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deal Body Mass Index and Level of Body Mass Index for Management of Obesity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Ideal Body Mass Index and Level of Body Mass Index for Management of Obesity"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최적 체질량지수를 이용한 비만관리 기준 설정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1

이진규․이상엽․조병만1․김윤진

Ideal Body Mass Index and Level of Body Mass Index for Management of Obesity

Jin Kyu Lee, M.D., Sang Yeoup Lee, M.D., Byung Mann Cho1, M.D., Yun Jin Kim, M.D.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1

요 약

연구배경: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는 널리 이용되는 비만의 지표이다. 각 나라에서 체질량 지수를 이용하여 과체중과 비만을 정의하고 있는데, 동양인은 서양인과는 체격조건이 달라 서양에서 정한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다. 따라서 우리나라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최적 체질량지수를 구하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비만 관리의 목표로 이용할 수 있는 체질량지수를 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1996년 5월 1일에서 1999년 5월 31일 사이에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부산의 한 3차 병원을 방문한 9,990명을 대상으로,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공복혈당이상, 고요산혈증, 담석증, 간질환 등 비 만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질환들과 지방간, 심장질환, 위장관질환, 폐질환, 신장질환 등 13가지 의 학적 문제를 이용하여 이환지수 (morbidity index)를 구하고, 신장과 체중을 이용하여 체질량지수를 구하였다. 이차함수 회귀곡선을 이용하여 이환지수와 체질량지수와의 관계를 그린 후 이차함수곡선 의 최하점에서 최적 체질량지수를 구하였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최적 체질량지수를 기준 으로 하여 이환지수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체질량지수를 구하였다.

결과: 체질량지수와 이환지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이차함수 곡선의 최하점에서의 체질량지수 는 남성에서는 20.6 kg/m2, 여성에서는 19.5 kg/m2이었다. 이를 기준으로 할 때 남성에서는 체질량지 수 23∼24 kg/m2 이상, 여성에서는 체질량지수 22∼23 kg/m2 이상에서 이환지수가 유의하게 증가하 였다.

결론: 최적 체질량지수는 남성에서 21 kg/m2, 여성에서 20 kg/m2이며, 비만 관리에서 목표로 할 체질량지수는 남성에서 23∼24 kg/m2, 여성에서 22∼23 kg/m2 정도가 적절할 것으로 생각된다.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중심단어: 체질량지수, 이환, 비만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교신저자: 이상엽,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2)

서 론

세계보건기구의 보고에 의하면 행동습관과 생활양 식이 변화함에 따라 세계적으로 비만인구는 꾸준히 증 가하여, 오늘날 서부 유럽 국가들에서는 비만인구가 성인 전체인구의 10∼25%, 아메리카 몇 나라에서는 20∼25%까지 이른다고 한다1). 미국의 경우 제3차 국민 보건 및 영양평가 자료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NHANES III], 1988∼1994)에 의하면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30 kg/m2 이상을 기준으로 한 비만인구가 20세 이상 성인인구의 22.3%에 달한다고 한다2). 국내에서도 보 건복지부의 국민영양조사보고에 의하면 체질량지수가 25 kg/m2 이상인 인구가 1990년 16.9%에서 해마다 증 가하여 1995년에는 20.5%에 이른다3). 평균체중의 증 가는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심근경색증, 뇌졸중, 각종 암 등 여러 가지 만성질환의 이환율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사망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4∼7). 비만의 측정 지표 중 체질량지수는 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과체중이나 비만의 정도를 표시 하는 기준으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고 있다8∼10). 미국 에서는 체질량지수의 증가에 따른 사망률의 증가에 기 초하여 정상체중, 과체중 및 비만의 기준을 정하였으 며, 세계보건기구에서도 이 기준을 받아들여 24.9 kg/m2 이하를 정상체중, 25∼29.9 kg/m2를 과체중, 30 kg/m2 이상을 비만으로 정하고, 이를 비만의 연구와 관리에 이용하고 있다11).

그러나 비만의 기준은 인종에 따라 다르며 특히 동 양인에서는 서양인보다 평균 체중이나 체질량지수가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2∼14). 실제로 세계보건기구 에 비만의 기준을 제공한 NHANES III (1988∼1994) 자료에서는 체질량지수 25 kg/m2 이상인 인구가 미국 은 54.9%에 이르나 우리나라 국민영양조사 자료에서 는 1992년에 19.6%, 1995년에 20.5%로 미국과는 현 저한 차이가 있다2∼3).

동양에서는 체질량지수와 사망률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없으나, 일본의 경우는 일본비만학회에서 자국 의 국민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와 이환율과의 관계를 이용하여 비만의 기준을 정하였다. 현재 사용되고 있

는 비만에 대한 기준으로는 세계보건기구1)에서 제시 한 비만기준이나 Tokunaga 등15)이 제시한 최적 체질 량지수인 남자 22 kg/m2, 여자 21 kg/m2, 또는 일본비 만학회16)에서 제시한 최적 체질량지수인 22 kg/m2 등이 있으나17), 우리 나라에는 우리 국민의 체형에 맞는 비 만의 기준이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최적 체질량 지수란 질병 이환율이 가장 낮은 체질량지수이다.

국내에서도 대한비만학회에서 최적 체질량지수를 구하기 위한 연구를 시행한 바 있으나, 이환지수 (morbidity index)를 너무 엄격히 적용한 결과 최적 체 질량지수가 남성에서 18.3 kg/m2, 여성에서 16.8 kg/m2 로 너무 낮게 나타나 임상에서 적용하기에 무리가 있 1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환지수의 기준을 임상 적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우리 나라의 실정에 맞는 최 적 체질량지수를 구하고, 최적 체질량지수를 기준으로 검사결과 이상소견에 대한 체질량지수별 교차비 (odds ratio)를 구하여 비만관리에서 목표로 이용할 수 있는 체질량지수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 법 1. 연구대상

1996년 5월 1일부터 1999년 5월 31일까지 건강검 진을 목적으로 부산의 한 3차 병원을 방문한 9,990명 (남자 5,163명 여자 4,8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의 연령분포는 20대 이하가 461명 (남자 249명 여 자 212명), 30대가 1,833명 (남자 980명 여자 853명), 40대가 3,394명 (남자 1892명 여자 1502명), 50대가 2,876명 (남자 1325명 여자 1550명), 60대 이상이 1,426명 (남자 716명 여자 710명)이었다.

2. 방법

체질량지수는 신을 벗고 가벼운 가운을 입은 상태에 서 신장과 체중을 전자식 자동측정기 (Fanics FA-94H) 로 측정하여 체질량지수 산출공식 (체질량지수[kg/m2]

= 체중[kg] / {신장[m]}2)으로 구하였다. 수축기 및 이 완기 혈압은 자동 전자혈압계 (Colin: BP-203RV II)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중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과 공복혈당, 간기능검사

(3)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 transferase [ALT], gamma glutamyl transpeptidase [GGT]), 신기능검사 (크레아티닌, 요산) 등은 12시간 공복 후 오전에 혈액을 채취하여 검사하였다. 총콜레 스테롤과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은 enzymatic colorimetry를 이용하였고, 중성지방은 lipase, GK, GPO, POD with glycerol blank를 이용하였다. FBS는 HK, G6PD, UV법을 이용하였고, AST와 ALT는 IFCC without pyridoxal phosphate without sample blank를 이용하였으며, GGT는 Szasz modified method 를 이용하였다. 크레아티닌은 Jaffe, kinetic method를 이용하였고, 요산은 uricase colorimetry를 이용하였다.

이상의 검사소견과 함께 흉부방사선촬영과 상부위장 조영촬영, 상복부초음파, 심전도검사, 소변검사, 대변 잠혈검사 결과를 종합하여 13가지의 의학적 문제를 만

들었으며, 이것의 판정기준은 Table 1에서와 같다. 이 환지수는 개인별로 의학적 문제항목 각각에 대해 비정 상일 경우 1점씩을 주어 13가지 의학적 문제항목에 대 한 점수를 모두 합하여 구하였다. 최적 체질량지수는 이환지수와 체질량지수간의 산포도를 작성하고 이 양 자간의 관계를 가장 잘 표현해 주는 이차함수 방정식 을 구한 후 이 방정식으로 표현되는 이차함수 곡선상 의 최하점으로 하였다.

최적 체질량지수를 기준으로 이환지수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체질량지수의 산출은, 비만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검사항목인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총콜레스 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공복혈당, 요산, ALT, GGT에 대하여 이상 소견의 유병 교차비 (prevalence odds ratio)를 최적 체질량지수를 기준으 로 하여 체질량지수별로 구하였다.

Table 1. Criteria for Abnormal Medical Problems Medical problem Criteria for abnormal finding (positive rate)

Hypertension Systolic blood pressure >140 mmHg and/or diastolic blood pressure > 90 mmHg (14.3%)

Dyslipidemia Total cholesterol > 220 mg/dL and/or triglyceride > 220 mg/dL (24.0%) Impaired fasting glucose Fasting plasma glucose ≥ 110 mg/dL (9.5%)

Hyperuricemia Uric acid > 7.0 mg/dL (man), uric acid > 6.0 mg/dL (woman) (15.9%) Gallstone Gallstone on ultrasonographic finding (3.0%)

Liver disease AST > 40 U/L and/or ALT > 37 U/L and/or GGT > 63 U/L (18.4%) Urinary tract infection Urine white blood cell ≥ 5 /HPF and/or urine nitrite (+) (5.6%) Fatty liver Fatty liver on ultrasonographic finding (31.9%)

Anemia Hemoglobin < 13.5 g/dL (man), Hemoglobin < 11.5 g/dL (woman) (11.7%) Heart disease Ischemia, bundle branch block, atrial fibrillation on electrocardiogram (3.7%) Gastrointestinal disease Peptic ulcer, severe gastritis, malignancy on upper gastrointestinal series and/or

positive stool occult blood (7.7%)

Lung diseas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or tuberculosis on chest X-ray (1.9%) Renal disease Creatinine >1.5 mg/dL and/or urine protein ≥1+ without hypertension or

impaired fasting glucose (1.4%)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GGT: gamma glutamyl transpeptidase, HPF:

high power field

(4)

3. 통계적 분석

통계적 계산에는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for windows를 이용하였다. 최적 체 질량지수의 산출에 이용한 이차함수 방정식은 회귀분 석의 이차함수 회귀방정식으로 구하였고, 최적 체질량 지수에 대한 각 체질량지수에서의 이상소견의 유병 교 차비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연령을 보 정하였다. P값이 0.05 미만일 때 통계적 유의성이 있 는 것으로 하였다.

결 과 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남성에서 47.0±10.9세 (mean±S.D.), 여성에서 48.2±10.7세이었고, 평균 체 질량지수는 남성에서 23.7±2.9 kg/m2, 여성에서 23.7

±3.1 kg/m2이었다 (Table 2).

2. 최적 체질량지수

남성에서 체질량지수와 이환지수와의 관계를 나타 내는 이차함수 회귀방정식은 Y = 0.0197X2 - 0.8119X + 9.8673 (R2 = 0.877, P<0.0001)이었으며, 이 방정식 으로 표현되는 곡선의 가장 낮은 값에서의 체질량지수 는 20.6 kg/m2이었다 (Fig. 1). 여성에서 이차함수 회귀 방정식은 Y = 0.0204X2 - 0.7979X + 8.6784 (R2 = 0.935, P<0.0001)이었으며, 이 방정식으로 표현되는 곡선의 가장 낮은 값에서의 체질량지수는 19.5 kg/m2 이었다 (Fig. 2).

3. 최적 체질량지수를 기준으로 이상소견의 유병 교차비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체질 량지수

연령을 보정한 후,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총콜레 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공복혈 당, 요산, ALT, GGT의 이상소견에 대한 유병 교차비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Men (mean±S.D.) n=5,163

Women (mean±S.D.) n=4,827

Age (year) 47.0±10.9 48.2±10.7

Body mass index (kg/m2) 23.7±2.9 23.7±3.1

Systolic blood pressure (mmHg) 124.1±17.4 121.3±19.4

Diastolic blood pressure (mmHg) 77.9±11.0 74.9±11.3

Aspartate aminotransferase (U/L) 25.8±22.2 22.2±44.6

Alanine aminotransferase (U/L) 30.4±34.5 21.2±41.7

Creatinine (mg/dL) 1.0±0.2 0.8±2.9

Uric acid (mg/dL) 5.7±1.3 4.0±1.0

Gamma glutamyl transpeptidase (U/L) 40.7±63.7 16.5±29.3

Total cholesterol (mg/dL) 188.8±36.4 189.3±37.9

Triglyceride (mg/dL) 134.4±90.1 104.0±63.3

HDL-cholesterol (mg/dL) 48.8±13.0 54.5±15.3

Fasting blood sugar (mg/dL) 96.1±29.2 90.8±23.7

Hemoglobin (g/dL) 14.8±1.2 12.4±1.2

(5)

를 최적 체질량지수 (남성 21 kg/m2, 여성 20 kg/m2)를 기준으로 체질량지수별로 산출한 결과는 Table 3, 4에 서와 같다.

남성에서 연령을 보정한 교차비는 수축기혈압, 이완 기혈압,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의 경우 체질 량지수 23 kg/m2 이상에서, 요산과 ALT는 24 kg/m2 상에서, GGT는 25 kg/m2 이상에서, 공복혈당은 28 kg/m2 이상에서, 그리고 총콜레스테롤은 22 kg/m2 상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여성에서 연령을 보정한 교차비는 수축기혈압과 중 성지방의 경우 체질량지수 22 kg/m2 이상에서, 이완기 혈압과 중성지방은 23 kg/m2 이상에서, 공복혈당은 25 kg/m2 이상에서, ALT는 26 kg/m2 이상에서, 고밀도지 단백 콜레스테롤은 27 kg/m2 이상에서, 그리고 요산과 GGT는 29 kg/m2 이상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고 찰

비만을 평가하는 방법 중 Quetelet가 제안한 체질량 지수는 체지방량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여러 문 헌에서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대사성 질환의 이환율 과 그로 인한 사망률이 높다고 밝혀져 있다8∼10). 미국의 경우 전 국민을 대상으로 추출한 표본 중 체 질량지수 25 kg/m2 이상에서 사망률의 증가가 관찰되

며 체질량지수 30 kg/m2 이상에서는 체질량지수 20∼

25 kg/m2인 인구에 비해 사망률이 50∼100%까지 증 가한다고 하여, 체질량지수 25 kg/m2 이상을 과체중으 로, 30 kg/m2 이상을 비만으로 분류하였다2,11). 우리나 라도 비만의 기준을 정하는 데 전 국민을 대상으로 사 망률에 기초한 체질량지수를 이용하는 것이 이상적이 다. 그러나 사망률을 이용한 연구는 많은 비용과 추적 관찰 기간이 필요하므로 지금 우리나라의 실정에서는 거의 불가능하다. 1995년 국민건강조사자료를 이용한 연구는 전국적인 규모에서 유병률을 조사한 연구로 체 질량지수 20.2 kg/m2 이하를 기준으로 할 때 21.9∼

23.8 kg/m2에서 고혈압과 당뇨병의 유병률이 유의하게 증가한다고 보고했다. 그러나 이 연구는 유병률의 유 의한 증가를 설명하는 기준으로 전체 대상의 체질량지 수를 4분위수로 나눈 값 중 제1사분위수를 이용하였으 며, 당뇨와 고혈압만을 유병률에 이용하였고, 체질량 지수나 유병률을 모두 설문에 의존한 단점이 있다12). 본 연구는 이환지수가 가장 낮은 체질량지수를 최적 체질량지수로 설정한 후 이를 기준으로 이환지수의 유 의한 증가를 관찰하였으므로 국민건강조사자료를 이 용한 연구에 비해 객관적인 기준을 이용했다고 할 수 있다. 1994년 의료보험 피보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는 연구결과에 나타났듯이 의료보험 건강진단의 검사 만으로는 이환지수를 이용한 최적 체질량지수를 정확

Fig. 1. The Relationship between Morbidity Index and

Body Mass Index in Male Subjects

y = 0.0197 x - 0.8119 x + 9.8673

R = 0.8774

1.0 1.5 2.0 2.5 3.0 3.5

15 20 25 30

Body Mass Index (kg/m

Morbi dity Inde x (Po ints/Person)

20.6

2

)

2 2

Fig. 2. The Relationship between Morbidity Index and

Body Mass Index in Female Subjects

2

0.0 0.5 1.0 1.5 2.0 2.5

15 20 25 30

Mo rbidity Inde x (Po ints/Pe rson )

19.5

y = 0.0204 x - 0.7979 x + 8.6784 R = 0.9351

2

Body Mass Index (kg/m

2

)

(6)

히 구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18). 본 연구는 건강검진 을 목적으로 한 3차 병원을 방문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여 일반 인구 집단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제한점이 있으나, 이환지수를 임상에 맞게 적용하여 비만관리의 기준을 설정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앞으로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여 이환율이나 사망률을 이용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 이용된 이환지수는 여러 가지 의학적 문 제항목을 기준으로 일본에서 처음 만들어진 이후15∼16), 우리나라에서도 대한비만학회를 비롯한 몇 연구에서 Table 3. Age-Adjusted Prevalence Odds Ratio of Abnormal Finding and Its 95%

Confidence Interval for Men (n=5,163)

BMI SBP DBP TC

20 21 22 23 24 25 26 27 28

1.21 (0.47∼2.17) 1.00

1.28 (0.78∼-2.09) 1.94 (1.22∼3.07) 2.30 (1.47∼3.60) 2.40 (1.53∼3.78) 3.02 (1.90∼4.81) 3.51 (2.19∼5.63) 2.82 (1.65∼4.82)

0.87 (0.42∼1.79) 1.00

1.37 (0.77∼2.41) 2.28 (1.35∼3.85) 2.13 (1.27∼3.59) 2.62 (1.56∼4.40) 2.93 (1.72∼4.99) 4.46 (2.63∼7.56) 2.94 (1.60∼5.39)

1.05 (0.63∼1.73) 1.00

1.81 (1.21∼2.70) 1.65 (1.11∼2.46) 2.09 (1.42∼3.60) 2.75 (1.88∼4.03) 2.75 (1.85∼4.08) 3.12 (2.08∼4.67) 3.26 (2.08∼5.11)

TG HDL FBS

20 21 22 23 24 25 26 27 28

0.69 (0.33∼1.46) 1.00

1.47 (0.85∼2.54) 2.13 (1.27∼3.57) 2.27 (1.37∼3.77) 3.55 (2.17∼5.83) 4.25 (2.57∼7.04) 4.10 (2.44∼6.87) 6.34 (3.69∼10.89)

1.03 (0.54∼2.00) 1.00

1.59 (0.93∼2.70) 2.20 (1.33∼3.63) 2.71 (1.66∼4.41) 2.42 (1.47∼3.98) 3.09 (1.86∼5.11) 2.89 (1.72∼4.88) 2.23 (1.22∼4.09)

0.70 (0.41∼1.21) 1.00

1.23 (0.81∼1.87) 1.11 (0.74∼1.68) 1.20 (0.81∼1.79) 1.36 (0.91∼2.03) 1.43 (0.94∼2.18) 1.36 (0.87∼2.12) 2.01 (1.25∼3.24)

UA ALT GGT

20 21 22 23 24 25 26 27 28

0.75 (0.44∼1.29) 1.00

1.06 (0.69∼1.63) 1.25 (0.83∼1.89) 1.57 (1.06∼2.33) 1.46 (0.98∼2.19) 2.36 (1.58∼3.52) 2.46 (1.63∼3.72) 3.84 (2.47∼5.97)

0.81 (0.50∼1.30) 1.00

1.03 (0.69∼1.52) 1.44 (0.99∼2.08) 1.89 (1.32∼2.69) 2.42 (1.70∼3.44) 3.29 (2.29∼4.71) 3.68 (2.55∼5.33) 5.08 (3.39∼7.62)

0.90 (0.55∼1.49) 1.00

0.95 (0.63∼1.45) 1.23 (0.83∼1.83) 1.25 (0.85∼1.84) 1.79 (1.23∼2.61) 1.81 (1.22∼2.69) 1.79 (1.19∼2.70) 2.25 (1.43∼3.53) Underlined: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95% confidence interval.

BMI: body mass index, SBP: systolic blood pressure, DBP: diastolic blood pressure, TC: total cholesterol, TG: triglyceride, HDL: HDL-cholesterol, FBS: fasting blood sugar, UA: uric acid,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GGT: gamma glutamyl transpeptidase

(7)

이용된 것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임의로 의학적 문제항 목을 정하였다18∼20). 의학적 문제항목 중 고혈압이나 공복혈당 이상, 지방간 등은 국제적으로 정해진 기준 이 있고, 빈혈, 고요산혈증, 고지혈증, 요로감염 등은

검사실마다 정해진 기준이 있어서 기준설정에 무리가 없다[21]. 심장질환은 심전도검사나 흉부 촬영만으로 진단할 수는 없지만 본 연구에서도 다른 연구들과 유 사한 방법을 이용하였다. 폐질환의 경우 결핵의 활동 Table 4. Age-Adjusted Prevalence Odds Ratio of Abnormal Finding and Its 95% Confidence

Interval for Women (n=4,827)

BMI SBP DBP TC

19 20 21 22 23 24 25 26 27

0.79 (0.28∼2.25) 1.00

1.91 (0.94∼3.86) 2.04 (1.04∼4.01) 2.18 (1.13∼4.20) 2.40 (1.25∼4.59) 4.08 (2.15∼7.74) 3.30 (1.72∼6.33) 5.14 (2.67∼9.89)

0.81 (0.20∼3.34) 1.00

1.56 (0.59∼4.13) 1.81 (0.72∼4.54) 2.94 (1.23∼7.03) 2.20 (0.91∼5.33) 3.65 (1.53∼8.68) 4.48 (1.88∼10.66) 6.14 (2.57∼14.67)

1.40 (0.69∼2.85) 1.00

1.64 (0.93∼2.89) 2.56 (1.51∼4.35) 2.74 (1.63∼4.60) 3.33 (2.00∼5.57) 3.51 (2.09∼5.88) 3.84 (2.28∼6.48) 4.50 (2.64∼7.67)

TG HDL FBS

19 20 21 22 23 24 25 26 27

1.56 (0.31∼7.84) 1.00

2.45 (0.68∼8.88) 2.86 (0.83∼9.85) 3.38 (1.01∼11.35) 4.47 (1.35∼14.75) 6.94 (2.13∼22.65) 5.78 (1.74∼19.19) 6.32 (1.88∼21.24)

0.95 (0.39∼2.34) 1.00

0.78 (0.37∼1.66) 0.57 (0.27∼1.24) 1.40 (0.73∼2.68) 1.57 (0.82∼3.00) 1.31 (0.67∼2.57) 1.51 (0.76∼2.99) 2.38 (1.21∼4.67)

0.70 (0.21∼2.36) 1.00

1.09 (0.47∼2.55) 1.25 (0.57∼2.75) 1.52 (0.72∼3.24) 2.05 (0.98∼4.27) 2.47 (1.19∼5.13) 2.32 (1.10∼4.89) 2.62 (1.22∼5.62)

UA ALT GGT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0.71 (0.17∼2.91) 1.00

0.77 (0.26∼2.33) 0.94 (0.34∼2.57) 1.49 (0.59∼3.76) 1.10 (0.42∼2.87) 1.95 (0.78∼4.87) 2.35 (0.94∼5.92) 1.61 (0.59∼4.39) 1.85 (0.64∼5.34) 3.10 (1.07∼9.00)

2.25 (0.92∼5.50) 1.00

1.42 (0.63∼3.18) 1.55 (0.72∼3.33) 1.77 (0.84∼3.74) 1.49 (0.70∼3.18) 1.99 (0.94∼4.21) 2.62 (1.24∼5.54) 3.85 (1.83∼8.11) 3.67 (1.67∼8.06) 6.59 (2.97∼14.63)

1.31 (0.34∼5.00) 1.00

0.79 (0.24∼2.63) 0.50 (0.14∼1.76) 1.23 (0.44∼3.45) 0.95 (0.32∼2.76) 0.78 (0.25∼2.42) 1.65 (0.58∼4.69) 1.73 (0.59∼5.11) 2.67 (0.90∼7.95) 3.21 (1.01∼10.15) Underlined: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95% confidence interval.

BMI: body mass index, SBP & DBP: systolic & diastolic blood pressure, TC: total cholesterol, TG: triglyceride, HDL: HDL-cholesterol, FBS: fasting blood sugar, UA: uric acid,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GGT: γ-glutamyl transpeptidase

(8)

성을 흉부 촬영만으로는 판단할 수 없는데, 객담검사 를 함께 시행한 연구가 있었으나 대상의 특성상 본 연 구에서는 시행하지 못하였다. 위장질환의 경우 상부 위장관 조영촬영상 어느 정도의 위염을 이상으로 보느 냐에 있어서 주관성이 있을 수 있으나 고도의 위염 이 상을 기준으로 하였고, 대장질환을 평가하는 기준이 다른 연구에는 없어 본 연구에서는 대변 잠혈검사를 추가하였다. 신장질환의 경우 다른 연구들에서는 요단 백이나 요잠혈이 있을 경우 비정상으로 간주했는데, 고혈압이나 공복혈당이상이 있는 경우 요단백 양성항 목이 중복될 수 있으므로 요단백은 고혈압이나 공복혈 당이상이 없는 경우로 제한하였고, 요잠혈은 폐경기전 여성에서 생리주기에 따라 위양성이 있으므로 본 연구 에서는 제외하고, 신장기능을 가장 잘 보여주는 크레 아티닌을 추가하였다. 다른 연구들의 기준항목에는 없 으나 본 연구에서는 비만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담 석증도 추가하였다22,23).

체질량지수를 이용하여 비만을 분류한 연구로 미국 의 국민보건 및 영양평가 자료가 대표적이다2,11,24). NHANES II (1976∼1980년)에서 과체중을 20∼29세 의 성인 남녀의 체질량지수의 85 percentile 이상일 경 우로 정의하였을 때 남성에서 체질량지수가 27.8 kg/m2 이상, 여성에서 체질량지수가 27.3 kg/m2 이상 이었고, 이를 기준으로 한 과체중의 이환율은 남성에 서 24.1%, 여성에서 26.5%로 평균 25.4%이었으며, 평균 체질량지수는 남성에서 25.5 kg/m2, 여성에서 25.4 kg/m2이었다2). 1988년에서 1991년까지 시행된 NHANES III Phase 1에서는 과체중의 이환율이 남성 에서 31.7%, 여성에서 34.9%로 평균 33.3%으로 증가 하여 미국 인구의 3분의 1이 과체중인 것으로 보고되 었다. 또한 평균 체질량지수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26.3 kg/m2으로 증가하였다11,24).

본 연구에서의 평균 체질량지수는 남성에서 23.7±

2.9 kg/m2, 여성에서 23.7±3.1 kg/m2로 미국의 NHANES III phase 1에서의 자료에 비해 낮았으며, 96년 공무원 및 교직원 의료보험 피보험자 건강진단자료의 결과인 남성 23.6±2.7 kg/m2, 여성 21.3±2.6 kg/m2과 비교하 여 남성에서는 유사하였고 여성에서는 약간 높은 결과 를 보였다[12]. 85 percentile에서의 체질량지수는 남

성에서 26.7 kg/m2, 여성에서 26.9 kg/m2로 검진센터 자료를 이용한 김상만 등의 연구인 남성 26 kg/m2, 여 성 25 kg/m2에 비해 약간 높았다[20]. 95 percentile에 서의 체질량지수는 남성에서 28.3 kg/m2, 여성에서 29.0 kg/m2으로 96년 공무원 및 교직원 의료보험 피보 험자 건강진단자료에서의 남성에서 28.0 kg/m2, 여성 에서 25.9 kg/m2에 비해 여성에서 높게 나왔다12). 김상 만 등20)의 연구에서도 95 percentile에서의 체질량지수 는 남성 28 kg/m2, 여성 28 kg/m2로 남녀간에 평균 체 질량지수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비만한 여성들이 건강검진을 받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추측된다.

본 연구에서 산출된 최적 체질량지수는 이차함수 회 귀방정식 곡선의 최하점의 값인 남성에서 20.6 kg/m2, 여성에서 19.5 kg/m2를 각각 반올림한 남성에서 21 kg/m2, 여성에서 20 kg/m2으로 정하였다. 비만 관리에 서 목표로 할 체질량지수의 산출에 있어서 남성에서는 비만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검사항목들의 최적 체질 량지수를 기준으로 한 교차비가 공복혈당, GGT, 그리 고 총콜레스테롤 이외에는 주로 체질량지수 23∼24 kg/m2 이상에서부터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므로 비만 관리시 목표로 할 체질량지수를 이런 수준으로 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여성에서는 수축기혈압, 이 완기혈압,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최적 체질량지 수를 기준으로 한 교차비가 체질량지수 22∼23 kg/m2 이상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므로 이런 수준에서 비 만관리시의 목표로 할 체질량지수를 정할 수 있을 것 으로 생각되나, 공복혈당, 요산, ALT, 그리고 GGT는 최적 체질량지수를 기준으로 하여 교차비의 유의한 증 가를 보이는 체질량지수는 모두 26 kg/m2 이상에서 시 작되는 것으로 나타나 여성에서 목표로 할 체질량지수 의 산출에 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이환지수의 의학적 문제 항 목 선정이 연구자마다 다소 달라 표준화되어 있지 않 다는 것과 각각의 의학적 문제들간의 가중치 부여가 필요한데 현실적으로 어려워 이를 고려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앞으로 이를 보완한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 과체중이거나 비만한 사람들에 서 이환지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과체중이거나 비만한 사람이 체중을 줄일 경우 이환지수가 감소할

(9)

지에는 의문이 있다. 여기에 대해서는 과체중이거나 비만한 사람들을 추적 관찰하여 체중이 감소한 사람들 에서 이환지수의 유의한 감소가 있는지에 대한 코호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망률을 기준으로 한 연구들에서는 흡연유무에 따라 체질량지수에 따른 사망률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본 연구에 서는 이환지수를 기준으로 하였으므로 다소 차이가 있 기는 하지만 흡연에 의한 영향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했으며 앞으로 여기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Background: Body mass index (BMI) is interna-

tionally accepted as an index of degree of overweight and obesity. Because Asian have different body frame and lower average BMI than whites, the classification of overweight and obesity recommend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cannot be directly applied to Korean. Therefore we estimated ideal BMI and determined the level of BMI for obesity management in Korean.

Methods: We investigated 9,990 men and women

who visited a health promotion center, in the period May 1996 to May 1999. Thirteen medical problems served as indices of morbidity: hypertension, dyslipidemia, impaired fasting glucose, hyperuricemia, gallstone, liver disease, urinary tract infection, fatty liver, anemia, heart disease, gastrointestinal disease, lung disease, and renal disease. BMI (kg/m2) versus morbidity index was plotted and quadratic regression curve was drawn. Value of BMI at the lowest point of the curve was defined as ideal BMI. The prevalence odds ratio was estimated in each categories of BMI based on value of ideal BMI.

Results: Value of BMI at the lowest morbidity

was 20.6 kg/m2 in men and 19.5 kg/m2 in women, and prevalence odds ratio of BMI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morbidity above 23∼24 kg/m2 in men

and 22∼23 kg/m2 in women.

Conclusion: We propose that ideal BMI is 21

kg/m2 in men and 20 kg/m2 in women, and the level of BMI for obesity management is 23∼24 kg/m2 in men and 22∼23 kg/m2 in women.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Key Words: Body mass index, Morbidity, Obesity

참 고 문 헌

1. World Health Organization. Obesity Epidemic Puts Millions at Risk from Disease. Press Release WHO/46, 1997.

2. Kuczmarski RJ, Flegal KM, Campbell SM, Johnson CL. Increasing prevalence of overweight among U.S. adults.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1960 to 1991.

JAMA 1994;272:205-211.

3. 보건복지부. 국민영양조사 보고서. 1990, 1991, 1992, 1995.

4. 대한비만학회. 임상비만학, 1판, pp 171-178, 서울, 고려의학, 1995.

5. Manson JE, Willett WC, Stampfer MJ, Colditz GA, Hunter DJ, Hankinson SE, et al. Body weight and mortality among women. N Engl J Med 1995;333:677-685.

6. Brennan PJ, Simpson JM, Blacket RB, McGilchrist CA. The effects of body weight on serum cholesterol, serum triglycerides, serum urate, and systolic blood pressure. Aust N Z J Med 1980;

10:15-20.

7.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Clinical guidelines on the identifica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 1998.

8. Keys A, Fidanza F, Karvonen MJ, Kimura N, Taylor HL. Indices of relative weight and obesity. J Chronic Dis 1971;25:329-343.

9. Garrow JS, Webster J. Quetelet's index (W/H2) as a measure of fatness. Int J Obes 1985;9:147-153.

(10)

10. Deurenberg P, Weststrate JA, Seidell JC. Body mass index as a measure of body fatness: age- and sex-specific prediction formulas. Br J Nutr 1991;65:105-114.

11. Flegal KM, Carroll MD, Kuczmarski RJ, Johnson CL. Overweight and obesity in the United States: prevalence and trends, 1960-1994.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1998;22:39-47.

12. 문옥륜, 김남순, 장선미, 윤태호, 김성옥. 국민건강 조사 자료를 통한 체질량지수와 고혈압과 당뇨병 유병률과의 관계. 가정의학회지 1999;20:771-785.

13. The WHO MONICA Project. Geographical variation in the major risk factors for coronary heart disease in men and women aged 36-64 years.

World Health Stat Q 1988;41:115-140.

14. Wang J, Thornoton J, Russel M, Burastero S, Heymsfield S, Pierson RN. Asian have lower body mass index (BMI) but higher percent body fat than do whites: comparison of anthropometric measurement. Am J Clin Nutr 1994;60:23-28.

15. Tokunaga K, Matsuzawa Y, Kotani K, Keno Y, Kobatake T, Fujioka S, et al. Ideal body weight estimated from the body mass index with the lowest morbidity. Int J Obes 1991;15:1-5.

16. 日本肥滿學會 肥滿症 診療のてびき 編輯委員 會. 肥滿症 診療․治療․指導のてびき. 醫齒藥 出版株式會社 1993.

17. 한승태, 최중명, 윤태영, 박순영, 유동준. 일부 공 무원 및 사립학교 교직원들의 비만도에 관한 연구.

대한비만학회지 1996;5:29-39.

18. 대한비만학회. 의료보험공단 건강진단 자료를 이 용한 연령별 이상체중의 산출. 대한비만학회지 1997;6:15-26.

19. Shimada N, Yoshida K, Matsuda H, Izuno T, Umetada Y. Determination of the management level for a body mass index using multivariate analysis. Nippon Eiseigaku Zasshi 1991;45:1095- 1101.

20. 김상만, 김광민, 최희정, 윤수진, 이득주. 건진센터 수검자 자료를 이용한 비만지표에 대한 연구. 대 한비만학회지 1997;6:137-142.

21.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The six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NIH publication 1997.

22. Stampfer MJ, Maclure KM, Colditz GA, Manson JE, Willett WC. Risk of symptomatic gallstones in women with severe obesity. Am J Clin Nutr 1992;55:652-658.

23. Khare M, Everhart JE, Maurer KR, Hill MC.

Association of ethnicity and body mass index with gallstone disease in the United State. Am J Epidemiol 1995;141:S69.

24. Kuczmarski RJ, Carrol MD, Flegal KM, Troiano RP. Varying body mass index cutoff points to describe overweight prevalence among U.S.

adults: NHANES III(1988 to 1994). Obes Res 1997;5:542-548.

수치

Table  1.  Criteria  for  Abnormal  Medical  Problems Medical  problem Criteria  for  abnormal  finding (positive  rate)
Fig.  2.  The  Relationship  between  Morbidity  Index  and  Body  Mass  Index  in  Female  Subjects

참조

관련 문서

• The fundamental relation between the forces acting on a rigid body in plane motion and the acceleration of its mass center and the angular acceleration of the body is

First, uniformity in the form of cooperative classes recommended by the Korea Culture, Arts and Education Promotion Agency, the main body of the support

Analysis of body characteristics on olive flounder ( Paralichthys oilvaceus ) fed on the extruded and moist pellets (body weight, body length, body height and body width) ·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Da Vinci body board exercise program affects the body balance and physical stress of women with body imbalance.. For

Comparison of the prevalence of Malnutrition and Overweight, Obesity between South Korean families and North Korean refugees families 15 Table 5.. Comparison of th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the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Keilins respiratory chain concept and it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whether socioeconomic level of parents affects obesity of adolescents and whether the relations between adolescent's obesity

• The fundamental relation between the forces acting on a rigid body in plane motion and the acceleration of its mass center and the angular acceleration of the bo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