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and Coronary Artery Calcium Score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and Coronary Artery Calcium Score"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교대근무란 작업자들을 2개 이상의 그룹으로 구분하여 각기 다 른 시간대에 업무에 종사하게 함으로써 작업장 전체의 노동시간을 늘리는 작업조직 방법으로,1) 교대근무가 암, 심혈관계질환, 대사증 후군 등의 질병 발생률 증가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면서2) 근무형태와 근로자의 질병상태와의 관계에 대해 관심 이 고조되고 있다.

한편 2015년 세계보건기구의 통계에 따르면 허혈성 심장질환은 전

세계 사망 원인 중 8.76%를 차지하고 있어 단일 질병에 의한 사망 원 인 1위에 해당한다.3) 허혈성 심장질환의 발생에는 고혈압, 당뇨병, 이 상지질혈증, 비만, 흡연, 신체활동 부족 등 여러 인자들이 복합적으 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최근 허혈성 심장질환 발생에 교 대근무가 관여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다.4-6) 하지만 이에 대한 우리나라의 연구는 부족한 실정으로 교대근무와 심혈관질환 의 개별 위험 요인들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또는 교대근무와 심혈 관질환의 몇몇 증상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소수 있을 뿐이었 다.7-10)

Received March 3, 2017 Revised May 4, 2017 Accepted May 26, 2017 Corresponding author Young-jee Jeon

Tel: +82-52-250-7229, Fax: +82-52-250-7228 E-mail: yjjeon@uuh.ulsan.kr

Copyright © 2017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 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Original Article

https://doi.org/10.21215/kjfp.2017.7.5.764 eISSN 2233-9116

Korean J Fam Pract. 2017;7(5):764-76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교대근무와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와의 관련성

진현민, 전영지*, 조윤정, 김대영, 김선정, 김정호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울산대학교병원 가정의학교실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and Coronary Artery Calcium Score

Hyun-min Jin, Young-jee Jeon*, Youn-jung Cho, Dae-young Kim, Seon-jeong Kim, Jeong-ho Kim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Ulsan University Hospital,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Ulsan, Korea

Background: Shift work is well known to increase the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CHD). However, only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South Korea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and CH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and CHD in South Korea by using coronary artery calcium score (CAC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composed of 1,587 workers who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at Ulsan University Hospital and underwent CACS between January 1, 2015 and June 30, 2016. We excluded patients previously diagnosed as having CH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work pattern (shift work or not), and t-test and chi-square test were used to evaluate baselin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groups.

CACS was categorized into CACS of ≤0 and >0. We performe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investigate associations between shift work and CACS.

Results: The CACS of the shift work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on-shift workers (94.27 vs. 33.34; P<0.05). In the shift-work group, the odds ratio (OR) for CACS of >0 was significantly higher (OR, 1.90; 95% confidence interval [CI], 1.50–2.41). This result was consistent after adjusting for confounders (age, sex, systolic blood pressure, total cholesterol,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smoking, drinking, waist circumference, physical activity, education level, and monthly income; OR, 1.64; 95% CI, 1.17–2.29).

Conclusion: Shift workers had higher CACSs than the traditional daytime workers, and the odds of high CACS in the shift workers was high after adjusting for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e should pay attention to modify lifestyle and educate to prevent CHDs in shift workers.

Keywords: Coronary Artery Calcium Score; Shift Work; Non-Shift Work; Cardio-Vascular Risk Factors

(2)

진현민 외. 교대근무와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와의 관련성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허혈성 심장질환은 관상동맥의 죽상 경화가 진행되면서 발병하 기 때문에 허혈성 심장질환의 증상이 발현되기 전에 죽상 경화 정도 를 평가하는 것이 심혈관질환의 예방에 중요하다.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coronary artery calcium scoring)는 다중절편 방사선 단층 촬영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DCT)이라는 방법을 사용하 여 관상동맥의 석회화 정도 및 죽상 경화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검사도구이다. 지난 연구에 따르면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발생과 양의 상관관계에 있다고 판단되고,11) 프 래밍험 위험 점수(Framingham risk score)에 속하는 전통적인 위험인 자보다 허혈성 심장질환의 발생에 대한 독립적인 예측도가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허혈성 심장질환의 발생에 교대근무, 비 교대근무라는 근무형태가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는 우리나라의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일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한 무증상 성인에서 비교대근무자에 비교하여 교대근무자의 허헐성 심장질환 위험도를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를 이용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2015년 1월 1일부터 2016년 6월 30일까지 울산대학교병 원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하여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가 포함된 건강 검진을 시행한 무증상 성인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루어졌고, 허혈 성 심장질환을 진단받은 과거력이 있는 자 및 설문지 미응답자를 제 외한 총 1,587명을 대상으로 단면연구를 실시하였다.

2. 연구 방법 1) 설문 조사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했을 때 생활 습관, 사회 경제적 환경 및 근 무형태가 포함된 문진표가 제공되었다. 문진표에는 근무형태에 관 한 항목 외에 과거 병력, 교육 수준, 평균 소득, 흡연력, 음주력 등에 관한 문항이 포함되었다.

2) 신체계측, 혈액학적 검사

자동 신장/체중 측정기로 신장 및 체중을 측정하여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BMI)를 계산하였고, 허리둘레(waist circumference) 는 직립자세에서 늑골의 최하단부와 엉덩뼈능선 최상단부의 중간 지점에서 가볍게 숨을 내쉰 상태에서 측정되었다. 5분 이상 안정 후 자동혈압계를 이용하여 혈압을 측정하였고, 8시간 이상 공복 후 정

맥혈에서 혈액을 채취한 후 공복혈당, 당화혈색소,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 지질단백 콜레스테롤 및 저밀도 지질단백 콜레스 테롤을 측정하였다.

3) 변수 설명

흡연은 비흡연자, 과거흡연자, 현재흡연자로 구분하였고, 음주는 술의 종류와 관계없이 술을 마시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으로 구 분하였다. 평소보다 훨씬 더 숨이 차게 만드는 격렬한 활동(달리기, 등산, 빠른 속도로 자전거 타기 등)을 하루 20분 이상 시행한 것을 강 도 높은 운동으로 정의하였고, 주 3일 이상, 주 3일 미만으로 분류하 였다. BMI는 정상(18.5 kg/m2 이상, 22.9 kg/m2 이하)/저체중(18.5 kg/m2 미만), 과체중(23.0 kg/m2 이상, 24.9 kg/m2 이하), 비만(25.0 kg/m2 이상) 으로 분류하였다. 교육은 고등학교 졸업 이하, 전문대학교 졸업 이상 의 두 군으로 분류하였고, 월수입은 가족전체의 수입을 기준으로 200만 원 미만, 200만 원–400만 원 미만, 400만 원–600만 원 미만, 600 만 원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월수입은 본 연구에서 사용된 건강검진 수검자용 문진표의 소득기준을 참고로 하여 구분하였다. 마지막으 로 연구대상자가 속한 직업군 및 업무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하여 한 국표준직업분류13)를 기준으로 육체노동의 정도에 따라 생산직, 서 비스/판매직, 사무직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였다.

4)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 측정

MDCT (SOMATOM Definition Flash; Siemens Medical Solutions, Forchheim, Germany)를 사용하여 관상동맥 CT 혈관 조영술 검사를 시행하였고,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는 혈관석회화 계산 소프트웨어 (SmartScore; GE Healthcare, San Francisco, CA, USA)를 사용하여 계 산하였다.

5) 통계 분석

근무형태를 교대근무와 비교대근무로 나누어 두 군 간의 차이를 t-검정, 카이제곱검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변수인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에 대하여 0점인 군과 0점을 초과하는 두 군으로 나눈 후 근무 형태에 따른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의 교차비(odds ratio, OR)를 계산 하였다. OR은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P<0.05로 정의하였으며 모든 통계적 자료 분석 은 IBM SPSS Statistics ver. 21.0 (IBM Co., Armonk, NY, USA)를 사용하 였다.

Original Article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3)

Hyun-min Jin, et al.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and Coronary Artery Calcium Score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결 과

1.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

근무형태에 따라 구분된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은 Tables 1, 2와 같다. 연구 대상자의 평균나이는 비교대근무자가 54.67세, 교 대근무자가 55.16세로 교대근무자에서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는 없었고(P=0.22), 교대근무자(88.1%)에서 남성근로자의 비 율이 의미 있게 높았다(P<0.05). 비교대근무자에서 비흡연자(50.2%) 의 비율이 높았고, 교대근무자에서 과거 흡연자(50.6%) 및 현재 흡연 자(21.2%)의 비율이 높았으며(P<0.05), 음주자의 비율 또한 교대근무 자(68.9%)에서 비교대근무자(59.7%)보다 높았다(P<0.05). 주 3회 이상 강도 높은 운동을 하는 사람은 교대근무자(36.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P<0.05). 가족 월평균수입의 경우 200만원 미만은

교대근무자와 비교대근무자의 비율에 차이가 없었으나, 200만 원 이 상 600만 원 미만의 비율은 교대근무자(58.7%)에서 높았고, 600만 원 이상의 고소득자 비율은 비교대근무자(54.6%)에서 높았다(P<0.05).

전문대학교 졸업 이상의 고학력자 비율은 교대근무자(67.2%)에서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비교대근무자에서 정상/저체중(32.2%) 및 비만(38.1%)의 비율이 높았고, 교대근무자에서 과체중(34.0%)의 비율이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며(P=0.47), 교대근무자에서 허리둘레가 미세하게 높게 측정되었으나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28). 이상 지질혈증(16.0%) 및 당뇨병(14.8%)을 진단받았거나 약물 치료 중인 자의 비율이 교대근무자에서 통계적으로도 의미 있게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P<0.05), 고혈압(27.9%)의 과거력 역시 교대근무자에서 높 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10). 하지만 검진 당시 측정한 혈 압에서는 교대근무자가 수축기 혈압(127.02 mmHg) 및 이완기 혈압

Table 1. Demographic and lifestyl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c- cording to work type

Characteristic

Shift work

P-value* No

(n=1,217)

Yes (n=370)

Age (y) 54.67 (0.22) 55.16 (0.34) 0.22

Sex <0.05

Male 62.8% 88.1%

Female 37.2% 11.9%

Smoking status <0.05

Non-smoker 50.2% 28.2%

Ex-smoker 30.0% 50.6%

Current smoker 19.7% 21.2%

Alcohol consumption <0.05

Never 40.3% 31.1%

≥Once a weak 59.7% 68.9%

Vigorous physical activity <0.05

≥3 days a weak 22.0% 36.6%

Never 78.0% 63.4%

Monthly income (10,000 KRW/mo) <0.05

<200 6.3% 6.3%

≥200 and <400 16.1% 28.7%

≥400 and <600 22.9% 30.0%

≥600 54.6% 35.0%

Educational level <0.05

College or more 33.0% 67.2%

High school or less type of occupation 67.1% 33.1%

Manual workers 26.3% 82.3% <0.05

Service/sales workers 19.9% 7.9%

Non-manual workers 53.8% 9.8%

KRW, Korean won.

*P-value from one-way ANOVA for a continuous variable and chi-square test for categorical variables comparing a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Estimated mean (standard error); Doing vigorous physical activity defined that participants did activities required a large amount of effort and causes rapid breathing and a substantial increase in heart rate, such as running, fast cycling, fast swimming, climbing briskly up a hill, and etc. more than 20 minutes a day.

Table 2. Clinical and metabol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work type

Characteristic Shift work

P-value* No (n=1,217) Yes (n=370)

Waist circumference(cm) 85.61 (0.22) 86.08 (0.38) 0.28

Body mass index (kg/m2) 0.47

Normal/underweight 32.2% 29.0%

Overweight 29.8% 34.0%

Obese 38.1% 37.0%

Hypertension 0.10

No 76.4% 72.1%

Yes 23.6% 27.9%

Diabetes mellitus <0.05

No 90.0% 85.2%

Yes 10.0% 14.8%

Dyslipidemia <0.05

No 92.2% 84.0%

Yes 7.8% 16.0%

Systolic BP (mmHg) 124.31 (0.37) 127.02 (0.63) <0.05 Diastolic BP (mmHg) 78.33 (0.24) 80.29 (0.46) <0.05 Lipid profile (mg/dL)

Total cholesterol 198.24 (1.08) 197.94 (2.08) 0.90 Triglycerides 114.55 (1.98) 120.43 (4.06) 0.18 HDL cholesterol 54.07 (0.44) 51.09 (0.75) <0.05 LDL cholesterol 132.63 (1.00) 133.80 (1.92) 0.59 Fasting blood glucose (mg/dL) 97.29 (0.63) 100.73 (1.42) <0.05

HbA1C (%) 5.58 (0.02) 5.65 (0.05) 0.18

CACS 33.34 (3.54) 94.27 (14.43) <0.05

≤0 66.6% 51.1% <0.05

>0 33.4% 48.9%

HDL, high density lipoprotein; LDL, low density lipoprotein; CACS, coronary ar- tery calcium scoring.

*P-value from one-way ANOVA for a continuous variable and chi-square test for categorical variables comparing a difference between 2 groups; Estimated mean (standard error).

(4)

진현민 외. 교대근무와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와의 관련성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80.29 mmHg) 양쪽 다 비교대근무자에 비하여 높게 측정되었다 (P<0.05). 이상지질혈증에 대한 실험실 검사에서는 고밀도 지질단백 콜레스테롤만이 의미 있는 결과를 보였고 비교대근무자(54.07 mg/

dL)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당화혈색소는 비교대근무자에서 5.58%, 교대근무자에서 5.65%로 교대근무자에서 미세하게 높게 측 정되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18). 교대근무자에서는 생 산직(82.3%)의 비율이, 비교대근무자에서는 사무직(53.8%) 및 서비 스, 판매직(19.9%)의 비율이 의미 있게 높았다(P<0.05).

교대근무자의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는 94.27점으로 비교대근무 자의 33.34점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고(P<0.05), 또한 관상동맥 석회 화 점수를 0 이하, 0 초과 두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에도 관 상동맥 석회화 점수가 0을 넘어서는 근로자의 비율이 교대근무자에 서(48.9%) 유의하게 높았다(P<0.05).

2. 근무형태에 대한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의 교차비

교대근무 혹은 비교대근무라는 근무형태에 따른 관상동맥 석회 화 점수의 위험도를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 고, 그 결과를 Table 3에 정리하였다. 모델 1에서는 나이와 성별만을 보정하였고, 모델 2에서는 나이, 성별에 더하여 심혈관계 위험인자인 pooled cohort 10-year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ssess- ment equation14)에 해당하는 항목(수축기 혈압, 총 콜레스테롤, 고밀 도 지질단백 콜레스테롤, 고혈압, 당뇨병, 흡연)을 함께 보정하였다.

모델 3에서 허리둘레, 음주상태 및 강도 높은 운동 항목을 추가로 보 정하였고, 마지막으로 모델 4에서는 위 항목에 더하여 사회 경제적 지위(social economic status)를 반영하는 교육 정도와 가족 월평균 수 입 정도를 함께 보정하였다.

비교대근무자에 비하여 교대근무자에서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 가 0 이상인 OR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는데(OR=1.90, 95% con- fidence interval [CI]=1.50–2.41), 이러한 경향성은 심혈관계 위험인자 를 보정한 후에도 유지되었고(OR=1.47; 95% CI=1.09–1.98), 사회경제

적 지위를 추가로 보정한 모델에서도 일관되게 관찰되었다(OR=1.64;

95% CI=1.17–2.29).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비교대근무자에 비교하여 교대근무자의 허헐성 심장질환 위험도를 알아 보기 위하여 심혈관질환의 조기 진단방법 인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를 이용하였고, 비교대근무자에 비하여 교 대근무자에서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가 의미 있게 높은 결과를 확인 하였다. 또한 교대근무자에서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가 0을 초과하 는 OR이 유의하게 높았고, 심혈관계 위험인자 등 다른 혼란 변수들 을 모두 보정한 후에도 이러한 경향성은 유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교대근무가 허혈성 심장질환의 발생률 증가에도 관여할 수 있을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

교대근무와 허혈성 심장질환과의 관련성에 대하여 양의 상관관 계를 보여주는 외국의 논문은 다수 존재한다.4,5) 한 메타연구에서는 교대근무자들이 비교대근무자들에 비하여 허혈성 심장질환에 대 하여 24% 증가된 위험도를 가진다는 결과를 보고하였고,5) 교대근무 기간이 길어질수록 허혈성 심장질환의 발생 위험도는 더 증가하 며,15) 교대근무를 그만둔 시점부터 그 위험도가 감소한다는 연구 결 과도 보고되었다.16) 또한 최근 몇몇의 전향적 코호트 연구에서 교대 근무가 허혈성 심장질환의 위험도를 높인다는 결과를 보여,16,17) 허혈 성 심장질환과 교대근무 사의의 인과관계에 대하여 이전의 연구들 과 일관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교대근무가 허혈성 심장질환의 발병 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 기전에 관하여 받아들여지고 있는 가 설은 첫 번째로 생리적 리듬의 교란(당내성의 감소, 인슐린 저항, 코 티졸 수치의 증가), 두 번째로 생활습관의 변화(흡연, 음주와 건강하 지 못한 식습관), 세 번째로 사회적 문제(스트레스)를 지적하고 있 다.18) 한편 이에 대한 우리나라의 연구는 부족한 실정으로 교대근무 와 심혈관질환의 개별 위험 요인들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또는 교 Table 3. Estimated odds ratio (OR) of coronary artery calcium score >0 by work shift type

Variable Crude OR (95% CI) Adjusted OR (95% CI)

Model 1 Model 2 Model 3 Model 4

Shift work

No 1.00 1.00 1.00 1.00 1.00

Yes 1.90 (1.50–2.41) 1.59 (1.23–2.04) 1.40 (1.04–1.87) 1.47 (1.09–1.98) 1.64 (1.17–2.29)

P-value* 0.00 0.00 0.02 0.01 0.00

CI, confidence interval; Model 1, adjusted for age, gender; Model 2, adjusted for age, gender, systolic blood pressure (BP), total cholesterol, high density lipoprotein (HDL)-cholesterol, hypertension (HTN), diabetes mellitus (DM), smoking; Model 3, adjusted for age, gender, systolic BP,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HTN, DM, smoking, waist circumference, drinking, vigorous physical activity; Model 4, adjusted for age, gender, systolic BP,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HTN, DM, smoking, waist circumference, drinking, vigorous physical activity, education level, monthly income.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5)

Hyun-min Jin, et al.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and Coronary Artery Calcium Score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대근무와 심혈관질환의 몇몇 증상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소수 있을 뿐이었다. 울산지역 한 자동차공장의 생산직 남자근로자를 대 상으로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요인을 조사한 연구에서 교대근무는 수축기 혈압과 체중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고, 교대근무자에서 apolipoprotein B와 A-1의 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7) 한편 남성 생 산직 근로자 및 여성 간호사를 대상으로 교대근무와 심혈관계질환 의 대사성 위험요인을 분석한 연구에서는 교대근무 기간이 증가함 에 따라 혈압이 유의하게 상승하는 결과를 보여주었고,8,9) 여성 노동 자를 대상으로 심혈관계 증상을 조사한 연구에서 교대근무자에게 유의하게 증상 발현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10)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교대근무자의 직업병이나 건강상태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았고, 특히 허혈성 심장 질환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으로 심혈관질환 개 별 위험인자와 교대근무, 혹은 심혈관질환 증상과 교대근무와의 관 련성을 살펴본 연구가 소수 시행되었을 뿐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는 교대근무와 허혈성 심장질환의 위험도와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 하여 이미 다른 연구에서 타당성을 검증 받은 바 있는 관상동맥 석 회화 점수11,12)라는 객관적인 도구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강점으로 제 시할 수 있겠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근무형태에 대한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의 OR을 보여주기 위하여 심혈관계 위험인자들을 단계 적으로 보정하여 4가지 모델로 제시하였고, 일관되게 교대근무자에 서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가 0을 초과하는 OR이 유의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여러 제한점을 갖는다. 첫째, 단면연구이므로 교대근무 와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 사이의 인과관계를 증명하는 데는 어려움 이 있고, 따라서 인과관계를 밝히기 위한 대규모의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교대근무와 비교대근무에서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 평균값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기는 했으나, 이 값이 실제 임상현장에 서 향후 치료방향을 결정하는 데 차이를 만들 정도라는 아니라는 점이다.19) 이는 연구대상이 건강검진에 참가한 무증상의 건강한 성 인 노동자이며 연구 대상자의 수가 많지 않기 때문으로 생각할 수 있겠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지역이 울산에 한정되어 있다는 것이 단 점으로 지적될 수 있으나, 역으로 지역적 제한을 통하여 비교적 동질 성 있는 인구 집단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할 수 있었다고도 생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허혈성 심장질환의 발생에 관여하는 여러 요인 중 교대근무 근속연수, 교대근무 시 야간작업의 시간, 교대근무 시 작 업 환경 등 교대근무자의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세부적 인 사항을 고려하지 못 했고, 직무 스트레스나 유해인자 등의 직업적 인 요인을 고려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무증상 성인 근로자에게서 심혈관계

위험인자들을 보정한 후에도 교대근무는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를 유의하게 높이는 것을 확인하였고, 따라서 교대근무자들의 허혈성 심장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생활습관교정 및 교육에 주의를 기울여 야겠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아직 이런 본 연구의 결과 를 보편화 하기에는 한계점이 있어, 추후 다양한 인종 및 성별, 더 많 은 인구집단을 통한 추가적인 연구들이 필요할 것이며 좀 더 명확한 관계성을 보기 위해 전향적 연구들이 시행되어야 하겠다.

요 약

연구배경:

교대근무가 허헐성 심장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잘 알려져 있으나, 우리나라에서 교대근무와 허혈성 심장질환과의 관 련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본 연구는 교대근무자의 허헐성 심장질환 위험도를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를 이용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15년 1월 1일부터 2016년 6월 30일까지 울산대학교병원 건강 증진센터를 방문하여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를 시행한 18세 이상의 성인 중 관상동맥 질환을 진단받은 과거력이 있는 자를 제외한 총 1,587명을 대상으로 단면연구를 하였다. 근무형태를 교대근무와 비 교대근무로 나누어 두 군간의 차이를 t-검정, 카이제곱검정으로 분 석하였다. 결과 변수인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를 0점인 군과 0점을 초 과하는 두 군으로 나눈 후 근무형태에 따른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 의 교차비(odds ratio, OR)를 계산하였다. OR은 다변량 로지스틱 회 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교대근무자의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는 94.27점으로 비교대근 무자의 33.34점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다(P<0.05). 또한 교대근무자에 서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가 0을 초과하는 OR이 더 높았다(OR=1.90;

95% CI=1.50–2.41). 이러한 경향은 심혈관계 위험인자인 나이, 성별, 수축기 혈압,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 지질단백 콜레스테롤, 고혈압, 당뇨병, 흡연 및 음주 상태, 허리둘레, 신체활동 정도, 교육수준, 가족 월평균 수입을 보정한 후에도 관찰되었다(OR=1.64; 95% CI=1.17–

2.29).

결론:

무증상 성인 근로자에게서 심혈관계 위험인자들을 보정한 후 에도 교대근무는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를 유의하게 높였다. 교대근 무자들에게 허혈성 심장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생활습관교정과 교 육에 주의를 기울여야겠다.

중심단어: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 교대근무; 비교대근무; 심혈관계 위험인자

(6)

진현민 외. 교대근무와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와의 관련성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REFERENCES

1.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guide H-22-2011 [Internet]. Seoul: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11.

Available from: http://m.kosha.or.kr/koshaguide/gd.php?c=1&b=1350&g=

5&num=551.

2. Wang XS, Armstrong ME, Cairns BJ, Key TJ, Travis RC. Shift work and chronic disease: the epidemiological evidence. Occup Med (Lond) 2011; 61:

78-89.

3.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top 10 causes of death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cited 2017 Jan 31]. Available from: http://www.

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10/en/.

4. Steenland K, Fine L. Shift work, shift change, and risk of death from heart disease at work. Am J Ind Med 1996; 29: 278-81.

5. Vyas MV, Garg AX, Iansavichus AV, Costella J, Donner A, Laugsand LE, et al.

Shift work and vascular event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MJ 2012; 345: e4800.

6. Mosendane T, Mosendane T, Raal FJ. Shift work and its effects on the car- diovascular system. Cardiovasc J Afr 2008; 19: 210-5.

7. Shin JH, Lee JJ, Lee KS, Sakong J, Kim CY, Chung JH. The effect of day and night shift on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automobile: manufac- turing plant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1995; 7: 28-45.

8. Ha MN, Kim JY, Park JS, Chung HK. Influence of shiftwork duration on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variability in short rotating 8-hour shiftwork- 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1; 13: 180-9.

9. Ha MN, Roh SC, Park JS. Shiftwork duration and metabolic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3; 15: 132-9.

10. Lee KJ, Kim JJ. Relationship of shift work to cardiovascular and gastrointes- tinal symptoms in Korean female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8; 20: 362-71.

11. Raggi P, James G, Coronary calcium screening and coronary risk stratifica-

tion. Curr Atheroscler Rep 2004; 6: 107-11.

12. Taylor AJ, Bindeman J, Feuerstein I, Cao F, Brazaitis M, O’Malley PG. Coro- nary calcium independently predicts incident premature coronary heart disease over measure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mean three-year out- comes in the Prospective Army Coronary Calcium (PACC) project. J Am Coll Cardiol 2005; 46: 807-14.

13. Statistics Korea.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Available from: http://lib1.kostat.go.kr/search/de- tail/CATTOT000000077994?mainLink=/search/tot?oi=DISP01&os=

ASC&briefLink=/search/tot/result?si=TOTAL_A_st=KWRD_A_q=%ED

%95%9C%EA%B5%AD%ED%91%9C%EC%A4%80%EA%B5%90%EC%

9C%A1%EB%B6%84%EB%A5%98.

14. Goff DC Jr, Lloyd-Jones DM, Bennett G, Coady S, D’Agostino RB Sr, Gib- bons R, et al. 2013 ACC/AHA guideline on the assessment of cardiovascu- lar risk: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J Am Coll Cardiol 2014; 63:

2935-59.

15. Knutsson A, Akerstedt T, Jonsson BG, Orth-Gomer K. Increased risk of ischaemic heart disease in shift workers. Lancet 1986; 2: 89-92.

16. Vetter C, Devore EE, Wegrzyn LR, Massa J, Speizer FE, Kawachi I, et al. Asso- ciation between rotating night shift work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among women. JAMA 2016; 315: 1726-34.

17. Fujino Y, Iso H, Tamakoshi A, Inaba Y, Koizumi A, Kubo T, et al. A prospec- tive cohort study of shift work and risk of ischemic heart disease in Japanese male workers. Am J Epidemiol 2006; 164: 128-35.

18. Knutsson A, Bøggild H. Shiftwork and cardiovascular disease: review of disease mechanisms. Rev Environ Health 2000; 15: 359-72.

19. Rumberger JA, Brundage BH, Rader DJ, Kondos G. Electron beam comput- ed tomographic coronary calcium scanning: a review and guidelines for use in asymptomatic persons. Mayo Clin Proc 1999; 74: 243-52.

수치

Table 1. Demographic and lifestyl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c- ac-cording to work type

참조

관련 문서

β -cateni n 유전자 돌연변이는 대장암에서 주로 연구되었고 9-11) , 최근 유령세포가 나타나는 모기질종,두개인두종과 석회화 치성낭에서 β-cateni n

 In the present study, as a preliminary study, a LACC-based Compton CT was developed to estimate the activity of the spot inside the radioactive waste drum. To

The locations of aneurysms were middle cerebral artery in 15 patients, cerebral artery in 15 patients, cerebral artery in 15 patients, cerebral artery in

(Puar)는 서구 사회 장애개념에서 파생한 장애/비장애의 이분법적 정체성이 비서구․비백인 인구에게 ‘불능(debility)’이라는 (장애도 비장애도 아닌) ‘여 분’의

Effects of combined calcium and vitamin D supplementation on insulin secretion, insulin sensitivity and β -cell function in multi-ethnic vitamin D-deficient

Calcium metaphosphate(CMP) Bioactive glasses.. 1 Bioactive spectra for various bioceramic implants.. Solubility of calcium phosphate

치아발생과 같은 기관의 발생과 석회화(mi neral i zati on)와 관련이 있는 BMPR-IB와 EF-handcal ci um bi ndi ng protei n은 APi n의 과발현을 유도한 경우에 는

ƒ Flux lime silica manganese oxide calcium fluoride.. ƒ Flux - lime, silica, mangane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