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17 대원외고 1학년 1학기 중간고사 대비자료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2017 대원외고 1학년 1학기 중간고사 대비자료"

Copied!
2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30.

이차함수         에 대하여 이차부등식      을 만족시키는 해가 없도록 하는 정수  의 개수는? ①  ②  ③  ④  ⑤  [131 ~ 132]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의 꼭짓점을 A 라 하고, 점 A 에서 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B 라 하자. 131번과 132번의 두 물음에 답하시오. (단, O 는 원점이고, 는  ≠ ,  ≠ 인 실수이다.) A B        O

131.

이차함수  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 가 오직 한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모든 실수  의 값의 합은? ①  ②  ③  ④  ⑤ 

132.

     일 때, O B  AB 의 최댓값은? ①  ②  ③  ④  ⑤ 

133.

행성의 인력에 의하여 주위를 공전하는 천체를 위성이라고 한다. 행성과 위성 사이의 거리를  (km), 위성의 공전 속력을  (km/sec), 행성의 질량을 kg이라고 할 때,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한다고 한다.     (단, 는 만유인력상수이다.) 행성 와 의 위성 사이의 거리가 행성 와 의 위성 사이의 거리의  배일 때, 행성 의 위성의 공전 속력이 행성 의 위성 의 공전 속력의  배이다. 행성 와 행성 의 질량을 각각 , 라 할 때,    의 값은? ①  ②  ③  ④  ⑤ 

134.

이차함수 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 에 대한 방정식     의 두 근은   와  이다. (나)  ≤  ≤  에서 이차함수    의 최댓값은 이다.     의 값을 구하시오.

135.

그림과 같이 ∠ A   이고 AB   인 직각이등변삼각형 ABC 가 있다. 변 AB 위의 한 점 P 에서 변 BC 에 내린 수선 의 발을 Q 라 하고, 점 P 를 지나고 변 BC 와 평행한 직선이 변 AC 와 만나는 점을 R 라 하자. 사각형 P Q CR 의 넓이의 최댓 값을 구하시오. (단, 점 P 는 꼭짓점 A 와 꼭짓점 B 가 아니다.) A B C P Q R

136.

양수  에 대하여 두 함수     과        그래프가 만나는 두 점을 각각 A , B 라 하고, 직선      가  축과 만나는 점을 C ,  축과 만나는 점을 D , 점 A 에서 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E 라 하자. 삼각형 CO D 의 넓이를 , 사각형 O EAD 의 넓이를 라 할 때,   을 만족시키는 실수  의 값은? (단, O 는 원점이고, 두 점 A , B 는 각각 제 사분면과 제  사분면 위에 있다.) ①  ②  ③  ④  ⑤    O           B A

(2)

처음 얼마 동안은 중력의 영향으로 그 입자는 가속을 받게 되나 유체의 저항력으로 인하여 곧 입자에 작용하는 중력과 유체의 저 항력이 같게 되어 이 퇴적물 입자는 일정한 속도로 가라앉게 된 다. 점성도가  이고 밀도가  인 유체 내에서 퇴적물의 일정한 하강 속도를 , 퇴적물 입자의 밀도를  , 퇴적물 입자의 직경을 라 하 면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한다고 한다.         (단,  는 중력가속도이다.) 점성도가     이고 밀도가     인 유체 속으로 두 퇴 적물 입자 , 를 각각 떨어뜨렸을 때 두 퇴적물 입자 ,  의 일정한 하강 속도를 각각 , 라 하자. 두 퇴적물 입자 , 의 밀도가 각각  ,  이고, 퇴적물 입자 의 직경과 퇴적물 입자 의 직경의 비가    일 때,    의 값은? ①  ②  ③  ④  ⑤ 

138.

고대 이집트의 태양신을 상징하는 어느 오벨리스크는 사각 뿔 모양의 돌이다. [그림  ]과 같이 높이가  m 인 삼각기둥 ABC  D EF 모양의 돌을 이용하여 [그림  ]와 같이 밑면이 직 사각형인 사각뿔 모양의 오벨리스크를 만들려고 한다. 삼각기둥 ABC  D EF 모양의 돌은 모서리 EF 의 길이가  m , 꼭 짓점 D 에서 모서리 EF 에 내린 수선의 발과 꼭짓점 D 사이의 거리가  m 이다. 모서리 EF 위의 두 점 G , H 와 두 모서리 FD , D E 위의 각각 의 점 I , J 가 직사각형 G HIJ 의 네 꼭짓점이 될 때, 높이가  m 이고 직사각형 G HIJ 를 밑면으로 하는 부피가 최대인 사각뿔 모양의 오벨리스크의 부피는 m이다. 의 값을 구하시오. (단, 각 면에 있는 무늬는 무시한다.) A B C D E F

[그림

]

[그림

]

서로 다른 두 점 A , B 에서 만날 때, 두 점 A , B 의 좌표를 각각 ,  라 하자. 다음은   

 일 때,  의 값을 구하는 과정이다. (단,   ) 두 함수   ,   의 그래프가 두 점 A , B 에서 만나므로 방정식   의 해는    또는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가    

 이므로   나  따라서         다  위의 (가)에 알맞은 식을 , (나)와 (다)에 알맞은 수를 각각 , 라 할 때,     의 값은? ①  ②  ③  ④  ⑤ 

140.

141.

이차함수      의 그래프와 축이 만나는 두 점 의 좌표를 각각  라고 할 때,   의 값은?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

142.

(3)

143.

이차방정식       의 두 근 중 한 근은 보다 크고 다른 한 근은 보다 작을 때, 의 값은? ①    ②    ③    ④    ⑤   

144.

이차방정식      의 두 근이 모두 과 사이에 있기 위한 실수 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145.

146.

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근을 , 라고 할 때      이고     이다. 상수 의 값은? ①    ②    ③      ④    ⑤     

147.

직선     와 이차함수      의 그래프가 그 림과 같을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방정식          의 해는 또는 이다. ㄴ.     ㄷ.      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48.

  ≤  ≤ 에서 정의된 이차함수      의 최 댓값과 최솟값의 합이 일 때, 상수 의 값은? ①  ②  ③  ④  ⑤ 

149.

이차함수 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다. 이차함수   의 그래프를 축의 방향으 로 만큼 평행 이동하였더니 함수     의 그래프와 일치하였다. 직선     이 두 함수   ,    의 그래프와 서 로 다른 네 점에서 만날 때, 네 교점의 좌 표의 합이 가 되도록 하는 이 값은? (단,   이다.) ①  ②  ③    ④  ⑤   

150.

그림과 같이 폭이 cm 인 양철판을 구부 려서 단면의 모양이 직사각형인 물받이를 만들 려고 한다. 물받이를 수직으로 자른 색칠한 단 면의 넓이가 최대가 되도록 할 때, 물받이의 높 이를 구하시오.

151.

그림과 같이 이차함수      의 그래프가 축과 만나는 점을 A , 축과 만나는 점을 각각 B C 라 하자. 점 P  가 점 A 에서 이차함수      의 그래프를 따라 점 B 를 거쳐 점 C 까지 움직일 때,     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을 구하시오.

152.

이차함수  가         을 만족할 때, 다음 보기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    ㄴ.  의 최댓값은 이다. ㄷ. 모든 에 대하여        이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ㄱ, ㄴ, ㄷ   

(4)

근을 가질 때, 모든 실수 의 값의 곱은? ① 

 ② 

 ③ 

 ④   

⑤ 



154.

임의의 실수   에 대하여 이차함수  가 다음 두 조 건을 만족한다. (ⅰ)       

  

(ⅱ)          이 때,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함수  는 위로 볼록한 그래프를 갖는다. ②  는   일 때 최댓값을 갖는다. ③         ④         ⑤   일 때 최솟값을 갖는다.

155.

이차함수       와 두 직선   ,   는 각각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각각의 교점에서 축에 내린 수선 의 발을 그림과 같이 A B C D 라 할 때,

AB  CD

의 값은? ①  ②  ③  ④  ⑤ 

156.

이차함수  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한다. (가)     (나)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    이다.   ≤  ≤ 에서 함수  는   일 때 최댓값을 갖고,    일 때 최솟값을 가진다. 이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①  ②  ③  ④  ⑤  [158-159] 그림과 같이 점 A   를 지나고 꼭짓점이 점 B    인 이차함수   의 그래프와 원점을 지나는 직선     가 점 A 에서 만난다.(단,  는 양수이고, O 는 원점이 다.) 다음 두 물음에 답하시오.

158.

    이고 삼각형 O AB 의 넓이가    일 때,  의 값은? ①  ②  ③  ④  ⑤ 

159.

  이고 에 대한 방정식  의 두 근의 차가  일 때, 방정식  의 두 근의 곱은?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

160.

∠C   인 직각삼각형 ABC 가 있다. 그림과 같이 점 D 는 꼭짓점 C 에서 선분 AB 에 내린 수선의 발이고 CD  이다. 삼각형 ABC 의 둘레의 길이가 일 때, 선분 AB 의 길이는? ①  ②  ③  ④  ⑤ 

161.

삼차방정식       

의 두 허근을

,

라 할 때,

    

의 값은?



(5)

162.

사차방정식

 

 

 

   의 모든 실근의 곱은?

 

 

163.

연립일차방정식

             

의 해를

  

,

  

,

  

라 할 때, 세 실수

,

,

  

의 값은?











164.

연립방정식

        의 해를    ,    라 할 때,  의 값은?











165.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이차방정식

    

의 두

근을

,

라 하자.

    

이고 이차함수

    

그래프의 꼭짓점이 직선

    

위에 있을 때,

 

값을 구하시오.

166.

사차방정식

       

의 네 실근 중 가장 작은 것을

, 가장 큰 것을

라 할 때,

  

의 값은?

167.

삼차방정식       의 세근을   라고 할 때,       의 값은? ①  ②  ③    ④  ⑤   

168.

이차방정식       의 한 허근을  라고 할 때,           을 간단히 한 것은? ①  ②  ③  ④    ⑤   

169.

실수  에 대하여 삼차방정식        의 한 근이    일 때, 의 값을 구하시오.

170.

삼차방정식       의 세근을   라고 할 때, 삼차항의 계수가 이고   ,   ,   을 세 근으로 하 는 삼차방정식을 구하시오.

171.

에 대한 방정식           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도록 하는 정수 의 개수는?

172.

삼차방정식        의 세 근이 모두 정수일 때, 상수 의 값은?

173.

방정식   의 한 허근  에 대하여        이라 할 때,   의 값은? (단,  는  의 켤레복소수이다.)

174.

방정식    의 한 허근을  라 할 때,     ⋯     ⋯ 의 값을 구하여라.

175.

 에 대한 방정식       가 양의 근 두 개와 음의 근 두 개를 갖도록 하는 실수  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6)

옳지 않은 것은? ①      ② ⋅   ③     ④     ⑤   

177.

방정식  의 한 허근을  라 할 때,

  

   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178.

삼차방정식    의 한 허근을  라 할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    ㄴ.     (단,  는  의 켤레복소수) ㄷ.      (단, 은 자연수) ① ㄴ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79.

오른쪽 그림과 같이 빗변의 길이가 인 직각삼각형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 이는 이다. 이때, 직각을 낀 두 변의 길 이의 차는?

180.

에 대한 삼차방정식       의 세 근의 비 가     일 때 상수  에 대하여 의 값을 구하여라.

181.

방정식                을 만족하는 정수  에 대하여   의 값을 구하여라.  을 가질 때, 두 실수  에 대하여   의 값을 구하여라.

183.

에 대한 방정식       의 근    ⋯ 에 대하여       ⋯  의 값을 구하여라.

184.

방정식   의 한 허근  에 대하여        이라 할 때,   의 값은? (단,  는  의 켤레복소수이다.)

185.

연립방정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해가         일 때,     의 값을 구하시오.

186.

 에 대한 방정식           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기 위한 정수  의 개수는? ①  ②  ③  ④  ⑤ 

187.

그림과 같이 원 밖의 점 P 에서 원에 그은 접선의 접점을 A 라 하고, 점 P 를 지나는 직선이 원과 만나는 두 점을 B , C 라 하자.  P B      , BC   , P A  

  가 되도록 하는 모든  의 값의 합을 구하시오.

(7)

188.

연립방정식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있다. (단,  는 실수) ⑴   일 때, 해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는 값을 구하시오. ⑵ 해가 무수히 많이 존재하도록 하는 실수  의 값을 구 하시오.

189.

연립방정식                   의 해를         라 할 때,     의 값을 구하시오.

190.

어느 영화동아리 소속 학생 명이 세 편의 영화 중에서 한 편씩 관람하였다. 이 중에서 영화 를 관람한 학생의 수는 영화 를 관람한 학생의 수보다 명이 많았고, 영화 를 관람한 학생의 수는 영화 를 관람한 학생의 수보다 명이 많았 다. 이때, 영화 를 관람한 학생의 수는? (단, 학생들은 빠짐없이 영화를 관람하였다.) ①  ②  ③  ④  ⑤ 

191.

연립방정식

        의 해를    ,    라 할 때,   의 값은? ①   ②   ③  ④  ⑤ 

192.

연립방정식

         의 해를   라 할 때, 다음 중  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을 모두 고르면? ①   ②   ③     ④  ⑤ 

193.

 가 실수이고      일 때,  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시오.

194.

연립방정식

          의 해가 연립방정식

       을 만족할 때, 상수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195.

그림과 같이 직선 도로 위에 세 지점 A B C 가 있고 갑은 A , 을은 B 에 있다. 갑이 A 에서 출발하여 B 를 거쳐 C 를 향하여 움직인다. 갑이 B 에 도착하였을 때, 을이 B 를 출발하여 갑과 을이 동시에 C 에 도착하였다. 갑과 을이 같은 속도로 움직였을 때, 다음은 갑과 을의 이동거리에 관한 설명이다. (ⅰ) 갑이 A 에서 출발한 후  만큼 이동하였을 때, 을이 이 동한 거리는 A 에서 C 까지 거리의  이다. (ⅱ) 을이 B 에서 출발한 후  만큼 이동하였을 때, 갑이 A 에서 출발하여 이동한 거리는 B 에서 C 까지 거리와 같다. 갑과 을이 이동한 거리의 총합이  일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A 에서 B 까지의 거리는  보다 작고, 직선 도로의 폭은 무시한다.)

196.

에 대한 삼차방정식



 

     

이 서로 다른 세 정수를 근으로 갖는다. 두 정수

,

≤ 

,

≤ 

일 때, 순서쌍

 

의 개수를 구하시오.

197.

사차방정식           의 서로 다른 두 허근을  라 할 때,   의 값은? (단,  는  의 켤레복소수이다.)

(8)

---130. 정답 ② 이차함수        이고 이차부등식     에서 주어진 이차부등식을 만족시키는 해가 없으려면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가 축과 한 점에서 만나거나 만나지 않아야 한다. 이차방정식      의 판별식을 라 할 때,         ≤ 이므로  ≤  ≤  따라서 정수 의 개수는  131. 정답 ④ 이차함수  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의 그래프가 오직 한 점에서 만나므로      가 중근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이차방정식        의 판별식을 라 하면             이다.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모든 실수 의 값의 합은 이다. 132. 정답 ⑤             이므로 A   이다. 따라서     이므로 O B  , AB     이다.  O B  AB   라 하면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이므로     에서 O B  AB의 최댓값은 이다. 133. 정답 ⑤ 행성 와 의 위성 사이의 거리와 행성 와 의 위성 사이의 거리를    ⋯⋯ ① 이다. 행성 의 위성의 공전 속력과 행성 의 위성의 공전 속력을 각각 , 라 하면       ⋯⋯ ② 이다. ①과 ②에 의해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이다. 134. 정답  조건 (가)에서          라 두면        이다. (단, 는 상수) 조건 (나)에서 ⅰ)   이면   에서 최댓값 을 가지므로    즉,   이다. ⅱ)   이면   에서 최댓값 을 가지므로    즉,      이다. (부적합) ⅰ), ⅱ)에 의해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이고,     이다. 135. 정답   BQ  라 하면 ∆P BQ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 BP 

 이다. ∆AP R는 P A   

 인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 P R 

  

 이고 CQ  BC  BQ  

  이다.

(9)

따라서 □P Q CR     × 

  a  

  a × 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BQ  

일 때, □P Q CR의 넓이의 최댓값은 이다. [다른풀이]  P A  라 하면 삼각형 AP R의 넓이는 이다.  P B    에서  BQ  P Q  

 

 이므로 삼각형 P BQ의 넓이는   이다. 따라서 사각형 P Q CR의 넓이가 최대가 되기 위해서는 두 삼각형 AP R와 P BQ의 넓이의 합이 최소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두 삼각형 AP R와 P BQ의 넓이의 합은    이므로   일 때, 넓이의 최솟값이 이다.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가 이므로 사각형 P Q CR의 넓이의 최댓값은     이다. 136. 정답 ③    에서           이므로     따라서 점 C의 좌표는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또는    점 A는 제1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점 E의 좌표는   삼각형 CO D와 삼각형 CEA의 닮음비는    이므로 넓이의 비는    즉    이므로   따라서    137. 정답 ② 퇴적물 입자 의 직경을 각각 라 할 때     이므로 양수 에 대하여     로 나타낼 수 있다.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138. 정답  두 변 JG  JI의 길이를 각각    라 할 때 삼각형 D JI와 삼각형 D EF는 닮음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오벨리스크의 부피는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최대 부피는  따라서   139. 정답 ⑤ 두 함수     ,     의 그래프가 두 점 A B에서 만나므로 방정식         의 해는    또는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5 6 4t 140. 정답

(10)

141. 정답 : ②

(11)

143. 정답 : ①

144. 정답 :    ≤ 

(12)

146. 정답 : ①

147. 정답 : ⑤

148. 정답 : ②

(13)

150. 정답 : cm 151. 정답 :  152. 정답 : ④          ⋯⋯ ㉠ ㉠에 대신   를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을 하면             ∴         ㄱ       ∙      (참) ㄴ         이므로 최솟값은  이다. (거짓) ㄷ         이므로   의 그래프는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다. 따라서             가 성립 하므로 이 식에 대신   을 대입하면           (참) 따라서 보기 중 옳은 것은 ㄱ ㄷ이다. 153. 정답 : ① 주어진 방정식

 

    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는 경우 를 두 함수  

 

,      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나타내면 그림과 같다.  O  

 

           

 (ⅰ)      의 그래프가 

   을 지날 때   

   ∴  

(ⅱ) 두 함수     ,      의 그래프가 접할 때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따라서 모든 실수 의 값의 곱은

 ×     

 154. 정답 : ⑤ ① (가)에서        

  

를 만족하므로 함수  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위로 볼록이다. ② (나)에서           를 만족하므로 이 차함수   의 그래프는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다. 즉,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이고 그래프가 위로 볼록하므로  는   일 때 최댓값을 갖는다. (∵ (가) ) ③, ④ 오른쪽 그림에서                     ⑤ 최솟값은 없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155. 정답 : ①       와    의 교점의 좌표를   라 하면            와    의 교점의 좌표를   라 하면       AB    CD    ∴

AB  CD

    

 

(14)

     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조건 ㈏에서        는  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      또, 조건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에서    는   일 때 최댓값을 갖고,    일 때 최솟값을 가지므로         ∴      157. 정답 : 158. 정답 : 159. 정답 : 160. 정답 :

(15)

161. 정답 ① 조립제법에 의하여              이다. 주어진 삼차방정식의 두 허근  는 이차방정식      의 두 근이므로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이다. 162. 정답 ③        에서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또는         의 판별식을 라 하면         이므로      은 허근을 갖는다. 따라서 모든 실근의 곱은  ×    163. 정답 ③ 주어진 연립일차방정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①      ⋯⋯ ②      ⋯⋯ ③ ①  ② 에서      ⋯⋯ ④ 이다. ③  ④ 에서    즉,   이므로 ② 와 ③ 에 대입하면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이므로    ×  ×   이다. 164. 정답 ①

   ⋯⋯ ㉠     ⋯⋯ ㉡ ㉡ 에서     이므로    ㉠ 에 대입하면  이므로

  

  

또는

   

   

따라서    165. 정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이차함수     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     이다.    의 그래프의 꼭짓점이 직선      위에 있으므로       이고    따라서       이므로      (별해)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축에 대하여 대칭이고     이므로 이 차함수    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꼭짓점이 직선     위에 있으므로 꼭 짓점의 좌표는    이차함수    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이므로          따라서     166. 정답 ④ 조립제법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해는     이다. 따라서       이므로     이다.

(16)

168. 정답 : ① 169. 정답 :     계수가 모두 실수이고     가 근이므로 다른 한 근은     이다. 그러므로 다른 한 근을 라고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서                 즉,      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서   ×    ×       즉,     170. 정답 :        171. 정답 : 개 172. 정답 :   173. 정답 :  174. 정답 :  175.175. 정답      방정식      의 실근의 개수는 함수   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오른쪽 그림에서 주어진 방정식이 양의 근 두 개과 음의 근 두 개를 갖도록 하는 실수 의 값의 범위는     

(17)

176. ③ [해설]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의 두 허근이  라 했으므로 여기서 두 허 근은       의 두 근을 의미한다. 따라서 근과 계수와 의 관계식에 의해      ⋯ ⋯ ㉠ ⋅  이 된다. 또한, 이         의 근이므로      ⇒     ⇒  (∵ ㉠에 의해      )       의 두 근   은 서로 켤레 복소수 관계이다. ③       ⋅   ⋅       177. 정답   방정식  의 한 허근이 이므로    에서         따라서 는      의 근이므로       ⋯⋯㉠ ㉠을 양변을 로 나누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8. 정답 ④ 179. 정답 :  180. 정답 :   181. 정답 :  182. 정답 :  

(18)

183. 정답 :   184. 정답 :  185. 정답  (∵             ) 186. 정답 ①                 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기 위해서는 방정식     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판별식을 라 할 때       따라서       ⋯⋯ ㉠ 또한   는     의 근이 아니어야 하므로   ≠  따라서  ≠ 이고  ≠   ⋯⋯ ㉡ ㉠ ㉡에 의해 정수 의 개수는   P A  P B ‧P C이므로

 

 

   



   

이다. 즉,       로 치환하면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따라서 모든 값의 합은 이다. 188. 정답 : (1)     (2)          ⑴   이면 주어진 연립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과 ㉠  ㉢은 각각     과         이다. 이 두 식을 연립하면        이므로 해가 존재하지 않기 위해서는      이고    ≠ 이다. 따라서      이다. 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라고 하자. ㉠  ㉡과 ㉠  ㉢은 각각     과           이다. 이 두 식을 연립하 면          이므로 해가 무수히 많이 존재하기 위해 서는      이고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이다. 189. 정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을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190. 정답 : 191. 정답 : 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ⅰ)   일 때, 해가 존재하지 않는다. ⅱ)   일 때, ㉠에서   이므로      또는       ∴   

(19)

192. 정답 ①, ④

     ⋯ ㉠     ⋯ ㉡ 상수항을 소거하기 위하여 ㉠㉡ 을 하면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i)    를 ㉡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ii)   를 ㉡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의 값은   또는   이다. 193. 정답 : 최댓값, 최솟값  194. 정답 :       연립방정식

          의 해를      라고 하면 연립방정식

       도      을 만족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두 식 ㉡, ㉣을 만족하는  를 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값을 두 식 ㉠, ㉢에 대입하여  의 값을 구하자. 따라서      이다. 195. 정답 :  A 와 B 사이의 거리를 , B 와 C 사이의 거리를  라 하자. (ⅰ) 갑이  만큼 이동하였을 때, 을이 이동한 거리는    이므로        (ⅱ) 을이 이동한 거리가  일 때, 갑이 A 에서 출발하여 이동한 거리는    이므로      (ⅰ), (ⅱ)에 의해          이므로    이때, 이동한 거리의 총합은            이므로       따라서            196. 정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이차방정식         ≠  은  가 아니고 정수인 서로 다른 두 근을 가져야 한다. 이때,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근의 곱이   이므로 가능한 서로 다른 두 근은       또는         이다.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근의 합은      또는        이어야 하므로     또는     ≠  (ⅰ)    일 때   이면    ×    이므로 순서쌍  는       ⋯           ⋯    의 32개이다. (ⅱ)   일 때   이면   ×   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 는     ⋯           ⋯     의 14개이다. (ⅰ), (ⅱ)에 의해 조건을 만족하는 순서쌍  의

(20)

197. 정답            에서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사차방정식의 서로 다른 두 허근  는 방정식      의 서로 다른 두 허근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한편,  ,  이므로      ∙   

참조

관련 문서

그림에서 왼쪽은 현재의 상태를 표현한 것으로 물 -에너지-식량 연관관계가 명확하게 분석되지 않아 (Unknown and unbalanced) 가용 수자원으로부터 생산을 위한 물로

여러 종류의 식당을 , 일반식당, 패밀리레스토랑, 고급식당, 계약급식업체로 나누어 보면 일반식당에서는 고객이 남기고 간 음식물쓰레기

이 펌프에서 중심부의 물이 밖으로 나오면 중심부는 압력이 저하되어 진 공에 가까워지고 흡수관의 물이 대기 의 압력에 의해 임펠러 중심을 향해 흐르게 된다..

여러 개의 단일 시료를 유량에 비례하여 채취한 후 혼합한 것이다. 임의 채취보다 신뢰성이 높다. 유량과 농도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경우에는 시료 채취량을

소화전은 소방차 등의 진입이 쉬운 도로변 또는 공지에 설치하여야 한다... 소화전은 소방차 등의 진입이 쉬운 도로변 또는 공지에

[r]

고정된 배수관을 통해 바다로 직접 배출하는 시설(양식어민이 직접 양식한 굴의 껍질을 제거하고 물세척을 하는 시설을 포함)로서 해조류·갑각류·조개류를 채취한

폐기물 관리법 상 폐기물 분류와 폐기물 통계 작성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