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혈당 치료 방법이 산화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혈당 치료 방법이 산화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Copied!
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S 848

― S-203 ―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혈당 치료 방법이 산화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병원1, 서울을지병원2, 서울대학교 보라매병원3

*김민주1, 김정희1, 김진택2, 문민경2, 박경수1, 이홍규1

목적: 당뇨병 환자에서 산화 스트레스의 증가는 만성 합병증의 주요한 발생 기전이다. 당뇨 합병증이 발생한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산화 스트레스의 표지자들이 증가해 있다. 산화 스트레스의 증가는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와 같은 산소 라디칼 의 증가 또는 ICAM-1(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 VCAM-1(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과 같은 부착분자나 hsCRP의 증가와도 관련이 있다. 이러한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 시키면 장기적으로 당뇨 합병증의 발생 위험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당뇨 병 환자에서 치료 방법에 따라 합병증 발생이 차이가 나는지에 대한 연구 결과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인슐린 또는 경구혈당강하제를 사용하고 있는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치료법에 따른 산화 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8월에서 2008년 5월 보라매병원을 방문한 제2형 당뇨병 환자 중에서 인슐린 또는 3가지 경구혈당강하제를 복용하고 있는 환자들을 모집하였다. 이 중에서 나이, 성별, 신체질량지수, 당뇨유병기간, 당화혈색소가 비슷한 28명을 짝지었다. 8시간 공복 후 채혈한 혈장에서 ICAM-1, VCAM-1, hsCRP를 측 정하여 두 군에서 비교하였다. 분석은 비모수적 검정(Mann-Whitney U-검정)을 사용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의 평균 나이 60세, 신체질량지수 25.1kg/m2, 당뇨유병기간 13년, 당화혈색소 7.3%였다. 인슐린을 사용 중인 환자가 15명, 경구혈당강하제를 사용 중인 환자가 13명이었고, 두 군의 기준 특성은 차이가 없었다. 두 군에서 ICAM-1, VCAM-1, hsCRP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당뇨 합병증의 발생 위험 이 높은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이번 연구에서 치료 방법에 따른 산화 스트레스 표지자의 차이를 관찰할 수는 없었다.

― S-204 ―

Discrimination of prolactinoma from hyperprolactinaemic non-functioning adenoma

Endocrin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Institute of Endocrin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1, Pathology Ilsan Hospital, Ilsan, Korea2, Neuro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3

*Jae Won Hong1, Mi Kyung Lee2, Sun Ho Kim3, Eun Jig Lee1

It is often difficult to discriminate prolactinoma from hyperprolactinaemic non-functioning pituitary tumours in the clinic.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haracteristics that discriminate prolactinoma from non-functioning pituitary macroadenoma with hyperprolactinaemia to develop an appropriate therapeutic strategy for hyperprolactinaemic pituitary tumours. We included 117 patients with hyperprolactinaemic pituitary macroadenomas.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reatment outcomes and pathologic Results (A) prolactinoma that responded to dopamine agonist (DA) treatment, PRDA; (B) prolactinoma requiring surgical treatment, PRS; and (C) non-functioning pituitary adenoma with hyperprolactinaemia, NFPAH. Patients in the PRS and NFPAH groups were diagnosed using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surgically excised tumour tissues. Old age, low serum prolactin levels, and extrasellar extension were associated with NFPAH. Most patients with NFPAH had serum prolactin levels less than 100 ng/ml. Visual defects and GH deficiency were more common in patients with NFPAH compared with patients with PRS and PRDA. Galactorrhoea and amenorrhoea were less frequent in patients with NFPAH than in patients with PRS and PRDA. Post-operative remission of hyperprolactinaemia was achieved in 100% of patients with NFPAH and in 72.5%

of patients with PRS. DA administration was required in 25.5% of patients with PRS; however, no patients with NFPAH required DA administration.

참조

관련 문서

The plot showed that the samples could be obviously divided into three groups with steaming treatment by amino acids: an acidic amino acids etreated group (glutamic acid

Methods: A consecutive cohort of 100 cancer patients with functional constipation were divided into two equal groups: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플록 구조의 측면에서 볼 때 폴리머를 일차 응집제로 사용하면 플록 강도와 크기가 향상되었지만, 다른 처리 옵션과 비교해 볼 때 플록 침전 속도에는 개선이 없었으며 유기 물질

Patients were divided into subgroups according to the location (left, right) and the onset (acute, chronic) of infarction. Results: All 4 subgroups showed hyperperfusion

Patients with ocular MG at the time of symptom presentation (n = 202, 53.7%) were divided into two subgroups according to their prognosis: the patients whose disease

We assigned the patients to the CKD group and non-CKD group based on the presence of CKD and compared clinical courses and outcomes between both groups.. Results: A total

According to these age groups, clinical findings at diagnosis, disease extent, treatment modalities used, cumulative admission rates, and cumulative relapse rates

Methods: Clinical characteristics analysis was performed in total 11,581 patients from the Korea Acute Myocardial Infarction Registry,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