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등을 들 수 있다.장애 정도에 따라 뇌졸중 환자는 병원에 장기간 입원을

상지를 사용하지 않으려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Nakayama,Jorgensen,

가지는지에 대해서도 잘 알지 못한다.앞서 설명한 상지 평가와 일상생활

2.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동작능력을 평가하는 검사 도구인 MFT와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독립성을 평가하는 MBI간 상관관계 연구를 통하여 뇌졸중 환자의 환측 상지기능 수행능력에 따른 일상생활활 동의 수행능력 차이를 알아보고,뇌졸중 환자의 포괄적 재활 및 작업치료 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세부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수행능력 (MFT)과 일상생활 수행능력(MBI)의 차이를 분석한다.

둘째,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상지기능 수행능력(MFT)이 일상생활 수행 능력(MBI)과 연관성이 있는지 분석한다.

셋째,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수행능력(MFT)의 영역별 항목과 일상생활 수행능력(MBI)과 연관성이 있는지 분석한다.

넷째,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수행능력(MFT)의 세부항목과 일상생활 수 행능력(MBI)의 세부항목과 연관성이 있는지 분석한다.

뇌졸중 환자

▪ 연령 ▪ 유병기간(Onset)

▪ 정신기왕력(MMSE-K) ▪ 마비측 부위

▪ 발병원인 ▪ 아탈구

▪ 성별

상지기능 수행능력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연구 방법

1.연구의 틀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수행능력이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 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조사하고,상지 기능 수행능력(MFT)과 일상생활 수행능력(MBI)간의 상관관계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Figure1).

Figure1.Frameofthestudy

2.연구대상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한 1개의 종합병원과 경기도에 소재한 1개의 재활 병원과 1개의 재활의학과의원에 2010년 7월부터 2011년 6월까지 입원한 뇌졸중환자 1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연구대상자의 선정조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뇌졸중으로 진단받고 발병 6개월 이상,2년이하인 자 둘째,아탈구가 없는 편마비 환자

셋째,적절한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실어증 없음)

넷째,정신상태 약식 검사인 MMSE-K 점수가 20점 이상인 자 다섯째,심한 치매환자나 정신질환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 제외

위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대상 112명을 선정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3.연구도구

(1)바델 척도 (Modified BarthelIndex;MBI)

바델 척도는 처음 개발 후 5회 정도의 개정이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민 감성을 더 높인 Shah,Vanclay와 Cooper(1989)의 수정판을 사용한다.일 상생활 수행능력(Barthel)척도는 총 10가지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문항에 따라 가중치가 다르며,점수 범위는 최저 0점에서 최고 100점까지 로 점수가 높을수록 기능상태가 좋은것을 의미한다.

MBI는 27.6%의 요양병원 임상전문가들이 노인의 ADL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실무에서 적용하기에 적절하다고 평가되었으며(김희상,2006),한 글판 RAIMDS가정간호 버전의 ADL의 준거관련 타당도 평가시에도 준 거도구로서 활용되어 계단오르기,목욕하기,집 안에서의 이동 등의 항목

에서 타당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선민 등,2000).특히 뇌졸중 환자 들을 대상으로 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에서는 관찰자간 신뢰도가 0.93-0.98(p<0.01),Cronbach'salpha가 0.84(p<0.01)로 상당히 높았으며,전 체 점수와 개별 문항들 간의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본 구성타당도도 0.54-0.78(p<0.01)로 신뢰도 및 타당도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Jung etal.,2007).

(2)뇌졸중 상지 기능 검사 (ManualFunctionTest;MFT)

이 검사는 일본의 동북대학(Tohoku University)의학부에서 Brummstrom stage에 따른 상지의 회복단계를 수치화하여 개발된 뇌졸중 후 상지기능 평가 도구로서,환자의 조기 재활 중 상지기능 및 동작 능력 측정에 많이 쓰이고 있다(이택영,오재근,김혜영,이규성과 김문희,1999).신경학적 회 복시기에 있어서 상지 운동기능의 짧은 기간동안의 변화를 측정 할 수 있 을 뿐만 아니라 훈련 초기의 단기간 기능수준의 변화에서 이후의 기능회 복 수준을 예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소 항목으로는 상지운동(4항 목),장악력(2항목),손가락 조작(2항목)의 3개 영역,총 8개 항목으로 구성 되어 있다.점수는 수행 가능할 경우 1점,불가능 할 경우 0점으로 표기하 여 총 32점 중 획득점수를 다시 100점으로 환산하여 총점으로 표기하며 검사 소요시간은 약 10분 정도이다.또한 검사-재검사 일치도는 환측 .997,건측 .839이다(김미영,1994;채경주와 이한석,1997).본 연구에서는 김미영(1994)에 의해 한글로 번역된 한글 뇌졸중 상지기능 검사방법을 기 준으로 하였다.

(3)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KoreanversionoftheMini-MentalState Exam;MMSE-K)

MMSE-K는 1975년 미국의 Folstein에 의해 개발되어 현재까지의 인지검 사 도구 중 방법이 간편하고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다고 알려진 Mini-MentalState Examination(MMSE)의 한국판이다.이는 문맹 노인이 많은 우리나라 상황에 적합하게 수정 보안되어 표준화가 이루어진 인지기 능 평가도구이며,검사자가 신뢰도는 .99이다(권용철,박종환,1989).총 6 개 영역, 12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30점 만점으로 지남력 (orientation)10점,기억등록(registration)3점,주의집중 및 계산(attention and calculation)5점,기억회상(recall)3점,언어기능(language)7점,이해 및 판단(reasoning and judgement)2점이다.대상자가 무학일 경우에는 지남력에 1점,주의집중 및 계산에 2점,언어기능에 1점씩 가산해주나 각 문항에서 만점을 넘기지 않도록 교정한다.

대상자 선정

5.자료분석

본 연구의 분석은 SPSS forWindow(ver18.0)을 이용하여 연구 대상자 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각 검사 점수의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 (independent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ANOVA)사용하였다.

MFT와 MBI의 점수간의 상관관계와 MFT와 MBI의 세부항목간의 상관관 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 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였으며,다른 변수들이 MBI에 주는 영향력을 비교하 기 위하여 중다선형 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자료의 모든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p<.05로 하였다.

Ⅲ.연구결과

1.연구대상자의 특성

대상자의 성별은 남자가 62명(55.4%),여자가 50명(44.6%)으로 남자 대상 자가 더 많았다.연령별로는 60대가 31명(27.7%)으로 가장 많았으며,마비 측 부위는 왼쪽으로 총 68명(60.7%)으로 가장 많았다.유병기간은 6~12개 월인 경우가 40명(35.7%)으로 가장 많았으며,발병원인은 뇌경색이 79명 (70.5%)으로 가장 많았고,정신기왕력 점수는 24~27점이 52명(46.4%)으로 가장 많았다(Table1).

Table1.Thegeneralcharacteristicsofthestudysubjects

(N=112)

N Percentage Mean±SD Sex Male 62 55.4

Female 50 44.6 Age(yr) 30-39 9 8

40-49 15 13.4 50-59 29 25.9 60-69 31 27.7 70-79 22 19.6

80-89 6 5.4 Affected side Left 68 60.7

Right 44 39.3

Onset 6-12months 40 35.7 15.19±5.31 13-18months 36 32.1

19-24months 36 32.1 Subtype cerebralhemorrhage 33 29.5 cerebralinfarction 79 70.5

MMSE-K(score) 20-23 9 8 26.97±2.33 24-27 52 46.4

28-30 51 45.5

2.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지기능 수행능력(MFT)과 일상생 활수행능력(MBI)

MFT(unaffected side)수행점수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에서 유 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연령이 높아질수록 수행점수가 낮게 나타났고 그 외 성별,환측부위,유병기간,발병원인,정신기왕력 점수(MMSE-K)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2).MFT(affected side)수행점수는 대상 자의 일반적 특성 중 정신기왕력 점수(MMSE-K)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 으며 특히 28~30점에서 수행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그 외 성별,연령,환 측부위,유병기간,발병원인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3).MBI 수행점수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성별,연령,환측 부위,발병시기,발병 원인,정신기왕력 점수)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4).

Table 2.The difference between generalcharacteristics ofthe study

Table3.Thedifferencebetweengeneralcharacteristicsofthestudy

Table4.Thedifferencebetweengeneralcharacteristicsofthestudy

3.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상지기능 수행능력(MFT),일상생활 수 행능력(MBI)간의 상관관계

MBI수행점수는 대상자의 성별,마비측 부위,발병원인과 상관관계가 없 는 것으로 보였지만,연령과 역방향의 상관관계를 보였다.그리고 발병시 기(r=.18, p<.05), 정신기왕력 점수(r=.37, p<.05), MFT unaffected side(r=.40,p<.05),MFT affected side(r=.67,p<.05)에서 유의한 정방향 상 관관계를 나타내었다(Table5).

Table 5.The correlations among generalcharacteristics ofthe study, MFT,MBItotalscore (N=112)

Sex Age Onset Affected Subtype MMSE-K MFT MFT side (unaffected side)(affected side) MBI-.06-.24* .18* -.00 -.11 .37** .40** .67**

*p<.05,**p<.01

r=.67**

Figure3.ThecorrelationsamongMFT,MBItotalscore(affected side)

4.상지기능 수행능력(MFT)의 영역별과 일상생활수행능력(MBI)의 상관관계

MFT(affected side)의 영역별 항목과 일상생활수행능력(MBI)세부항목간 에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상지기능에서 MBI의 10가지 항목에서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그리고 장악력과 손가락 조작에서 대▪소 변 조절하기와 휠체어 사용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Table6).

MFT(unaffected side)의 영역별 항목과 일상생활수행능력(MBI)세부항목 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상지기능과 장악력에선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지만,손가락 조작에서 휠체어 사용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Table7).

Table6.ThecorrelationsbetweenareaofMFT,MBIscore

(affected side) (N=112)

Upperextremity's Graspstrength Finger Function manipulation

Totalscore .69** .59** .61** Personalhygiene .63** .50** .52** Bathing .61** .49** .54** MBI Feeding .69** .59** .58** Toilet .51** .46** .49** Stair climbing .50** .44** .42** Dressing .74** .65** .67** Bowel control .33** .16 .15 Bladder control .28** .15 .17 Ambulation .53** .52** .49** orW/C -.19* -.14 -.12 Chair-bed trasfer .52** .46** .49**

*p<.05,**p<.01

Table7.ThecorrelationsbetweenareaofMFT,MBIscore

(unaffectedside) (N=112)

Upperextremity's Graspstrength Finger Function manipulation

Totalscore .15 .11 .41** Personalhygiene .11 .16 .34** Bathing .07 .12 .28** MBI Feeding .26** .16 .25** Toilet .15 .09 .39** Stair climbing .01 -.04 .20* Dressing .08 .12 .26** Bowel control .17 .07 .45** Bladder control .13 .06 .38** Ambulation .06 .13 .29** orW/C .06 -.04 -.03 Chair-bed trasfer .17 .08 .39**

*p<.05,**p<.01

5.상지기능 수행능력(MFT),일상생활 수행능력(MBI)세부항목간의 상관관계.

MFT(affected side)의 세부항목과 일상생활 수행능력(MBI)의 세부항목간 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대부분의 항목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 내었으며,특히 개인위생(personalhygiene),목욕하기(bathing),식사하기 (feeding),옷입기(dressing)에서 다른 영역보다 좀 더 강한 상관관계를 보 였다(Table8).

MFT(unaffected side)의 세부항목과 일상생활 수행능력(MBI)의 세부항목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대부분의 항목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 였고,MFT 세부항목 중 grasp에서는 개인위생(personalhygiene),목욕하 기(bathing),식사하기(feeding)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pinch grasp에서는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모든 항목에서 유의하지 않은 상관관계 를 보였다(Table9).

Table8.Thecorrelationsbetweensub-item ofMFT ,MBIscore

Table9.Thecorrelationsbetweensub-item ofMFT,MBIscore

6.일상생활 수행능력(MBI)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일상생활 수행능력(MBI)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설명력을 알아보기위 해 Sex,Age,Onset,Affected side,Subtype,MMSE-K,MFT(unaffected side),MFT(affected side)을 독립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영

일상생활 수행능력(MBI)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설명력을 알아보기위 해 Sex,Age,Onset,Affected side,Subtype,MMSE-K,MFT(unaffected side),MFT(affected side)을 독립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영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