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뉴욕주의 홍수 저감 전략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뉴욕주의 홍수 저감 전략"

Copied!
1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인터뷰│황하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도시 및 지역계획학과 박사과정(hahwang@buffalo.edu)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건축·조경설계학 석사학위 취득 후 Michigan State University(MSU) 국제계획학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연구원 에서 3년 간 연구원으로 복무 후, 현재 SUNY Buffalo 대학 도시 및 지역계획학과(Department of Urban and Regional Planning)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자연재해 및 테러로부터 도시경제 및 도시기반시설의 효과적 방어 및 계획이며, 그 외에 환경오 염 및 기후변화 관련 연구도 진행 중이다.

e-INTERVIEW

뉴욕주의 홍수 저감 전략

캐서린 브릭 프리드만(Kathryn Bryk Friedman)

Future Floodplains:

Flood Mitigation Strategies in NYS

캐서린 브릭 프리드만 교수는 뉴욕주립대학 버팔로캠퍼스(이하 버팔로 대 학)에서 법률 및 정책학 연구교수로 재직하면서 버팔로 대학 산하 지역개 발기구의 국경지역 및 국제연구센터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미국국제법협 회(American Society of International Law)에서 ‘떠오르는 혁신적인 학자’로 인정 받은 프리드만 교수는 브루킹스(Brookings)나 외교정책협회(Foreign Policy Association) 등에서 주최하는 행사의 단골 스피커로서 관련 학자 및 정책결정자들과 활발하게 소통하며 환경 및 재난 연구에 관한 많은 메시지 를 전하고 있다.

프리드만 교수는 북쪽국경 연구대학 컨소시엄(Northern Border University Research Consortium) 설립을 도왔고, 접경지역 연구대학 네트 워크(Transborder Research University Network)의 운영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캐나다 정부의 외교 및 국제교역부(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and International Trade)가 주 관하는 LAKESNET 계획 및 BORDERNET 계획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외교정책협회(Foreign Policy Association) 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나이아가라 관측소(Niagara Observatory)와 여성국제안보(Women in International Security)의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뉴욕주 변호사협회의 국제법 및 실천 부문(International Law and Practice Section)의 부의장도 맡고 있다.

프리드만 교수는 정치과학 분야의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버팔로 대학에서 국제관계 및 정치경제 비교연구를 수행하여 법학부를 최고 성적으로 졸업했으며, 현재 「Buffalo Law Review」의 편집장을 역임하고 있다. 또한 편 집장으로서의 탁월한 능력 및 법학대학 발전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Carlos C. Alden Award와 Law Faculty Award를 수상하였다.

(2)

황하(이하 ‘황’) 본 인터뷰를 기꺼이 승낙해 주셔서 감 사합니다. 교수님의 연구 주제는 수자원관리, 토지 이용, 자연재해관리, 환경계획, 기후변화 등 넓은 분 야에 걸쳐 있습니다. 그리고 이 모든 연구 주제들은 국토연구원에서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는 주요 연구 주제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 같습니다. 우선, 한 국의 독자들에게 교수님과 주요 연구 관심사에 대해 서 소개해 주십시오.

캐서린 브릭 프리드만(이하 ‘프리드만’) 저는 뉴욕주립대 학교 버팔로캠퍼스에 서 법률 및 정책을 연 구하는 부교수입니다.

제 연구분야는 다양한 데, 사회학자이기도 하고 세부적으로는 정 치학자이자 법학 석사 와 박사학위가 있기에 변호사와 같은 활동도 하고 있습니다. 지난 7∼8년간 계획가들과 함께 일하며, 여러 분야에서 환경문제에 중점을 둔 연구를 해왔습니다.

특히 지난 5년간 오대호(the Great Lakes)에서 수 자원과 관련된 분야의 연구를 진행하면서 지역, 주, 국가 및 국제적 경계를 아우르며 환경 시스템의 프 로토 타입을 만들었고, 덕분에 매우 다양하고 폭넓 은 활동을 할 수 있었습니다.

황 매우 흥미로운 길을 걸어오신 것 같은데요, 이런 연구를 시작하게 된 동기가 있으신가요? 다시 말해, 연구를 시작하게 된 동기는 무엇입니까?

프리드만 솔직히 말하자면, 저는 복잡한 시스템에서 해결방안을 찾아내는 과정을 좋아합니다. 협상과 관

리가 필요한 영역일수록 다양한 관점이 필요합니다.

이는 단순히 서로 다른 분야가 아닌 학문 외적인 부 분, 즉 일반인뿐 아니라 전문가까지 포함하는 폭넓 은 관점이어야 합니다. 공무원, 민간부문, 비정부기 구(NGO), 학계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함께 논 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저는 우리 사회가 당면한 복잡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에 큰 매력을 느낍니 다. 여러 부문의 사람들이 함께 모이면 보다 효율적 인 해결방안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 모 두 문제해결을 위한 논의에 참여해야 합니다.

황 제가 이해하기로는 교수님이 다분야 혹은 분야 간의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체계를 세우는 중재자 로서 역할을 하신 것 같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 까?

프리드만 그렇게도 얘기할 수 있겠네요. 좋은 리더 십은 칼로 자르듯이 역할을 배분하 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각 영역 간 협상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합의에 이르지 않더라도 그 과정이 의 미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합의는 모든 경우에서 도 출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협상은 같은 목표를 향해 서로 다른 관점을 받아들이는 과정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황 그런 의미에서 협상가가 더 적합할 것 같네요. 지 금 교수님께서 가장 관심을 가지고 있는 연구 주제 는 무엇인가요?

프리드만 저는 수자원 체계 및 오대호 유역과 관련된 일을 하고 있습니다. 저는 수자원 체계와 관련된 문 제에 관심이 많은데, 여러 분야의 이해당사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야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경 우이기 때문입니다. 현재는 오대호의 부영양화와 관

저는 수자원 체계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환경문제에 중점을 둔 연구를 수행해 왔습니다.

사회가 당면한 복잡한

문제들의 해결방안을

찾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3)

Ha Hwang (hereafter ‘Hwang’) Thank you for your willingness and acceptance on this interview.

Your research topics cover pretty much broad areas, such as water management and land use, natural disaster management, environmental planning, and climate change. And all of these research topics are closely related to the major research topics that are actively conducted by the KRIHS. First of all, would you please introduce yourself as well as major research interests to the readers in South Korea?

Kathryn Bryk Friedman (hereafter ‘Friedman’) My name is Kathryn Friedman. I am a research associate professor of law and policy at the University at Buffalo (UB). I consider myself a multi- disciplinary scholar. I have been trained as a social scientist, specifically political science, and trained as a lawyer as well. I have both a law degree and a PhD.

I have been hanging around planners over the last 7 to 8 years, and focusing on environmental issues that transcend jurisdictional boundaries.

In particular, I’ve work a lot on the water in the Great Lakes over the last 5 years, sort of as a prototype of environmental system that transcends boundaries; local boundaries, state boundaries, national boundaries, international boundaries, so it has been a very interesting exercise and problem solving for me.

Hwang It seems like you had a very exciting journey. Do you have any motive to initiate or

conduct these researches? In other words, why did you choose to dive into them?

Friedman To be honest, I am just drawn to problem solving in complex systems. The more boundaries that need to be negotiated and managed the better, for me, I truly think that these issues require a broader ray of prospective, not just different disciplines but also expertise and perspectives of people from outside the academy as well. The government officials, private sector, NGO, and academic experts need to sit around the same table and try to crack these problems because there is no single sector or no single discipline to do it. I am drawn to solve the most complex problem facing our society today, because I do think that they can be solved, we need to work together to figure out a way how to solve them.

Hwang So, in my understanding, you have performed as a moderator to organize diverse disciplines to solve inter- or multi-discipline issues, right?

Friedman That might be one way of stating it. I like to think that I have some facilitated leadership skills, so I don’t go in a room and take it over and curve out territories, and say this is mine and this is yours. I do believe more in negotiating across boundaries, not necessarily even conforming consensus because consensus can’t always be achieved but developing a process for appreciating different perspectives with all

(4)

련된 일을 하고 있습니다. 다음 프로젝트는 펜실베이 니아주와 뉴욕주에 속한 많은 지방과 자치구 사이를 흐르고 있는 서스커하나 강(Susquehanna river)의 범람과 관련된 남부지역의 홍수에 관한 연구입니다.

국제자연보호협회[The Nature Conservancy(TNC)]

와 함께 수행할 예정입니다. 이 연구 또한 여러 지역 과 자치구 이해당사자들의 협력이 중요하므로 연구 과정과 내용에 대해 기대가 큽니다.

황 최근 교수님께서 수행하신 the Future Floodplain 연구에 대해서 설명해주십시오. 자세한 이야기에 들어가기 전에 연구의 개요부터 말씀해주시겠습니 까?

프리드만 본 프로젝트는 버팔로 대학의 연구진, 뉴 욕주립대학 환경과학 및 산림대학의 연구진, TNC, 그리고 Genesee Finger Lakes 지역계획 변호인단 (Regional Planning Counsel)과 과거 홍수 피해를 경 험한 로체스터시(Rochester, NY) 산하의 세 개 지역 인 Greece, Parma, Hilton 마을의 공무원도 함께 참 여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머리를 맞대어 그 지역에 서 발생한 홍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 당국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홍수지도 제작과 계획을 수립하 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뉴욕주의 주법과 지방자치단체의 협 력, 그리고 홍수문제에 대한 법적 한계 등 수많은 어 려움이 있었습니다. 홍수 발생 가능성이 있고, 세 개 의 지역이 맞닿아 있는 곳을 환경적인 측면에서 보 호대상지역으로 지정하기 위해 세 지방자치정부 간 양해각서를 체결하였습니다.

홍수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해 거주지역 주 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홍수문제를 다루기 위한 전략을 마련하였습니다. 우리는 사회

경제적 취약성 평가를 실시했습니다. 전통적으로 물 리적 환경만을 고려해 평가를 하지만, 우리는 물리 적 취약성 평가와 사회경제적 평가를 혼합해 정책입 안자들이 자기 지역 내에서 가장 취약한 지역을 대 상으로 홍수전략을 마련하고 활용할 수 있는 지표를 만들어냈습니다. 그리고 홍수와 관련한 문제를 해결 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저감 전략의 수익- 비용 평가도 수행했습니다. 우리가 연구하고 있는 지역사회에 가장 효율적인 저감 전략이 무엇인지, 특정 저감 전략의 수익과 비용을 보고, 비율을 계산 하고 수익-비용 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무 엇인지를 밝혀내는 것입니다.

황 자세한 설명을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부와 NGO, 연구소들이 지역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 한다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점입니다. 성격이 다른 단체 간 협력은 매우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 입니다. 여러 단체들이 서로 상충되는 권리와 의무 를 가지고 있을 때 서로 다른 의견을 조율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울 것 같습니다. 누가 일을 이끌어갈 것 인지, 누가 연구를 수행할 것인지, 그리고 누가 연구 결과에 책임을 질 것인지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 제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프리드만 이러한 다분야, 다부문의 주제를 다루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래서 팀 내의 명확한 의사소통은 필수입니다.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모두가 각자의 역할에 대해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합 니다. 예를 들어 홍수 스마트 지역 프로젝트 혹은 Future Floodplains 프로젝트에서, TNC가 프로젝 트를 이끌고 우리는 조력자로 일을 수행했던 것과 같이, 각자의 역할을 분명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들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문적인 부분이 필요

(5)

aiming toward the same goal.

Hwang In this sense, a negotiator would be a better sense. Let me ask you a quick question, by the way. What is the research topic you are most interested today?

Friedman I enjoy the work I’m doing in the water and the Great Lakes. I am interested in issues involving trans-boundary water systems, because they represent the motive that a lot of different stakeholders have to come to the table to solve the problem. Right now, I am working on some eutrophication issues with regards to the Great Lakes. An upcoming project that we will be working on with The Nature Conservancy (TNC) is the flooding in the Southern Tier, which concerns flooding of the Susquehanna river, that flows between Pennsylvania and New York States and numbers of different municipalities and counties.

Again, those are the same sort of issues; how we collaborate across boundaries. So I am very much looking forward to that as well.

Hwang Let’s talk about the research you recently conducted, titled as the Future Flood Plain. Please draw a big picture before we go deeper on this project.

Friedman This project involved researchers at UB, at the SUNY School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forestry, TNC, and the Genesee Finger Lakes Regional Planning Counsel. In additional, it involved the public officials from

three communities outside of Rochester, NY that have experienced flooding in the past. The three communities are the Town of Greece, the Town of Parma and the Village of Hilton. And collectively, all of us put our heads together and we did a floodplain mapping and planning exercise to assist the municipalities in dealing with flooding issues in their community. So, there were a number of different components that involved legal announces of some of the NY state home rule and legal barriers to local government collaboration and flooding issues. It involved drafting an MOU among the three municipalities to create an environmentally protected overlay zone in the areas that are flood prone. It involved a survey of residences that was conducted to get to perceptions of flooding and possible strategies for dealing with flooding. We conducted a vulnerability assessment, a socio-economic vulnerability assessment. Traditionally speaking, a lot of assessments just take into account a physical landscape, but our outstanding researchers at the UB combined physical vulnerability assessment with social and economic assessment to create an index of vulnerability that policy makers can use in identifying the most vulnerable areas within their community and thinking about flooding strategies. And then we also conducted a benefit- cost assessment of various mitigation strategies that would be used in problem solving with regard to flooding. So, looking at the benefits of certain mitigation strategies, the cost of certain

(6)

했고 본인들과 다른 분야에서 다른 역할을 할 수 있 는 사람들과 협력해 일을 진행해야 했던 것입니다.

다시 말해, 정확한 의사소통, 명확한 역할 분담, 그 리고 업무협의를 위한 절차, 검토절차, 당면한 문 제를 정렬하는 절차를 개발하는 것은 중요한 기준 이 됩니다. 권력 갈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사람 들이 상처받지 않도록 부단히 노력할 수 있는 절차 를 마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저는 대규모 연 구팀에서 대단한 성과를 달성했던 경험이 있는데요,

애석하게도 팀 자체 는 엉망이었습니다.

연구 성과를 가로채 거나, 팀원 간의 자존 심 싸움과 권력 다툼 도 있었 습니다. 제 생 각에는 논의의 자리 에 나오는 모든 사람 들은 놀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런 비유를 들고 싶습니다. 모래밭 안에서 사이좋게 놀 되, 각자가 맡은 역할보다 더 많은 영역을 차지하려 고 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우리 모두는 협력한다는 인식을 가지고 논의하는 자리에 참여해야 한다고 생 각합니다.

황 그렇다면 프로젝트에 있어 지방정부의 역할은 무 엇입니까?

프리드만 지방정부가 본 프로젝트의 시작단계인 문 제의 설계부터 해결방안을 마련하는 전 과정에 참여 했기 때문에 우리는 법적인 부분에서 전폭적인 지원 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이렇듯 프로젝트에 함께 참 여해 진행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만약

TNC와 UB만 프로젝트에 참여해 연구를 수행하고, 단순히 지방정부에는 결과 보고서만을 내밀었다면, 아마도 지방정부에서는 “이 분야에서 당신들이 대학 에서의 전문가고 연구자인 건 알겠지만, 우리의 의 견은 반영되지 않은 결과입니다. 우리만큼 지역에서 어떤 일이 발생하고 정책적으로도 어떠한 부분이 필 요한지 잘 알고 있는 사람은 없기 때문에, 프로젝트 가 시작될 때 우리가 함께 참여해 지역사회에서 발 생하는 실질적인 문제가 충분히 반영되었어야 한다 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했을 것입니다. 그리고 지금 은 문제를 겪고 있는 지역사회가 직접 참여하도록 유도해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성공을 보 장하는 가장 필수적인 과정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입 니다.

황 이제 좀 더 기술적인 문제에 대해서 의논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프로젝트 중에 만든 홍수 취약성 지도는 이 연구를 진행하기에 좋은 수단 같아 보였 습니다. 이 프로젝트에서 교수님이 개념화하고 그려 본 홍수 취약성은 무엇인가요?

프리드만 홍수에 대한 물리적인 노출은 어떤 현장에 서든 전반적으로 홍수 취약성의 한 요소일 뿐입니 다. 과거 발생했던 홍수에서 봐왔듯이 건축물의 밀 집 정도가 높은 지역, 경제활동이 집중되고 취약인 구가 높은 지역이 피해의 위험도가 높기 때문에 구 호와 복구 노력의 필요성이 증폭되었습니다. 이러한 필요에 의한 대책으로 우리는 물리적 현상, 기 형성 된 환경, 경제, 사회와 같은 네 가지 주요 요소에 가 중치를 부여한 종합적 홍수 취약성을 위해 공간적 변동성을 평가할 수 있는 다기준 홍수 취약지수를 개발하였습니다. 각 요소는 홍수에 대한 노출, 민감 성, 회복력을 고려한 넓은 범위의 지리적 변수를 분

Future Floodplain 프로젝트는 정부와 NGO, 연구소들이 협력해 가장 효율적인

지역 홍수 저감 전략을 찾아내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7)

mitigation strategies, calculating a ratio and figuring out from a benefit cost perspective, what mitigation strategies are most effective for certain properties in the communities that we were studying.

Hwang Wow, this is much more than a big picture! There is a very interesting point for me that local governments, NGO, and research institute cooperate to each other to solve the local issue. In my though, a cooperation between different type of agencies seems very tough. To be specific, when multiple agencies have conflicting rights and duties, it seems like very tough to manage conflict between them. Who will lead the project, who will conduct the research, and who is responsible for implementation of research outcomes would be very tough questions.

Friedman These multi-disciplinary, multi- sectoral themes are not an easy business. So, clear communication is essential in these large multi-disciplinary, multi-sectoral team projects.

Everybody has to have a very clear definition of your role on the project. For example, on the flood smart community project or the future floodplain project, it was very clear that TNC was leading that initiative, and we were serving as co-PIs on the project. That being said that they did not have all the expertise they needed to get the job done, so they had to form collaborative relationships with all of the other actors. Again, I think clear communication, clearly defined

roles, and developing a process for engagement, a process for checking in, a process for arraying any problems you might see or any issues you might have are critical standards.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these upfront in order to ensure that power struggles don’t irrupt and that feelings aren’t hurt and people don’t walk away with a chip on their shoulders. I have experienced large teams with great outcomes but the team itself was highly dysfunctional that the process was fraud, there were a lot of egos, and there was a lot of power struggles. I think everybody has to come to the table willing to play. I use the metaphor: play in the sandbox nicely together and not come in and try to take over and carve out more territory than what your role actually prescribes. Everybody has to come to the table with a collaborative mindstyle.

Hwang So, what was the role of the local governments in the project?

Friedman In this case, they provided this project with tremendous legitimacy because they were embedded in the problem design and the problem solving from the beginning. It was important that they be involved because otherwise, if it were just TNC and UB for example taking on this project and then going to the municipalities and handing them a report, I think that very likely so that they would say “It is great that you are University experts and science experts in the field but you didn’t ask us. We know our communities,

(8)

석하여 정량적으로 산정하였습니다.

황 이 프로젝트는 홍수 저감 시나리오들을 평가하 기 위해서 FEMA에서 만든 BCA tool을 활용합니다.

FEMA에서 만든 HAZUS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한 국 학자들과 전문가들이 많은데 비해, BCA는 생소 할 것입니다. 이 툴이 어떤 목적으로 만들어졌고 이 소프트웨어가 어떤 분석을 하는지 설명해 주시겠어 요?

프리드만 BCA는 저감 프로젝트의 미래 수익을 추정 하고 그것을 비용과 비교하는 방법입니다. 최종결과 는 수익-비용비율(BCR), 즉 프로젝트의 총 순수익 을 총비용으로 나누어 얻어진 값입니다. BCR이 1.0 이상일 때, 이 프로젝트는 비용대비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장래의 위험 저감 프로젝트가 그 비용을 정당화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입니다. FEMA BCA Tool은 FEMA의 위험저감 지원보조금 프로그 램을 받기 위해 제출한 위험저감 프로젝트들의 효과 성을 결정할 때 사용합니다. 이 소프트웨어는 홍수, 허리케인, 토네이도, 지진, 산불을 포함한 자연 재해 의 경제적 결과를 제안된 방재수단이 있을 때와 없 을 때를 비교해 추정할 때 사용합니다.

황 교수님께서 홍수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BCA tool을 IMPLAN과 통합하셨는데 제게는 매우 인상 적이었습니다. 왜 이 둘을 통합하셨는지와 그 둘을 결합하는 것의 효익은 무엇인지 설명해주시겠습니 까?

프리드만 BCA는 홍수 관련한 직접적인 영향만을 제 공하고 IMPLAN은 홍수의 간접적인 영향도 설명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두 방법을 결합하는 것이 홍수의 영향을 예측하는 데 있어 더 전체적인 접근

일 것이며, 홍수의 영향을 평가하는 데 있어 둘을 결 합하는 시도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어, 이는 꽤 흥미 로운 것이었습니다.

황 이제 기술적인 질문에서 철학적인 질문으로 넘 어가 보겠습니다. 기후 변화로 인해 악화된 자연재 해의 심각성은 한국에서도 주요한 관심사입니다. 많 은 자연재해 중에 홍수가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서 그 빈도와 심각성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런 면에서, 이 연구가 한국에도 중대한 영향이 있 다고 생각합니다. 기후변화와 관련하여서 홍수를 저 감하기 위해서 계획가들이 무엇을 해야 할까요?

프리드만 이것은 어려운 질문입니다. 우리는 기후변 화에 대해 최선을 다해 연구를 하고, 연구된 결과로 추정을 하지만, 사실 이는 추정에 불과하기 때문입 니다.

최근 저의 연구팀은 홍수로 인해 파괴된 여러 부 동산을 선정했습니다. 하지만 그중 절반은 전통적인 범람원 외의 지역이어서 분석할 만한 홍수정보가 없 었습니다. 과거에는 그곳이 홍수가 발생하지 않는 지역이었기 때문입니다.

이렇듯 기후변화는 모든 상황을 변화시킵니다. 사 람들은 기후변화와 그 영향에 대해 서로 다른 이론 과 모델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이용 가능한 최적의 데이터를 사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과학적인 데이터뿐 아니라 사회-경제적 데이터나 설문조사 자료는 홍수를 이해하는 데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합 니다.

저는 홍수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지역 주 민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계획가들의 제일 중요 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홍수가 발생했을 때 영향 을 받는 건 지역주민과 지방정부 공무원들이기 때문

(9)

we know what’s happening here and we have a good sense of the politics, so we should have been engaged from the beginning.” And there is a lot of recognition now that engaging the communities that are experiencing the problem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is absolutely essential to ensure success of any of these planning initiatives.

Hwang OK. Now, let’s turn our discussion to more technical issues. The flood vulnerability map you created in this project seemed like a good mean of communication to develop the project. What is the flood vulnerability you conceptualized and visualized in the project?

Friedman Physical exposure to floods is only one factor in the overall flooding vulnerability of any site. Past flooding events have shown that areas with high concentrations of built structures, economic activity and vulnerable residents possess a heightened risk of devastation, and an amplified need for response and recovery efforts.

In respond to this needs, we developed a multi- criteria flood vulnerability index to evaluate spatial variations in comprehensive flooding vulnerability by weighing four key components of vulnerability: physical, built environment;

economic, and social vulnerabilities. Each component score is measured by analyzing a broad set of geographic variabl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exposure, susceptibility and resiliency of flooding for each of these vulnerability components.

Hwang This project utilized BCA tool created by FEMA to evaluate flood mitigation scenarios.

While there are many researchers using HAZUS program created by FEMA, BCA tool must be unfamiliar to Korean scholars and experts. Would you please explain in what purpose was this tool created and what kind of analysis can this software do?

Friedman BCA is the method by which the future benefits of a mitigation project are estimated and compared to its cost. The end result is a benefit- cost ratio (BCR), which is derived from a project’s total net benefits divided by its total project cost.

A project is considered to be cost effective when the BCR is 1.0 or greater, indicating the benefits of a prospective hazard mitigation project are sufficient to justify the costs. The FEMA BCA Tool is used to determine the cost effectiveness of proposed mitigation projects submitted for assistance under FEMA’s Hazard Mitigation Assistance grant programs. The software is used to estimate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a natural disaster including flood, hurricane, tornado, earthquake, or wildfire with and without proposed mitigation measures.

Hwang You integrated BCA tool with IMPLAN to analyze the impact of expected flood events, and it was very impressive to me. Would you please explain why you integrated these two models and what are benefits of combining them?

Friedman The idea was that the BCA only provided

(10)

에 홍수와 관계된 문제를 현실적으로 폭넓게 다룰 수 있는 대규모의 팀 구성과 이들의 노력이 필요합 니다. 여기에 계획가들이 중요한 자료와 일을 추진 할 수 있는 리더십을 가지고 있을수록 더 좋은 결과 를 가져올 것입니다.

하지만 좋은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들고 중앙정부로부터 이러한 지원을 받기에는 당장 그만한 여력이 없기에 계획가들이 주어진 현실의 제 약조건과 정보, 그리고 데이터를 가지고 최선을 다 할 수밖에 없는 것 같 습니다.

황 도시의 홍수는 계 속 같은 장소에 발생 하고, 대부분의 경우 이 지역들은 슬럼이나 빈민가나 가난한 사람 들이 사는 곳입니다.

그 결과, 홍수는 가난 한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고, 더욱이 그들의 상황은 거의 나아지지 않습니다. 이 문제와 싸우기 위해 어 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말씀해 주시겠어 요?

프리드만 홍수와 관련한 실제 사회적 정의 문제는 특히 가장 취약한 인구와 관계가 있습니다. 적어도 미국에서는 지역사회가 홍수에 대해 더 나은 대비 책을 마련하고 피해를 저감할 수 있도록 연구자들 과 협력해 환경보호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EPA)]을 통해서 연방정부로부터 적은 금액 의 돈을 지원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 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프로그램은 아직 충분히 관 심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인데, 아마도 이 문제는

주변 국가들이 동일하게 겪고 있는 문제일 것입니 다. 경제적으로 빈곤한 사람들은 발생하는 모든 일 에 있어 영향을 받는, 가장 취약한 상황에 놓여 있습 니다. 가장 취약한 계층에 있는 사람들이 더 나은 삶 을 위해 보다 나은 여건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고, 그들이 자신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도와야 합 니다.

모든 사람은 의, 식, 주, 교육, 의료 등 기본적인 권리를 누릴 수 있어야 하고, 인권이 얼마나 많은 돈 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결정되어서는 안 됩니다.

이런 의미로 환경적 측면에서 환경정의나 사회적 정 의를 정립하기 위해 해야 할 일이 아직 많이 남았다 고 할 수 있습니다.

황 이제 마지막 질문이 남았습니다. 인터뷰 초반에 교수님의 최근 연구 관심사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 누었습니다. 이제 교수님의 미래 연구 계획에 대해 서 이야기 해주시겠습니까? 특정한 프로젝트도 좋고 개괄적인 방향도 좋고 모두 다 얘기해 주셔도 좋습 니다.

프리드만 저는 지난 5년간 연구해온 수자원, 법, 정 책, 관리 분야에서의 성과를 토대로 모든 이해당사 자들과 함께 팀을 이루어 이리 호수(Lake Erie) 서부 지역의 부영양화 문제를 다루고 싶습니다.

문제해결 방안을 찾기 위해 신뢰성 있는 정보와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하는 연구자뿐 아니라 지역 사회의 현장에 있는 지방정부 공무원을 한자리에 모 아 다각적인 관점에서 논의하고 협력하는 것을 의미 합니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들 역시 함께 논의할 수 있는 자리를 만드는 것인데, 이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후 우리는 그들

앞으로 이리 호수 서부지역의 부영양화 문제해결을 위해 노력할 계획입니다.

농부, 지방정부,

NGO 등이 한자리에 모여

논의해야 합니다.

(11)

direct impacts associated with flooding where IMPLAN would also be able to account for indirect effects of flooding. Combining both methods would be a more holistic approach to thinking about flooding impacts and, to our knowledge, we were not aware of an approach that has combined both the BCA and IMPLAN to assess flooding impact. So it was kind of interesting.

Hwang Let’s move from technical questions to philosophical questions. Severity of natural disaster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is the major concern in South Korea, too. Among many natural disasters, flooding occurs most frequently and its frequency and severity are increasing gradually. In this regard, I believe this project also has great implications to South Korea.

What should planners do to mitigate floods in consideration to climate change?

Friedman It’s a tough question, because we all are sort of making our best educated guesses about climate change, but there is nothing more than educated guesses. Let me tell you an episode we encountered during the project. We selected a number of properties damaged by recent floods. But a half of them are located outside of traditional floodplain, which means we do not have flood data to analyze them. Why? Because there was no flood in the past. Climate change changes all the situations. Everybody has different models and different theories about climate change and its impacts. So I think just use the

best available data, that doesn’t necessarily mean scientific data but I think that socio-economic data or survey data is critical to understanding flooding. I also absolutely believe that planners need to engage with the constituencies that are most impacted by flooding. It is the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or the residence that are impacted by the flooding events. It’s a large team effort. The more that planners can have both tremendous data skills and facilitated leadership skills, that will serve them up. But to get good data will cost a lot of money that the federal government doesn’t have in place right now. So, I guess planners should do the best they can, given all these real world constraints and information and data.

Hwang Urban floods happen persistently to the same locations, and most cases, these places are slums, ghettos, or where poor people live. As a result, floods damage poor people, furthermore, their situations are rarely improved. Would you please say something about what effort should be made to tackle this issue?

Friedman There are some real social justice issues associated with flooding, particularly with respect to most vulnerable populations. There are programs, at least in the US, offered through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where communities can work with researchers to get small amounts of money from the federal government to help better prepare for floods

(12)

과 신뢰관계를 통해 부차적 결과물을 만들어야 합니 다. 우리는 먼저 농부들이 그들의 생계를 위해 농사 를 짓는다는 것을 인식하고 인정해야 합니다. 따라 서 그들이 다른 방식으로 농사를 짓기 위해, 즉 비 료 사용의 감소 및 친환경 농법 적용을 위해서는 어 떠한 형태의 적절한 보상 혹은 동기부여를 해야 한 다는 인식의 변화가 필요합니다. 이로 인해 비료가 땅에서 강으로 흐르고 시내로 내려가 결국에는 이리 호수에서 조류 대증식을 일으키는 일을 줄여야 합 니다.

신뢰성과 합법성을 바탕으로 여러 분야(농업 종사 자, 지방정부, NGO 등)의 사람들이 한자리에 모여

소중한 수자원을 어떻게 관리할지 함께 논의해야 합 니다. 물의 가치를 안다면 이를 보호할 수 있는 방법 을 장려할 수 있을 것입니다. 꽤 이상적인 얘기 같지 만, 공간적 경계를 넘어 각 분야의 사람들이 같은 목 표를 이루기 위해 함께 협력하고 논의하는 자리를 만드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황 귀한 시간 내어 이야기를 나누어주셔서 감사합니 다. 한국의 독자들에게 이 인터뷰가 큰 도움이 될 것 이라 믿습니다.

프리드만 인터뷰에 응할 수 있어 매우 기쁘게 생각합 니다. 초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캐서린 브릭 프리드만 교수의 주요 저서 및 논문

Friedman, K. 2016. Institutions and Transboundary Governance Capacity(TGC) in the arctic: Insights from the TGC framework. J. Intl Water Governance(in press).

_____. 2015. Innovative responses to trans-boundary challenges. In UN Habitat International Guidelines on Urban and Territorial Planning.

ed. UN-HABITAT. Nairobi: UN-HABITAT.

_____. 2015. A Strategy for Reimagining SUNY’s International Research Engagement.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_____. 2012. New York’s foreign policy. In The Handbook of New York State Politics. ed. Benjamin, Geral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_____. 2010. Between a rock and a hard place? International law, policy and North American governance. Canada-United States Law Review 137: 34

_____. 2010. The border after 9-11. Policy Options(Institute for Research on Public Policy), Febrary 1.

_____. 2009. Through the looking glass? Implications of Canada-US transgovernmental networks for democratic theory and international law. Alberta Law Review 1081: 46.

Friedman, K. and Foster, K. 2011. Environmental Collaboration Across International Boundaries: Lines that Separate or Ties that Bind?

Washington, D.C.: IBM Center for the Business of Government.

Friedman, K., Laurent, K., Krantzberg, G., Scavia, D. and Creed, I. F. 2015. The Great Lakes futures project: Principles and policy recommendations for making the lakes great. Journal of Great Lakes Research 41(Supplement 1): 171-179.

Laurent, K., Friedman, K., Krantzberg, G., L., Scavia, D. and Creed, I. F. 2015. Critical forces defining alternative futures in the Great Lakes St. Lawrence River Basin. Journal of Great Lakes Research 41(Supplement 1): 131-138.

(13)

and better mitigate floods. But it’s an issue that doesn’t have enough attention yet. It is probably the same issue around the world. The poor are the most vulnerable to everything. It is about empowering the most vulnerable to have a voice and help create better conditions for a better life. Everybody deserves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food, water, clothing, shelter, education, and health care. Human rights shouldn’t be based upon how much money you have. So there is just more work that has to be done in environmental justice or social justice context in the environmental world.

Hwang Now, we have only one last question for you. In the beginning, you talked about your recent research interest. Now, would you please talk about your future research plans, either solid projects or broad directions, or both.

Friedman What I want to do is to take all of this water, law, planning, policing, governing work that I have done over the last five years and work with the team on bringing all the interested stakeholders together to deal with eutrophication in the western base of Lake Erie.

And by that, I mean developing a process and finding a mechanism to convene not simply the academic researchers who are aware of the issues and have the good science and the good data to inform problem solving but convene local government officials who are on the ground in the communities. But importantly, try to get farmers,

agricultural-interested, to the table, which is not an easy thing to do. And then, we should start to build some credibility and some by-end to this notion that, if business is conducted differently, if we recognize that farmers are trying to make a living and they need to be incentivized differently in order for agricultural practices to change and in order for less fertilizers to flow off of the land and into the river and then go down stream and ultimately end up in Lake Erie causing algal bloom. Having all those key sectors at the table, who bring credibility and legitimacy, to the effort but also getting their by-ends; getting farmers, other local government stakeholders and NGOs to start thinking about how we should value water.

If they value water, then we can incentivize practices to reflect stronger valuation of water.

That sounds idealistic, but I think that would be an important work to do.

Hwang Thank you for your time and sharing. I believe that this interview will be a great help for readers in South Korea.

Friedman Thank you so much for asking me. I was thrilled.

참조

관련 문서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Based on the parametric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solid NaBH 4 hydrolysis using the NaHCO 3 agent, a prototype of the hydrogen generation system was developed

The concentration of the dissolved metal as well as that of the adsorbed to solid particles depends mainly on the concentration of the metal in the inflow water

In order to realize environmental justice in the residential areas near airport, a system to guarantee the involvement of the residents in the matters likely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hip’s Ballast Water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hip’s Ballast Water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hip’s Ballast Water A Study on th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consider the reason why presupposition is frequently used in advertisement and why concealment function is used a lot

Secondly,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s to the influence of the Taekowndo leader's leadership on the stress of a Taekowndo player, it appeared that in

There are a lot of institutions for evaluation in the world, for example, Legislative Evaluation in the Continental Legal System, Regulatory Impact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