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유전자재조합식품 09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유전자재조합식품 09"

Copied!
2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유전자 재조합식품

09

유전자 재조합 식품 (GMO)이란?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재배 또는 육성된 농∙축∙수산물, 미생물 및 그에 따른 생산물을 이용하여 제조∙가공한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

(2)

미리보기

1. 유전자 재조합 기술

유전자 재조합 기술 (Genetically modified technology)

어떤 생물의 유전자에서 원하는 유용한 유전자(예 : 추위, 해충, 제조체에 강한 성질 등) 만을 취하여 다른 생물체의 DNA에 삽입하여 새로운 특성을 나타내는 품종을 만드는 생명공학 기술

유전자 재조합 식품 (Genetically modified food)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재배 또는 육성된 농∙축∙수산물, 미생물 및 그에 따른 생산물을 이용하여 제조, 가공한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

유전자 재조합 기술의 특징

 목적하는 유전자만을 선택하여 재조합 할 수 있음.

(3)

미리보기

2. 유전자 재조합 개발 방법

아그로박테리움법

아그로박테리움이라는 미생물이 식물세포에 플라스미드라고 하는 스스로 복제가 가능한 자신의 DNA를 삽입시키는 성질을 이용한 것

원형질 세포법

식물체의 세포벽을 효소나 화학물질로 용해시켜 외래 유전자가 들어가기 쉽도록

세포벽이 없는 원형질체를 만든 후 모적하는 유용한 유전자를 식물 세포 내에 넣는 방법 입자총법

금속미립자의 표면에 유용한 외래 유전자를 묻힌 후 이를 농작물 세포에 고압가스의 힘으로 밀어 넣는 방법

(4)

미리보기

3. 개발현황

1996년 : 유전자 재조합 농작물 재배시작

2012년 : 미국 등 25개국, 1억 2천 5백만 ha 재배 중 (콩 70%, 옥수수 24%) 상품화 된 유전자 재조합 농작물 (예)

 제초제 및 해충에 대한 저항성 향상

 유용한 유지자원 개발 향상

 바이러스성 식물병에 대한 저항성 향상

 관상용 원예식물의 색소 조절, 과육의 연화 지연 향상

 안전성 확보를 위한 형질 도입

4. 유전자 재조합 식품의 안전성 평가

안전성 평가항목 : 신규성, 알레르기성, 항생제 내성, 독성 GMO 검정방법 : 단백질 검출법, DNA 검출법 등

(5)

미리보기

5. 유전자 재조합 식품 표시제도

한국 : 유전자 재조합 원료를 사용한 모든 가공식품 의무화

 유전자 재조합 농산물 : 농산물품질관리법 (유전자 변형 농산물 표시요령)

 가공식품 : 식품위생법 (유전자 재조합 식품의 관리기준) 미국 : FDA가 승인하며, 모든 가공식품 의무화

일본 : 후생노동성이 승인하며, 모든 가공식품 의무화

유럽 : 유럽진행위원회 (EC)가 승인하며, 모든 가공식품 의무화

(6)

※ 생명공학 기술을 이용한 생물체에 대한 일반용어의 정의 가. 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일반적으로 생산량 증대 또는 유통 · 가공상의 편의를 위하여 유전공학기술을 이용, 기존의 번식방법으로는 나타날 수 없는 형질이나 유전자를 지니도록 개발된 생물체로 정의된다. WTO 및 OECD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용어.

나. LMO (Living Modified Organisms)

유전물질이 생명공학 기술에 의해 자연상태에서 인위적으로 변형된 생물체를 포괄적으로 지칭. GMO보다 광의의 개념으로 92년 UNEP의 Rio회의 생물다양성협약에서 사용한 용어.

다. GEO (Genetically Engineered Organisms)란 용어도 사용하고 있음.

라. GM/GEO (Genetically Modified or Genetically Engineered Organisms)

CODEX에서 사용

(7)

9.1 유전자 재조합기술

 유전자 재조합 기술 (Genetically modified technology)

어떤 생물의 유전자 중 유용한 유전자 (예 : 추위, 해충, 제초제에 강한 성질 등)만을 취하여 다른 생물체의 DNA에 삽입하여 새로운 특성을 나타내는 품종을 만드는 생명공학 기술

 품종 개량에서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면 목적하는 유용한 유전자를 좀 더 정확하게 도입할 수 있음

 목적하는 유전자만을 선택하여 재조합 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종래의 품종개량은 교배나 육종 중에 생기는 유전자 재조합 또는 돌연변이를 이용하는 것임.

 새로운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의한 품종개량도 유전자를 재조합시켜 유용한 형질을 얻는다는 측면에서 동일하며, 따라서 종래의 품종개량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할 수 있음.

 유전자 재조합 식품 (Genetically modified food )

=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재배 또는 육성된 농, 축, 수산물, 미생물 및 그에 따른 생산물을 이용하여 제조, 가공한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

(8)

그림 9-1 유전자재조합 농산물 개발과정 (식품의약품안전청, 2007)

(9)

9.2 유전자 재조합 개발 방법

 유전자 재조합 식품의 개발 배경

- 세계 인구는 끊임없이 증가하여 UN의 세계인구 예측에 따르면 1997년에는 60억에 이르렀으며, 2000년에는 62억, 2070년에는 100억에 이를 것으로 추정 - 인구증가에 세계의 식량수요도 계속 증가하여 왔다. 지금까지는 식량증산을

위하여 경지면적을 확대하고, 화학비료와 농약을 사용하며 통일벼와 같은 다수확 품종을 재배하는 방법 등을 이용

- 이용할 수 있는 농지면적은 한정되어 있으며, 화학비료나 농약 사용은 잔류농약 등에 의한 안전성문제도 있어 이러한 방법에 의한 식량증산에는 한계를 보이게 됨,

- 소비자의 식품기호에 대한 욕구도 증가하여, 식량자원의 품종개량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이 증가

⇒ 이에 육종학자들은 새로운 품종을 효율적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유전자재조합 기술을 이용하게 되었음

(10)

9.2 유전자 재조합 개발 방법

 9.2.1 아그로박테리움법

- 아그로박테리움이라는 미생물이

식물세포에 자신의 유전자를 이입시키는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우선 아그로박테리움의 유전자에

목적하는 유용한 유전자를 삽입시킨 후 이것을 식물체에 감염시켜 궁극적으로 식물체 내에 그 유전자가 들어가도록 하는 방법

그림 9-2 아그로박테리아를 이용한 재조합 유전자 이식 방법(식품의약품안전청, 2007)

(11)

9.2 유전자 재조합 개발 방법

 9.2.2 원형질 세포법 (Protoplast 법)

식물체의 세포벽을 효소나 화학물질로 용해시켜 유전자가 들어가기 쉽도록 세포벽이 없는 원형질체로 만들어,

미생물에 의한 도입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목적하는 유용한 유전자를 식물에 들어가게 하는 것

그림 9-3 원형질 세포법을 이용한 재조합 유전자의 이식 방법 (식품의약품안전청, 2007)

(12)

9.2 유전자 재조합 개발 방법

 9.2.3 입자총법

(microprojectile bombardment)

- 금속미립자의 표면에 유용한 외래 유전자를 묻힌 후 이를 농작물 세포에 고압가스의 힘으로 밀어 넣는 방법.

- 외래유전자와 선발유전자를 한 개의

플라스미드에 재조합하거나 따로 재조합한 각각의 플라스미드를 섞어서 발사하기도 함

그림 9-4 입자총법을 이용한 재조합 유전자의 이식 방법 (식품의약품안전청, 2007)

(13)
(14)

9.3 유전자 재조합 식품의 개발 현황

1.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개발된 식품

- FDA가 1992년 정책방향에 의해 사전협의 종결한, 새로운 식물종으로부터 생산된 식품은 DNA 재조합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된 새로운 식품종들이고 미국 FDA로부터 시장 출하를 위한 사전 검토가 완료되어 시장 출하가 허용됨

2.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 식품

- 유전자 재조합 식품의 범위가 토마토, 옥수수, 대두, 감자, 채종, 면실 등으로 다양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식품도 대단히 다양할 것으로 전망

- 유전자 재조합 농작물을 주원료로 사용하는 식용유, 두부, 장유, 마가린 등 뿐만 아니라, 부재료로 사용하는 경우까지 포함하면 모든 가공식품에 이용 가능하다고 할 수 있음

(15)

9.3 유전자 재조합 식품의 개발 현황 (계속)

 전 세계적으로 개발되어 상품화된 유전자 재조합 농작물의 특징

1. 제초제에 대한 내성이나 해충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킨 경우

(예) 제초제 내성 카놀라, 해충 저항성 옥수수, 해충 저항성 면화, 제초제 내성 콩 2.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유도하여 유용한 유지자원을 개발한 경우

(예) 지방산 조성 향상 해바라기, 생산성 증대 카놀라, 고올레이산 함유 땅콩 3. 바이러스성 식물병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시킨 경우

(예) 바이러스 저항성 파파야

4. 관상용 원예식물의 색소 조절, 과육의 연화 지연 (예) 보라색 카네이션

5. 안전성 확보를 위한 형질 도입

(예) 꽃가루, 꽃밥, 수술 등의 웅성기관에 대해 이상을 일으켜 불임화시키거나 반대로 유성생식에 의해 씨앗을 만들 수 있도록 함

(16)

9.3 유전자 재조합 식품의 개발 현황 (계속)

 외국에서의 유전자 재조합 식품 관리 및 이용현황 - 1

1. 미국

- 유전자 재조합 식품을 위한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지 않고 <미연방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법> 중 일반 식품 관련규정과 식품첨가물 관련규정에 의해 관리

- 유전자 재조합 식품의 표시와 관련하여서는 안전성이 확인되어 안전하고,

따라서, 특별한 표시가 필요없다고 보고 있지만 식품의 영양성분이 종래의

것과 다르거나, 알레르기를 일으킨다고 알려진 생물의 유전자를 도입하는

경우에는 표시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음

(17)

9.3 유전자 재조합 식품의 개발 현황 (계속)

 외국에서의 유전자 재조합 식품 관리 및 이용현황 - 2

2. 유럽연합(EU)

- EU의 유전자 재조합 식품에 대한 담당기관은 <유럽위원회>의 식품산업총국으로 이를 규제하기 위해 1990년 2개의 지령(90/219/EEC와 90/220/EEC)이 도입 - 이 지령은 원칙적으로 <살아있는 유전자조작생물>에 적용되지만 최근 GMO가

함유된 식품이나 이를 이용해 제조된 식품 및 식품성분이 시중에 출하되면서 이를 규제하기 위해 <신규식품 및 신규식품 성분에 관한 규칙>을 별도로 설정 - GMO를 이용해 생산된 농산물은 지령 90/220/EEC에 의해, GMO를 이용해

제조된 식품 및 식품성분 등은 EU규칙에 의해 각각 인가, 관리되고 있음 3. 독일

- EU 가맹국이기 때문에 공동체 법률이 적용되지만 GMO를 이용해 만들어도 이를 함유하지 않거나 식품생산에 사용하지 않은 경우와 신규 식품의 시판에는 특별한 요구를 하지 않고 있음

- GMO를 함유한 식품의 시판은 베를린의 <로버트코흐협회>에서 인가하고 있음

(18)

9.3 유전자 재조합 식품의 개발 현황 (계속)

 외국에서의 유전자 재조합 식품 관리 및 이용현황 - 3

4. 덴마크

- 신규식품을 따로 규제하고 있지 않으나 유전자 재조합 생물로부터 생산한 식품 및 식품성분 뿐만 아니라 유전자 재조합 동물에서 유래된 육제품, 유제품 재조합 곡물로부터 제조된 곡분, 유전자 재조합 토마토를 가공한 토마토 케첩 등과 같은 생육이 불가능한 식품 등도 당국의 허가를 받아야 함

5. 영국

- 지금까지 영국인이 식용으로 하지 않았던 식품과 새로운 가공법에 의해 생산된 식품 및 식품가공에 사용치 않던 방법으로 생산된 식품 등을 일컫는 신규식품을 포함한 모든 식품은

<식품안전법>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데 이는 유럽위원회의 2개 지령을 근거로 하고 있음 7. 캐나다

- 유전자 재조합 식품을 포함하는 신규식품을 관리하는 특별법은 없고 기존의 법률인

<식품 및 의약품법> 중 신규식품으로 관리

- 신규식품의 안전성은 보건부에서 담당하며 그 식품의 유사식물에 대한 영양성분 상의 차이, 알레르기 유발성 여부, 독성물질 함유여부 및 의도하지 않은 장기적 작용 잠재여부 등의 기준에 따라 규제

(19)

9.3 유전자 재조합 식품의 개발 현황 (계속)

 외국에서의 유전자 재조합 식품 관리 및 이용현황 - 4

6. 호주 • 뉴질랜드

- 호주에서 새로운 유전자조작기술의 개발•이용을 감독하고 유전자 조작생물 등 환경에 도입되는 모든 제품의 생물학적 안전성을 평가하는 기관은 <유전자조작 자문위원회>임

- 표시 대상으로는 새로운 DNA나 단백질이 최종제품에 남아있는 경우나 식품의 특성이 변화한 식품 및 식품원료로 두고 있음

- 반면 가공과정에서 새로운 유전자나 단백질이 제거된 고도의 정제식품, 새로운 유전자나 단백질이 존재하지 않는 가공 보조제나 식품첨가물, 최종제품에 함유된 0.1% 이하의 향미료, 음식점의 음식은 표시면제 대상임

8. 일본

- 식품 분야 및 축∙수산 분야에서의 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한 생산관계는 농림수산성에서 담당하며 이의 안전성은 후생성에서 담당

- 현재 일본에서는 유전자재조합 미생물을 생산한 키모신과 이를 이용해 제조된 치즈 제품 뿐 아니라 미국에서 개발된 유전자재조합 농작물 중 여러 종이 수입 판매되고 있으나 표시를 의무화하고 있지는 않음

(20)

9.3 유전자 재조합 식품의 개발 현황 (계속)

 우리나라의 유전자 재조합 농작물 개발 및 수입현황

- 농촌진흥청, 생명과학연구소, 대학교나 기업의 연구소에서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실용화를 위한 안전성 평가를 위한 실험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져, 우리나라에서도 유전자재조합 농작물이 개발되어 실용화될 가능성이 높아짐

- 농산물의 생산유통 구조상 GMO와 Non-GMO를 완전히 분리하여 생산 유통 하기 어려움에 따라 비의도적 혼입률 3%를 표시제에 적용함에 따라 정량검사법 확립이 필요하며 미표시 제품을 대상으로 원료에 대해 3% 이하 함유 여부

확인에 따른 허위 또는 미표시를 확인하여야 함

- 농산물의 생산 및 유통과정 상에서 GMO 농산물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해 구분 하여 유통 • 관리하였음을 나타내는 서류로 유전자재조합식품 표시의 적정성을 검증하는 방법으로 구분유통을 관리

참조

관련 문서

박테리아는 기본염색체 이외에 크기가 다양한 플라스미 드가 있고 보유하고 있는 유전자의 특성에 따라 R, Col, F 플라스미드 등으로 나뉘며 유전조작에서

우리나라의 3000년 전, 신석기 시대에 살았던 사람의 유골이 발견되었는데, 유전자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사람이 아닌 독일

그러나 최근에 는 DNA 재조합 기술의 발전에 따라 DNA 분자조성의 차이로부터 생물들간의 유사정도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유연관계를 조사할

2 암 발생은 오랜 기간에 걸쳐 단 계적으로 이루어지며 세포의 과다 증식,유전자 불안정성,세포사멸기전 불활성화 같은 중요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관여되어

β -cateni n 유전자 돌연변이는 대장암에서 주로 연구되었고 9-11) , 최근 유령세포가 나타나는 모기질종,두개인두종과 석회화 치성낭에서 β-cateni n

그림 7.19 양서류 배아의 이식과 재조합 실험은 예정 등쪽 원구입 술 부위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 식물세포가 낭배형성의 시작을 담당

Alternative splicing; 그림은 하나의 유전자가 다양한 splicing을 통하여 multiple mRNA를 만드는 것을 보여준다.. WT1 유전자 (돌연변이가 생기면 kidney tumor를

모집단위는 설치되어 있지 않으나 2개 이상의 학과(부)가 연계하여 융합한 전공 교육과정(콘텐츠커머스융합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