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척추경 나사 고정과 후측방 유합술 만을 시행한 경우와 비교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 척추경 나사 고정과 후측방 유합술 만을 시행한 경우와 비교 -"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Address reprint requests to Whoan-Jeang Kim,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Eul-Ji Medical College, Taejon, Korea

#24 Mok-dong, Chung-gu, Taejon, 301-070, Korea

Tel : 82-42-259-1286, Fax : 82-42-259-1162, E-mail : hjkim@emc.eulji.ac.kr 본 논문의 요지는 1 9 9 8 년 대한척추외과학회 춘계 학술대회에서 구연되었음.

척추전방전위증에서 Titanium mesh cage를 이용한 후방추체간 유합술의 결과

- 척추경 나사 고정과 후측방 유합술 만을 시행한 경우와 비교 -

최원식・김환정*・김규현・김영완・금덕섭・이병기・류창수

을지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Abstract –

The results of the Posterior Lumbar Interboby Fusion using Titanium mesh cage for Spondylolisthesis

Won-Sik Choy, M.D., Whoan-Jeang Kim, M.D., Kyou-Hyeun Kim, M.D., Young-Wan Kim, M.D., Teok-Seop Keum, M.D., Byeong-Ki Lee, M.D., Chang-Soo Ryu,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Eul-Ji Medical College, Taejon, Korea

Study Design :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analysing and comparing what between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plus posterior lateral fusion(PLIF+PLF) and PLF alone for Spondylolisthesis(Degenerative type+Isthmic type). Thirty patients were treated by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PLIF) using Harms’ cage and posterolateral fusion(PLF) with transpedicular screw fixation. Forty-nine patients were treated by posterolateral fusion with transpedicular screw fixation.

O b j e c t i v e s: This is to verify the advantages of adding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using Harms’ cage to the usual posterolateral fusion with transpedicular screw fixation

Summary of Background Data : Interbody fusions have certain distinct mechanical advantages over posterolateral ones.

Autologous cancellous bone is the preferred graft material, but might be soft to maintain the disc space during fusion.

Methods : Union rate, slip reduction, sagittal angle correction, disc height restoration, and clinical results by Lin’s criteria were analysed.

Results: Nonunion was observed in 5 PLF cases(10%) and one PLIF case(3%). Loss of slip reduction was 0.7% in PLIF and 2.59% in PLF(P<0.05). Loss of sagittal angle correction was 1.27°in PLIF and 3.65°in PLF(P<0.05). Loss of disc height restoration was 2.6% in PLIF and 7.6% in PLF(P<0.05). Clinical evaluation in PLIF+PLF was excellent in 67%, good in 30%, and fair in 3%. Clinical evaluation in PLF was excellent in 59%, good in 33%, and fair in 8%. More excellent results were noted in PLIF+PLFcases.

C o n c l u s i o n s : Adding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using Harms’ cage showed better radiological results and more excellent clinical results compared to posterolateral fusion with transpedicular screw fixation.

Key Words: Spondylolisthesis,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PLIF), Titanium mesh cage

Journal of Korean Spine Surg.

Vol. 6, No. 1, pp 129~134, 1999

(2)

서 론

1 9 4 3년 C l o w a r d에 의해 널리 소개된 후방요추체간 유합술은 1 9 8 8년 S t e f f e e와 S i t k o w s k i1 4 )가 후방 요추체 간 유합술에 척추경고정술을 추가하여 이식골의 안 정성을 높여 불유합등의 합병증을 줄일 수 있었다.

저자들은 척추관 협착 또는 추간판 탈출증이 동반된 척추전방전위증에 대하여 골 괴(Bone block) 대신 H a r m s’c a g e를 이용하여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과 함 께 척추경고정술 및 후측방 유합술을 병행한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3 0례를 대상으로 하여 그 결과를 척추경고정술과 후측방유합술 만을 시행 한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4 9례 환자와 비교 분석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연구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을지의과대학 병원 정형외과에서 1 9 9 5년 1월부터 1 9 9 7년 3월까지 척추관 협착 또는 추간판 탈출증이 동반된 척추전방전위증에 대하여 H a r m s’c a g e를 사 용하여 후방요추체간 유합술 및 척추경고정술과 후 측방 유합술을 병행한 환자 3 0명과 척추경고정술과 후측방 유합술 만을 시행한 환자 4 9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 기간은 후방요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3 0례에서 최소 1 3개월, 최장 2 8개월로 평균 1 6개월 이 었으며 후측방유합술 만을 시행한 4 9례에서는 최소 1 5개월, 최장 4 0개월로 평균 2 7개월이었다. 후방요추 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3 0례 중 남자가 7례(23%), 여 자가 2 3례( 7 7 % )였으며, 연령은 3 3세부터 6 8세까지 평 균 4 9 . 3세이었다. 수술부위는 제 3 - 4요추간 유합이 1 례, 제4 - 5요추간 유합이 2 6례, 제 5요추와 제 1천추간 유합이 3례있었다. 후측방유합술 만을 시행한 4 9례 중 남자가 1 3례(27%) 여자가 3 6례( 7 3 % )였으며, 연령 은 3 3세부터 7 4세까지 평균 5 4 . 4세이었다. 수술부위는 제 3 - 4요추간 유합이 1례, 제 4 - 5요추간 유합이 3 6례, 제 5요추 제 1천추간 유합이 1 2례였다.

2. 수술수기 및 술후 처치

후방추체간 유합술 및 척추경고정술과 후측방 유 합술을 병행한 환자에서는 전신마취 후 복와위에서

후방 중앙 도달법으로 수술부위를 횡돌기 부위까지 완전히 노출시켰다. 추궁판 전 절제술과 비후된 후관 절 돌기의 내측 일부 및 섬유연골 조직 등을 제거하 여 신경근을 충분히 감압 시켰고, 추간판을 최대한 제거하여 H a r m s’c a g e가 삽입될 수 있는 충분한 공 간을 마련하였다. 상하부의 추체종판은 해면골이 노 출되도록 골소파기( c u r e t t e )로 제거하였다. Harms’

c a g e를 삽입하기 전, 후장골능에서 채취한 해면골을 Bone mill을 사용하여 잘게 갈아 c a g e안에 채워넣었 다. 추궁판 절제술 후 삽입한 내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추간 간격을 신연시킨 상태에서 신경근 견인자로 경 막과 신경근을 내측으로 견인하고 추간강의 높이에 맞는 길이로 자른 H a r m s’c a g e를 삽입 충전시키고 내고정장치로써 압박 고정하였다. 후측방 유합술은 c a g e안에 채워넣고 남은 해면골을 사용하였다. 술 후 3일째부터 요천추 보조기를 착용시켜 보행을 시작하 였으며 보조기 착용은 3개월간 시행하였고, 후측방 유합술 만을 시행한 경우에는 7일간 침상안정 후 보 행을 시작하였다.

3. 관찰방법

환자의 술 후 임상 평가는 L i n등1 1 )의 분류를 따라 평가하였으며, 방사선학적 평가는 수술 전, 수술직후 및 최종 추시에서 단순 방사선 소견을 비교 분석하였 다. 요천추의 정면 및 측면 방사선 검사 소견에서 골 유합의 상태, 내고정장치의 파손 유무 등을 관찰하였 으며, 전위 정복도(slip reduction, SR), 시상각의 교정 도(sagittal angle correction, SAC), 추간판 높이의 복원 도(disc height restoration, DHR)를 측정하여 두 군간 의 차이를 비교하였다1 ). 골유합의 상태는 정위유합, 지연유합, 불유합으로 분류하였으며, 정위유합은 이식 골의 흡수 또는 붕괴 소견 없이 6개월 이내에 골유합 을 보인 경우이었다. 지연유합은 6개월이상 유합이 지연되었으나 추시과정에서 유합이 확인된 경우이었 다. 불유합은 방사선 촬영 소견상 골유합 과정이 관 찰되지 않고 가관절의 소견을 보인 경우이었다3 ).

결 과

1. 골유합 및 합병증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군에서 3 0례 중 정 위유합 2 9례( 9 7 % )는 술후 4개월경에 이루어 졌으며, 불유합 1례( 3 % )였으며, 내고정 기구의 이완이 1례에

(3)

서 있었다. 후측방 유합술 만을 시행한 4 9례 중 정위 유합 4 5례( 9 1 . 8 % )는 역시 술 후 4개월경에 이루어졌 으며, 불유합은 4례( 8 . 2 % )였으며, 척추경 나사못 파 손 2례(4%), 내고정 기구의 이완 1례( 2 % )가 있었다.

2. 전위율의 변화

후방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3 0례에서 전위율은 수 술 전 평균 1 6 . 0 3 %에서 수술 직후 평균 7 . 3 3 %로 8 . 7 %의 전위 정복도를 보였으며 최종 추시 결과 평 균 8 . 0 3 %로 수술 직후보다 평균 0 . 7 %의 전위 정복의 상실이 있었다.

후측방유합술 만을 시행한 4 9례에서는 전위율은 수 술 전 평균 1 8 . 7 3 %에서 수술 직후 평균 6 . 7 3 %로 1 2 . 0 %의 전위 정복도를 보였으며 최종 추시 결과 평 균 9 . 3 2 %로 수술 직후보다 평균 2 . 5 9 %의 전위 정복 의 상실이 관찰되어, 두군을 비교하였을 때 후방추체 간 유합술을 시행한 군에서 전위 정복의 유지정도가 우수하였다(P<0.05)(Table 1).

3. 시상각의 변화

후방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3 0례에서 시상각은 수 술 전 평균 - 0 . 5 0에서 수술 직후 평균 1 6 . 6°로 1 7 . 1°의

증가를 보였으며 최종 추시 결과 평균 1 5 . 3 3°로 수술 직후보다 평균 1 . 2 7°의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결과적 으로 시상각은 수술전에 비하여 평균 1 5 . 8 3°의 증가 를 보였다. 후측방 유합술 만을 시행한 4 9례에서는 시상각은 수술 전 평균 3 . 2 8°에서 수술 직후 평균 1 4 . 5 8°로 1 1 . 3°의 증가를 보였으며 최종 추시 결과 평 균 1 0 . 9 3°로 수술 직후보다 평균 3 . 6 5°의감소가 관찰 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시상각은 수술 전에 비하여 평 균 7 . 6 5°의 증가를 보여 두군을 비교하였을 때 후방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군에서 시상각 교정의 유지 정도가 우수하였다(P<0.05)(Table 2).

4. 추간판 높이의 변화

후방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3 0례에서 추간판의 높 이는 수술 전 평균 2 0 . 6 %에서 수술 직후 평균 4 2 . 9 % 로 2 2 . 3 %의 증가를 보였으며 최종 추시 결과 평균 4 0 . 3 %로 수술 직후보다 평균 2 . 6 %의 감소가 관찰되 었으며, 결과적으로 추간판의 높이는 수술 전에 비하 여 평균 1 9 . 7 %의 증가를 보였다.

후측방 유합술 만을 시행한 4 9례에서는 추간판의 높이는 수술 전 평균 2 8 . 5 %에서 수술 직후 평균 3 9 . 8 %로 1 1 . 3 %의 증가를 보였으며 최종 추시 결과 평균 3 2 . 2 %로 수술 직후보다 평균 7 . 6 %의 감소가 관 찰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추간판의 높이는 수술 전에 비하여 평균 3 . 7 %의 증가를 보여 두군을 비교하였을 때 후방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군에서 추간판 높이 의 유지정도가 우수하였다(P<0.05)(Table 3).

5. 임상적 평가

L i n1 1 )등의 평가기준에 따른 최종 추시에서의 임상 적 평가는 후방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3 0례에서 우 수 2 0례(67%), 양호 9례(30%), 보통 1례( 3 % )로서 9 7 %에서 양호 이상의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후측방 유합술 만을 시행한 4 9례에서는 우수 2 9례 (59%), 양호 1 6례(33%), 보통 4례( 8 % )로서 9 2 %에서 양호 이상의 좋은 결과를 얻어 후방 추체간 유합술 을 시행한 군에서 임상적인 결과가 좋았으나 통계학 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P > 0 . 0 5 ) .

고 찰

척추강 협착증이 동반된 척추 전방 전위증에서는 감압술 후 후방 안정 구조가 소실되고 전방지지가 Table 1. Change of Slip(%)

Cases Preop. Postop. Reduction F/U Loss of Reduction PLIF*+PLF 30 16.03 7.33 08.7 8.03 00.7

PLF 49 18.73 6.73 12.0 9.32 2.59 (P<0.05)

Table 2. Change of Sagittal Angle(degree)

Cases Preop. Postop. Reduction F/U Loss of Reduction PLIF+PLF 30 -0.5-- 16.60 17.1 15.33 1.27

PLF 49 3.28 14.58 11.3 10.93 3.65

(P<0.05)

Table 3. Change of Disc Height(%)

Cases Preop. Postop. Reduction F/U Loss of Reduction

PLIF+PLF 30 20.6 42.9 22.3 40.3 2.6

PLF 49 28.5 39.8 11.3 32.2 7.6

(P<0.05)

* :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 Posterior lateral fusion

(4)

부실해져서 척추 삼주에 불안정성이 초래된다4 ). 척 추경 나사 기구를 사용하여 어느 정도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으나 여전히 전주의 안정성에는 문제가 있 어 정복의 소실이 초래될 수 있다. 이러한 전주의 부 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전방 및 후방을 통한 추가 적인 추체간 유합술을 필요로 한다2, 7, 10). 후방 추체 간 유합술은 전 추간판 적출술 후 운동 분절과 추간 신경공 사이의 정상적인 해부학적 관계를 재구성해 주고 체중부하의 8 0 ~ 8 5 %를 담당하는 전방지지의 재 건을 가능하게 하여 생역학적으로도 정상 척추에 가 깝게 해주어 다른 척추유합술에 비해 보다 더 좋은 안정성과 빠른 유합을 제공해 준다1 2 ). 또 전방추체간 유합술이 지닌 골유합의 용이성, 추체 간격의 재건 가능성 등의 장점과 후방 도달법이 지닌 신경근 및 척추관에 대한 감압의 용이성 등의 장점을 동일한 수술 시야에서 얻을 수 있다는데 큰 의의를 두고 있 으며 후측방 유합술을 같이 사용 시 원주상 유합이 가능하여 척추 삼주를 재건할 수 있다2, 3). 척추경 나 사 고정과 후측방 유합술 후 추가적으로 후방 요추 체간 유합술을 시행하는 것은 유합에 필요한 골 기

부를 넓혀 주고 추간판 간격의 회복과 견고한 전방 지지 구조를 지니게 하여 전위의 만족스러운 정복을 제공하며, 수술 시 체위 변동을 하거나 새로운 전방 절개 없이 후방에서 신경 요소의 감압 후 직접 시행 할 수 있다1 1 ).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은 견고한 체간 유합술 이라는 점 외에도 추간간 움직임을 없애주고 추간판 간격을 회복시켜 주어 후측방 이식의 굴성력 (bending force)을 감소시켜 줌과 동시에 유합 기부 사이의 간격을 좁혀줘 결국 후측방 유합술의 성공율 을 높여 준다2 ).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을 척추경 나사 고정과 후측방 유합술 후 추가적으로 사용할 때는 서로 도움을 주며 유합율이 양측에서 증가된다. 체간 골편의 제일 중요한 역학적 작용은 유합이 일어날 때까지 후측방 유합부의 굴성력을 감소시켜 주고 압 박력을 지지하여 주는 것이다2 ). 그러나 기술적으로 다른 수술 방법보다 술기가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좁은 시야에서 추간판 및 추체 종판을 제거해야 하 고 이식골편을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신경근의 과다 한 견인에 의한 신경손상과 이식골의 후방전위에 의 한 신경압박의 위험이 크며, 좁은 수술창 및 출혈에 Fig. 1-A. Lateral radiograph of 48-year-old female with L4-5 isthmic spondylolisthesis showing 23% anterior slippage of the L4

vertebral body, 6°of sagittal angle and 23% of disc height.

Fig. 1-B. Lateral radiograph after operation showed 9% anterior slippage of the L4 vertebral body, 21°of sagittal angle and 42% of disc height.

Fig. 1-C. Lateral radiograph at the 15month follow-up examination showed loss of reduction of 2% anterior slippage, 1°of sagittal angle and 3% of disc height.

A B C

(5)

의한 시야확보의 어려움에 따른 추간판 및 추체 종 판의 처리가 불확실하므로 불유합, 이식골의 붕괴 또 는 흡수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3 ).

요천추부에 가해지는 전단 응력은 후관절, 추간판, 후방 근육의 3가지 구조물들이 길항작용을 하는데 그 중에서도 추간판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수 술적인 처치도 이러한 길항작용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시행해야 한다. 즉 척추전방전위의 복구, 후방 압박에 의한 인장대력(tension-band forces)유지, 그리고 안정된 전방지지의 재건을 이루어 전단력에 저항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증상이 있는 척추 강 협착증이나 추간판 돌출증에서, 척추궁 절제술과 추간판 제거 후 전방추체에 대한 보강을 하지않은 상태에서 척추경 나사 고정 후 후방 압박을 시행하 면 추체사이의 신경공이 좁아져서 신경근에 손상을 가할 수 있다. 그러나 전방지지를 재건한 후 후방 압 박을 시행하면 신경공이 좁아지지 않을 뿐 아니라 전단력에 저항할 수 있는 인장대 효과를 얻을 수 있 다9 ). 전방 지지의 재건에 장골 등을 이용한 자가이식 을 많이 사용하였는데 1 9 9 6년 H a r m s1 2 )는 추간강에 이식골 대신 Titanium Mesh cage를 삽입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Titanium Mesh cage는 전위의 복구를 견 고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고, 추체종판에 c a g e의 뾰족 한 끝을 밀착시켜 요추부에 가해지는 전단력을 현저 하게 줄여줄 수 있다. 또 c a g e안에 해면골을 채울 수 있어 골 괴에 비해 빠른 추체간 유합을 유도할 수 있으며, 골 괴 사용 시 발생하는 전방 지지의 함몰을 줄일 수 있고, 골 괴 을 얻을 때 생기는 공여부의 이 환율을 줄일 수 있다9 ).

이상과 같이 후방 추체간 유합술은 최소한의 절개 로 광범위한 감압을 하고 추간판을 최대한 제거하기 때문에 신경 압박 증상을 확실히 호전시켜줄 수 있 고, 추간강에의 골이식이 추체 분절의 체중 부하 능 력(load-bearing capacity)을 극대화 시켜준다. 후방 추 체간 유합술에 척추경고정술과 후측방 유합술을 함 께 사용하면 한번의 후방 절개를 통하여 척추의 삼 주에 안정성을 부여하는 원주상 유합을 가능하게 한 다. 저자들은 추간강에 골 괴 대신 해면골 이식과 H a r m s’c a g e를 사용하여 더욱 안정된 전방지지를 얻 을 수 있었다(Fig. 1).

결 론

을지의과대학 정형외과학 교실에서 H a r m s’c a g e를 이용한 후방추체간 유합술과 척추경 나사못 고정을

동반한 후측방 유합술을 시행한 3 0례와 척추경 나사 못 고정을 동반한 후측방 유합술만을 시행한 4 9례에 대한 치료결과를 분석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H a r m’s cage를 이용한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은 술 후 전위정복의 유지, 시상각 교정의 유지 및 추간판 높이의 유지에 있어서 후측방 유합술만을 시행한 군 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유지의 정도가 우수하 였으며, 비록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 골유합 및 임상적 평가에 있어서 후측방 유합술만을 시행한 군보다 좋은 결과를 얻었다. 결론적으로 H a r m s’c a g e 를 이용한 후방추체간 유합술은 우측방 유합술만을 시행하는 경우보다 견고한 유합과 함께 전위정복의 유지와 임상적인 결과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는 술 후 즉각적인 안정성이 후방요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군에서 뛰어나 술 후 조기 보행이 가능하고 추후 요통의 빈도가 현저히 감소한 양상을 보였고, 또한 원주상 골유합을 통한 견고한 골유합과 정복의 유지로 인해 후측방 유합술만을 시 행하는 경우보다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것으 로 사료된다.

REFERENCES

01) 김응하, 우병철, 고은성, 조덕연 :척추전방전위증에서후방 기기술후 고정분절 시상각의 변화에 대한 분석 -후방 추체간 유합술 유무에 따른 비교.. 대한정형외과학회지, 32:1098- 1106, 1997.

02) 석세일, 이춘기, 김원중, 김형국 :협부형척추전방전위증에 의한 척추관 협착증 감압후의 추가적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 대한정형외과학회지, 30:1638-1646, 1995.

03) 정재윤, 정고훈, 김형석 :요추질환에 대한 후방추체간 유합 술의결과.대한척추외과학회지, 3(1):25-32, 1996.

04) Amuso SJ, Neff RS, Coulson DB and Laing PG : T h e Surgical Treatment of Spondylolisthesis by Posterior Element Resection. : A long-term follow-up study. J Bone Joint Surg, 52-A:529-536,1970.

05 ) Boos N, Marchesi D, Zuber K and Aebi M : Treatment of severe spondylolisthesis by reduction and pedicular fixation:A 4-6 Year follow Up Study. Spine, 18:1655-1661, 1993.

06) Cloward RB :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updated.

Clin Orthop, 193:16-19, 1985.

07) Esses S, Natout N, and Kip P : Posterior interbody arthrodesis with a fibular strut graft in spondylolisthesis. J Bone Joint Surg, 77-A:172-176, 1995.

08) Harris IE and Weintein SL : Long-term Follow-up of

(6)

Patients with Grade III and IV spondylolisthesis. J Bone Joint Surg, 69-A:960-969,1987.

09 ) Harms J, Jeszensky D, Stoltze D, and Bohn H : T r u e spondylolisthesis reduction and more segmental fusion in spondylolisthesis. The Textbook of Spinal Surgery 2nd Edition Philadelphia: Lippincott Raven Publishers, 1337-1347, 1997.

10) Kim SS, Denis F, Lonstein JE, and Winter RB : Factors Affecting Fusion Rate in Adult Spondylolisthesis. Spine, 15:979-983,1990.

11) Lin PM, Cautilli BA, and Joice MF :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Clin Orthop, 180:154-168, 1983.

12) Lowery GL, and Harms J : Titanium Surgical Mesh for Vertebral Defect Replacement and Intervertebral spacers.

Manual of Internal Fixation of the Spine, 127-146, 1996 13) Schlegel KF and Pon A : The biomechanics of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PLIF) in spondylolisthesis. Clin Orthop, 193:115-119, 1985.

14) Steffee AD, and Sitkowski DJ : Reduction and Stabiliza- tion of Grade IV Spondylolisthesis. Clin Orthop, 227:82- 89, 1988.

연구계획 : 본 연구는 척추전방전위증(퇴행성 및 협부형)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서 Titanium mesh cage를 이용한 후 방 요추체간 유합술과 후측방 유합술 및 척추경 나사고정술을 시행한 군과 후측방유합술 및 척추경 나사고정술만을 시행한 군간의 방사선학적인 결과와 임상적 평가를 비교하였다.

연구목적 : 기존의 후측방 유합술과 척추경 나사고정술만을 시행한 경우보다 Titanium mesh cage를 이용한 후방 요 추체간 유합술을 추가적으로 시행한 경우에 있어서 그 결과 및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Titanium mesh cage를 이용한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과 후측방유합술 및 척추경 나사고정술을 시행 한 환자군(30 cases)과 후측방유합술 및 척추경 나사고정술만을 시행한 환자군(49 cases)을 방사선학적 결과와 임상 적 평가를 통하여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 하였다.

결과 : 추가적인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군에서 전위정복의유지(전위정복소실율: 0.7%/2.59%), 시상각교정 유지(시상각교정소실: 1.27°/ 3 . 6 5 °), 추간판 높이의 복원유지(추간판높이 복원소실률: 2.6%/7.6%)가 통계학적으로 유 의하게 우수하였으며, 통계학적인 의미는 없었으나 골유합율(불유합율: 3%/10%) 및 임상적 평가(우수: 67%/59%) 에서 좀더 나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결론 : Titanium mesh cage를 이용한 추가적인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은 기존의 후측방유합술과 척추경 나사고정술 만을 시행하는 것보다 방사선학적인 결과와 임상적 결과에서 우수하리라 사료된다.

색인단어: 척추전방 전위증,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 티타늄메쉬케이지 국 문 초 록

※ 통신저자 : 김 환 정

대전광역시 목동 24번지 을지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Tel : 82-42-259-1286, Fax : 82-42-259-1162, 254-7308, E-mail : hjkim@emc.eulji.ac.kr

수치

Fig. 1-B. Lateral radiograph after operation showed 9% anterior slippage of the L4 vertebral body, 21°of sagittal angle and 42% of disc height.

참조

관련 문서

(Method) Among 102 patients with metastatic liver carcinoma due to colorectal cancer who were treated at Chosun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3 to

So, we evaluated the ideal screw fixation by setting a study model to compare a position of screw at the same time the screw diameter, number of

 Increasing fusion reaction probability without losing energy is a better way to approach fusion: take a mixture of deuterium and tritium gas and heat it to the

Heat removal Tritium breeding Neutron shielding. Ash removal Heat removal

High complication rate in locking plate fixation of lower periprosthetic distal femur fractures in patients with total knee arthroplasties.. Management and

The locations of aneurysms were middle cerebral artery in 15 patients, cerebral artery in 15 patients, cerebral artery in 15 patients, cerebral artery in

The median concentrations of FDP were significantly elevated ( p= 0.02) and the median concentrations of fibronogen were decreased ( p= 0.021) in abnormal bleeding patients

3,4 Therefore, to dat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xamine the absorbable fixation plate manufactured using polymer and a fixation screw that c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