수 일반

ㅇ 대수층의 형태

- 대수층(함수층, aquifer) ㆍ투수성이 있어 물로 포화

ㆍ상당한 양의 물을 배출할 수 있는 지층

ㆍ미고결 상태의 모래나 자갈 등으로 이루어진 지층

ㆍ조건 : 지하수 부존 공간 및 채수 공간이 발달해야 함 ㆍ균질한 대수층이 이상적

- 준(반) 대수층 혹은 지연대수층(aquitard)

ㆍ물로 포화되어 있지만 아주 적은 양의 물만이 이동되거나 산출 될 수 있는 지층

ㆍ모래질 점토

(6)

- 난대수층(aquiclude)

ㆍ물로 포화될 수 있지만 거의 물을 배출할 수 없는 불투수성 지층 ㆍ점토

- 불투수층(aquifuge)

ㆍ물을 포함하지도 않으며 물이 이동하지도 않는 불투수성 지층 ㆍ결정질 암석

ㅇ 대수층의 분류

- 자유면대수층(unconfined aquifer) : 대수층의 지하수면의 압력이 대기압과 동일한 대수층

- 부유대수층(perched aquifer) : 부분적인 난대수층의 존재로 인해 주 지하수면 보다 높은 위치에 지하수를 함유하고 있는 대수층

- 피압대수층(confined aquifer) : 포화대 내의 상하부가 불투수층으로 피복되어 대수층의 최상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은 대수층

(7)

- 지하수정의 구분

ㆍ자유면정(water table well) : 우물물의 높이가 지하수면의 높이 와 같은 경우의 우물

ㆍ봉압정(unconfined well) : 암반층 지하수층으로서 양수를 계속 할 때, 지하수위가 강하하여 지하수면보다 낮은 우물

ㆍ피압정(artesian well) : 지하수위보다 수위가 높을 경우 부분적 으로 올라오는 우물. 지하수면위로 분출

ㆍ자분정(flowing well) : 우물물이 저절로 지표위로 분출되는 우물 ㆍ우물(well, 지하수정) : 땅에 판 구멍이 지하수면 밑에 도달토록

하여 지하수를 얻는 것

(8)

ㅇ 기타용어

- 샘(중력천, spring) : 지하수면이 지표면과 접한 곳에서 지하수가 새어나오는 곳

- 용천 : 지표로 솟아오르는 분수 같은 샘

- 간헐 용천 : 높은 증기의 팽창력에 의해서 지하수의 용출 ㅇ 지하수의 작용

- 암석을 용해하여 파괴하는 것

ㆍ용해작용을 돕는 물질(이산화탄소)=> 탄산 형태로 존재 ㆍ생성지역 : 석회암 지대 => 카르스트

- 용해물질의 운반 - 퇴적물 고화

- 호수, 하천 수량 조절 - 기권의 수증기량 조정

(9)

ㅇ 지하수 개발

- 지하수 개발 3단계

ㆍ지하수의 부존여부와 개발 가능성 조사

ㆍ지표의 지질조사 => 지하의 지질조사 => 대수층

ㅇ 지하수의 탐사 방법 - 시추

- 지구물리검층 - 전기비저항 탐사 - 탄성파 탐사

- 방사능 탐사

(10)

ㅇ 우물의 굴착 및 구조

- 정호 설치 단계

ㆍ시험정(직경 20cm이하) => 가능성 판단 => 홀의 확장

=> 영구 정호

- 시험정 : 정호를 굴착하기 전에 시험적으로 굴착하는 경우 ㆍ지하수의 깊이

ㆍ지하수의 수질

ㆍ대수층의 특성 및 두께

- 관측정(감시정) : 지하수의 수위 및 수질 변화 감시 목적 - 착정(well drilling)

ㆍ천공 => casing 설치 => 스크린 설치 => 자갈 충전 및 그라우팅

(11)

ㅇ 우물의 구조

- 착정 : 착정기를 이용하여 굴착

- 케이싱 : 착정시 공벽의 붕괴를 막기 위해 외벽에 설치하는 철관

- 스크린 : 구경에 따라 PVC 또는 철재로 된 유공관. 인위적으로 slot을 뚫어

지하수 유입되도록 함.

대수층 가운데 가장 투수성이 양호한 부분에 설치 => 양수량 극대화

- 여과력 : 세립물질이 지하수공 내로 유입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착정공벽과 우물 자재사이에 부설하는 자갈로서 양호한 투수 대를 조성. 우물개량방법으로 사용

- 그라우팅 : 오염된 지표수의 유입을 차단

(12)

ㅇ 지하수의 화학성분

- 주성분 : HCO3-, SO4-, Cl-, K+, Na+

- 주요이온 : 양이온 (Ca2+ > Na+ > Mg2+ > K+) 음이온 (HCO3- > Cl- > SO4-)

ㅇ 지하수의 화학성분에 따른 분류 - S1 : Na2SO4

- S2 : Ca2SO4 - A1 : NaHCO3 - A2 : Ca(HCO3) ㅇ 지하수의 관리

- 지하수의 조사항목

: 지하수위, 수온, 수질, 수량, 수압 및 유속 - 지하수위를 변화시키는 요인

: 시간, 유량, 사용량, 대수층의 유형, 기압과 중력의 변화

참조

관련 문서

MIRECO, 1997a,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지지체 유무에 따라서 PEMFC 성능은 강화막이 단일막 보다 더 좋은 성능을 보였으며, 수소 투과도 및 물의 확산은 지지체가 있는 강화막의 투과도와 물의 확산계수가 낮게 나왔으며,

In this work, first the “Exclusion zone” for each satellite signal has been defined and then by using some experiments the effects of different parameters like signal

Abstract : A capillary electrophoresis method for the separation of carvedilol and its metabolites enantiomers using cyclodextrins as the chiral selectors was developed1. The

The Special Zone (outlined in black) is bounded by the following (commencing from the southern- most point and proceeding in a clockwise manner).. 13) Tanjong Beach Walk.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regional and sub-regional peacekeeping operations, such as the current African Union, Economic Community of West

Cell size in protargol preparations 75- 100×35-40 μm on average, elliptical body shaped, flexi- ble; adoral zone about 28% of body length, 21-28 adoral

Kuwait, Jan 21 (KUNA) - - National Assembly agreed on Tuesday to discuss the Parliamentary Foreign Affairs Committee report on the Neutral Zone agreement, du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