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0 ⇔ f (x) 6= g(x) 이므로, A = {x ∈ R| f (x) 6= g(x)}이다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0 ⇔ f (x) 6= g(x) 이므로, A = {x ∈ R| f (x) 6= g(x)}이다"

Copied!
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12년 1학기 위상수학1: 덕성여자대학교 수학과 최성우 1

위상수학1 기말고사 문제풀이

1. 두 연속함수 f, g : R → R이 있다. 다음과 같이 정의된 집합 A가 R에서 열린집합인지 닫힌집합인지 를 판별하고, 그 이유를 자세히 설명하시오. (15점)

A=x ∈ R | f (x)2+ g(x)2>2f (x)g(x) .

우선, f (x)2 + g(x)2 > 2f (x)g(x) ⇔ {f (x) − g(x)}2 > 0 ⇔ f (x) 6= g(x) 이므로, A = {x ∈ R| f (x) 6= g(x)}이다.

F : R → R2, F (x) = (f (x), g(x))로 놓고, p1, p2 : R2 → R을 p1((x, y)) = x, p2((x, y)) = y 로 정의된 사영사상들이라고 하자. 그러면 (p1◦ F ) (x) = p1((f (x), g(x))) = f (x), (p2◦ F ) (x) = p2((f (x), g(x))) = g(x), 즉 p1◦ F = f , p2◦ F = g이고 f , g는 연속이므로, 정리 2.3.5 (p.34)에 의하여 F 는 연속이다.

R은 Hausdorff이므로 ∆R := (x, y) ∈ R2| x = y 은 R2에서 닫힌집합이고, R2\ ∆R은 R2에서 열린집합다. 따라서 연속함수 F 에 의한 R2\ ∆R의 역상 F−1 R2\ ∆R은 R에서 열린집합이다.

A= {x ∈ R | f (x) 6= g(x)} = F−1 R2\ ∆R이므로, 집합 A는 R에서 열린집합이다.

2. 주어진 위상공간이 옹골공간(compact space)인지의 여부를 각각 판정하고, 그 이유를 자세히 설명 하시오.

(1) R3의 부분공간 X = {(x, y, z) ∈ R3| x2+ y2− z2= 1} . (5점)

X는 유클리드공간 R3에서 닫힌집합이지만 유계가 아니므로 compact가 아니다.

(2) 아래끝위상공간 Rl의 부분공간 Y = [0, 1]. (15점)

Un :=0, 1 −n1, n = 2, 3, 4, . . ., U1:= {1}로 잡자. Un=0, 1 −n1 ∩ Y , U1= [1, 2) ∩ Y 이므로, U1, U2, U3, . . .은 모두 Y 의 열린집합이고, U := {Un| n = 1, 2, 3, · · · }은 Y 의 open cover이다.

U의 임의의 유한부분집합 U = {Un1, Un2,· · · , Unk}를 잡고 N = max {n1, n2,· · · , nk}로 놓자.

U16∈ U일 경우, Un1∪ · · · ∪ Unk= [0, 1 −N1) ( [0, 1] = Y 이므로 U은 Y 의 open cover가 아니다.

U1∈ U일 경우, Un1∪ · · · ∪ Unk= [0, 1 −N1) ∪ {1} ( [0, 1] = Y 이므로 U은 Y 의 open cover가 아니다. 따라서 U는 finite subcover를 가지지 않고, Y 은 옹골공간이 아니다.

3. 거리공간 (X, d)에 서로 겹치지 않은 두 닫힌부분집합 A, B가 있을 때, 거리함수 d를 이용하여 다음 조건들을 모두 만족하는 두 연속함수 a, b : X → R을 만드시오. (15점)

a(x) =

 1, x ∈ A

0, x ∈ B , b(x) =

 0, x ∈ A 1, x ∈ B , x6∈ A ∪ B일 때 0 < a(x), b(x) < 1, 모든 x ∈ X에 대하여 a(x) + b(x) = 1.

함수 h : X → R을

h(x) := d(x, B) − d(x, A) d(x, A) + d(x, B)

로정의하자. A, B가 서로 겹치지 않는 닫힌집합이므로, 분모는 0이 될 수 없다. 따라서, 함수 h는 X 전체에서 잘 정의되는 연속함수이고, x ∈ A일 때 h(x) = 1, x ∈ B일 때 h(x) = −1, x 6∈ A ∪ B일 때 −1 < h(x) < 1임을 알 수 있다.

함수 a, b : X → R을

a(x) := 1 + h(x)

2 , b(x) := 1 − h(x)

2 , x∈ X

로정의하면, a, b는 연속함수이고, h의 성질을 이용하여 주어진 모든 조건들을 만족함을 보일 수 있다.

4. 주어진 위상공간의 한 점 옹골화 공간(one-point compactification)과의 위상동형을, 다음 중에서 모두 고르시오. (각 5점)

A B C D E F (R2 의 부분공간들로 간주함.)

(2)

2 2012년 1학기 위상수학1: 덕성여자대학교 수학과 최성우

(1) R의 부분공간 (−∞, 0).

답: D.

(2) R의 부분공간 [0, 1) ∪ [2, 3) ∪ (4, 5].

답: E, F.

(3) R2의 부분공간 {(x, y) ∈ R2| x = −1} ∪ {(x, y) ∈ R2| x = 1}.

답: B.

5. R2의 부분집합 A, B, C가 다음과 같이 주어졌다:

A=n 

eθ1cos θ, eθ1sin θ θ >0o

, B=(x, y) | x2+ y2= 1 , C= {(0, 0)} . R2의 부분공간 X = A ∪ B ∪ C에 대하여 다음을 구하시오. (각 10점)

(1) X의 모든 연결성분(connected component)들.

A= X이므로, 따름정리 4.1.11(p.66)에 의하여 X는 연결이다. 따라서 X의 연결성분은 X 하 나이다.

(2) X의 모든 길연결성분(path-connected component)들.

A, B, C는 각각 길연결이지만, A ∪ B, B ∪ C, C ∪ A는 모두 길연결이 아니다. 따라서 X의 길연결성분들은 A, B, C이다.

6. R2의 부분공간으로서 두 문자 P와 R은 위상동형인가? 맞을 경우 이를 증명하고, 아닐 경우 아님을 증명하시오. (15점)

br

bp1

bp2

bp3

f

두 공간 P, R이 위상동형이라고 가정하자. f : R → P를 위상동형사상이라고 하면, R \ {r}와 P\ {f (r)}도 서로 위상동형이어야 하고, 특히 각각의 연결성분의 갯수가 같아야 한다. 우선 R \ {r}

의 연결성분의 갯수는 3임을 알 수 있다.

이제 P \ {f (r)}의 성분의 갯수를 다음과 같이 경우를 나누어 알아보자:

(i) f (r) = p1일 경우: P \ {f (r)}의 성분의 갯수는 1이다.

(ii) f (r) = p2일 경우: P \ {f (r)}의 성분의 갯수는 2이다.

(iii) f (r) = p3일 경우: P \ {f (r)}의 성분의 갯수는 2이다.

즉, 어떠한 경우에도 R \ {r}과 P \ {f (r)}의 성분의 갯수가 다르므로 모순이다. 따라서 P와 R은 위상동형이 아니다.

참조

관련 문서

Within the Fresnel approximation, there are two approaches to determining the complex amplitude g(x, y) in the output plane, given the complex amplitude f(x, y) in the

따라서

[r]

[r]

Reporting Revenues Raw Material xxx,xxx.xx x,xxx.xx xxx,xxx.xx x,xxx.xx Production Labor xxx.xx x,xxx.xx Production Machine xx.xx x,xxx.xx Raw Mat.Movements xx.xx

In this paper, the Hyers-Ulam-Rassias stability of mixed n-Jordan homomorphisms on Banach algebras and the superstabil- ity of mixed n-Jordan ∗-homomorphism between C ∗

If the initial values strictly oscillate about the positive equilibrium, then the solutions strictly oscillate, which shows the positive equilibrium is not a global attractor...

In Section 2, for a scheme X with an action of an affine algebraic group G, we recall the setting of G-equivariant sheaves of DG-algebras on X.. the corresponding deri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