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위치 기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기술 및 사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위치 기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기술 및 사례"

Copied!
1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출처: 인터넷

(그림 1) 위치 기반 모바일 광고 사례 목 차 1. 서 론

2. 모바일 서비스 특성 3. 위치 기반 모바일 서비스

4. 위치 기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기술 사례 5. 결론 및 향후 전망

“점심을 뭘 먹을까?” 사무실에서 점심시간이 되면 항상 고민된다. 그러나 직장인 이모씨는 점 심시간이 되어도 어떤 메뉴를 먹을까 고민하지 않는다. 사무실 근처에 새로 개업한 식당을 알려 주거나 또는 메뉴 할인 이벤트가 있는 레스토랑 을 가르쳐주는 앱을 다운받아 활용하기 때문이 다. 이모씨는 어제 새로 개업하여 30% 할인 혜택

을 주는 파스타 집으로 결정하였다. 이러한 이야 기는 위치 기반 모바일 광고에서 자주 나오는 시 나리오이다. 위치 기반 정보를 활용하면, 사용자 의 현재 위치에 따라 가까운 곳에서 진행되는 다 양한 광고 메시지를 노출할 수 있는 매력적인 광 고 방법 중에 하나이다[1]. 가까운 위치에 있기 때 문에 식당이나 매장으로 고객을 유도하기가 용

위치 기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기술 및 사례

이용환 (극동대학교), 안효창 ․ 이상범 (단국대학교)

(2)

이하고 고객을 보다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전략이라 할 수 있다.

1. 서 론

최근 무선 네트워크의 진화, 스마트폰과 태블 릿 등 스마트 디바이스의 보급이 급증하면서 기 존에 사용되어온 소프트웨어나 응용 서비스가 앱(App,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전환되고 있으며, 기존 PC 기반의 웹에서는 제공하기 어려운 모바 일 디바이스만의 특성을 반영하는 다양한 모바 일 앱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유형은 특정 기 술에 국한된 모바일 앱보다는 위치 기반과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접목하거나 또는 증강현실, 상황 인식형 정보 검색 등 모바일 디바 이스가 가진 이동성을 특화시키고 응용 서비스 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모 바일 기술을 접목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2].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특화된 기술을 활용 하기 위해 모바일 앱의 기능이나 콘텐츠를 기획할 때부터 이동성 및 디스플레이 크기 등 모바일 디 바이스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획하고 구현해야 하 며, 응용서비스에 따라 모바일 앱 방식으로 개발 하기 위한 고려사항들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본 고에서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핵 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모바일 특화 기술을 특 성에 따라 분류하고 서비스 구현을 위한 요소 기 술에 대해 소개하고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관련 기술 개발 동향과 활용 사례를 살펴본다.

2. 모바일 서비스 특성

모바일 환경은 유선 네트워크 환경과 본질적

으로 서비스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Who)의 차이, 이용 가능한 장소 (Where)의 차이, 이용 가능한 기능(What)의 차이, 이용 가능한 시간(When)의 차이, 이용하는 목적 (Why)의 차이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조작하 는 방식(How)의 차이에서 과거의 서비스 형태와 근본적인 차이를 가지며, 이러한 차이에 의해 서 비스를 제공하는 요구 또한 달라진다[3].

이러한 모바일 환경의 특성을 간단히 기술하 면, 사용자가 이동 중에 서비스를 주로 많이 이용 하고 이용 시간이 유선 인터넷보다는 상대적으 로 짧으며 디스플레이 화면이 작고 화면 조작이 불편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한 번 에 이용할 수 있는 정보량이 적다. 이에 반해, 모 바일 디바이스에서는 GPS를 포함한 여러 센서를 활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제공하는 정보의 유형이 풍부하 며, 개인 활용성과 상시 접속성의 특성에 따라 항 상 개별화된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능동적 사용이 가능하다[4]. PC 기반의 유선 인터 넷에서는 다량의 정보를 제공하고 검색 등을 통 해 사용자가 직접 필요한 정보를 찾아가는 유형 의 서비스가 가능하지만, 스마트폰 기반의 무선 인터넷에서는 이러한 서비스가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의 상황에 맞춰 원하는 소수의 정 보를 정확하게 선별하여 제공하며, 쉽고 빠르게 정보에 접근하는 서비스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 미한다[5].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 해 5가지 요소를 갖춰야 한다[3]. 첫 번째로, 사용 자 요청을 보다 능동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사용 자의 주변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해야 한다 (Situation-aware Service). 두 번째로, GPS, 카메

(3)

(그림 2) 모바일 인터넷 이용 환경의 특징과 차별화 요소와의 관계[3]

(그림 3) 위치 정보 플랫폼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 사례[7]

라, 주소록 등 스마트폰에 내장된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가 함께 연동되어 제공되어야 한다 (Mash-up Service). 세 번째로, 사용자 요청이 없 더라도 상황 인지에 따라 사용자에게 개별화된 서비스를 능동적으로 제공해야 한다(Active Service). 네 번째로,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에는 요청에 맞는 적절한 서비스를 빠르고 신속 하게 제공해야 한다(Rapid Service).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서비스를 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 는 맞춤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야 한다 (Tailor-made Interface). 이러한 모바일 환경의 5W1H 특성 차이와 차별화 요소의 관계를 도식 화하면 그림 2와 같다

이러한 모바일 환경에서의 서비스 특성을 적 절하게 반영한 대표적인 응용 서비스들은 위치 기반 서비스, 증강현실 서비스, 모바일 정보 검색 서비스, 근거리 무선통신 서비스, 상황인식 서비 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알림 서비스, 모바일

콘텐츠 유통 서비스, 모바일 결제 서비스, 모바일 M2M 서비스 등이 있다(그림 3).

다음 절에서는 모바일 기술을 구현하는 서비 스들 중에서 대표적으로 사용자의 이동성과 휴대 성을 반영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의 기술 특성을 살펴본다.

3. 위치 기반 모바일 서비스

3.1 위치 기반 서비스

위치 기반 서비스(LBS)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이동통신망 등을 통 해 얻어지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위치에 따른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이 다. 이는 모바일 환경의 특성인 이동성을 가장 적절하게 활용하는 도구이며, 위치에 따라 사 용자에 알맞은 기능 제공과 계속적인 위치 추 적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선 인터넷 서비스 분 야와 가장 차별적 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기반 서비스는 제공 방식에 따 라 크게 2가지로 나눠진다. 첫 번째는 셀 방식 으로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다. 이는 기지 국을 통해 얻어지는 위치 정보를 활용하는 방 식으로, 위치에 대한 오차 범위가 크다는 단점 이 있지만, 중계기를 통해 건물 또는 지하 등에 서의 위치도 찾을 수 있다. 두 번째는 위성항법 장치를 활용하는 GPS 방식이다. 위성장치에서 보내오는 정보를 스마트폰의 내장칩이 읽어, 위치 정보를 얻는다. 위치 오차 범위가 적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위성 신호의 반사, 굴절에 따라 도심 고층건물이나 실내에서는 사용이 어 렵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2가지를 결합한 형태로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7].

(4)

(그림 4) 스마트폰 LBS 지원을 위한 구성 요소[9]

(그림 5) 위치 정보 측위 기술의 4가지 분류[7]

3.2 위치 기반 서비스 요소 기술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 비스의 핵심 기술은 (1) 하드웨어 지원 위치 측 위 관련 기술, (2) LBS 컴포넌트 지원 플랫폼 기술, (3) LBS 인프라 지원을 위한 애플리케이 션 융합 기술 등이 있으며, LBS 구성 요소를 도식화하면 그림 4와 같다.

위치 기반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하드웨어 기술로, 정확한 위치 정보 획득을 위한 위치 측 위 기술이 있으며, 측위에 사용되는 인프라 유 형에 따라 그림 5와 같이 네트워크 기반, 위성 신호 기반, WIFI 신호 기반, 혼합 측위 기반으 로 분류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반 위치 측위는 이동통신사의 기 지국 위치를 활용하여 위치 정보 요청 단말기 인 스마트폰의 위치를 측정하는 기술이며, 기 지국과 스마트폰 간의 신호 방향과 도달시간 등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정한다. 위성신호 기

반 위치 측위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스마트폰까 지의 전파 도달시간을 측정하고 위성과 수신거 리를 파악하여 위치를 추정한다. GPS 위성을 기준으로 Standalone GPS, MS-based GPS, MS-assisted GPS 및 Hybrid 방식으로 구분된 다. WIFI 신호 기반 위치 측위는 스마트폰 주 변의 WIFI 정보를 감지하고 WIFI AP의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위치정보를 얻 는다. 사전에 WIFI AP의 위치정보 데이터베이 스를 구축해야 하는 비용이 소요되지만, 비교 적 정확한 위치를 측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혼합 측위 방법은 앞의 3가지 방식의 위치 측 위값을 조합하여 스마트폰 위치를 측위하는 방 식이다.

아이폰의 iOS에서는 HPS(Hybrid Positioning System) 방식으로 위치를 측위하며, 운영체제 에서 제공하는 API를 통해 위치 정보를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GPS 위성 신호, WIFI AP, 기지국 셀 ID 순서로 측정하여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다. 안드로이드폰에서도 동일 한 순서로 위치 측위를 지원한다.

스마트폰에서는 플랫폼 기술을 제공하고, 지 도 DB와 연동하여 다양한 LBS 앱 개발을 지 원한다. 애플 아이폰에서는 핵심 플랫폼으로 CoreLocation 프레임워크1)(그림 6)와 Google Maps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위치 정보를 쉽게 제공받아 외부 DB와의 연동 기능을 지원한다. iOS는 GPS 위성 신호 의 취약 지역에서 정확한 위치 정보를 얻기 위 해 스카이훅 와이어리스2)에서 제공하는 WIFI

1) https://developer.apple.com/library/ios/documentation /UserExperience/Conceptual/LocationAwarenessPG/

Introduction/Introduction.html

2) http://wkyhookwireless.com

(5)

(그림 6) iOS CoreLocation 프레임워크 구조

(그림 7) Android OS android.location 패키지 구조

Hotspot 정보, Google Maps3)에서 제공하는 셀 기지국의 위치정보 API를 통해 보다 높은 정밀 도의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구글 안드로이드 폰에서는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 LocationManager4)(그림 7)를 사용해 위치 정보 에 대한 라이브러리를 지원하며 Google Maps

3) http://maps.google.com

4) https://developers.google.com/android/

애플리케이션을 기본으로 탑재하고 있다. 이외 에 Google Maps External Library를 지원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네트워크 망의 고속화와 스마트폰의 고기능 화에 따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처리가 가능하게 되어, 최근에는 위치 측위 기술 지원을 기반하 여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LBSNS),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 모바일 광

(6)

출처: 인터넷

(그림 8) 포스퀘어 서비스 이용 화면 예시 고 등 다양한 서비스들과 연계하여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위치 기반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LBSNS)는 LBS와 SNS 특징을 결합시킨 새로운 형태의 응용 서비스이며[10], 대표적으로 포스퀘어 (Foursquare), 페이스북 플레이스(Facebook Places), 구글 라티튜드(Google Latitude) 등이 있다. 기존의 SNS인 페이스북(Facebook)와 트 위터(Twitter)에서는 “사용자가 무엇을 하고 있 는지(what you are doing)”에 관심을 가졌다면, LBSNS에서는 특정 장소에서의 자동체크인을 통해 “사용자가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는지 (where you are doing it)”에 관점을 확대시키고 있다.

증강현실(AR) 서비스는 모바일 디바이스 등 에서 실계계 정보와 온라인 정보, 문맥 정보 등 을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과 현실 활용성 이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로, 사물 인식 또는 마커 인식 기술, 문맥 정보 활용 기술, 가 상 객체의 표현 기술, 위치와 상황에 맞는 증강 데이터의 연계 기술 등이 핵심 기술로 반영된 다. 초기 증강현실 서비스는 PC 기반에서 온라

인 서비스에 한정되어 개발되었으나, 최근에 카메라와 GPS가 탑재된 스마트폰이 고성능화 되면서 모바일 영역까지 서비스 시장이 확대되 고 있다. 이는 스마트폰에 내장된 GPS, 카메라 및 기울기센서, 방위각 센서 등을 포함한 주요 센서 정보를 결합시키는 모바일 증강현실 응용 서비스로의 발전을 의미한다. 모바일 증강현실 의 요소 기술로는 추적(Tracking) 및 정합 (Matching) 기술, 상호작용(Interaction) 및 사용 자 인터페이스(UI) 기술, 위치 기반 서비스 기 술과 지능형 검색 기술 등이 있으며, 이러한 기 술들을 결합시켜 증강현실의 응용 서비스 유형 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다음 절은 LBSNS와 AR 적용 분야에서 위 치 정보를 기반한 대표적인 모바일 애플리케이 션개발을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4. 위치 기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기술 사례

4.1 LBSNS 사례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모바일 서비스의 가장 큰 특징인 이동성과 즉시성을

(7)

출처: 인터넷

(그림 9) 씨온 앱 이용 화면 예시

출처: 인터넷

(그림 10) 아임IN 앱 이용 화면 예시

모두 보여주는 서비스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 다. 대표적인 LBSNS로 포스퀘어(Foursquare), 고왈라(Gowalla)5), 씨온(SeeOn), 아임IN 등이 있다.

포스퀘어(Foursquare)는 LBSNS를 개발하는 회사이며, 포스퀘어 서비스를 통해 특정 장소 에 체크인을 하고 특정 지역의 메이어가 된 다

5) 고왈라(Gowalla)는 포스퀘어와 쌍두마차를 이룬 LBSNS의 대표적인 앱이였으나, 페이스북에 인수된 이후, 서비스를 종료하였다.

음, SNS 기능을 통해 장소에 대한 정보를 공유 하는 서비스를 지원한다[11]. 2014년에 체크인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분리한 스웜 애플리케이 션을 출시하였으며, 포스퀘어 서비스는 특정장 소에 대한 정보 공유 기능을 특화시키는 방향 으로 확장하고 있다.

씨온은 위치 기반 커뮤니티 서비스와 간단한 게임 오락 요소를 결합시킨 LBSNS 애플리케 이션이다[12]. 장소와 시간에 따른 체크인과 카 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미투데이와의 연동

(8)

출처: 인터넷

(그림 11) 오브제 앱 이용 화면 예시

출처: 인터넷

(그림 12) 위키튜드 앱 이용 화면 예시 및 위치정보 공유가 가능하다. 아임IN은 한국

적 네트워크 정서를 담은 커뮤니케이션 기능, 체크인 및 간단한 게임 공유 등의 기능을 제공 한다[13].

4.2 AR 사례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효과 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증강현실 플랫폼을 사용 한다. 대표적인 증강현실 플랫폼으로는 오브제 (Ovjet), 위키튜드(Wikitude), 주나이오(Junaio), 레이야(Layar) 등이 있다.

오브제(Ovjet)는 스마트폰의 GPS 센서를 이 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카메라로 보이는 사물 위치를 파악하여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하 며, 사용자 주변에서 특정 장소를 찾아주고 정 보를 공유하고 사용자간의 온라인 교류가 가능 한 SNS 기능을 지원한다[14].

증강현실의 대표적인 기업인 위키튜드 (Wikitude)는 현재까지 가장 많은 사물과 장소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위키튜드 증강현실 플랫폼을 지원한다[15]. 해당 플랫폼은

Wikitude.me, Wikitude API, Wikitude Brower 로 구성되며, 브라우저는 카메라 위치와 방향 을 결정하고 카메라의 실세계 영상에 GPS 센 서로 얻은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정보를 태깅 한다.

주나이오(Junaio)는 메타리오(Metaio)사에서 개발한 콘텐츠 채널을 통해 실세계 영상에 태 그 정보를 생성하는 증강현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앱이다[16]. 카메라의 방향 전환을 통해 여러 채널들이 실시간으로 전환되며, 이미지 인식 기능을 포함하여 특정 장소에서 제공하는 증강현실 이미지를 사용자간에 공유하는 기능, 모바일 증강현실 게임 등을 지원한다.

(9)

(그림 13) 주나이오 앱 이용 화면 예시

출처: 인터넷

(그림 14) 레이야 앱 이용 화면 예시

레이야(Layar)는 SPRXmobile에서 개발한 통 합형 모바일 증강현실 브라우저로, 외부에서 제작한 다양한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을 다운 로드하여 사용하는 통합 브라우저 플랫폼이다

[17]. GPS와 나침반 기능을 사용하여 사용자 위 치, 시야 및 태그 정보를 표시하는 지리 정보를 추출하며, 지역 검색과 지능형 모바일 검색 기 능을 포함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5. 결론 및 향후 전망

빠르게 발전해온 스마트폰 시장에서 이동성

과 휴대성, 개별화를 강화한 위치 기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분야에서 요소 기술로 접목되어 많은 융합 서비스 지원하고 있다. 이 는 GPS, WLAN, 디지털 컴퍼스 등의 하드웨어 기술과 iOS, Android 등 플랫폼 지원 기술을 포함하여 지도 및 여러 응용분야에서의 데이터 베이스와 연동하여 수많은 LBS 애플리케이션 들이 개발, 서비스되고 있다. 또한 소셜 네트워 크 서비스, 증강현실, 게임 등 다양한 응용 서 비스와 결합하고 위치 정보를 활용한 안전사고 예방 등의 애플리케이션들이 출시되고 있다.

(10)

참 고 문 헌

[ 1 ] 박용철, "Location Based Service, 모바일 마케 팅의 무한 진화가 시작된다", Special Theme Ideal Talk, 2014년.

[ 2 ] 현미환, 신수미, 김혜선, “모바일 앱 개발을 위 한 특화 기술 분석”,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지식리포트, No.33, 2012년.

[ 3 ] 김종대,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SMART 해야 한다”, LG Business Insight, 2010년.

[ 4 ] 노미진, 김호열, “모바일 특성이 모바일 서비스 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경영교 육연구 48권, 2007년.

[ 5 ] 신현식, 송용욱, 성낙현, “모바일 인터넷과 PC 인터넷의 특성 차이에 대한 인식이 모바일 인터

넷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 전자거래학회지, 15권 3호, 2010년.

[ 6 ] 한지숙, 이운형, “위치기반 서비스(LBS)를 활용 한 모바일 마케팅 분석 - 국내 위치기반 SNS (LBSNS) 앱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트랜드학 회, 한국디자인포럼 38권, 2013년.

[ 7 ] 박창민, “위치 정보의 서비스 동향과 패러다임 의 변화 - WIFI AP 정보를 활용한 위치 정보 플랫폼 구축”, Internet and Security Focus, 2013년.

[ 8 ] 국가법령정보센터, “위치 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약칭: 위치정보법)”, 법률 제117 17호, http://law.go.kr/lsEfInfoP.do?lsiSeq=1 37349.

[ 9 ] 정구민, 최완식, “스마트폰 위치기반 서비스 (LBS) 기술 동향”, TTA Journal, no.130, [10] 채령, “위치기반 사회관리망 서비스(LBSNS)",

한국인터넷진흥원, NET Term 인터넷& 시큐리 티 이슈, 2013년.

[11] 포스퀘어 https://ko.foursquare.com/

[12] 씨온 https://www.seeon.kr/

[13] 아임IN http://www.im-in.com/

[14] 오브제 http://ovjet.com/

[15] 위키튜드 http://www.wikitude.com/

[16] 주나이오 http://www.junaio.com/

[17] 레이야 https://www.layar.com/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SNS가 보다 확장되면서 LBSNS 제공을 지원하며, “내가 있는 현재 위 치”, “내가 있는 곳의 주변 정보”를 획득하고 공간정보 서비스와 사용자의 자동체크인 서비 스를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정보 제공 및 공 유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RFID를 포함한 무선 근거리 기술 등을 흡수하면서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가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고에서 는 위치 기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기술 동 향과 적용 서비스 사례를 살펴보았다.

다른 한편으로, 스마트폰의 위치 기반 기 술 발전, 서비스 증가와 시장 확산에 따라, LBS 관련 법적 그리고 제도적인 장치가 따라야 한 다는 것도 알아야 한다. 개인정보 보호 및 위치 정보 오남용 등에 대한 보안책이 필수적이며, 잘못된 적용에 대한 현명한 해법이 요구된다.

이러한 법적, 제도적 뒷받침이 있을 경우, 스마 트폰의 발전과 더불어 보다 진보된 위치 기반 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11)

저 자 약 력

이 용 환

․․․․․․․․․․․․․․․․․․․․․․․․․․․․․․․․․․․․․․․․․․․․․․․

이메일 : hwany1458@empal.com

∙ 1993년 단국대학교 전자계산학과 (학사)

∙ 1995년 단국대학교 전산통계학과 (석사)

∙ 2007년 단국대학교 전자컴퓨터공학과 (박사)

∙ 1995년~2000년 (주)한국정보시스템 기술개발연구소 /선임연구원

∙ 2000년~2003년 (주)이칼로스 팀장

∙ 2003년~2007년 (주)한국e문화 기술이사

∙ 2007년~2009년 성균관대학교 박사후연구원

∙ 2009년~2013년 단국대학교 응용컴퓨터공학과 연구 교수

∙ 2014년~현재 극동대학교 스마트모바일학과 조교수

∙ 관심분야 : 이미지 코딩, 멀티미디어 검색, 모바일 멀티 미디어 통신, 증강현실

안 효 창

․․․․․․․․․․․․․․․․․․․․․․․․․․․․․․․․․․․․․․․․․․․․․․․

이메일: youcu92@dankook.ac.kr

∙ 2003년 상지대학교 전자계산공학과 (학사)

∙ 2006년 단국대학교 전자컴퓨터공학과 (석사)

∙ 2012년 단국대학교 전자컴퓨터공학과 (박사)

∙ 2013년~2014년 단국대학교 미디어콘텐츠연구원 스토 리텔링연구센터 연구원

∙ 2014년~현재 단국대학교 응용컴퓨터공학과 연구교수

∙ 관심분야 : 영상처리, 컴퓨터비전, 임베디드시스템, 모 바일 멀티미디어 통신

이 상 범

․․․․․․․․․․․․․․․․․․․․․․․․․․․․․․․․․․․․․․․․․․․․․․․

이메일: sbrhee@dankook.ac.kr

∙ 1974년 연세대학교 전자공학과(학사)

∙ 1978년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석사)

∙ 1986년 연세대학교 전자공학과(박사)

∙ 1979년~현재 단국대학교 응용컴퓨터공학과 교수

∙ 2005년 한국정보처리학회장

∙ 관심분야 : 영상 및 음성 신호 시스템, 멀티미디어 응 용, 임베디드 시스템,

참조

관련 문서

하늘에 떠 있는 GPS 위성의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 의 위치를 계산해 주는 것이 GPS 위성항법시스템입니다.. 미국, 러시아 GLONASS, 유럽연합의 Galileo, 중국의

해당 연구를 통해 신호가 변경되는 주기를 파악하고, 이를 GPS 와 연동시켜 자동차에 알맞은 속도를 결정 및 가시화하는 시스템 을 구상한다면, 운전자들이 자신의 주행

중대사고 환경하에서 생존 가능 필수 계측기 개발 및 고장·탐지 진단 기술 개발 없음 사고 극복 위한 필수기기 가용성 증진 기술 개발 없음..

HMBTTZ TMBH EVSJOH UIF MFBEGJSF BTTBZ GPS UIF SFBTPOT UIBU TBNQMF QBSUJDMF TJ[F  GMVY NJYUVSF SBUJP  BOE GVTJPO UFNQFSBUVSF XFSF OPU

자동차가 스스로 움직이기 위해서는 주변 환경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카메라로 촬영한 장면을 분석하고 판단할 수 있는 컴퓨터, 현재 자동차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지도와

• 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with idle period downlink (OTDoA-IPDL). •

Key words : ground control point, GPS, world geodetic coordinate system, ITRF, GIS, UIS, LIS, ITS, Ubiquitous, triangulation point, geodetic control

To get continuous navigation information at low cost, this work demonstrates a position system which is constructed by integrating GPS and 3-ax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