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역축제 안전사고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지역축제 안전사고"

Copied!
2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지역축제 안전사고

ㅇ 최근 5년(’12~’16년)간 총 3건의 지역축제 안전사고 발생

- 10월 가을 단풍철 지역별 축제 개최가 많아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은 시기

합 계 서 울 부 산 대 구 인 천 광 주 대 전 울 산 세 종

733 60 33 24 19 8 9 10 3

경 기 강 원 충 북 충 남 전 북 전 남 경 북 경 남 제 주

78 68 36 90 53 102 65 46 29

【 2017년 지역축제 개최 계획 – 문화체육관광부 】

최근 5년

(‘12 ~ ’15)

간 지역축제 안전사고 발생현황

구 분 합 계 2016년 2015년 2014년 2013년 2012년

발 생

(건)

3 - 2 1 - -

사 망

(명)

2 - 2 - -

부 상

(명)

1 1

※ 주요 안전사고 발생사례

발생일자 장 소 축 제 명 사고원인 인명피해

’05. 10. 경북 상주 자전거 축제 가요콘서트 현장으로

한꺼번에 시민들 몰림 사망 11명, 부상 162명

’06. 11. 제주 서귀포 방어축제 어선전복 사망 5명

’07. 04. 충남 아산 이순신장군축제 야시장 점포 LNG

누출 가스폭발 부상 12명

’09. 02. 경남 창녕 억새 태우기 불길이 관람객 덮침 사망 7명, 부상 81명

‘14. 10. 울 산 마두희축제 줄다리기 줄 끊어짐 부상 1명

’15. 05. 충북 단양 소백산철죽제 수상레저보트

체험 중 전복 사망 1명

’15. 09. 강원 춘천 강원4대호수 물레길페스티벌

저전거대회

가드레일 충돌 사망 1명

(2)

□ 농기계 사고

【최근 5년('11~'15년)간 농기계사고 현황 - 재난연감】

구 분 발생건수(건) 인명피해(명)

소 계 사 망 부 상

합 계 7,546 7,227 552 6,675

2015년 1519 1,341 100 1241

2014년 1486 1,369 87 1282

2013년 1547 1,549 135 1414

2012년 2076 2,043 140 1903

2011년 918 925 90 835

최근 5년 (’11~’15년) 간 10월에 총 1,040건 (13.8%) 의 농기계 안전사고가 발생

발생건수(건) 합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합 계 7,546 146 237 564 764 1,058 773 637 726 858 1,040 536 207 2015년 1,519 32 51 158 151 209 136 115 138 189 197 109 34 2014년 1,486 37 60 91 150 234 159 151 148 137 175 100 44 2013년 1,547 24 33 96 133 217 168 128 173 189 230 112 44 2012년 2,076 39 67 147 237 282 217 163 173 238 299 153 61 2011년 918 14 26 72 93 116 93 80 94 105 139 62 24

【최근 5년(’11~’15년)간 월별 농기계사고 현황 - 재난연감】

○ 농기계 안전사고 원인은 운전부주의 3,281건 (43.5%) 으로 가장 높고, 기타 2,440 (32.3%), 안전수칙불이행 1,604건 (21.3%) 순으로 발생

【최근 5년(’11~’15년)간 원인별 농기계사고 발생현황 - 재난연감】

발생건수(건) 합 계 운전부주의비 안전수칙불이행 정비불량 기 타

합 계 7,546 3,281 1,604 221 2,440

2015년 1,519 602 267 19 631

2014년 1,486 655 366 47 418

2013년 1,547 602 360 44 541

2012년 2,076 975 421 78 602

2011년 918 447 190 33 248

ㅇ 최근 5년(’11~’15년)간 총 7,546건의 농기계사고가 발생하여 사망자 552명과 부상자 6,675명 발생

- 10월은 본격적인 가을걷이로 농기계 사용이 늘면서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시기

(3)

□ 사회재난 이슈 분석 – 농기계 안전사고 ○ 트윗 추이 분석

- (년간) 농기계사고는 ’15년에 다소 주춤하였으나 ‘16년 다시 급상승

※ ‘16년은 트랙터·경운기 사고 이슈가 많으며, 특히 고령자의 트랙터 운전 이슈 증가 - (월간) 10월은 추락사고 이슈가 두 번째로 높은 달로 트윗비중이 전월 대비 약 13% 증가

◾ 감성 분석

농기계사고 감성은 나타나지 않음

- 농기계사고 예방을 위해 농기계 뒷면에 야광반사판을 달아 위치를 알려주는 것이 좋아(`13년)

- 음주 후 농기계 운전, 사고 직결. 절대금지(`13년) - 가을 수확철 농기계 안전사고 주의 – 등화장치 부착(`15년) - 농기계 교통사고 일몰 후 가장 위험(`16년)

◾ 연관어 분석

- 농기계사고는 경운기사고가 큰 비중을 차지하며 특히 농기계사고 사망률은 일반 교통사고의 5배,

수확기인 가을철 농기계사고 빈번하며, 오전 11시와 오후 5시 전후로 발생

(4)

※ (참 고) 추락 사고

ㅇ 최근 5년(’11~’15년)간 총 34,549건의 추락사고가 발생하여 사망자 1,737명과 부상자 28,308명 발생

- 10월은 동절기 전 마무리 등으로 공사장에서의 추락사고 위험이 높아지는 시기

【최근 5년('11~'15년)간 추락사고 현황 - 재난연감】

구 분 발생건수(건) 인명피해(명)

소 계 사 망 부 상

합 계 34,549 30,045 1,737 28,308

2015년 7,103 5,905 450 5,455

2014년 5,656 4,340 307 4,033

2013년 8,972 7,903 458 7,445

2012년 10,119 9,514 333 9,181

2011년 2,699 2,383 189 2,194

최근 5년 (’11~’15년) 간 10월에 총 3,308건 (9.6%) 의 자전거 안전사고가 발생

구 분 합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합 계 34,549 1,906 2,122 2,814 2,912 3,450 3,248 3,306 3,326 3,160 3,308 2,698 2,299 2015년 7,103 381 421 574 564 705 647 682 693 717 668 536 515 2014년 5,656 307 309 437 520 564 539 544 526 537 532 462 379 2013년 8,972 461 466 731 673 886 889 840 850 872 955 738 611 2012년 10,119 589 754 896 933 1034 949 986 975 801 904 726 572 2011년 2,699 168 172 176 222 261 224 254 282 233 249 236 222

【최근 5년(’11~’15년)간 월별 추락사고 현황 - 재난연감】

○ 추락사고 원인은 안전수칙불이행 10,409건(30.1%)으로 가장 높고, 안전 시설 미비 1,487건(4.3%), 기계오작동 195건(0.6%) 순으로 발생

【최근 5년(’11~’15년)간 원인별 추락사고 발생현황 - 재난연감】

구 분 계 지반함몰 기계 오작동 안전시설

미 비

안전수칙

불 이 행 기 타

합 계 34,549 60 195 1,487 10,409 22,398

2015년 7,103 10 24 409 1,281 5,379

2014년 5,656 13 65 344 1,852 3,382

2013년 8,972 5 29 209 3,661 5,068

2012년 10,119 18 58 343 2,688 7,012

2011년 2,699 14 19 182 927 1,557

(5)

□ (참 고) 사회재난 이슈 분석 – 추락 ○ 트윗 추이 분석

- (년간) ’13년을 기점으로 지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고 ‘16년에 가장 높은 이슈를 보임

※ ‘16년은 에이컨 기사 작업 중 추락사와 구의역 스크린도어 추락사가 주요 이슈로

- (월간) 10월은 추락사고 이슈가 두 번째로 높은 달로 트윗비중이 전월 대비 약 13% 증가

◾ 감성 분석

추락사고 감성은 불안

(64%)

, 슬픔

(13%)

- 판교 환풍구 사고 ‘경찰 배치’ 안지켜… 공연관리 매뉴얼을 만들었지만 지키지 않은 걸로 드러나(`14년)

- 러시아 여객기 추락에 불안(`15년) - 부산에서 여성, 강풍에 추락사(`16년) - 경기 아파트 공사장에서 근로자 추락(`16)

◾ 연관어 분석

- '14년 히말라야 등반 대원 2명 추락사, 국내 산행 중 실족 등 등산 중 추락사고 이슈,

‘16년 삼성 에어컨 기사 작업 중 추락, 사망 이슈

(6)

1. 자연재해

□ 태 풍

○ 최근 10년(’07~’16년)간 10월 중 총 2건의 태풍으로 6명이 사망하고, 2,162억원의 재산피해 발생

구 분 합 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피해발생(회) 16 - - - 4 6 4 2 - -

인명피해(명) 44 - - - 1 13 24 6 - -

재산피해(억) 17,911 - - - 43 8,767 6,939 2,162 - -

【최근 10년(’07~’16년)간 태풍피해 발생현황 - 재해연보】

□ 분 석

【 최근 10년(’07~’16년)간 10월중 태풍 피해발생 현황 – 재해연보 】

발생기간 인명(명) 재산(억원) 주요 피해지역

총 2회 6 2,162

1 2013.10.7.~10.10. - 17 부산, 경북, 경남, 제주

2 2016.10.3.~10.6. 6 2,145 부산, 인천, 광주, 울산,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 반올림으로 끝자리 수치가 다를 수 있음

○ (’13.10.7~10.10.) 제24호 태풍‘다나스’

- 제주도와 경상도를 중심으로 전국에 비가 내림, 1988년 이후 15년 만에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10월 태풍임

○ (’16.10.3. ~ 10.6.) 제18호 태풍‘차바’

- 괌 동쪽 약 590km 해상에서 발생한 제18호 태풍‘차바’는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한반도로 북상한 뒤, 5일경 제주도 성산 부근을 지나, 경남 거제도 부근을 통과한 뒤, 부산에 상륙 후 동해남부해상으로 진출 - 평년의 태풍진로 (일반적으로 이 무렵 일본 남쪽해상을 향함) 와 달리

한반도 부근으로 북상하여 진행

(7)

※ (참 고) 과거 10월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태풍

2014년 제19호 태풍 ‘봉퐁’ 2013년 제24호 태풍 ‘다나스’

1914년 제29호 태풍 ‘쎄스“ 1985년 제20호 태풍 ‘브렌다’

(8)

□ 자연재해 이슈 분석 - 태풍 ○ 트윗 추이 분석

- (년간) 태풍은 ’13년에 가장 큰 이슈가 되었으며 ‘16년 태풍(차바) 발생으로 재상승

※ ‘13년은 태풍 피토, 다나스의 영향으로 태풍 피해에 대한 이슈가 많았음

- (월간) 10월은 태풍 이슈가 가장 높은 달로 전월 대비 약 235% 증가

감성 분석

태풍 감성은 불안

(51%)

, 불쾌

(41%)

- 가을태풍이 더 강하다니 걱정(`13년)

- 가을가뭄은 해갈됐지만 수확 앞둔 농산물이 걱정(`13년) - 태풍 영향권, 만조시에는 해일까지 예상(`13년) - 태풍이 오지 않아 가뭄이 길어져… 불안(`15년) - 지진피해지역의 큰비. 걱정(`16년)

- 태풍‘차바’ 영향에도 고등학교 166곳 수업 강행. 비판(`16년) - ‘마린시티 진짜 마린시티 됐다.’ 미흡한 태풍 대책에 시민들 비난(`16년)

연관어 분석

- 태풍 시 침수로 인한 피해이슈가 매년 증가함

- ‘16년 차바로 큰 피해를 입었던 부산, 울산이 이슈, 가을 태풍으로 인한 강풍, 폭우 피해가 점점 커지고 있음

(9)

□ 호 우

○ 최근 10년(’07~’16년)간 10월 중 총 2건의 호우로 1억원의 재산피해 발생

구 분 합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피해발생(회) 1 3 2 8 40 24 9 2 2

인명피해(명) 117 - - - - 1 - 108 6 2 - - -

재산피해(억) 14,408 25 66 187 115 10,249 3,093 670 1 2

【최근 10년(’07~’16년)간 호우피해 발생현황 - 재해연보】

□ 분 석

【 최근 10년(’07~’16년)간 10월중 호우 피해발생 현황 – 재해연보 】

발생기간 인명(명) 재산(억원) 주요 피해지역

총 36회 - 1

1 2012.10.27.~10.27. - 0.02 부산

2 2016.10.2.~10.2. - 1 경기

○ (’12.10.27. ~ 10.27.) 중부지방을 지나는 저기압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내렸음

※ 주요지점 일강수량(mm) : 부산 130.0(10월 극값 2위), 거제 98.0, 서울 44.0

○ (’16.10.02. ~ 10.02.) 저기압의 영향을 받아 전국적으로 많은 양의 비가 내렸음

※ 주요지점 일강수량(mm) : 파주 111.3(10월 극값 1위 기록)

(10)

※ (참 고) 자연재해 이슈 분석 - 강풍 ○ 트윗 추이 분석

- (년간) 강풍은 ‘13년 큰 이슈 후 하락세를 보이다 ’16년 재상승

※ 강풍은 태풍과 관련성이 높아, ‘13년은 태풍 다나스·피토, ’16년은 차바 영향으로 이슈 - (월간) 10월은 강풍 이슈가 두 번째로 높은 달로 전월 대비 약 261% 급증

◾ 감성 분석

강풍 감성은 불안(75%)이 지배적

- 태풍영향으로 폭우를 동반한 강풍. 상습침수구간이 제일 큰 걱정(`13년) - 서·남해안 강풍 동반 비, 간판 등 시설물 관리 유의(`14년)

- 부산국제영화제 현장, 강풍이 불고 있어 불안(`15년) - 태풍‘차바’, 강풍특보에 제주공항 결항사태 우려(`16년) - 주말을 앞두고 몰아친 강풍에 감기가 다시 심해진듯…(`15년)

◾ 연관어 분석

- 10월은 다수의 강풍주의보가 발령되어 왔으며 그 외에도 태풍으로 인한 강풍피해로 파손·

끊김·유실 등 발생, 제주에서는 항공기 결항 사태 발생

(11)

Ⅳ 과거 10월 주요 재난사례 1. 경기 판교 환풍구 추락사고

○ 일 시 : 2014. 10. 17(금)

○ 장 소 : 경기 분당 삼평동 유스페이스 몰 앞 광장

○ 원 인 : 환풍구 덮개 붕괴에 따른 추락사고

※ 제1회 판교 테크노밸리 축제 공연 도중 환풍구(가로3m×세로5m×깊이 20m) 위에서 관람하던 27명의 관람객이 20m 아래 지하 4층으로 추락

○ 인명피해 : 사상자 27명(사망 16명, 부상 11명)

< 현장사진 >

(12)

2. 경북 상주 시민운동장 압사사고

○ 일 시 : 2005. 10. 3(월)

○ 장 소 : 경북 상주시 계산동 상주시민운동장

○ 사고원인 : 가요콘서트를 보기 위해 5,000여명의 관중이 일시에 운동장 출입문 중 하나인 직3문을 통해 운동장으로 뛰어 가다가 사고 발생

○ 인명피해 : 사상자 77명(사망 11, 부상 162)

< 현장사진 >

(13)

3. 성수대교 붕괴사고

○ 일 시 : 1994. 10. 21.(금)

○ 사고개요 : 성수대교

*

북단으로부터 10번째와 11번째 교각 사이의 120m 중, 중앙 48m의 현수트러스 중간 부분이 갑자기 꺼지면서 한강으로 내려앉음

* 1977년 4월에 착공하여 1979년 10월에 준공된 폭 19.4m, 길이 1,160m의 4차선 교량

○ 사고내용

- 교량 붕괴 부분에서 주행 중인 봉고차 1대와 승용차 2개가 현수 트러스와 함께 한강으로 떨어지고, 붕괴 경계지점에 있던 승용차 2대는 부재와 같이 떨어지다가 한강 물속으로 빠짐

- 남단에서 북단으로 달리던 한성운수 16번 버스가 붕괴 경계 지점에 걸쳐 있다가 뒤집힌 채로 떨어지면서 물속에 미리 떨어져 있던 상판과 강하게 충돌하며 차체가 완전히 찌그러짐

○ 인명피해 : 사상자 49명(사망 32명, 부상 17명)

< 현장사진 >

(14)

4. 2016년 제18호 태풍‘차바’

□ 태풍특징

○ 10월 한반도에 상륙한 태풍 중 역대 가장 강한 태풍으로 평년보다 강하게 발달한 북태평양 고기압의 가장자리를 따라 북상하면서 빠른 이동속도와 강한 강도 유지

- 강풍반경 260㎞, 최대풍속 35㎧의 강한 태풍으로 제주・남부지방은 매우 강한 바람과 일부 지역은 시간당 100㎜가 넘는 집중강우가 특징 ·최대 순간풍속(㎧) : 제주 고산 56.5, 여수 38.9로 (10월 최대 순간풍속

극값 경신) , 부산 28.3, 통영 28.1, 거제 17.9

2003년 태풍 ʻ매미ʼ의 최대 순간풍속은 60.0㎧(제주)로 역대 최고

·일 강수량(㎜) : 서귀포 267.7 (지점별 극값 3위)

· 1시간 최대 강수량(㎜) : 울산 104.2, 서귀포 116.7

<태풍진로> <위성영상> <레이다 영상>

(15)

□ 태풍피해 원인

○ 태풍의 영향으로 제주도를 비롯하여 남해 및 동해 남부에 위치한 시군구를 중심으로 많은 피해 발생

- 태풍상륙과 만조위 시간대가 겹치면서 해안가 피해 발생 - 강한 파도, 비・바람에 의해 수산시설 등 사유시설 피해 발생 - 미 정비된 하천 위주로 하천제방 및 시설물 붕괴 등의 피해발생

□ 피해현황

○ 피해지역 : 총 8개 시・도 60개 시・군・구

○ 인명피해 : 총 9명(사망 6, 부상3) / 이재민 : 2,949세대 6,714명

○ 재산피해 : 2,150억원(사유시설 291, 공공시설 1,859)

- (사유시설) 주택 2,949동, 양식시설 632개소 등에 291억원의 피해 - (공공시설) 하천・소하천 637개소, 어항・항만 186개소, 도로 270개소 등에

1,859억원의 피해 발생

마린시티 피해(부산 해운대구) 신명천 제방유실(울산시 북구)

우정시장 침수피해(울산 중구) 제방붕괴(경남 양산시)

(16)

Ⅴ 재난관리 정보마당

1. 등산사고

(17)
(18)

2. 농기계사고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농기계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안전이용

농기계 안전이용

(19)
(20)
(21)

3. 태풍·호우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 태풍‧‧‧‧‧‧‧‧‧‧‧‧‧‧‧‧‧‧‧‧‧‧‧‧‧‧‧‧‧‧‧‧‧‧‧‧‧‧‧‧‧‧‧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호우 시 시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행동해야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할까요????????????????????????????????????????????

태풍‧호우 시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요?

참조

관련 문서

이처럼 퇴치 소리에 대한 조류의 반응에 따라 동적으로 퇴치 소리의 재생 순서를 결정하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소리들을 이용하여 최대한 적응을 방지할 수 있을

기존에 연구가 진행된 혈액의 일반타액단백질의 농도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 정상인에 비해 당뇨 환자의 일반타액단백질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었고, 이번 실험을

[r]

이 연구를 통하여 학생들은 에너지 자원의 유한성에 대해 깨닫고 에너지 자립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전기와 관련된 물리개념, 태양 광 발전 시설과 빗물 재활용

Heme에서 H + 가 Fe 2+ -Heme 결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개괄적 분석 Heme을 소 혈액으로부터 원심분리-화학적 용혈-단백질 침전의 프로토 콜로 추출한 후, Heme

4방 초음파 센서 부착의 경우 지각 능력을 통해 드론 조종 시의 안전사고들을 예방 할 수 있을 것이며 여러 센서를 이용한 놀이 제작으로 통해 학생들을 포함한

26) Charles Dempsey, Poussin and Egypt , in: Art Bulletin, Vol.. 즉 , 1650 년대의 일부 순간에 따르면 푸생 자신이 성립한 완숙도는 고전적인 또는 성서의 장면을

본 안전 매뉴얼에서는 기존의 학교밖 『안전한 무한상상실 이용을 위한 무한상상실 안전관리 매뉴얼』과는 차별화해서 학교내 무한상상실에서의 안전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