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Changes i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Followed by Sleeve Gastrectomy in Morbid Obesity?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The Changes i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Followed by Sleeve Gastrectomy in Morbid Obesity?"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교신저자: 김원우,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1동 650-9번지, 강남차병원 외과 Tel: 02)3468-3349, Fax: 02)558-1119, E-mail; wwk@cha.ac.kr

고도비만환자에서 위소매절제술로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을 줄일 수 있는가?

포천중문의대 강남차병원 외과학교실

한 상 문․김 원 우

The Changes i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Followed by Sleeve Gastrectomy in Morbid Obesity?

Sang Moon Han, Won Woo Kim

Department of Surgery, Kangnam CHA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Pochon CHA University

요 약

연구배경: 고도 비만의 환자는 고콜레스테롤 혈증을 포함하여 많은 합병증을 동반하고 있으며 베리아 트릭 수술은 수술 방법에 따라 상이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제한적 술식의 하나인 위소매절제술후 혈 중 지질 농도의 변화에 대하여 아직 보고가 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위소매절제술후 체중감소는 물론 혈중 지질 농도의 변화를 조사하여 수술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위소매절제술을 시행받은 42명의 환자에 대해 6개월 후 초과 체중감소가 50%이상인 그룹을 그 룹 A, 50%이하인 그룹을 그룹 B로 나누어 수술 전과 수술 6개월 후의 체성분 및 혈중 지질 농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 6개월 후 전체 환자의 초과체중감소는 74.1 ± 21.9%였으며. 그룹 A의 초과체중감소는 80.4 ± 18.2%, 그룹 B는 39.7 ± 6.4%였다. 그룹 A의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체지방률, 내장지방은 그 룹 B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5) 특히 그룹 A의 내장지방은 약 38.6%가 감소하였다. 또한 동 맥경화지수의 감소, 중성지방의 감소와 고밀도 콜레스테롤의 증가가 두 그룹에서 일어났으며(P <

0.001) 총콜레스테롤은 그룹 A에서만 감소하였다(P < 0.05) 저밀도콜레스테롤은 두 그룹에서 약간 감 소하였으나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그룹 A: P = 0.82, 그룹 B: P = 0.75).

결론: 고도비만 환자에서의 위소매절제술은 체중 감소의 면에서 좋은 결과를 갖는 치료 방법 중 하나 이다. 또한 체중 감소와 더불어 체성분의 변화 및 혈중 지질 농도의 변화는 심혈관질환의 위험요인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중심 단어: 체성분, 혈중 지질 농도, 위소매절제술, 고도 비만

(2)

서 론

대한민국에서의 고도비만 환자는 2000년 통계에 의 하면, 남자의 경우 전체 인구의 1.4%, 여자의 경우 1.9%가 고도비만 이상이며, 수치적으로 대략 75만 명 이상일 것으로 추정된다1). 더욱이 최근 통계에 의하면 이런 고도비만 인구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우리나라의 비만의 형태는 비만에 따 른 합병증을 높이는 복부 비만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 는 것이 또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많은 환자들이 전 신 비만도는 심하지 않은 반면 내장 비만과 복부 비만 이 심한 형태를 띠고 있고 이에 따라 서양과 비교하여 적은 비만도에서도 상대적으로 많은 합병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2). 고도비만 환자는 죽상 동맥경화증, 고혈압, 인슐린저항성, 고지혈증 등 여러 합병증을 동반하고 있다3). 베리아트릭 수술이 비만도 를 낮춤에 따라 비만에 따르는 합병증을 치료한다는 점에서 더 이상 고도비만 환자의 치료를 미룰 수가 없 다.

미국의 통계에 의하면 이러한 고도비만환자에 있어 서 식이 조절 및 운동, 약물 요법에 의한 체중의 조절 로 인해 체질량 지수를 35이하로 낮출 수 있는 경우가 3% 정도밖에 되지 않으며, NIH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는 고도비만 환자에서의 약물 요법은 효과가 없었다고 한다4).

고도 비만의 외과적 수술 방법에 있어 여러 가지의 다양한 수술 방법이 있으며 작용 기전 및 효과 또한 다양하다5). 대한민국 고도비만 환자에서의 식습관이 지방식은 적고 오히려 대부분 탄수화물 위주의 폭식과 반복된 과식 식사라는 점을 감안하였을 때, 서양과는 분명히 차별화된 베리아트릭 수술이 적용되어야 함은 분명하며 국내 고도비만 환자들에 대한 수술 후의 여 러 결과에 대한 정리가 필요하다6). 더욱이 비만 환자 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동반될 수 있는 고지혈증, 고중 성지방혈증의 변화에 대한 분석이 아직 보고되지 않았 다. 이에 저자들은 위소매절제술후 lipid profile의 변 화를 분석 보고 하고자 한다.

방 법 1. 대상

2003년 5월부터 2004년 3월까지 MIS 고도 비만 센 터에서 수술한 110명의 환자 중 최소 6개월에 체성분 검사와 혈중 콜레스테롤 검사를 실시한 42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Reinhold‘s classification7)에 의하여 수술 6개월 후 50%이상 체중 감소율을 보인 군을 그룹 A, 50%이하인 군을 그룹 B로 나누어 각 군의 체성분 변 화와 lipid profile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2. 방법 1) 신체 계측

신장과 체중은 전자 측정기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체 질량지수 (Body Mass Index: kg/m2)는 체중(kg)을 신 장(m)의 제곱치로 나누어 산출하였다. 복부 비만을 나 타내는 지표로 허리둘레, 둔부둘레, 요둔위비 (Waist/Hip Ratio)를 이용하였다. 숙련된 동일검사자가 직립 자세 에서 허리둘레는 늑골하단과 장골능의 중간 수준인 배 꼽높이에서 가장 짧은 둘레를 측정하고 둔부둘레는 대 퇴골의 큰돌기 (Great trochanter)수준에서 가장 긴 둘 레를 측정하였다.

2) 체성분 검사

체성분 검사는 수술전, 수술후 3개월, 6개월에 생체 전기저항분석법 (Inbody 4.0, Biospace, Korea)을 이용 하여 체지방량, 내장지방량, 체지방률을 측정하였다.

3) 혈청 지질 성분 검사

조사 대상자 들은 최소 12시간 이상 공복시 채혈을 시행하였으며,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 콜레 스테롤은 효소법으로 측정하고 저밀도 콜레스테롤은 Fri- dewald 공식의 계산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 하였다8).

LDL cholesterol = Total cholesterol - HDL cholesterol - Triglyceride/5

또한 Atherogenic index는 아래의 공식9)을 이용하 여 계산하였다.

Atherogenic Index = (Total cholesterol - HDL chole- sterol)/ HDL cholesterol

(3)

4) 수술 방법

위절제술은 복강경술식을 이용하여 시술되었으며, 4 개의 12 mm 투과침(port)과 1개의 15 mm 투과침 (port) 을 사용하였다. 위 절제시는 복강경 자동 문합기(Endo GIA: Ethicon Endo-Surgery, Cincinnati, Ohio)를 이 용하여 위 절제 전 삽입한 48Fr bougie를 따라 절제하 여 50~60cc의 위를 남기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기 저부(fundic portion)에서는 거의 위식도연결부위 (esop- hageal-gastric junction)에 근접하게 절제하여 위주머 니 (gastric tube)를 만들었으며 절제 후 수용성 조영제 (methylene blue)를 이용해 누출 검사 (leakage test)를 하였다. 절제 후에 남은 위의 용적은 수술 중 유문부 를 결찰하고 비위관을 통해 생리식염수를 넣어 측정 하였다.

3 통계분석

수술 전후의 차이 검증을 위하여 SPSS 11.0 프로그 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 편차를 계산하였고 두 그 룹간의 유의성 검증에는 t-test를 이용하였으며 95%

신뢰수준에 P value는 0.05이하이다.

결 과

총 환자 42명중 남녀의 비는 남자 6, 여자 36로 성 비는 1 : 6, 평균 연령은 30 ± 8.6세였다. 평균체질량 지수 (kg/m2)는 37.11 ± 4.49였다. 초과 체중의 50%

이상의 감소율을 보인 그룹 A는 35명, 50%이하의 감 소율을 보인 그룹 B는 7명이었다.

1. 각 그룹별 체중 및 체질량지수의 변화 전체 환자 42명의 초과 체중은 수술 후 3개월에 56.3 ± 15.1%가 감소하였으며, 6개월에 74.1 ± 21.9%

가 감소하였다. 또한 그룹 A는 3개월에 59.7 ± 13.2%

가 감소하였으며 6개월에 80.4 ± 18.2%가 감소하였 다. 그룹 B의 환자들은 3개월에 36.2 ± 9.7%가 감소 하였으며 6개월에 39.7 ± 6.4%가 감소하였다 두 그룹 간 6개월 후의 체중 감소율은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P < 0.001) (Fig. 1).

2. 각 그룹별 체성분의 변화

각 그룹별 체성분의 변화는 Table 1에 제시하였다.

Table 1에서 보듯 그룹 A, B 모두에서 수술 전과 수 술 6개월후의 체중, 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둔부둘레,

Fig. 1. Excessive body weight loss(%) 6 months postoperatively between Group A and B 18.6

32.9 44.1

52.9

60.3 65.1 68.6 71.3 72.3 74 75.1 76.978.4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OP 1W 1M 2M 3M 4M 5M 6M 7M 8M 9M 10M 11M 12M

%EWL (%)

(4)

요둔위비, 체지방률, 내장지방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감소하였으며 수술 후 6개월 후의 그룹 A와 B사 이의 각 체성분간의 비교에서도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 을 볼수 있었으며 이것은 체중 감소율이 50%이상인 그룹 A에서, 체중, 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둔부둘레, 요둔위비, 체지방률, 내장지방등이 더 의미있게 감소 함을 알 수 있다.

3. 각 그룹별 혈청 지질 성분 검사

Table 2는 각 그룹별 혈청 지질 농도의 변화를 보여 준다. 총 콜레스테롤의 경우 그룹 A에서는 수술 6개월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나 그룹 B에서는 유의한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저밀도 콜레스테롤은 그룹 A와 B에서 수술 6개월 후 유의한 감소를 보이지 않았으나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수술 6개월 후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동 맥경화지수와 중성지방은 수술 6개월 후 두 그룹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그러나 수술 6개월 후 두 그룹

간의 혈청 지질 농도의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4. 합병증의 분포

총 환자 43명 중 83개의 합병증을 동반하고 있었으 며 이러한 합병증의 분포는 Table 3과 같다. 환자의 50%에서는 수술 전 실시한 초음파 검사상 지방간의 Table 1. Anthropometric Indices Change 6 Months Postoperatively Between Croup A and B

Group A Group B

Preoperative Postoperative(6M) Preoperative Postoperative (6M) Body weight (kg)

BMI (kg/m2) Waist (cm) Hip (cm) WHR

%BF (%) VFA (cm2)

98.22 ± 14.93 36.43 ± 4.07 109.17 ± 8.85 118.60 ± 7.88 1.044 ± 0.068 43.45 ± 5.76 157.15 ± 40.32

75.51 ± 11.43*,**

28.13 ± 3.08*,**

87.81 ± 7.46*,**

102.73 ± 6.05*,**

0.909 ± 0.045*,**

35.02 ± 4.88*,**

96.44 ± 24.68*,**

103.83 ± 14.30 41.20 ± 5.15 119.63 ± 13.42 124.13 ± 9.28

1.095 ± 0.086 48.35 ± 5.13

178.96 ± 13.58

89.40 ± 10.35*,**

35.48 ± 3.57*,**

102.50 ± 7.59*,**

114.25 ± 9.00*,**

1.005 ± 0.058*,**

42.73 ± 4.61*,**

134.57 ± 12.07*,**

BMI: Body Mass Index. WHR: Waist/Hip Ratio. %BF: Percent of Body Fat. VFA: Visceral Fat Area

* P < 0.05 group A vs group B value (Mean ± SD); ** P < 0.05 preoperative vs postoperative values (Mean ± SD)

Table 2. Lipid Profile Change 6 Months Postoperatively Between Group A and B

Group A Group B

Preoperative Postoperative(6M) Preoperative Postoperative(6M) Total cholesterol (mg/dL)

LDL-cholesterol (mg/dL) HDL-cholesterol (mg/dL) Triglyceride (mg/dL) Atherogenic Index

213.19 ± 30.61 144.05 ± 31.30 41.51 ± 7.07 144.86 ± 81.54

4.31 ± 1.28

199.81 ± 36.75**

133.86 ± 32.20 51.4 ± 12.14**

91.72 ± 49.57**

3.03 ± 0.91**

207.00 ± 27.95 137.00.86 ± 20.66 37.50 ± 8.45 161.83 ± 77.09

4.74 ± 1.47

205.50 ± 48.86 132.66.86 ± 45.65 49.46 ± 8.93**

118.16 ± 28.50**

3.24 ± 1.17**

* P < 0.05 group A vs group B value (Mean ± SD); ** P < 0.05 preoperative vs postoperative values (Mean ± SD)

Table 3. Associated Co-Morbidities

Fatty liver. n (%) Dyslipidemea. n (%) Joint pain/arthritis. n (%) Hypertension. n (%) Sleep apnea. n (%) Diabetes mellitus. n (%) Reflux esophagitis. n (%) Menstural irrigulity. n (%) Depression. n (%) GB stone. n (%)

21 (50) 19 (45.2) 13 (30.9) 10 (23.8) 8 (19.1) 4 (9.5) 4 (9.5)

2 (4.7) 2 (4.7) 1 (2.4)

(5)

소견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19명 (45.2%)에서 이상지 혈증을 동반하고 있었으며 13명 (30.9%)에서 무릎과 허리 통증을 10명 (23.8%)에서는 고혈압을 동반하고 있었다. 이외에 위식도역류, 월경불순, 우울증, 담낭결 석 등을 동반하고 있었다.

고 찰

비만은 유전적, 환경적 및 신경내분비적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복합적인 질환이며 심혈관질환, 당 뇨병, 수면 무호흡증, 인슐린저항성과 고지혈증 등의 만성질환과 관련이 있으며 사망률을 증가시킨다10,11) 미국에서 고도비만 환자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인구의 약 3~5%정도가 고도비만으로 인하여 고통을 받고 있다12) 또한 고도비만과 더불어 동반되어 있는 합병증 (관절통, 당뇨병, 고혈압, 천식, 수면무호흡증, 위식도역류)들이 베리아트릭 수술 후 치료된다는 보고 가 많이 있다13~16). 우리는 이 연구에서 위소매절제술 후 6개월간의 초기 체중감소율 및 체성분의 변화, 혈 청 지질농도의 변화 등을 분석하여 아주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Reinhold's classification7)에 의하여 초과 체중의 50%이상의 감소율을 보인 그룹 A는 수술 후 6개월에 초과 체중의 80.4 ± 18.2%가 감소하였으며 초과 체중 의 50%이하의 감소율을 보인 그룹 B에서는 수술 후 6 개월에 초과 체중의 39.0 ± 6.4%의 감소를 보였다. 또 한 두 그룹 모두에서 유의성을 보였다 (P < 0.001). 또 한 전체 환자 42명의 체중 감소율은 수술 후 3개월에 56.3 ± 15.1%, 6개월에 74.1 ± 21.9%가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아주 만족스러운 결과이며, Lee 등17) 위소매절제술만을 시행한 환자의 6개월간 초과체중 감소율이 47%였으며 Almogy 등18)은 1년 동안의 평 균 초과체중 감소율이 45.1%였다고 한다. 본 저자들 의 결과를 보면 서양의 수술 결과와 비교하여도 결코 뒤지지 않는 좋은 결과라 할 수 있다. 물론 서양의 그 룹들이 평균 체질량지수가 저자들의 경우와는 많은 차 이를 보이지만 동양의 식사 습관을 볼 때 제한적인 술 식인 위소매절제술만으로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환자의 체성분의 변화는 Table 1에서 보여 주고 있 다. 그룹 A와 B에서 수술 6개월에 유의한 결과를 보 여주고 있으며 또한 수술 전과 수술 6개월 후의 결과 에서도 유의한 결과를 보여 주고 있다. 특히 내장 지방 은 그룹 A에서는 약 38.6%의 감소를 보이고 있으며 그룹 B에서는 24.8%의 감소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체중 감소가 많이 일어난 그룹에서 내장 지방의 감소 가 많이 일어난 것을 의미하며 이로 인하여 복부 비만 이 현저하게 감소된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복 부 비만의 감소는 동반된 합병증의 감소와 관계가 있 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Giusti 등19)은 gastric banding 수술 1년 후 총지방의 36.8%가 감소되었고 대사 증후 군 (metabolic syndrome)의 이환율이 수술 전 89%에 서 수술 1년 후 15%로의 감소를 보고하고 있다. 저자 들의 경우에서도 역시 체지방률과 내장 지방의 감소를 볼 수 있었으며 이러한 체지방량과 복부 지방의 감소 는 비만과 같이 동반하는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 대사 질환의 호전과 연관이 있다. 특히 지방이 복부에 많이 축적되었을 때 관상동맥질환과 연관이 많다20). 이러한 복강 내 지방의 축적에 의한 비만은 고인슐린 혈증, 혈장내 중성지방 농도의 증가, 고밀도 콜레스테 롤의 감소, 혈압의 상승을 야기하는 병인으로 알려져 있다21). 또한 Lee 등22)은 복부 비만이 있는 그룹과 전 신비만이 있는 그룹간의 연구에서 두 그룹간에 합병증 발생률이나 수술 후 체중감소에는 차이가 없으나 복부 비만이 있는 그룹에서 수술 중 출혈의 양이 많고 여자 환자들에서 회복기간이 더 길었다고 하며 수술 전의 고혈당, 고지혈증과 더 많은 관계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즉 복부 비만이 심할수록 환자는 여러 합병증과 더욱 더 긴밀한 관계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Nagaya 등23)은 생체 전기저항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체 지방률이 체질량 지수보다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 방, 저밀도 콜레스테롤, 총 콜레스테롤/고밀도 콜레스 테롤 비와 상관이 많다고 보고하였으며 Segal 등24) 체지방률이 높은 군에서 낮은 군보다 이완기 혈압, 저 밀도 콜레스테롤, 고밀도 콜레스테롤/총 콜레스테롤, 인슐린치가 높다고 보고하고 있다.

Table 2는 위소매절제술후 lipid profile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총 콜레스테롤은 그룹 A에서는 수술

(6)

전 213.19 ± 30.61 mg/dl에서 6개월 후 199.81 ± 36.75 mg/ dL로 유의하게 감소를 하였으나 (P = 0.029), 그 룹 B에서는 207.00 ± 27.95 mg/dL에서 205.50 ± 48.86 mg/ dL로 유의성이 없었다. 이처럼 초과 체중의 감소 가 더 많았던 그룹 A에서 총 콜레스테롤의 감소가 더 많이 일어난 것으로 보아 체중 감소가 더욱 더 많이 발생함에 따라 총 콜레스테롤의 감소도 동반된다고 이 야기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고밀도 콜레스테롤의 증 가는 두 그룹에서 수술 6개월 후 유의하게 증가가 나 타났으며 동맥경화지수도 유의하게 감소를 보였다. 특 히 동맥경화지수의 경우 수술 전보다 그룹 A에서는 29.7%의 감소를 보였으며 그룹 B에서는 31.6%의 감 소를 보였다. 그러나 저밀도 콜레스테롤은 그룹 A와 B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이지는 않았다. 보고에 의하면 (특히 gastric banding의 경우) 수술 후 고밀도 콜레스 테롤은 증가하고 중성지방은 감소하나 총 콜레스테롤 과 저밀도 콜레스테롤 농도의 감소는 없다고 보고하고 있다25) 이것은 저칼로리 식이에 의한 체중 감소에서의 결과와도 비슷하다26) 그러나 저자들의 결과에 의하면 체중의 감소가 좋은 그룹 A에서는 총 콜레스테롤의 감소가 수술 전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일어나며 그룹 B 에서는 유의성을 볼 수 없었다. 이것은 banding만을 실시하는 것이 아닌 위의 기저부와 본문부를 제거하는 제한적인 수술을 시행함으로써 이에 위장관 호르몬의 변화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이에 대한 장기 적인 추적 검사와 세밀한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 된다.

흡수 제한 정도가 극히 심한 biliopancreatic diversion 이나 duodenal switch의 경우에 있어서 지방의 흡수를 제한함으로써 수술 후 총 콜레스테롤, 저밀도 콜레스 테롤, 중성지방 등의 농도가 감소한다고 한다27~28) 한 동맥 경화증 발생의 중요한 인자인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 콜레스테롤의 비가 Garcia-Diaz 등27)의 결과에 의하면 29.7%가 감소하였다고 하나 고밀도 콜레스테 롤의 증가는 없었다고 보고하고 있다. 즉 총 콜레스테 롤의 감소에 의해 동맥경화증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저자들의 결과에서도 역시 동맥 경화지수의 감소를 볼 수 있었으며 그룹 A에서는 약 29.7%, 그룹 B에서는 31.6%의 감소를 보였다. 이것은

체중 감소의 정도와 상관없이 두 그룹에서 유의한 감 소를 볼 수 있었으며 고밀도 콜레스테롤의 증가도 뚜 렷하였다. 이러한 고밀도 콜레스테롤의 증가가 동맥경 화지수의 감소를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인자와 원인에 대해서는 많은 연 구가 되어 지고 있다. Krauss29)는 중성 지방과 저밀도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와 같이 중성 지방의 감소와 고밀도 콜레스테롤의 증가는 동맥경화증의 위험도를 상당히 낮출 수 있을 것이다.

제한적 술식과 중등도 흡수 술식의 접목인 Roux-en-Y gastric bypass의 경우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감 소를 보고하고 있지만 고밀도 콜레스테롤의 경우에 있 어서는 약간씩 다른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고밀 도 콜레스테롤의 포함한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변 화는 Roux-en-Y gastric bypass 수술에서 distal limb 의 문합위치와 관계가 있으며 후방에 문합을 할 경우 더욱 더 강력한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감소를 보인 다고 한다30~32).

Brolin 등32)은 수술 2년 동안 체중감소가 50%이상 인 그룹과 이하인 그룹으로 나누어 검사한 lipid profile의 차이는 없었다고 한다. 이것은 결국 베리아 트릭 수술 후 lipid profile의 변화는 영구적으로 일어 나며 수술 후 체중 감소의 차이가 dyslipidemia에 영 향을 받지 않는다고 말하고 있다. 저자들 또한 총 콜레 스테롤을 제외한 그룹 A와 B에서 거의 차이가 없는 lipid profile의 변화를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더욱 더 장기적인 결과가 나와야 하겠지만 수술 6개월 후의 lipid profile의 변화는 체중 감소의 차이에 많은 영향 을 받지 않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이상지혈 증이 동반된 고도 비만의 환자에서 체중 감소는 물론 이상지혈증도 같이 수술로 치료가 가능하다는 것이 저 자들의 생각이며 수술 후 Lipid profile의 영구적인 변 화는 관상 동맥 질환의 이환율을 낮출 수 있다는 점에 서 위소매절제술이 고도 비만의 치료 및 합병증의 치 료에 아주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Background: Generally, morbid obesity has so many

(7)

co-morbidities including dyslipidemia. Bariatric oper- ation has varying degree of effectiveness and diff- erent mechanism. The effectiveness of sleeve gastr- ectomy in lipid profile was not revealed, therefore our objective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sleeve gastrectomy in reduction of weight loss and serum lipid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42 consec- utive patients who underwent laparoscopic sleeve gastrectomy. All the patient was divided two group (group A(n:35): >50% Excessive Body Weight Loss (EWL) in 6 months postoperatively, and Group B(n:7):

<50% EWL). Anthropometric indices and serum lipid profile were measured before sleeve gastrectomy and postoperatively in 6 months.

Results: EWL of all the patients was 78.4% 6 months postoperatively, EWL of group A was 80.4

± 18.2%, group B was 39.7 ± 6.4%. Waist circumf- erence, hip circumference, percent of body fat and visceral fat area were much decreased group A than group B (P < 0.05). Expecially the visceral fat area of group A was much reduced (-38.6%). Significant reduction of atherogenic index were observed (P <

0.001) and increment of HDL cholesterol (P < 0.001) was observed in both group. The triglyceride of group B was decreased but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 moderate reduction of total cholesterol was observed in group A (P<0.05) not group B. LDL cholesterol was mild decreased bu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observed (group A:P = 0.82, group B:0.746) Conclusion: Isolated vertical sleeve gastrectomy in morbid obesity patients is a good tolerated surgical treatment that offers excellent results in the short term in reduction in weight, anthropometric Indices and lipid profiles. It significantly reduces the risk of coronary disease.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Key Words: Anthropometric indices, Lipid profile, Vert-

ical sleeve gastrectomy, Morbid obesity

참 고 문 헌

1. Assessment of Anthropometric Indices of Obesity in Korea. Kim SM, Lee DJ, Kim YS, Lee TH.

J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00;4:276-82.

2. Bray GA. Body fat distribution and the distri- bution and the distribution of scientific know- ledge. Obes Res 1996;4:189-92.

3. Jousilahti P, Tuomilehto J, Vartiainen E, Pekk- anen J, Puska P. Body weight,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coronary mortality. 15-year foll- ow-up of middle-aged men and women in eastern Finland, Circulation 1996;93:1372-9.

4. Gastrointestinal surgery for severe obesity: Nati- onal Institutes of Health Consensus Development Conference Statement. Am J Clin Nutr 1992;55 (Suppl. 2):S615-S619.

5. Deitel M, Shikora SA. The development of the surgical treatment of morbid obesity. J Am Coll Nutr 2002;21:365-71.

6. Biertho L, Steffen R, Ricklin T, Horber FF, Pomp A, Inabnet WB, et al. Laparoscoic gastric bypass versus laparoscopic adjustable gastric banding comparative study of 1200 cases. J Am Coll Surg 2003;197:536-44.

7. Reinhold RB. Critical analysis of long-term weight loss following gastric bypass. Sug Gynecol Obstet 1982;155:385-94.

8. Friedewald WT, Levy RJ, Fredrickson DS. Estim- 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lipop- 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972;18:

499-502.

9. Murata M, Fujita Y, Okuni M. Strategies of screening for hyperlipidemia in school age child- ren in the Tokyo area. Preventive Medicine 1983;

12:810.

10.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ational Heart,

(8)

Lung, and Blood Institute, North american asso- 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The practical guide: Identifica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 2000.

11. Kopelman PG. Obesity as a medical problem.

Nature 2000;404:635-43.

12. Mokdad AH, Serdula MK, Dietz WH, Bowman BA, Marks JS, Koplan JP. The spread of the obe- sity epidemic in the United States 1991-1998.

JAMA 1999;282:1519-22.

13. Foley EF, Benotti PN, Borlase BC, Hollingshead J, Blackburn GL. Impact of gastric restrictive surgery on hypertension in the morbidly obese.

Am J Surg 1992;163:294-7.

14. Wittgrove AC, Clark GW, Schubert KR. Lapar- oscopic gastric bypass, Roux en-Y: Technique and results in 75 patients with 3-30 months follow-up. Obes Surg 1996;6:500-4.

15. Brolin RE, Kenler HA, Wilson AC, Kuo PT, Cody RP. Serum lipids after gastric bypass sur- gery for morbid obesity. Int J Obes 1990;14:

939-50.

16. Sugerman HJ, Fairman RP, Sood RK, Engle K, Wolfe L, Kellum JM. Long-term effects of gastric surgery for treating respiratory insufficiency of obesity. Am J Clin Nutr 1992;55(2 Suppl):597S- 601S

17. Lee CM, Feng JJ, Cirangle PT, Jossart GH. Iso- lated laparoscopic vertical sleeve gastrectomy for superobese or high risk patients results in weight loss with minimal morbidity, SAGES, Denver, USA, 2004.

18. Almogy G, Crookes PF, Anthone GJ. Longitu- dinal gastrectomy as a treatment for the highr- isk super-obese patient. Obes Surg 2004;14:492-7.

19. Giusti V, Suter M, Heraief E, Gaillard RC, Burckhardt P. Effects of laparoscopic gastric banding on body composition, metabolic profile and nutritional status women:12-months

follow-up. Obes Surg 2004;14:239-45

20. Larsson B, Svardsudd K, Welin L, Wilhelmsen L, Bjorntorp P, Tibblin G. Abdominal adipose tissue distribution, obesity, and risk of cardiov- ascular disease and death: 13 year follow-up of participants in the study of men born in 1913.

Br Med J 1984;288:1401-4.

21. Pouliot MC, Despres JP, Lemieux S, Moorjani S, Bouchard C, Tremblay A, et al. Waist circumfer- ence and abdominal sagittal diameter: best simple anthropometric indexes of abdominal visceral adipose tissue accumulation and related cardiova- scular risk in men and women. Am J Cardiol 1994;73:460-8

22. Lee WJ, Wang W, Chen TC, Wei PL, Lin CM, Huang MT. Clinical significance of central obesity in laparoscopic bariatric surgery. Obes Surg 2003;

13:921-5.

23. Nagaya T, Yoshida H, Takahashi H, Matsuda Y, Kawai M. Body mass index (weight/height2) or percentage body fat by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which variable better reflects serum lipid profile?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1999;23:771-4.

24. Segal KR, Dunaif A, Gutin B, Albu J, Nyman A, Pi-Sunyer FX. Body composition, not body weight, is related to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sex hormone levels in men. J Clin Invest 1987;80:1050-5.

25. Busetto L, Pisent C, Rinaldi D, Longhin PL, Seg- ato G, De Marchi F, et al. Variation in lipid levels in morbidly obese patients operated with the LAP-BAND adjustable gastric banding syst- em: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weight loss.

Obes Surg 2000;10:569-77.

26. Dengel JL, Katzel LI, Goldberg AP. Effect of an American Heart Association diet, with or without weight loss, on lipids in obese middle-aged and older men. Am J Clin Nutr 1995;62:715-21.

(9)

27. Garcia-Diaz Jde D, Lozano O, Ramos JC, Gaspar MJ, Keller J, Duce AM. Changes in lipid profile after biliopancreatic diversion. Obes Surg 2003;

13:756-60

28. Woods P, Paquette C, Martin J, Dumesnil JG, Marceau P, Marceau S, et al. Metabolic and cardi- ovascular improvements after biliopancreatic dive- rsion in a severely obese patient. Cardiovasc Dia- betol 2004;3:5-10.

29. Krauss RM. Triglycerides and atherogenic lipopr- oteins: rationale for lipid management. Am J Med 1998;105:58S-62S

30. Sugerman HJ, Kellum JM, DeMaria EJ. Conve

rsion of proximal to distal gastric bypass for failed gastric bypass for superobesity. J Gastro- intest Surg 1997;1:517-25.

31. Murr MM, Balsiger BM, Kennedy FP, Mai JL, Sarr MG. Malabsorptive procedures for severe obesity: comparison of pancreaticobiliary bypass and very very long limb Roux-en-Y gastric by- pass. J Gastrointest Surg 1999;3:607-12.

32. Brolin RE, Bradley LJ, Wilson AC, Cody RP.

Lipid risk profile and weight stability after gas- tric restrictive operations for morbid obesity. J Gastrointest Surg 2000;4:464-9.

수치

Fig.  1.  Excessive  body  weight  loss(%)  6  months  postoperatively  between  Group  A  and  B 18.632.944.152.960.365.168.6 71.372.3 74 75.1 76.9 78.40102030405060708090OP1W1M2M3M4M5M6M7M8M9M10M11M12M%EWL (%)
Table  3.  Associated  Co-Morbidities

참조

관련 문서

For changes in physical fitness, the physical fitness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strength, endurance, flexibility,

First, after the Group Art Therapy, the scale of hopelessness depression in the test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in comparison with that before the group

However, the decrease was less in the SDF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s (p&lt;0.05). In the volumetric change measurement, the volume increase of the demineralized enamel

As a result, the number of vasopressin and oxytocin-containing neurons was decreased in the paraventricular and supraoptic nucleus in chronic alcohol group..

The 24hr proteinuria level were increased in kidney with cyclosporine-A group but significantly decreased in iNOS inhibitor and green tea polyphen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problems of eating habits, but the obesity group considered overeating as a problem while the normal

The change in active oxygen was decreased after exercise in the exercise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ontrol group, lifestyle-related facto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only in blood glucose (p &lt;.01)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