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강원도립대학교 소방환경방재과 학습자료실 - 2학년 고도처리공정운전 교과 학습모듈(고도처리시설운전) 상세화면 | 학과안내 > 소방환경방재과 > 학과자료실 > 학습자료실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강원도립대학교 소방환경방재과 학습자료실 - 2학년 고도처리공정운전 교과 학습모듈(고도처리시설운전) 상세화면 | 학과안내 > 소방환경방재과 > 학과자료실 > 학습자료실"

Copied!
13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3)
(4)
(5)
(6)
(7)
(8)
(9)
(10)

[NCS-학습모듈의 위치]

대분류

환경·에너지·안전

중분류

산업환경

소분류

수질관리

세분류 수질오염분석 수질공정관리 능력단위 학습모듈명 수질공정관리 계획 수립 수질공정관리 계획 수립 문제점 및 비상시 대책 수립 문제점 및 비상시 대책 수립 현장조사 현장조사 수질관리 최적화 방안 도출 수질관리 최적화 방안 도출 표준 수질공정 운전 표준 수질공정 운전 고도처리시설 운전 고도처리시설 운전 슬러지 처리공정 운전 슬러지 처리공정 운전 목표수질 관리 목표수질 관리 시설 유지 보수 시설 유지 보수 에너지절감및자원화시설관리 에너지절감및자원화시설관리

(11)

차 례

학습모듈의 개요

1

학습 1. 질소 ․ 인 처리 공정 운전하기

1-1. 메커니즘 및 운전 방식 파악 3 1-2. 설계 및 운전 인자 확인 13 1-3. 운전 계획 및 비상 대책 수립 16 • 교수 학습 방법 19 • 평가 20

학습 2. 막 분리 공정 운전하기

2-1. 메커니즘 및 운전 방식 파악 22 2-2. 막의 손상 및 상태 확인 29 2-3. 막 오염 원인 파악 및 제어 34 2-4. 유지 관리 및 비상 대책 수립 43 • 교수 학습 방법 53 • 평가 54

학습 3. AOP 처리 공정 운전하기

3-1. 메커니즘 및 운전 방식 파악 56 3-2. 최적 운전 조건 규명 70 3-3. 운전 인자 확인 78 3-4. 유지 관리 및 안전 82 • 교수 학습 방법 87 • 평가 88

(12)

학습 4. 재이용 설비 운전하기

4-1. 메커니즘 및 운전 방식 파악 90 4-2. 자동화 및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96 4-3. 생산 용도 및 보증 계획 수립 103 4-4. 운전 계획 수립 110 4-5. 운전 및 유지 관리 113 • 교수 학습 방법 117 • 평가 118

참고 자료

120

(13)

고도처리시설 운전 학습모듈의 개요

학습모듈의 목표 고도처리 시설의 기술 및 운전 방식을 파악하고 공정 최적화를 위한 운전 조건 도출 등 고도처리 시설을 효율적으로 운전할 수 있다. 선수학습 공정 설계, 공정 기반 공사(토목/기전 공사), 환경 관계법 학습모듈의 내용 체계 학습 학습내용 NCS 능력단위요소 코드번호 요소 명칭 수준 1. 질소․인 처리 공정 운전하기 1-1. 메커니즘 및 운전 방식 파악 2301010206_13v1.1 질소인 처리 공정 운전하 기 5 1-2. 설계 및 운전 인자 확인 1-3. 운전 계획 및 비상 대책 수립 2. 막 분리 공정 운전하기 2-1. 메커니즘 및 운전 방식 파악 2301010206_13v1.2 막 분리 공 정 운전하기 5 2-2. 막의 손상 및 상태 확인 2-3. 막 오염 원인 파악 및 제어 2-4. 유지 관리 및 비상 대책 수립 3. AOP 처리 공정 운전하기 3-1. 메커니즘 및 운전 방식 파악 2301010206_13v1.3 AOP 처리 공 정 운전하기 5 3-2. 최적 운전 조건 규명 3-3. 운전 인자 확인 3-4. 유지 관리 및 안전 4. 재이용 설비 운전하기 4-1. 메커니즘 및 운전 방식 파악 2301010206_13v1.4 재이용 설비 운전하기 4 4-2. 자동화 및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4-3. 생산 용도 및 보증 계획 수립 4-4. 운전 계획 수립 4-5. 운전 및 유지 관리 핵심 용어 고도처리, 시설 운전, 질소, 인, 막 분리, AOP, 재이용 설비

(14)
(15)

학습 1

질소 ․ 인 처리 공정 운전하기

(LM2301010206_13v1.1)

학습 2

막 분리 공정 운전하기(LM2301010206_13v1.2)

학습 3

AOP 처리 공정 운전하기(LM2301010206_13v1.3)

학습 4

재이용 설비 운전하기(LM2301010206_13v1.4)

1-1.

메커니즘 및 운전 방식 파악

학습목표 • 질소 ․ 인의 제거 원리를 이해하고, 설치된 공정의 운전 조건 및 운영 방식을 파악 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1. 질소·인 제거

질소·인 제거는 물리 ․ 화학적, 생물학적 방법 등을 활용한 다양한 처리 기법이 개발되어 있지만, 생물학적 처리를 주로 행한다. 구분 제거 방법 물리․화학적 질소 제거 암모니아 탈기법 파괴점 염소 주입법 선택적 이온 교환법 생물학적 질소 제거 미생물의 동화 작용에 의한 질소 제거 질산화 및 탈질 과정에 의한 질소 제거 물리․화학적 인 제거 응집제 첨가 활성 슬러지법 정석 탈인법 생물학적 인 제거 미생물의 대사 과정에서의 영양 물질로 흡수 일부 미생물의 과다 흡수(luxury uptake) 기작에 의한 제거 <표 1-1> 질소·인 제거 방법

(16)

2. 생물학적 질소․인 제거 공정

종류 공정 질소 제거 공법 MLE(modified ludzack-ettinger) 공법, 질산화 내생 탈질법 인 제거 공법 A/O(anaerobic/aerobic) 공법, phostrip 공법 질소, 인 동시 제거 공법 A 2/O 공법(혐기, 무산소, 호기 조합법), 5단계 bardenpho 공법,

UCT(university of cape town) 공법, VIP(virginia initiate plant) 공법

<표 1-2> 생물학적 질소 ․ 인 제거 공법

수행 내용

/

질소 ․ 인 처리 공정 메커니즘 및 운전 방식 파악

재료·자료 • 하수도 시설 기준, 준공 도서, 설계 도서, 전공 서적 기기(장비 ・ 공구) • 컴퓨터, 전산 프로그램, 계산기, 현미경, SS 측정기 안전 ・ 유의 사항 • 반응조 내의 수심이 깊으므로 추락에 주의한다. • 기기 조작 시 안전에 유의한다. 수행 순서  물리․화학적 질소 제거 메커니즘을 파악한다. 1. 암모니아 탈기법(ammonia stripping)을 파악한다. 수중의 유리 암모니아와 암모늄 이온은 다음과 같이 평형 관계를 유지한다. ⇔ 이 반응에서 평형 상태의 pH는 9.25이며, 그 이상으로 pH를 증가시키면 평형이 오른 쪽으로 이동되어 분자 상태의 NH3의 비율이 증가한다. 이를 이용하여 대상 폐수의 pH를 11 이상으로 높인 후, 공기를 불어넣어 수중의 암모니아를 NH3 가스로 탈기하 는 방법이다.

(17)

2. 파괴점 염소 주입법(breakpoint chlorination)을 파악한다.

대상 폐수에 염소를 가한 후 암모늄염을 질소 가스로 변화시켜 제거하는 방법으로, 이 반응은 매우 급속하게 일어난다(수온 20℃에서 5분만에 약 90%의 반응이 일어난다).

 ⇔↑   

 ⇔↑   

3. 선택적 이온 교환법(selective ion exchange)을 파악한다.

대상 폐수 중의 암모늄 이온(NH4+)을 선택적으로 치환할 수 있는 천연 제올라이트 (zeolite)를 충진한 이온 교환층을 통과시켜 암모니아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  ⇔  생물학적 질소 제거에서의 질산화와 탈질의 원리를 파악한다. 1. 질산화(nitrification)반응은 호기성 상태하에서 독립 영양 미생물인 니트로소모나스 (nitrosomonas)와 니트로벡터(nitrobactor)에 의해 NH4+가 2단계를 거쳐 NO3-로 변한다. 단계     →   단계     → 전체반응   →    질산화 미생물은 독립 영양 미생물로 질소 화합물을 산화하여 얻은 에너지를 이용하 여 성장하는 균으로, 증식 속도는 일반적으로 활성 슬러지 공정의 종속 영양 미생물 보다 더디기 때문에 질산화 미생물을 위해서는 비교적 긴 체류 시간이 요구된다. 질산화를 위한 적정 운전 조건은 pH 7.4~8.6, 온도 28~32℃, SRT 25일 이상, DO 2 mg/L 이상이다. 수행 tip • 적정 운전 조건이 아닐 경우, 질산화가 느려지거나 중지된다.

(18)

[그림 1-1] 질소의 전환 과정(질산화 및 탈질화)

2. 탈질산화(denitrification)

탈질산화 반응은 용존 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조건하(무산소 상태, anoxic condition)에 서 통성 혐기성 미생물(pseudomonas, micrococcus, acromobacter)에 의하여 질산화된 질소(NO2-, NO3-)를 N2 질소 가스로 방출하여 제거하는 것이다. 통성 혐기성 미생물은 종속 영양 미생물이므로 반드시 탈질 미생물이 이용할 수 있 는 유기물(탄소 공급원)이 있어야 하는데, 분해되기 쉬운 유기물일수록 탈질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메탄올(CH3OH) 등이 이용된다. 단계   →   단계   →↑    전체반응    →↑     탈질산화를 위한 적정 운전 조건: pH 7.0~8.0, 온도 28~32℃, DO 0.2 mg/L 이하, C/N 비 2~6, 내부 반송률 100~700% 수행 tip • 상기 조건 외의 환경에서는 탈질률이 급격히 저하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19)

 물리 ․ 화학적 인 제거 메커니즘을 파악한다. 1. 응집제 첨가 활성 슬러지법 응집제 첨가 활성 슬러지법은 알루미늄염이나 철염 등의 3가 금속 이온이 폐수 중의 3가 인산 이온과 반응하여 난수용성의 인산염을 형성함으로써 제거되는 원리를 이용 한 인 제거 방법이다.    →↓  →↓    → ↓   [그림 1-2] 응집제 첨가 활성 슬러지법 [그림 1-3]에 제시된 총 인 처리 설비는 코팅 메디아에 의한 인 이온 흡착과 급속 약 품 혼합 존에 의한 비정형성의 다양한 응집염 생성으로 인을 제거하는 설비이며, 응 집, 여과, 흡착된 오염된 메디아는 에어 리프트(air lift)를 통하여 하부에서 필터 상부 의 세척 박스로 일정량 이송되어 세척된다. 세척 박스는 메디아 표면에 부착된 인 화 합 물질과 코팅 표면에 흡착된 인을 마찰에 의해 인 화합물의 형태로 탈착된다. [그림 1-3] 총 인 처리 설비

(20)

2. 정석 탈인법(phosphorus crystallization) 정석 탈인법은 정인산 이온(PO43-)이 칼슘 이온(Ca2+)과 반응하여 하이드록시아파타이 트(hydroxyapatite)를 생성하는 반응을 이용한 방법이다.       → 인을 함유한 폐수에서는 인산과 칼슘의 농도에 따라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가 석출되 는 용해도 곡선이 존재하는데, 준안정 구역을 목표로 칼슘 이온을 첨가하면 하이드록 시아파타이트가 정석재에 석출되어 폐수 중의 인이 제거된다.  생물학적 인 제거 공정에서의 인의 방출과 섭취 원리를 파악한다. 1. 인의 방출과 섭취 혐기성 조건에서 임의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이 분해가 쉬운 형태, 즉 휘발성 지방 산으로 바뀐 후, 이를 인 제거 미생물이 섭취하는 과정에서 인이 방출되고 호기성 조 건에서 인의 과잉 섭취가 일어난다. [그림 1-4] 인 제거 미생물에 의한 인의 제거 원리 생물학적 고도처리 방식에서 이용하는 인 제거 방식의 핵심은 미생물을 혐기성과 호 기성 상태에 교대로 노출시킴으로써 미생물에 환경적 긴장(stress)를 주어, 즉 미생물 의 대사 경로를 전환시키는 환경 조건의 극적인 변화를 주어 인 흡수가 정상 수준 이상(과잉 섭취)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21)

[그림 1-5] 혐기-호기법에 의한 인과 BOD의 제거 혐기성 조건은 스트레스 상태에서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의 흡수가 일어나면서 인이 방출된다. 호기성 조건은 초과 축적 현상에서 BOD 소비와 더불어 미생물 세포 생산 을 위한 인의 급격한 흡수가 일어난다.  생물학적 질소, 인 제거 공정의 원리 및 제거 기작을 파악한다. 1. 질소와 인의 제거 원리를 파악한다. (1) 질소 제거 호기성(aerobic) 조건에서 질산화가 진행되면서 NH4+가 NO3-로 변환되고, 무산소 (anoxic) 조건에서 탈질산화 반응이 생성됨으로써 NO3-가 N2 가스 형태로 방출하 여 제거된다. (2) 인 제거 혐기성(anaerobic) 조건의 스트레스 상태에서 인 제거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기 쉬 운 유기물의 흡수가 일어나면서 인이 방출되고, 호기성(aerobic) 조건에서 인 제거 미생물 세포 생산을 위한 인의 초과 축적 현상이 발생한다. (3) 질소․인 제거 공정의 특성 공정에서 혐기조를 가장 앞에 두는 이유는, 미생물의 생존 경쟁력은‘유기물 제거 미생물>질소 제거(탈질) 미생물>인 제거 미생물’순이므로 인 제거 미생물이 생존 할 수 있는 좋은 조건(유입수의 풍부한 유기물)을 만들어 주기 위해서이다. 혐기조에 질산성 질소가 유입되면, 탈질 미생물과 인 제거 미생물이 경쟁하게 되 므로 생존력이 약한 인 제거 미생물의 활동이 저하되어 인 제거율이 떨어지게 된 다. 따라서 혐기조에서 질산성 질소는 3mg/L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호기조에서 의 체류 시간과 SRT는 길지도, 짧지도 않은 최적의 운전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22)

 생물학적 질소, 인 제거 공법의 원리를 파악하고, 각 공정의 차이점을 파악한다. 1. 질소 제거 공법을 파악한다. (1) MLE(modified ludzack-ettinger) 공법(순환식 질산화 탈질법, 전탈질법) 순환식 질산화 탈질법은 반응조를 무산소조와 호기조의 순서대로 배열하고, 반송 슬러지를 전단의 무산조에 주입하며, 후단의 호기조에서 전단의 무산소조로 내부 반송 순환이 일어나도록 하여 처리 공정이다. 후단의 호기조에서는 유기성 질소와 암모니아성 질소(NH4-N)가 아질산성 질소 (NO2-N)와 질산성 질소(NO3-N)로 질산화되며, 질산화된 질소들은 전단의 무산 소조로 내부 반송되어 유입수 중의 유기물 또는 외부 탄소원과 반응하여 질소 가 스로 제거된다. [그림 1-6] 순환식 질산화 탈질법의 처리 계통도 2. 인 제거 공법 (1) A/O(anaerobic/aerobic) 공법(mainstream 공법, 혐기 호기 조합법) A/O(혐기 호기 조합법)에서는 반송 슬러지가 유입수와 함께 혼합되어 혐기성 상 태에서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의 흡수가 일어나면서 인이 방출된다. 인이 방출된 미생물 혼합액은 다음 단계의 호기성조로 유입되어 포기됨으로써 혐 기성조에서 흡수한 BOD를 대사함과 동시에 인의 급격한 흡수(과잉 섭취)가 일어 난다. 침전지에서 분리된 잉여 슬러지는 처리 공정 외로 인발․폐기되는데, 이때 미 생물 세포 내에 과잉 섭취된 인이 폐기되면서 인이 제거된다. [그림 1-7] A/O 공법 처리 계통도

(23)

3. 질소 ․ 인 제거 공법 (1) A2/O 공법(혐기․무산소․호기 조합법) 이 공법은 생물학적 인 제거 공정과 생물학적 질소 제거 공정을 조합한 처리 방 법으로, 활성 슬러지 미생물에 의한 인 과잉 섭취 현상과 질산화 ․ 탈질 반응을 이용한다. 인 제거를 위한 A/O 공정에서 질소 제거가 가능하도록 무산소(anoxic)조 를 추가한 방법으로, 호기조(포기조)에서 질산화를 통하여 생성된 질산성 질소를 무산소조로 반송하여 탈질함으로써 질소를 제거(총 질소 제거율은 40~70%)할 수 있다. 인은 혐기성조에서 인이 방출되고 호기성조에서 인의 초과 축적으로 인한 급격한 흡수가 일어난다. [그림 1-8] A2/O 공법의 처리 계통도 [그림 1-9] A2/O 공법의 생물 반응기 사진 수행 tip • 질소, 인 제거의 원리를 이해하면 각각의 공법의 특 징 및 차이점을 파악할 수 있다.

(24)

1-2.

설계 및 운전 인자 확인

학습목표 • 전체 공정의 효율 최적화를 위한 설계 및 운전 인자를 파악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1. A

2

/O 공법의 특징 및 주요 설계 인자

(1) A2/O 공법의 특징

각 반응조는 혐기조(anaerobic), 무산소조(anoxic), 호기조(aerobic)로 구성되며, 협기조는 혐기성 유기물 분해, 유기물(BOD) 제거 및 인을 방출시키며, 무산소조는 질소 제거(탈질)를 행하며, 호기조 는 유기물(BOD) 제거 및 인의 과잉 섭취, 질산화를 행한다. A2/O 공법은 질소와 인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고, 폐슬러지 내 인(P)의 함량이 35% 정도로 높아 비료 가치가 있다. 또한, 응집제 등을 첨가해서 인을 제거하는 방법에 비해서는 약품비가 소모되지 않아 경제적이고, 슬러지 발생량을 줄일 수 있어 슬러지 처리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최적 운전 조건의 설정이 어렵고, 실제 적용 시 안정적인 인 제거가 곤란하며, 동절기 에는 성능이 불안정해지고, 슬러지 처리 계통도에서 인이 용출될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2) A2/O 공법의 주요 설계 인자 A2/O 공법은 수리학적 체류 시간, 고형물 체류 시간, F/M비, MLSS, C/N비, 슬러지 반송율(RAS), 내부 반송율 등으로 구분되며, 그에 따른 설계 인자는 <표 1-3>과 같다. 구분 설계 인자 비고 HRT (수리학적 체류 시간) 5~8h 혐기조: 0.5~1.0h 무산소조: 0.5~1.0h 호기조: 3.5~6.0h SRT (고형물 체류 시간) 4~27h -F/M비 0.1~0.3kgBOD/MLSS·day -MLSS 3,000~5,000mg/L -C/N비 (BOD/T-N) 3~4 이상 -슬러지 반송율(RAS) 25~50% -내부 반송율 100~200% <표 1-3> A2/O 공법의 주요 설계 인자

(25)

수행 내용

/

공정 효율 최적화를 위한 설계 및 운전 인자 도출

재료·자료 • 하수도 시설 기준, 준공 도서, 설계 도서, 운전 매뉴얼, 유지 관리 실무 지침서 기기(장비 ・ 공구) • 컴퓨터, 전산 프로그램, 계산기, 유량계, SS 측정기, pH 미터기, 메스실린더 안전 ・ 유의 사항 • 유량 및 시료 채취 시 생물 반응조 내 추락을 주의한다. • 수질 분석 시 약품 취급 사항을 숙지한다. 수행 순서

 용존 산소(DO),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COD(chemical oxygen demand), 용존 산소 섭취율, 부유 고형물과 휘발성 부유 고형물, 슬러지 지표(SVI), 영양분, 온도 등 의 분석 지표 관리 항목을 파악한다. 1. 용존 산소(DO) 용존 산소 농도가 갑자기 떨어지는 것은 유기물에 충격 부하가 일어났음을 암시한다. 2. BOD 폭기조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BOD 농도와 2차 침전지에서 유출되는 유출수의 BOD 농도는 중요한 운전 지표이다. BOD 부하율 또한 미생물에 대한 기질의 비(F/M ratio)나 영양분 주입량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 관리 지표들을 계산하는 데 필요하다. 3. COD COD 분석은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BOD를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에게 유용하다. 4. 용존 산소 섭취율 폭기조부터 채취한 활성 슬러지 혼합액 시료의 DO 섭취율을 측정하고, 그 시설에 대 한 평균값과 비교하여 미생물의 활동을 예측한다. 5. 부유 고형물과 휘발성 부유 고형물 유기물 부하율에 상당한 기여를 하기 때문에 처리 시설로 유입되는 SS 농도를 감시 하여 정량화하여야 한다. MLVSS는 폭기조의 미생물의 군집 농도를 평가하기 위해 이용한다. 활성 슬러지 공정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슬러지 반송율과 폐기율이 폐수 처 리 공정 내의 SS 농도와 VSS 농도를 근거로 하여 주기적으로 조절해야 한다.

(26)

6. 슬러지 지표(SVI) 포기 탱크 내 혼합액 1L를 30분 동안 침전시킨 후 1g의 MLSS가 점유하는 침전 슬러지 의 부피(mL)를 나타내는 것으로, 슬러지 팽화 여부를 확인하는 지표로 사용된다. 보통 SVI가 50~150일 때 양호한 침전성을 나타내며 200 이상이면 슬러지 팽화를 일으킨다. 7. 영양분 영양분의 대부분은 산업체들이나 도시로부터 배출되는 원·폐수 내에 충분한 양이 존 재한다. 8. 온도 폐수 처리가 가능한 온도 범위는 13~37℃이고, 대체로 20~28℃ 범위에서 폐수 처리가 가장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고 있다.  A2/O의 설계 지표인 F/M비, SRT, HRT, 슬러지 반송율, 내부 반송율 등을 계산한다. 1. HRT(수리학적 체류 시간)     수행 tip • 표준 활성 슬러지법은 6~8시간 정도가 적당하다. 2. SRT(고형물 체류 시간)   ×  × ×   × × 재래식 활성 슬러지 공법에서는 MLSS가 1,500~3,000mg/L 정도이며, 고율 활성 슬 러지 공법에서는 4,000~5,000mg/l 정도로 유지된다. 3. F/M비 F/M비=BOD·Q/MLSS·V 유기 물질 부유물 농도(mg/L), V: 용적(m3), BOD 농도 (mg/L), Q: 유량(m3/day) 표준 활성 슬러지법에서는 0.2~0.4 kg BOD/ MLSS kg·day가 가장 적합하다.

(27)

4. 슬러지 반송율 슬러지 반송율      여기서 XR은 반송 슬러지의 SS 농도, X는 MLSS 농도이다. 5. 내부 순환율 유입 하수 유량 기준으로 100%는 유입 하수 유량을 내부 순환시킨다.  적용 시설의 질소, 인 제거 공법을 파악하고 해당 공법의 설계 기준 내에서 처리 효 율이 좋도록 운영한다.  적용 공법의 설계 및 유지 관리상의 유의 사항을 파악한다. 1. 설계 및 유지 관리상의 유의점을 파악한다. (1) 우천 시나 공용 개시 시의 초기 대책으로 혐기 반응조 또는 무산소 반응조에 필 요한 유기물을 확보하기 위해 유입수가 1차 침전지를 우회하는 바이패스 수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표준 도시 하수의 경우에는 탈질을 위한 메탄올이나 pH 조정용의 수산화 나트륨 등의 첨가가 필요 없지만, 유역 특성에 의해 유입수 중의 알칼리도가 낮은 경우 나 강우 등의 영향이 큰 경우에는 알칼리제나 메탄올 등 탈질 보조제의 주입 설 비가 필요하다. (3) 질산화액의 순환은 기본적으로 순환 펌프에 의하지만, 호기 반응조의 산기에 동 반된 에어 리프트 효과에 의한 순환류를 이용할 수도 있다. (4) 인 제거를 효과적으로 행하기 위해서는 1차 침전지 슬러지와 잉여 슬러지의 농 축을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슬러지 처리 계통으로부터 인 반류 부하가 적은 슬러지 처리 공정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5) 방류수의 인 농도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호기 반응조의 말 단에 PAC(polyaluminium chloride) 등의 응집제가 첨가된 설비를 설치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수행 tip • 질소, 인 제거 공정은 질소, 인 제거의 여러 메커 니즘이 동시에 발생하기 때문에 주위 환경에 민감하

(28)

1-3.

운전 계획 및 비상 대책 수립

학습목표 • 원수 수량 및 부하 변동에 따라 전체 공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운전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수질 이상 감지 시 대책을 마련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1. A

2

/O 공법의 운영의 문제점 및 대책

A2/O 공법의 운영 시 단계마다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몇 가지 사례를 통해 대책을 확인하여 보도록 하겠다. 포기 단계에서 평균(1, 2차) DO 농도가 8.5~9.7mg/L로 적정 DO 농도(2~4mg/L)보다 현저히 높은 상태 로 운전되고 있어 pH 저하 및 과산화로 인한 핀 플록(pin floc) 현상 등이 유발되고 있다. 침전 단계 및 방류 단계의 DO 농도가 4.9~6.9mg/L로 무산소 및 혐기성 조건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탈질율은 37% 정도로 현저히 낮은 상태에서 유입 부하량(T-N) 증가 시 방류 수질의 악화가 우려된다. 이 경우에는 포기 단계에서 질산화된 질산성 질소는 무산소 조건에서 탈질시켜 질소 가스로 제거해야 하므로 탈질 반응 촉진을 위한 교반기를 설치하여 탈질 효율이 증가되도록 해야 한다. 상부에 갈색 스컴이 부상되어 있고, 부상 스컴에는 미세한 공기 방울이 부착되어 있으며, 방선균류 의 사상균이 다량 증식되어 활성 슬러지 플록(floc)이 부력에 의해 최종 침전지에서 침전성이 떨어져 처리 수질 상승의 요인이 되고, 후단의 사여과기에 부하를 가중시켜 여과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발생된 갈색 스컴은 연속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계 설비가 필요하며, 부유 고형물이 후단의 사여과기 여과사의 공극을 폐색시켜 여과 효율을 저하시키므로 이를 방지하여야 한다. 생물 반응조에서 갈색 스컴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활성 슬러지의 SRT(슬러지 일령)를 낮게 운영하고, 동절기보다 하절기에 SRT를 감소시켜 운영하여야 한다. 잉여 슬러지는 소량으로 일정량씩 매일 인발하면 활성 슬러지의 세대 주기를 단축하여 침전성을 개선할 수 있다.

(29)

수행 내용

/

공정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도출

재료·자료 • 하수도 시설 기준, 운전 매뉴얼, 준공 도서, 유지 관리 실무 지침서 기기(장비 ・ 공구) • 컴퓨터, 전산 프로그램, 계산기, 유량계, SS 측정기, pH 미터기, 메스실린더 안전 ・ 유의 사항 • 유량 및 시료 채취 시 생물 반응조 내 추락을 주의한다. • 기계 조작 시 취급 사항을 숙지하고 안전에 유의한다. • 수질 분석 시 약품 취급 사항을 숙지한다. 수행 순서  침사지 운영의 문제점 등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한다. 문제점 개선 방안 • 스크린 설비 구조 및 운전 부적정으로 협 잡물 제거 효율이 낮다. • 강우 시 다량의 침사물 유입으로 침사 제 거 설비의 매몰 및 고장을 유발한다. • 침사지 및 침사 인양기 운전 방법이 부적정하다. • 잘못된 스크린 설비 구조(slit 간격이 크거 나 작은 경우 등)로 인해 협잡물 제거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시설 개선이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를 확인한다. <표 1-4> 침사지 운영 문제점에 따른 개선 방안(예시)  1차 침전지 운영의 문제점 등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한다. 문제점 개선 방안 • 저농도 생슬러지 인발로 인하여 농축조 수 면적 부하가 증가하여 농축 효과가 저하된 다. • 고농도의 농축조 월류수가 침사지로 반류 되어 유입수와 혼합되는 처리 공정의 악 순환이 유발된다. • 생슬러지와 고형 물량을 높게 유지하여 후속 시설의 유지 관리가 쉽도록 생슬러 지 인발 주기를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 • 1차 침전지 월류수 농도에 따라 1차 침전지 의 일부 또는 전부의 가동 중지를 검토할 필 요가 있다. 1차 침전지 월류수는 후속 시설인 혐기조로 유입되어 탈질에 필요한 유기 탄소 원으로 사용되어야 하므로, 1차 침전지의 유 기물 농도가 너무 낮게 유지되면 탈질율의 저하로 방류수 수질이 높게 나타날 수 있다. <표 1-5> 1차 침전지 운영 문제점에 따른 개선 방안(예시)

(30)

 생물 반응조 운영의 문제점 등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한다. 문제점 개선 방안 • 호기조 용존 산소의 농도 조절이 부적절 하게 운영된다. • 저부하 유입 조건에 따른 호기조 운영 방 법이 부적절하다. • 생물 반응조 일부 구역에서 큰 덩어리의 검은색 슬러지가 부상한다. • 불충분한 포기로 혼합액이 흑색을 띠며, 처리 수질이 악화된다. • 호기조의 중요 운전 인자인 F/M비와 SRT를 고려하여 적절한 MLSS 농도를 유지한다. • 필요 공기량의 공급으로 적정 용존 산소 농도를 유지한다. • 주기적인 산기관 점검과 송풍기의 공기 공급 여부를 확인한다. <표 1-6> 1차 침전지 운영 문제점에 따른 개선 방안(예시)  2차 침전지 운영의 문제점 등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한다. 문제점 개선 방안 • 슬러지 계면을 부적절하게 운영한다. • 월류 웨어의 수평 밸런스가 불안정하다. • 부패 슬러지가 부상한다. • 철저한 슬러지 계면 관리로 잉여 슬러지 인발 시 고농도의 고형물 농도로 유지시켜 배출한다. <표 1-7> 2차 침전지 운영 문제점에 따른 개선 방안(예시) 수행 tip • 수질 이상 감지 시 신속하게 원인을 파악하고 대처 하여야 한다.

(31)

학습 1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질소 ․ 인 처리 공정에 대한 관련된 용어를 숙지하고, 처리 메커니즘 전반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 후 수업을 진행한다. • 질소 ․ 인의 제거 원리를 PPT 자료를 통해 알기 쉽게 설명한다. • 질소 ․ 인 처리 공정의 형상 및 특징을 PPT 자료로 제시한 후에 설명한다. • 유입 부하의 변동에 따라 최적의 운영 조건을 파악할 수 있는 응용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브레인 스토밍을 진행한다. • 질소 ․ 인 처리 시설의 운영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수처리 시설의 원활한 운영이 가능하도록 현장학습 계획을 수립한다. • 개인의 수준에 따른 보충 학습과 심화 학습을 실시하여 학습 효과를 높인다. 학습 방법 • 질소 ․ 인 처리 공정에 관련된 용어를 미리 숙지한다. • 처리 메커니즘 전반을 염두에 두고 처리 공정을 이해한다. • 공정의 설계 인자를 바탕으로 운전 기준 및 공정의 효율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핵심 사항을 체계적 으로 학습한다. • 질소 ․ 인 처리 공정의 물리 ․ 화학적․생물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문제 발생 요소에 대한 현장 경험을 습득할 수 있도록 적절한 현장 실습을 수행한다.

(32)

학습 1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수행 준거 및 평가 내용에 제시되어 있는 내용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성취수준 상 중 하 메커니즘 및 운전 방식 파악 - 생물학적 처리 방법의 이해 및 메커니즘 파악 - 미생물의 증식에 관여하는 영향 인자의 파악 설계 및 운전 인자 확인 - 설계 및 운영 인자의 도출 - 처리 공정의 효율 산출 및 최적화 - 운전 조건의 확립 운전 계획 및 비상 대책 수립 - 운영상의 문제점 파악 및 대책 수립 - 비상시 미생물의 거동 파악 및 대책 수립 평가 방법 • 작업 포트폴리오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성취수준 상 중 하 메커니즘 및 운전 방식 파악 - 생물학적 처리 방법의 이해 및 메커니즘 파악 - 미생물의 증식에 관여하는 영향 인자의 파악 설계 및 운전 인자 확인 - 설계 인자의 도출 - 처리 공정의 효율 산출 및 최적화 - 운전 조건의 확립 운전 계획 및 비상 대책 수립 - 운영상의 문제점 파악 및 대책 수립 - 비상시 미생물의 거동 파악 및 대책 수립

(33)

• 필기시험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성취수준 상 중 하 메커니즘 및 운전 방식 파악 - 생물학적 처리 방법의 이해 및 메커니즘 파악 - 미생물의 증식에 관여하는 영향 인자의 파악 설계 및 운전 인자 확인 - 설계 인자의 도출 - 처리 공정의 효율 산출 및 최적화 - 운전 조건의 확립 운전 계획 및 비상 대책 수립 - 운영상의 문제점 파악 및 대책 수립 - 비상시 미생물의 거동 파악 및 대책 수립 피 드 백 1. 작업 포트폴리오 - 제출한 내용을 평가한 후 주요 사항을 표시하여 설명해 준다. 2. 필기시험 - 평가 결과, 일정 점수 이하인 학생들은 추가 학습을 한 후 그 결과를 제출하도록 한다.

(34)

학습 1

질소·인 처리 공정 운전하기(LM2301010206_13v1.1)

학습 2

막 분리 공정 운전하기

(LM2301010206_13v1.2)

학습 3

AOP 처리 공정 운전하기(LM2301010206_13v1.3)

학습 4

재이용 설비 운전하기(LM2301010206_13v1.4)

2-1.

메커니즘 및 운전 방식 파악

학습목표 • 막 분리 공정을 이해하고 운전 매뉴얼을 활용하여 운전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1. 막 분리 공정 개요

막 여과 공정은 막을 이용하여 기상 또는 액상의 혼합물을 막 양면의 농도차, 압력차, 전위차 등에 의하여 분리, 농축, 정제하는 공정을 말하는 것으로, 막 여과에서는 유체의 성상 변화를 수반하 지 않는 특정 물질만의 분리 기능을 이용하여 막 소재의 물리 ․ 화학적 기능에 의해 미세 구조에 의한 크기별 분리, 화학적 친화성, 이온성의 차이에 따라 분리한다.

2. 막 결합 생물학적 공정(MBR: membrane bioreactor)

활성 슬러지 공정과 분리막 기술의 장점을 결합하여 기존 활성 슬러지 공정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중력 침전에 의한 고액 분리를 막 분리로 대신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는데, 이러한 방식들을 ‘활성 슬러지 막 분리 공정’또는‘막 결합형 활성 슬러지 공정’이라고 한다. 하․폐수 처리를 위한 MBR 공정에서는 정밀 여과막을 사용하여 막 간 압력 차를 추진력으로 이용하고 있다.

3. 막 결합 생물학적 공정과 A

2

/O 공정 비교

막 결합 생물학적 공정과 A2/O 공정은 생물학적 분해, 고액 분리, 질소·인 제거, 소독 공정, 비용, 운전, 자동화, 유지 관리, 설계 및 기타를 기준으로 <표 2-1>과 같이 구분된다.

(35)

구분 MBR(membrane bioreactor) A2/O 생물학적 분해 ·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제거 · MLSS 8,000~28,000 mg/L이나 고농도 운전 시 FSS 증가로 한계가 있음. ·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제거 · MLSS 5,000mg/L 내외 고액 분리 (SS 제거) · 막 분리에 의한 완벽한 고액 분리 · 실용적인 처리수 SS: ~3mg/L · 표면적이 큰 침전지를 이용한 고액 분리 · 실용적인 처리수 SS≤15mg/L 질소·인 제거 · 기존 탈질, 탈인 BNR 기술 적용 · NO3-N은 분리막 통과 · 효율적인 N, P 제거 기술 개발 필요 ·BNR 공정 적용 소독 공정 · 고도 막 분리 시 대장균 99.9% 제거 · 소독 공정 적용 필요 비용 · 시설비, 운전비(고에너지 사용) 과다 · 상대적으로 저렴 · 토지 비용이 높음. 운전 · 상대적으로 매우 간편 · 침전지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어려움. 자동화 · 전 자동화 가능 ·자동화 가능 유지 관리 · 분리막 수명에 따라 좌우됨. · 분리막의 재질에 따라 관리 정도가 정해짐. ·일반적인 유지 관리 설계 및 기타 · 막 기술의 향상으로 설치된 막의 교환 시 문제점 · 막의 표준화 어려움(막 제조 기술의 다양 성 및 특성에 기인) ·표준적인 설계 <표 2-1> MBR 공정과 A2/O 공정 비교

4. 막의 종류 및 특징

막의 종류 및 특징은 사용 막과 여과법 등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사용 막 여과법 분리경 제거 가능 물질 정밀 여과막 (MF) 정밀 여과법 공칭 공경 0.01 μm 이상 부유 물질, 콜로이드, 세균, 조류, 바이러스, 크립토스포리디움 포낭, 지아디아 포낭 등 한외 여과막 (UF) 한외 여과법 분획 분자량 100,000Dalton 이하 부유 물질, 콜로이드, 세균, 조류, 바이러스, 크립토스포리디움 포낭, 지아디아 포낭, 부식산 등 나노 여과막 (MF) 나노 여과법 염화나트륨 제거율 5~93% 미만 유기물, 농약, 맛·냄새 물질, 합성세제,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황산 이온, 질산성 질소 등 역삼투막 (RO) 역삼투법 염화나트륨 제거율 93% 이상 금속 이온, 염소 이온 등 해수 담수화 역삼투막 (해수 담수화 RO) 역삼투법 염화나트륨 제거율 99% 이상 해수 중의 염분 <표 2-2> 막의 종류 및 특징

(36)

5. 막 분리 공정 운전 매뉴얼

막 분리 공정 운전 매뉴얼은 안전, 막 모듈, 공정 운전, 운전 관리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 공정별 내용은 <표 2-3>과 같다. 구분 항목 내용 1. 안전 1. 안전지침 안전 표시의 정의, 모듈, 장비, 약품 취급 시 주의 사항 2. 막 모듈 1. 분리막 종류 UF/MF, 탁도 및 제거 대상 물질 제거율, 막 여과 면적(단위 모듈 면적), 모듈의 외형 크기 및 도면 2. 사용 조건 수온, pH 범위(여과 시, 약품 세척 시), 사용 가능 약품의 종류, 농도 범위(연속/비연속), 내약품성, 운전 압력 범위(여과, 역세척) 3. 취급 방법 모듈의 운반, 보관, 설치, 분리, 폐기 등에 요구되는 취급 절차 및 주의 사항 4. 교체 주기 막 제조 업체의 보증 수명, 교체에 필요한 성능 기준(막 여과 유속, 세척 회복 정도 등) 3. 공정 운전 1. 일반 사항 시설 일반 특징, 공정의 수량 수지, 원수, 막 공급수 및 여과수의 수질, 계열 설계 및 운전 개념 2. 설계 도서 공정의 공정도, 공정의 조립도, 공정의 배치도, 공정의 상세도, 배관의 상세도 등의 관련 도면 용량 계산서, 설비의 목록 및 규격 등의 설계 자료 각 설비의 취급 설명서 3. 운전 방법 운전 제어 절차: 시스템 기동 및 정지 절차(자동 및 수동 제어), 회전 기기(펌프, 공기원 설비 등) 및 밸브 작동 구성, 제어 패널 작동 방법 운전 조건: 처리 수량, 회수율 등 4. 약품 세척 약품 세척 방법: 세척 기준 및 예상 세척 빈도, 약품의 종류, 약 품 농도 및 세척 시간, 약품 주입 위치 및 주입 절차, 세척 약품 제거 절차 및 세척수 사용량 등 약품 세척 감시 방법 및 효율 측정 방법 약품 주입 장치의 조정 및 보정 방법, 사용 약품 원액의 성상, 희석 농도, 희석 방법 약품 세척 시 계열 운전 방법(정지 시간, 정수 처리량 확보 방안) 5. 배출수 처리 막 여과 농축수의 수량, 수질, 처리 방법 약품 세척 배출수의 수량, 수질, 처리 방법 4. 운전 관리 1. 시설 감시 감시 항목, 측정 방법 및 장비, 측정 시기 및 빈도, 교정 방법 및 교정 주기, 항목별 계산 방법 시료 채수 방법: 시료의 채수 위치, 채수 절차, 보관 등 자료의 기록, 관리, 보관 방법 2. 비상시 대책 설비 및 시설의 고장, 정지, 이상 작동, 수질 불량 등의 경우에 대한 대응 방안 공정 유지 관리 체제: 관리 조직 체계, 비상 연락처 등 <표 2-3> 막 분리 공정 운전 매뉴얼

(37)

수행 내용

/

막 여과 공정의 파악 및 운전 매뉴얼 활용

재료·자료 • 상하수도 시설 기준, 막 여과 정수처리 시설 기준, 준공도서, 운전 매뉴얼, 운전 보고서 기기(장비 ・ 공구) • 컴퓨터, 전산 프로그램, 계산기 안전 ・ 유의 사항 • 해당 없음. 수행 순서  막 여과 공정에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를 파악한다. 1.‘막 모듈’이란, 일정 개수의 막을 일정 형태의 용기(容器) 안에 설치하여 일체화하 거나 용기 안에 설치하지 않고 일정 개수의 막을 묶음 형태로 일체화하여 여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을 말한다. 수처리에 사용되는 막 모듈은 정밀 여과 막 모듈, 한외 여과 막 모듈, 나노 여과 막 모듈, 역삼투 막 모듈, 해수 담수 화 역삼투 막 모듈 등이 있다. 2.‘계열’이란, 수도용 막 모듈과 여과수를 생산하는 펌프로 이루어져 독립된 여과 기능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3.‘막 여과 공정’이란, 원수 공급, 펌프, 막 모듈, 세척, 배관 및 제어 설비 등으로 구성된 일련의 정수 처리 과정으로, 수도에 사용되는 정밀 여과 공정, 한외 여과 공정, 나노 여과 공정, 역삼투 공정 및 해수 담수화 역삼투 공정을 말한다. 4.‘막 여과 회수율’이란, 막 여과 공정의 막 공급 원수량에 대하여 여과 수량 중에서 막 모듈의 세척에 사용되는 여과 수량을 제외하여 백분율(%)로 나타낸 값을 말한다. 5.‘공칭 공경(公稱孔經, Nominal pore size)’이란, 정밀 여과막의 공경을 직접 측정하 는 것이 곤란하여 버블 포인트법, 수은 압입법, 지표균 등을 이용한 간접법으로 분리 성능을 마이크로 미터(㎛) 단위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6.‘분획 분자량(Molecular weight cutoff)’이란, 한외 여과막의 공경을 직접 측정하는 것이 곤란하여 간접적으로 측정하고, 분리 성능을 분자량의 단위인 달톤(Dalton)으 로 나타내는 지표로, 분자량을 알고 있는 물질의 배제율이 90%가 되는 분자량을 말한다.

(38)

7.‘배출수’란 물, 공기, 약품 등을 이용하여 막의 표면에 부착된 오염 물질을 제거 할 때 발생되는 세척수 또는 세척수가 포함된 농축수가 막 모듈 밖으로 배출된 것을 말한다. 8.‘농축수’란, 막 공급 원수가 막을 투과하지 않고 농축된 것을 말한다. 9.‘공정수’란, 정수 시설을 구성하는 공정에서 소독 공정을 제외한 각 단위 공정의 처리수를 말한다.  적용 막의 특성을 파악한다. 1. 막 여과법의 종류: 정밀 여과법과 한외 여과법을 구별한다. 2. 막 모듈의 성능 증명: 사용 예정 막 모듈의 국내 인증 증명서 등을 확인한다. 3. 막의 재질: 막, 부재료 등 모듈의 재질 및 물리․화학적 특징 등을 파악한다. 4. 막 모듈의 형식: 중공사 등의 막 형식 구분 및 케이싱형 등의 구조 등에 대하여 파악한다. 5. 막의 공칭 공경 또는 분획 분자량: 마이크로 미터(㎛) 단위 또는 달톤 단위로 표시된다. 6. 막 여과 유속: 운전 기간 중의 m3(막 여과 수량)/m2(막 여과 면적)·day로 확인한다. 7. 막 모듈 1본당 막 면적: m2 단위로 확인한다. 8. 회수율: 실험 기간 동안의 회수율을 확인한다. 9. 막 손상 대책: 직접 완결성 시험의 조건, 장치 사양, 막 여과수의 탁도 관리 등에 의한 막손상 계측 방법과 수리 등의 대책을 파악한다.  목표 수질을 파악한다. 1. 정수 처리 목표 수질을 사전 검토한다. 항목별 국내외 수질 기준은 <표 2-4>와 같다. 항목 현재 국내외 수질 기준 탁도 < 0.1NTU Cryptosporidium > 2 log Giardia > 3 log 바이러스 > 4 log 소독 부산물 TTHM < 80mg/L, HAA < 60mg/L 맛, 냄새 무미, 무취 철 < 0.3mg/L 망간 < 0.05mg/L SOC -NH4+ 0.5mg/L <표 2-4> 정수 처리 목표 수질 기준

(39)

2. MBR 공정의 목표 수질을 검토한다.

Parameter Units Values

BOD5 mg/L <5

TSS mg/L <1

Ammonia mg/L as N <1 Total Nitrogen(with pre anoxic zone) mg/L <10 Total Nitrogen(with pre/post anoxic zone) mg/L <3

Total phosphorus(with chemical addition) mg/L <0.2(typical), <0.05(achievable) Total phosphorus(with Bio-P removal) mg/L <0.5

Turbidity NTU <0.2

Bacteria log removal Up to 6 log(99.9999%) Viruses log removal Up to 3 log(99.9%)

<표 2-5> MBR 공정 목표 수질

 운전 제어 방식을 파악한다.

1. 여과 방식 및 통수 방식: 십자 흐름 여과 방식(cross flow filtration), 전량 여과 방식 등의 여과 방식(십자 흐름 여과 방식의 경우에는 막면 유속도 확인)과 내압식 및 외압식 등의 통수 방식을 파악한다. 2. 구동 방식: 펌프 등에 의한 가압 또는 흡입 방식을 확인한다. 3. 막 간 차압: 실험 기간 동안 막 간 운전 차압(kPa), 보정 차압(25℃, 100kPa) 및 허 용 차압 범위를 확인한다. 4. 운전 제어 방식: 정압, 정유량의 구별을 하고, 유량 설정 방식을 확인한다. 5. 자동 운전 방법: 자동 운전 기능을 확인한다. 이상 시 등 고장 대응의 자동화 채택 여부를 확인한다.  물리 세척 방식을 확인한다. 1. 세척 방식: 세척 방법을 확인한다. 2. 세척 빈도: 세척 빈도, 세척 시간, 세척 압력, 역세 여과 유속을 확인함과 동시에 세척수의 약품 주입이 있으면, 주입량 등에 대해서도 확인한다. 3. 조 침지 방식에 대해서는 세척 배출수 등의 배출 방법을 확인한다.  약품 세척 방식을 확인한다. 1. 세척 방식: 현장 또는 공장 세척 등의 구별을 하고, 현장 세척의 경우에는 처리 공 정을 확인함과 동시에 약액 라인과 정수 라인의 차단 방법을 파악한다.

(40)

2. 세척 빈도: 운전 기간 중의 세척 빈도를 확인한다. 3. 사용 약품과 약액의 양 및 농도: 약품의 종류, 양, 농도 등에 대하여 확인한다. 4. 세척 절차 및 세척 후의 기동 순서: 세척 절차, 세척 효과 등의 확인 방법에 대하 여 확인한다.  배출수 처리 방식을 확인한다. 1. 물리 세척 배출수 등의 수량, 농도 및 처리ㆍ처분 방법: 배출수 처리 규제 항목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처리 방법을 확인한다. 2. 약품 세척 폐액의 액량, 농도와 처리 및 처분 방법 등을 확인한다.

(41)

2-2.

막의 손상 및 상태 확인

학습목표 • 막의 성능 검사를 통하여 막의 손상 및 상태를 파악하고 손상된 모듈을 수리 및 교체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1. 완결성 시험

(1) 막 완결성 막 여과 시설에서 중요한 점은 막 공급수와 막 여과수가 막에 의해 완전히 분리되는 것, 즉 막 완결성의 확보이다. 따라서 막 완결성을 상시 감시하여 막 손상 등 사고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수도용 막 여과 시설에서의 중요 과제이다. 대규모 막 여과 시설에 있어 막 모듈의 대형화 및 다량화가 예상됨에 따라 막 하나의 손상을 감지하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원수 수질이 나 처리 시스템에 따라 막 공급 수의 수질이 다양해지므로 막 손상 시의 리스크 또한 다르게 된다. 감시 방법의 검출 한계를 충분히 고려하여 막의 파손 모듈에 대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 (2) 완결성 시험의 종류 막 손상 유무를 측정하는 완결성 시험은 막 모듈의 종류, 형상, 재질 등의 차이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대표적인 감시 방법에는 직접 완결성 시험법과 간접 완결성 시험법이 있으며, 시험 방법 및 특징은 다음과 같다. 직접 완결성 시험법은 막 손상 유무를 직접 측정하는 방법에는 압력 강하 시험, 확산 공기량 시험, 버블 포인트 시험, 진동음 감지법 등이 있다. 이 방법은 막의 한쪽 편 원수 측 또는 처리수 측에 가압 공기를 공급해 막의 손상 부위로부터 공기가 새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것이다. 막 손상의 유무를 확실히 측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시험을 위하여 시스템을 일정 기간 정지시켜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간접 완결성 시험법은 막 손상 유무를 막 여과수 처리수의 수질 이상을 통해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미립자 수 또는 탁도를 연속적으로 감시 측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간접법은 온라인에 의해 연속 감시가 가능하지만, 직접 완결성 시험법에 비해 감도가 낮다. 감지하는 수질 항목으로는 탁도, 미립자 수, 미생물 등의 방법이 있다. 이상과 같이 직접법과 간접법은 각각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양자를 병용하여 각각의 장점을 살린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다. 많은 플랜트에서 간접법에 따라 온라인으로의 감시와 정기적 이상 발생 시에 직접법에 의해 오프라인으로 막 여과 시스템의 건전성을 시행하는 방법을 조합해 채용하고 있다.

(42)

수행 내용

/

막 손상의 검지 및 보수

재료·자료 • 상 ․ 하수도 시설 기준, 준공 도서, 설계 도서, 시운전 보고서, 운전 매뉴얼 기기(장비 ・ 공구) • 보수핀, 망치, 물병, 접착제, 탁도 측정기 안전 ・ 유의 사항 • 막 손상 시 조치 절차에 따라 행동한다. • 막 해체 시 막 모듈의 파손에 주의한다. 수행 순서  막 손상의 검지한다. 1. 막 오염을 저감시키기 위한 정기적인 물리적 세척이나 주기적인 약품 세척이 막 손상을 일으켜 처리 수질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감도가 높은 탁도계나 입자 계측 기로 연속적인 수질 관리나 주기적인 압력 강하 시험 등을 통하여 막의 파단 및 손상 등을 검지하여야 한다. 2. 막 손상 이외에 막 여과 설비의 완결성은 장치 접속부나 유지부 등의 수밀성이 상 실되거나 손상된 경우에도 훼손될 수 있다. 이들 결함의 원인으로는 공장에서의 제 작 단계나 설치 단계의 초기 고장, 운전 시 예상하지 못한 사고에 의한 우발 고장, 시간이 지날수록 열화되며 생기는 마모 손상 등을 들 수 있다.  막 손상의 대책을 수립한다. 유출수의 탁도는 약 0.2NTU 또는 그보다 작은 값이 된다. 만약, 막의 표면이 손상되었 을 경우 첫 번째 증상은 탁도의 증가이다. 어떤 막 모듈의 경우, 막과 연결된 배관이 투명하게 되어 있어 손상된 막을 구분이 쉬울 수 있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손 상된 막을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이때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손상된 막을 구 분하거나 손상 부위를 고칠 수 있다. 1. 막 모듈의 탁도를 순서대로 분석해 본다. 2. 막 모듈이 운전 중일 경우, 막 모듈에 연결된 밸브를 하나씩 잠그고 탁도를 분석함 으로써 손상된 막의 위치를 파악한다. 특정 밸브를 잠갔을 때 탁도가 감소한다면 그 모듈이 손상된 모듈이다.

(43)

3. 막의 종류와 사양에 맞게 해당 막 모듈을 분리한다. 4. 평막인 경우, 해당 막 제조회사에 문의한다. 5. 중공사인 경우 막 모듈을 꺼내어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공기가 새어나오는 막 가닥 을 골라낸다. 6. 해당 막의 제조업체에서 제공한 매뉴얼에 따라 손상된 부위를 막는다. 7. 압력을 다시 뺀다. 8. 막 모듈을 재설치하고 다시 운전을 가동한다.  막 손상 시 조치 절차에 따라 행동한다. 1. 해당 계열 총 계열 정지 및 나머지 계열로 비상시 운전한다.

2. 막 손상이 검지된 계열의 유닛별로 PDT(pressure decay test, 완결성 시험)를 실시한다. 3. 투명 유리관으로 파단 막을 확인한다.

4. air bubbling test를 실시하여 손상된 막 모듈을 보수한다. 5. 보수 완료 여부를 확인한다.

 air bubbling test를 실시한다.

1. PDT용 밸브를 통해 공기 압력을 가하면 모듈 상부의 투시창으로 공기 방울을 감지한다. 2. 공기 방울 감지 시 막 모듈 상부 덮개를 분리하고, 원수 측에 공기압을 가한다. 3. air bubbling test용 덮개를 장착하여 물을 채운 후, 공기 누출 여부를 확인한다. 4. 공기 누출 시 누출 부분을 보수한다.

상부 덮개 분리 air bubbling test용 덮개

(44)

 파단된 여과막을 보수한다. 1. 보수핀을 이용한 중공사막 손상을 보수한다. (1) 준비 및 보수 ① 모듈 상부를 열어 물을 채운 후 손상된 중공사막 부위를 확인한다. ② 손상된 중공사막은 망치로 보수핀을 막아 차단한다. [그림 2-2] 보수핀을 이용한 중공사막 보수 2. 차단여부를 확인한다. leak 유무를 확인하여 만약 누출되는 공기 방울이 있다면 접착제를 이용한 방법으 로 보수한다. 3. 접착제를 이용하여 중공사막 손상을 보수한다. (1) 준비 및 보수 ① 물을 닦아낸 후 해당 부위를 건조시킨다(손가락이 젖지 않을 정도). 수행 tip • 모듈 내 건조를 막기 위해 Air 공급 등은 반드시 정 지시켜야 한다. ② 주 접착제와 경화제를 튜브에서 각각 2cm 정도로 짜낸 후, 균일하게 될 때까 지 이쑤시개로 잘 섞어 준다( 약 1분 정도). 수행 tip • 혼합 후 수 분 안에 경화되므로 신속히 작업해야 한다.

(45)

③ 보수 부위에 조제된 접착제를 바르고, 보수할 fiber를 중심으로 5~10본을 감싸 듯이 바른다(과도하면 막 면적이 줄어들므로 넓게 바르지 말 것). ④ 이쑤시개를 이용해 실의 구멍에 밀어 넣듯이 바른다. 이때 전체 두께가 2mm 정도가 되도록 작업한다. ① ② ③ ④ [그림 2-3] 접착제를 이용한 중공사막 보수 (2) 경화 ① 바른 후 1~2시간 정도 방치해 경화시킨다. ② leak 유무를 확인하여 만약 누수가 있다면 작업을 반복한다. 수행 tip • 육안으로 공기 방울을 확인하고 보수를 진행하여야 하므로 숙련이 필요하다.

(46)

2-3.

막 오염 원인 파악 및 제어

학습목표 • 막 오염 방지 및 성능 유지를 위한 역세 및 세정을 수행할 수 있다. • 막 오염의 원인을 파악하여 이를 제어하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1. 막 여과 성능의 저하 원인

막 여과는 변질 및 손상에 의해 비가역적으로 막의 성능이 저하된다. 또한, 여과의 진행에 따라 막 표면상에 용질이 농축되어 막 공급수 중의 농도보다 높게 되어 여과 저항이 증가한다. 또한, 원수 중에 존재하는 용해 물질이나 현탁 물질이 막 표면에 생성되는 케이크층, 겔층 등의 부착층 형성에 의하여 여과 저항이 생기거나 세공으로 인한 흡착 및 석출에 의한 막힘이 생길 수 있다.

2. 막 오염의 정의 및 분류

막 오염이란, 처리 대상수의 어떤 성분에 의해 막이 막히거나 코팅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막 오염이 발생하면 운전 압력 투과 수량 등이 감소하고, 막 자체 손상까지 가져와 문제가 발생한다. [그림 2-4] 막 오염의 정의 및 분류

(47)

3. 막 오염 제어 기법

막 오염 제어 기법에는 물리 세정 방법과 화학 세정이 있다. 각 세정 방법에 따른 구체적인 방법은 [그림 2-5]와 같다. 물리 세정 방법은 물리적인 방법으로 행하는 막의 세정 방법이며, 막 면의 오염 물질 부착량이 다량이 아닌 시기에 세정하여 세정 빈도가 높다. 화학 세정 방법은 물리 세정만으로는 막 여과 기능이 회복되지 않는 경우, 약품을 사용하여 행하는 막의 화학적인 세정 방법이다. 사용된 약품은 부착물의 종류와 양, 막의 내약품성 등을 고려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림 2-5] 막 오염 제어 방법

(48)

수행 내용

/

막 오염의 파악과 역세 및 세정 수행

재료·자료 • 상 ․ 하수도 시설 기준, 관련 서적, 운전 매뉴얼, 유지 관리 지침서, 설계 도서 기기(장비 ・ 공구) • 메스실린더, pH 미터기, 보호 장비 안전 ・ 유의 사항 • 약품 세정 시 세정 약품의 취급에 유의한다. • 약품이 몸에 튀지 않도록 유의하고, 안전 장비를 항상 착용한다. 수행 순서  막 오염의 분류를 파악한다. 1. 원인에 의한 분류 (1) 부착층에 의한 분류 ① 케이크층은 공급 원액 중의 현탁 물질이 막 표면에 축적되는 것을 말한다. ② 겔층은 농축에 의한 용해성 고분자들이 막 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③ 스케일층은 농축에 의한 난용해성 물질이 용해도를 초과하여 막 표면에 석출 하여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④ 흡착층은 공급 원액에 함유되어 있는 흡착성 물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2) 세공 막힘 및 유로 폐쇄에 의한 오염 ① 막의 다공성에 흡착 석출 등에 의한 오염과 고형물에 의한 원액 유로의 막힘 에 의한 오염 등이 있다.

(49)

2. 막 오염 물질에 의한 분류 (1) 입자/클로이드에 의한 막 오염은 입자성 물질이나 콜로이드 물질이 막 표면에 침 적되는 것을 말한다. (2) 무기물에 의한 막 오염은 막 표면에 금속 수산화물 또는 금속 산화물의 침전이 생기거나 금속 이온이 다른 유기물이나 콜로이드 물질과 결합하여 스케일을 형 성하는 것을 말한다. (3) 유기물에 의한 막 오염은 수중의 유기 물질이 막 표면을 오염시켜 막의 성분 물 질과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부작용을 발생시킨다. (4) 미생물에 의한 막 오염은 막 표면에서 미생물이 성장하여 Bio-film이 생성되는 것 으로, 수중의 유기물은 그 자체로 유기물에 의한 막 오염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미생물의 성장을 촉진시켜 Bio fouling을 일으킨다. 3. 막 오염 유형 및 원인 물질을 분류한다. 막 오염이 되면 세공 내, 막 표면에서의 흡착, 퇴적, 겔/케이크층이 형성된다. 막 오염의 유형 원인 물질 현탁 입자에 의한 막 오염 부유 물질, 콜로이드, 조류 등의 미립자 유기 물질에 의한 막 오염 자연 유기물(NOM) 및 그 흡착 입자,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 등 무기 물질에 의한 막 오염 철, 망가니즈, 산화물, NOM과의 결합물, Ca, Mg, Si 등의 무기 염류 미생물에 의한 막 오염 미생물 및 세포외 대사 산물(EPS), 생물학 <표 2-6> 막 오염 유형 및 원인 물질  막 오염에 의한 막 성능 변화를 파악한다. 1. 막 오염에 의한 막 성능 변화를 파악한다. 종류 원인 성분 오염 현상 문제가 되는 막 부착물 케이크층 불용해성 물질 미생물, 콜로이드 입자 등 현탁 입 자 막 표면 축적 RO막, UF막, MF막 겔층 유기 용해성 물질 용해성 고분자 물질의 막 표면에서 겔화 RO막, UF막, MF막 스케일층 콜로이드성 물질 농축에 의한 과포화된 물질 석출 RO막 흡착층 유기 용해성 물질 막에서 흡착에 의한 층 형성 UF막 눈막음 입체적 입자성 물질 막 세공 내부의  세공 막음. UF막 흡착 용해성 물질 막 세공 내부의  세공 막음. UF막 석출 불용해성 물질 막 세공 내부의  세공 막음. UF막 <표 2-7> 막 오염에 의한 막 성능 변화

(50)

 물리 세정의 종류를 파악하고 수행한다. 1. 역세 역세는 막의 2차 측에서 1차 측으로 물 또는 공기를 압력으로 밀어 넣어, 막에 부착 한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세정수로 막 여과수를 사용한다. [그림 2-7] 역세(막 여과 공정 운전 조건) 2. 에어 스크라빙+역세 스크라빙은 막 모듈에 공기를 불어넣어 막을 수중에서 요동시킴으로써 막 표면에 부 착된 현탁 물질 등을 제거한다. 스크라빙은 비교적 큰 부착물의 제거에는 용이하지만, 미세한 부착물의 제거는 불완전하므로 역세와 병용하여 사용한다. [그림 2-8] 에어 스크라빙+역세(막 여과 공정 운전 조건)

(51)

3. 플러싱 플러싱은 막의 1차 측에 물을 가하여 막 면에 따른 흐름에 의해 오염 물질을 유출시 키는 방법을 말한다. [그림 2-9] 플러싱(막 여과 공정 운전 조건) 4. 포기(MBR 공정) 막 분리조의 하단에서 나오는 공기는 수류의 흐름으로 인해 전단력을 발생시켜 막 표면에 붙은 협잡물을 떨어뜨리는 역할을 한다. 만약 이러한 포기가 중단되면 TMP(transmembrane pressure, 막 간 압력차)가 급속히 증가하며, 정상 운전을 위해서는 세정이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공기의 공급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지만, 경우에 따라 막 모듈 별로 순차적 공급하는 경우도 있다. 만약 이러한 공기 공급 시스템이 고장나면 TMP가 급 속히 상승하고, 경고음을 발생시키며 세정을 위한 정상 운전을 정지시킨다. 5. 휴지기 휴지기는 흡입을 정지하고 막 외부의 공기에 의한 전단력에 의해 막 표면의 협잡물 이 제거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막 제조사에 따라 다르지만 10~15분 운전 후 30초에서 1분간 휴지기를 갖는다. 이러한 휴지기를 통해 TMP가 감소하고 다음 운전 주기에서 처리수를 안정적으로 생산해낼 수 있는 것이다. 설계 유량을 유지하기 위해 서는 이러한 휴지기를 감안하여 순간 유량을 조절해야 한다. 다시 말해 10분 운전 후 1분의 휴지기를 갖는 경우 설계 유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순간 유량을 설계 유량보 다 10% 높게 설정해야 한다. 이러한 휴지기를 통해서도 TMP가 감소하지 않는 경우, 다른 세정 방법, 예를 들어 공기나 물 역세 또는 화학 세정을 하여야 한다.

(52)

[그림 2-10] MBR 공정의 운전 조건  화학 세정의 방식 및 사용되는 약품의 특성을 파악한다. 1. 화학 세정 방식 구분 원리 On-line 방식 막 모듈을 분리하지 않고, 벨브의 변환만으로 막 모듈 내에 약 액을 순 환시키거나, 약 액에 침적시키는 방식 Off-line 방식 막 여과 설비로부터 막 모듈을 별도로 분리시켜 세정하는 방식 린스 화학 세정의 최후에 수 세정을 하여 시스템 내부에 남아 있는 약품을 제 거하는 방식(린스의 pH로 확인 가능) <표 2-8> 화학 세정 방식의 종류별 원리 [그림 2-11] 막 여과 공정의 화학 세정

(53)

2. 화학 세정 약품의 종류 및 제거 대상 화학 세정은 약품의 산화력을 이용하여 오염 물질을 화학적으로 분리하여 제거(6개 월~1년 주기로 실시)하는 것을 말한다. 세정 약품 종류에 따른 제거대상은 <표 2-9> 와 같다. 구분 약품 종류 제거 대상 산화제 차이염소산나트륨 과산화 수소 미생물 분비물 등 산화 가능한 유기물 제거와 세균의 살균 알칼리 세정제 KOH, NaOH 단백질, 미생물 부산물 등의 유기물 제거 산성 세정제 유기산(수산, 구연산) 금속염 등 무기 침전물 제거 무기산(황산, 염산) 킬레이트제 EDTA EDTA는 2가 양이온과의 결합으로 2가 양이온(Ca2+)과 결합하는 NOM 제거 효소제 프로티아제, 리파아제 Biofouling 계면 활성제 알칼리성, 계면 활성제 막 표면의 겔층, 단백질층 등 유기물 제거 산성 계면 활성제 무기물 제거 <표 2-9> 화학 세정 약품 종류  약품 세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파악한다. 1. 세정 용액의 pH에 대한 영향을 파악한다. EDTA 같은 경우, 높은 pH에서는 완전히 용해되지만, 낮은 pH에서는 효율이 저하된다. 2. 세정 용액의 이온화 강도에 대한 영향을 파악한다. citric acid, SDS 계면 활성제는 친수성 유기물에 의한 오염에는 효율이 낮다. 3. 세정 용액의 농도에 대한 영향을 파악한다. 약품의 농도가 높을수록 세정 효율이 높다. 4. 세정 용액의 전단 유속에 대한 영향을 파악한다. 전단 유속이 빠를수록 세정 효율이 좋다. 5. 세정 용액의 온도에 대한 영향을 파악한다. 화학적으로는 온도가 높을수록 세정 효율이 좋다(하지만 막의 특성상 대부분의 막 제 조사가 45℃ 이하의 온도를 제시하고 있다). 6. 세정 용액의 압력에 대한 영향을 파악한다. 세정 시 압력은 오염원의 부착을 고려하여 최소한의 압력으로 운전한다.

(54)

 약품 세정 절차를 파악한다. 1. 회복 세정을 위한 약품을 선정하고 알맞은 농도로 제조한다. <표 2-9>는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을 나타낸 것이다. 희석을 위해 수돗물이나 처리수를 사용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세정 용액을 가열할 수도 있다. 2. 여과를 중지한다. 펌프를 끄고, 여과 밸브를 닫는다. 시스템의 형태에 따라 분리막 탱크를 비우는 경우도 있다. 3. 분리막 표면에 부착된 고형물을 탈리시키기 위해 15~60분간 포기(aeration)을 지속 한다. 4. 약품이 용해된 세정 탱크에 분리막을 침지하여 세정을 실시한다. 5. 제조사의 지시에 맞춰 6~24시간을 침지시킨다. 6. 사용한 약품은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알맞게 폐기한다. 이때 세정 용액을 중화시켜 생물 반응조로 투입하기도 하는데, 미생물에 영향이 없도록 주의한다. suspected fouling material recommended cleaning chemical alternate cleaning chemical cleaning solution concentration cleaning duration organic sodium hypochlorite (bleach) 주 3) hydrogen peroxide 500~5,000mg/l 6~24h aluminum

oxide 주 1) oxalic acid citric acid 1,000~10,000mg/l 6~24h

ferric oxide oxalic acid 주 4) citric acid 1,000~10,000mg/l 6~24h clacium

carbonate 주 2)

hydrochloric

acid citric acid 1,000~10,000mg/l 6~24h

주1) alum과 ferric chloride 같은 일반적인 응집제의 존재 시에 형성 주2) 경수(hard wastewater)의 존재 시에 스케일링(scaling) 형성

주3) bleach의 농도는 시스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MLSS 농도 10,000mg/L 이하에서 세정 용 액을 맞추도록 한다. 주4) calcium oxalate의 형성을 막기 위해 경수의 존재 시에 사용을 피한다. <표 2-10> 막 오염별 약품 농도 및 세정 시간 수행 tip • 물리적 세정 및 약품 세정을 행하는 차이를 파악한다.

(55)

2-4.

유지 관리 및 비상 대책 수립

학습목표 • 유지 관리 및 운영 매뉴얼을 작성하여 유지 관리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유입수 변동 및 수질 이상 감지 시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1. 비상시 운전 방법

비상시 시설 관리자는 현황을 상부에 보고하고, 막 여과 설비 업체나 막 제조사로 전파한 후 기술 담당자와 협의하여 초기 대응하고 이상 원인을 조사하여 근본적인 대처 방안을 마련한다. (1) 저유량 생산 시 설계 유량보다 적게 유입될 경우, 평상시의 설계 막 여과 유속보다 낮게 운전하거나 계열을 단축하 여 운전한다. (2) 고탁도 및 조류 과다 유입 시 고탁도 및 조류 과다 유입 시 홍수나 태풍 등에 의해 고탁도가 유입되거나 계절의 변화에 따라 조류 증식 및 유기물 농도의 증가에 의해 막 간 차압이 급격히 상승할 때에는 물리적 세척 주기를 단축하여 운전하거나 약품 세척을 실시함으로써 막 오염 물질의 축적을 사전에 방지한다. 또한 응집제 주입 또는 역세 주기를 조정하여 막 오염 부하를 저감한다. (3) 막 파단에 의한 탁도 유출 시 각 계열별로 설치된 탁도계 또는 입자 계수기를 통해 수질 상태를 항상 확인함으로써 입자성 물질의 누출을 제어한다. 주기적인 PDT를 통해 막 손상 여부를 확인하지만, 처리수 탁도계의 탁도값이 사전에 설정한 탁도값 이상으로 시간이 지속되거나 사전에 설정한 입자 수가 소정의 시간 이상 지속되면 해당 계열은 즉시 운전을 정지하고 막 손상 검지 방법인 PDT 등을 통해 막의 손상 여부를 판단한 후 막을 보수하거나 교체한 후 재운전한다. (4) 막 손상으로 인한 계열 정지 시 대책 막 손상에 의해 경보 발생 후에 계열이 정지되었을 경우, 한계 막 투과 유속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타 계열의 막 여과 유속을 증가시켜 여과 유량을 증가시킨다. 초기 대응 시에는 원인 조사를 실시하거나 현장 보관의 예비 막으로 교환하여 막 여과 설비가 정상 운전되도록 하며,

수치

[그림 3-7] 오존 발생기 제어 (4) 냉각수 공급 설비 오존 설비에 있어서 냉각 장치는 오존화 가스 발생량의 효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인자 중의  하나이며, 정수장에 적용 시에는 처리수(여과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경제성의 이유로 언제나 26℃  냉각수 온도, 즉 여름철 최고 수온을 기준으로 설계에 반영하고 있다
[그림 4-3] 하수 처리 재이용 공정
[그림 4-19] 재처리시설 공정 수행  내용 / 배수  설비  운전 재료·자료 •  패킹, 윤활유 기기(장비 ・ 공구) •  회전수 측정기, 전류 측정기, 압력계, 온도계 안전 ・ 유의 사항 • 펌프의 부품들은 기존 사용하고 있는 같은 규격의 펌프와 호환성을 가져야 하며, 충분한 강도  및 강성을 가져야 한다

참조

관련 문서

기초 조사는 대상 하천 전 구간을 대상으 로 현지조사를 수행하여 개략적인 대상 하천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 이며,.. (2) 중점 조사는 이러한 기초조사

법 제22조제2항에 따라 고시된 중권역 중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또는 총인(T-P)의 수치가 법 제24조 제2항제1호에 따른 목표기준을 초과하였거나

고정된 배수관을 통해 바다로 직접 배출하는 시설(양식어민이 직접 양식한 굴의 껍질을 제거하고 물세척을 하는 시설을 포함)로서 해조류·갑각류·조개류를 채취한

발표

건축물의 내부에서 노대 또는 부속실로 통하는 출입구에는 갑종 방화문을 설치하고, 노대 또는 부속실로부터 계단실로 통하는 출입구에는

시료중의 유기물을 산화 분해하여 모든 인 화합물을 인산염 형태로 변화시킴 인산염을 아스코빈산 환원 흡광도법으로 정량하여

폐기물 관리법 상 폐기물 분류와 폐기물 통계 작성 상

폐기물 관리법 상 폐기물 분류와 폐기물 통계 작성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