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김지훈, 김재영, 정우철, 김연지, 진형민, 전경화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김지훈, 김재영, 정우철, 김연지, 진형민, 전경화"

Copied!
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54

■♣ Sat-001

The Prognostic Effect of Immunohistochemical Stain of Biomarkers in Gastric Cancer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김지훈, 김재영, 정우철, 김연지, 진형민, 전경화

Background/Aims: The treatment of gastric cancer is still unsatisfactory, and it has been known that few prognostic biomarkers are available but have limited values. We aimed to investigate the prognostic effect of various biomarkers – p53, EGRF, HER-2, E-cadherin, Ki-67-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Methods: Between January 2014 and December 2016, we analyzed 505 gastric cancer tissues (279 early gastric cancers and 226 advanced gastric cancers) from the patients who had received radical gastric resection. All available immunohistochemical stained slides of surgical specimens for p53, EGRF, HER-2, E-cadherin, and Ki-67 were reviewed. We evaluated the various factors associated with disease recurrence during long-term follow-up. Results:

The median follow-up duration was 32.5 months (range: 7~70 months). The higher levels of Ki-67 expression were in advanced gastric cancers, and otherwise were unremarkable. As for disease recurrence, lymphatic invasion and disease free interval, there was no prognostic effect of all biomarkers, except only HER-2 positive stage I gastric cancers. They had higher rate of disease recurrence (p<0.01) and microscopic lymphatic invasion (p=0.05).

Conclusions: The immunohistochemical activities for various biomarkers in prognosis of gastric cancer had limited values. Only, HER-2 expression could be a biomarker for poor prognosis prediction for stage I gastric cancers.

■♣ Sat-002

ESD로 치료한 Gastric IAAGs 환자군의 장기 예후

삼성서울병원 내과

*

박연정, 김태세

목적: Gastric intestinal-type adenocarcinoma with anastomosing glands (IAAG)는 구조적 이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저분화도의 세포학적 특성을 보인 다. 많은 경우의 IAAGs는 mucosal layer에 국한되어 ESD가 좋은 치료 방안이나, 지금까지 IAAG를 ESD로 치료한 이후에 장기예후에 대한 자료는 많지 않다.

이번 연구에서는 IAAG를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로 치료 했을때의 장기 예후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이 연구에서는 내시경 점막하 박리 술(ESD)를 받은 조기위암 환자 2828명 (IAAG 78명, 고분화도 or 중등분화도의 환자 2893명)를 조사하였다. 이후 IAAG 환자군과 고분화도 or 중등분화도의 환 자군들의 EDS 시행 후 장기 예후에 대해 비교하였다. ESD 이후의 성과에 대한 자료는 삼성병원 내의 전산 자료를 통해 후향적으로 조사되었다. 결과: 치료적 ESD를 받은 57명의 IAAG 환자 중, 2명은 추가로 위절제술을 받았다. 2명의 수술적 검체에서 잔존암이나 림프절 전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54명의 환자를 평균 52개월간 (2-96개월) 추적 관찰한 결과, 국소전이, 변이 또는 위를 넘어서 재발하는 경우는 없었다. 비치료적 ESD를 받은 21명의 IAAG 환자들 중 20명에서, 14 명이 추가적 위절제술을 받았다. 14명 모두에서, 수술검체에서 림프절 전이는 확인 되지 않았다. 10명의 환자에서 비치료적 ESD를 받게 된 유일한 요인은 lateral margin 침범 이었다. 이 9명의 환자들 중 6명의 환자에서 절제된 검체에서 잔존종양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추가적으로 ESD를 받은 환자들 모두 추적관찰 기간 동 안 재발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Gastric IAAGs 환자들을 ESD로 치료 하였을시, 장기예후는 좋은 성적을 보였다. 따라서 mucosa 나 minitue submucosal 침범을 보이는 Gastric IAAGs 환자군에서 ESD는 좋은 치료안으로 여겨진다.

54

■♣ Sat-001

The Prognostic Effect of Immunohistochemical Stain of Biomarkers in Gastric Cancer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김지훈, 김재영, 정우철, 김연지, 진형민, 전경화

Background/Aims: The treatment of gastric cancer is still unsatisfactory, and it has been known that few prognostic biomarkers are available but have limited values. We aimed to investigate the prognostic effect of various biomarkers – p53, EGRF, HER-2, E-cadherin, Ki-67-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Methods: Between January 2014 and December 2016, we analyzed 505 gastric cancer tissues (279 early gastric cancers and 226 advanced gastric cancers) from the patients who had received radical gastric resection. All available immunohistochemical stained slides of surgical specimens for p53, EGRF, HER-2, E-cadherin, and Ki-67 were reviewed. We evaluated the various factors associated with disease recurrence during long-term follow-up. Results:

The median follow-up duration was 32.5 months (range: 7~70 months). The higher levels of Ki-67 expression were in advanced gastric cancers, and otherwise were unremarkable. As for disease recurrence, lymphatic invasion and disease free interval, there was no prognostic effect of all biomarkers, except only HER-2 positive stage I gastric cancers. They had higher rate of disease recurrence (p<0.01) and microscopic lymphatic invasion (p=0.05).

Conclusions: The immunohistochemical activities for various biomarkers in prognosis of gastric cancer had limited values. Only, HER-2 expression could be a biomarker for poor prognosis prediction for stage I gastric cancers.

■♣ Sat-002

ESD로 치료한 Gastric IAAGs 환자군의 장기 예후

삼성서울병원 내과

*

박연정, 김태세

목적: Gastric intestinal-type adenocarcinoma with anastomosing glands (IAAG)는 구조적 이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저분화도의 세포학적 특성을 보인 다. 많은 경우의 IAAGs는 mucosal layer에 국한되어 ESD가 좋은 치료 방안이나, 지금까지 IAAG를 ESD로 치료한 이후에 장기예후에 대한 자료는 많지 않다.

이번 연구에서는 IAAG를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로 치료 했을때의 장기 예후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이 연구에서는 내시경 점막하 박리 술(ESD)를 받은 조기위암 환자 2828명 (IAAG 78명, 고분화도 or 중등분화도의 환자 2893명)를 조사하였다. 이후 IAAG 환자군과 고분화도 or 중등분화도의 환 자군들의 EDS 시행 후 장기 예후에 대해 비교하였다. ESD 이후의 성과에 대한 자료는 삼성병원 내의 전산 자료를 통해 후향적으로 조사되었다. 결과: 치료적 ESD를 받은 57명의 IAAG 환자 중, 2명은 추가로 위절제술을 받았다. 2명의 수술적 검체에서 잔존암이나 림프절 전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54명의 환자를 평균 52개월간 (2-96개월) 추적 관찰한 결과, 국소전이, 변이 또는 위를 넘어서 재발하는 경우는 없었다. 비치료적 ESD를 받은 21명의 IAAG 환자들 중 20명에서, 14 명이 추가적 위절제술을 받았다. 14명 모두에서, 수술검체에서 림프절 전이는 확인 되지 않았다. 10명의 환자에서 비치료적 ESD를 받게 된 유일한 요인은 lateral margin 침범 이었다. 이 9명의 환자들 중 6명의 환자에서 절제된 검체에서 잔존종양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추가적으로 ESD를 받은 환자들 모두 추적관찰 기간 동 안 재발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Gastric IAAGs 환자들을 ESD로 치료 하였을시, 장기예후는 좋은 성적을 보였다. 따라서 mucosa 나 minitue submucosal 침범을 보이는 Gastric IAAGs 환자군에서 ESD는 좋은 치료안으로 여겨진다.

54

■♣ Sat-001

The Prognostic Effect of Immunohistochemical Stain of Biomarkers in Gastric Cancer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김지훈, 김재영, 정우철, 김연지, 진형민, 전경화

Background/Aims: The treatment of gastric cancer is still unsatisfactory, and it has been known that few prognostic biomarkers are available but have limited values. We aimed to investigate the prognostic effect of various biomarkers – p53, EGRF, HER-2, E-cadherin, Ki-67-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Methods: Between January 2014 and December 2016, we analyzed 505 gastric cancer tissues (279 early gastric cancers and 226 advanced gastric cancers) from the patients who had received radical gastric resection. All available immunohistochemical stained slides of surgical specimens for p53, EGRF, HER-2, E-cadherin, and Ki-67 were reviewed. We evaluated the various factors associated with disease recurrence during long-term follow-up. Results:

The median follow-up duration was 32.5 months (range: 7~70 months). The higher levels of Ki-67 expression were in advanced gastric cancers, and otherwise were unremarkable. As for disease recurrence, lymphatic invasion and disease free interval, there was no prognostic effect of all biomarkers, except only HER-2 positive stage I gastric cancers. They had higher rate of disease recurrence (p<0.01) and microscopic lymphatic invasion (p=0.05).

Conclusions: The immunohistochemical activities for various biomarkers in prognosis of gastric cancer had limited values. Only, HER-2 expression could be a biomarker for poor prognosis prediction for stage I gastric cancers.

■♣ Sat-002

ESD로 치료한 Gastric IAAGs 환자군의 장기 예후

삼성서울병원 내과

*

박연정, 김태세

목적: Gastric intestinal-type adenocarcinoma with anastomosing glands (IAAG)는 구조적 이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저분화도의 세포학적 특성을 보인 다. 많은 경우의 IAAGs는 mucosal layer에 국한되어 ESD가 좋은 치료 방안이나, 지금까지 IAAG를 ESD로 치료한 이후에 장기예후에 대한 자료는 많지 않다.

이번 연구에서는 IAAG를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로 치료 했을때의 장기 예후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이 연구에서는 내시경 점막하 박리 술(ESD)를 받은 조기위암 환자 2828명 (IAAG 78명, 고분화도 or 중등분화도의 환자 2893명)를 조사하였다. 이후 IAAG 환자군과 고분화도 or 중등분화도의 환 자군들의 EDS 시행 후 장기 예후에 대해 비교하였다. ESD 이후의 성과에 대한 자료는 삼성병원 내의 전산 자료를 통해 후향적으로 조사되었다. 결과: 치료적 ESD를 받은 57명의 IAAG 환자 중, 2명은 추가로 위절제술을 받았다. 2명의 수술적 검체에서 잔존암이나 림프절 전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54명의 환자를 평균 52개월간 (2-96개월) 추적 관찰한 결과, 국소전이, 변이 또는 위를 넘어서 재발하는 경우는 없었다. 비치료적 ESD를 받은 21명의 IAAG 환자들 중 20명에서, 14 명이 추가적 위절제술을 받았다. 14명 모두에서, 수술검체에서 림프절 전이는 확인 되지 않았다. 10명의 환자에서 비치료적 ESD를 받게 된 유일한 요인은 lateral margin 침범 이었다. 이 9명의 환자들 중 6명의 환자에서 절제된 검체에서 잔존종양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추가적으로 ESD를 받은 환자들 모두 추적관찰 기간 동 안 재발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Gastric IAAGs 환자들을 ESD로 치료 하였을시, 장기예후는 좋은 성적을 보였다. 따라서 mucosa 나 minitue submucosal 침범을 보이는 Gastric IAAGs 환자군에서 ESD는 좋은 치료안으로 여겨진다.

59

■♣ Sat-011

Comparison of ICC patients with hepatitis B infection to those with no major risk factors for HCC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1,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창원병원2

*

나지은

1

, 김광민

2

, 신동현

1

Background/Aims: The prognosis of 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ICC) is generally poor in comparison with tha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Recently, there has been renewed interest in Hepatitis B virus (HBV)-associated ICC, because along with HCC, it could indicate a common disease process for carcinogenesis.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clinical outcome between ICC patients with HBV infection and those without any major risk factors for HCC such as HBV, HCV infection, and cirrhosis of any etiology. Methods: A total of 253 curatively resected, surgically diagnosed, ICC patients [Age: 62.8 ± 10.4, male: 155 (61.3%)] in a single center were analyz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presence or absence of major risk factors for developing HCC: HBV (n=45) and non-HCC-risk group (n=208). Results: After surgery, lymph node metastasis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in non-HCC-risk group (HBV vs. non-HCC-risk: 8.89 vs. 24.52%, p=0.027). During a median follow-up of 30 months, there were 117 (46.2%) deaths for the entire cohort. Patients in the HBV group demonstrated more favorable survival than those in non-HCC-risk group. However,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5-year survival rate, 54.7% vs. 42.3%, p=0.120). In cases where patients belonged to any of the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AJCC) stage I-III, the ones with HBV infection did not show a survival benefit compared to those without any major risk factors for HCC. Cumulative recurrence rate in the HBV group was 62.2%,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63.0% in the non-HCC-risk group (p=1.000). Conclusions: The current study found that while ICC patients with HBV infection showed some favorable tumor characteristics, patients' stage-specific survival and recurrence rat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those without any major risk factors for HCC. This observation implies that equivalent treatment and surveillance policies must be considered in ICC patients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HBV infection.

■♣ Sat-012

비만-동물모델에서 담즙산 제제 투여 후 장관 내 미생물 구성 변화에 따른 대사지표 개선효과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이현정, 류기현, 최용우, 임창범

목적: 담즙산은 장관 내 미생물에 대한 주요 조절인자로 특정 균주를 증식 및 억제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인위적인 담즙산 조성 변화는 장관 내 미생물 구 성을 변화시킬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는 비만-동물모델에서 담즙산 제제가 장관 내 미생물 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대사지표 개선효과를 확인하여 비만 에 대한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담즙산 제제는 현재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ursodeoxycholic acid (UDCA; FXR antagonist)와 obeticholic acid (OCA; FXR agonist)를 사용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실험은 마우스(C57BL/6, 대조군 20마리 vs. 실험군 15마리)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첫 번 째 실험은 대조군(정상식이), 고지방식이군, 고지방식이와 UDCA 동시투여군을 비교하여 8주간 진행하였고, 두 번째 실험은 고지방식이 시 담즙산 제제 투여 효 과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고지방식이군, 고지방식이와 UDCA 동시투여군, 고지방식이 OCA 동시투여군을 5주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체중변화, 대사 지표 및 간 효소수치 등의 혈청학적 검사결과 변화, 그리고 장관 내 미생물 구성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 첫 번째 실험결과, 정상식이를 시행한 대조군에 비하여 고지방식이군에서 유의한 체중증가를 보였고, 고지방식이와 UDCA 동시투여군에서 체중증가속도의 둔화가 관찰되었다. 두 번째 실험결과, 고지방식이와 OCA 동시투여도 체중증가속도를 둔화시키나, UDCA 동시투여군에 비하여 그 정도가 적었다. 고지방식이와 UDCA 동시투여군에서 담도계 압력을 반영하는 수치의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고, 고지방식이와 OCA 동시투여군에서 당이나 지질수치 및 인슐린 저항성에 있어서 효과를 보였다. 고지방식이 시 UDCA나 OCA 동시투 여는 모두 장관 내 미생물총에서 Firmicutes/Bacteroidetes (F/B)의 비율 증가를 보였으며, OCA 동시투여군에서 더욱 확연하게 관찰되었다. 결론: 고지방식이로 인한 체중증가는 담즙산 제제 투여에 의하여 둔화되어 비만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나, 장관 내 미생물 변화로 인한 영향일 가능성이 적고, 담즙산 의 직접적인 체내 대사회로 관여 경로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59

■♣ Sat-011

Comparison of ICC patients with hepatitis B infection to those with no major risk factors for HCC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서울병원1,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삼성창원병원2

*

나지은

1

, 김광민

2

, 신동현

1

Background/Aims: The prognosis of 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ICC) is generally poor in comparison with tha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Recently, there has been renewed interest in Hepatitis B virus (HBV)-associated ICC, because along with HCC, it could indicate a common disease process for carcinogenesis.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clinical outcome between ICC patients with HBV infection and those without any major risk factors for HCC such as HBV, HCV infection, and cirrhosis of any etiology. Methods: A total of 253 curatively resected, surgically diagnosed, ICC patients [Age: 62.8 ± 10.4, male: 155 (61.3%)] in a single center were analyz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presence or absence of major risk factors for developing HCC: HBV (n=45) and non-HCC-risk group (n=208). Results: After surgery, lymph node metastasis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in non-HCC-risk group (HBV vs. non-HCC-risk: 8.89 vs. 24.52%, p=0.027). During a median follow-up of 30 months, there were 117 (46.2%) deaths for the entire cohort. Patients in the HBV group demonstrated more favorable survival than those in non-HCC-risk group. However,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5-year survival rate, 54.7% vs. 42.3%, p=0.120). In cases where patients belonged to any of the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AJCC) stage I-III, the ones with HBV infection did not show a survival benefit compared to those without any major risk factors for HCC. Cumulative recurrence rate in the HBV group was 62.2%,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63.0% in the non-HCC-risk group (p=1.000). Conclusions: The current study found that while ICC patients with HBV infection showed some favorable tumor characteristics, patients' stage-specific survival and recurrence rat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those without any major risk factors for HCC. This observation implies that equivalent treatment and surveillance policies must be considered in ICC patients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HBV infection.

■♣ Sat-012

비만-동물모델에서 담즙산 제제 투여 후 장관 내 미생물 구성 변화에 따른 대사지표 개선효과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이현정, 류기현, 최용우, 임창범

목적: 담즙산은 장관 내 미생물에 대한 주요 조절인자로 특정 균주를 증식 및 억제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인위적인 담즙산 조성 변화는 장관 내 미생물 구 성을 변화시킬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는 비만-동물모델에서 담즙산 제제가 장관 내 미생물 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대사지표 개선효과를 확인하여 비만 에 대한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담즙산 제제는 현재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ursodeoxycholic acid (UDCA; FXR antagonist)와 obeticholic acid (OCA; FXR agonist)를 사용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실험은 마우스(C57BL/6, 대조군 20마리 vs. 실험군 15마리)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첫 번 째 실험은 대조군(정상식이), 고지방식이군, 고지방식이와 UDCA 동시투여군을 비교하여 8주간 진행하였고, 두 번째 실험은 고지방식이 시 담즙산 제제 투여 효 과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고지방식이군, 고지방식이와 UDCA 동시투여군, 고지방식이 OCA 동시투여군을 5주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체중변화, 대사 지표 및 간 효소수치 등의 혈청학적 검사결과 변화, 그리고 장관 내 미생물 구성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 첫 번째 실험결과, 정상식이를 시행한 대조군에 비하여 고지방식이군에서 유의한 체중증가를 보였고, 고지방식이와 UDCA 동시투여군에서 체중증가속도의 둔화가 관찰되었다. 두 번째 실험결과, 고지방식이와 OCA 동시투여도 체중증가속도를 둔화시키나, UDCA 동시투여군에 비하여 그 정도가 적었다. 고지방식이와 UDCA 동시투여군에서 담도계 압력을 반영하는 수치의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고, 고지방식이와 OCA 동시투여군에서 당이나 지질수치 및 인슐린 저항성에 있어서 효과를 보였다. 고지방식이 시 UDCA나 OCA 동시투 여는 모두 장관 내 미생물총에서 Firmicutes/Bacteroidetes (F/B)의 비율 증가를 보였으며, OCA 동시투여군에서 더욱 확연하게 관찰되었다. 결론: 고지방식이로 인한 체중증가는 담즙산 제제 투여에 의하여 둔화되어 비만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나, 장관 내 미생물 변화로 인한 영향일 가능성이 적고, 담즙산 의 직접적인 체내 대사회로 관여 경로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참조

관련 문서

We reviewed and analyzed the ability of diagnostic laparoscopy to detect peritoneal recurrence or carcinomatosis, and especially for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12) Maestu I, Gómez-Aldaraví L, Torregrosa MD, Camps C, Llorca C, Bosch C, Gómez J, Giner V, Oltra A, Albert A. Gemcitabine and low dose carboplatin in the treatment of

Backgroun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diabetic retinopathy (DR) and myocardial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nd dilated cardiomyopathy (dCMP)..

To clarify the potential role of genetic variation in MUC5AC gene with respect to gastric cancer risk, we conducted a case-control study to investigate the

In this study we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umor size and grade, and pres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patients with renal cell carcinoma.. Materials and

It suggested that overexpression of Ki-67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worse prognosis of glioma and high Ki-67 expression was a valuable prognostic factor fo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risk factors, and clinical impact of postoperative AF in patients with HF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244 patients

Methods: Seventee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were treated with the following regimen every 21days: docetaxel 60 mg/m 2 IV on day1, oxaliplatin 100 mg/m 2 IV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