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Q표본 선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5-39)

Q모집단을 구축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실시하여 1차적으로 보조 자료 를 확보하였고, 심층면접을 통해 핵심적인 자료를 수집하였다<표 3-3>. 진술문은 포 화상태에 이를 때까지 진행되어야하기 때문에 자료원을 다양화하거나 면담의 횟수를 거듭할수록 유리하다.

<표3-3> Q모집단 구성을 위한 자료 유형

먼저, 문헌연구를 위해서는 노후준비에 대한 기사, 노후준비 문의에 대한 학술논문 (학위논문, 학술지), 관련 서적, 블로그 및 카페 게시 글을 활용하였다. 다음으로, 심층 면접은 톰슨의 스키마타 방식을 적용하여 면접대상자를 선정하여 관련 주제에 상이한 수준의 흥미를 갖고 있는 사람들로 표집 했을 경우 가장 포괄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김흥규, 200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톰슨의 스키마타에 따라 심층면접 대상자를 선 정하였고 대상자의 특성별로 면접 질문을 설계하였다<표 3-4>. 심층면접은 약 60분 정도 소요되었으며, 연구 주제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을 충분히 드린 후 심층면접을 진 행하였다.

특별한 이해관계를 갖고 있는 사람

노후준비를 하고 있는 베이비붐세대 1명

- 노후준비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 노후준비로 인해 기대하는 바람직한 노후는 무엇인가요?

- 노후준비를 하는 동안 걸림돌이 된 점이 무엇인가요?

- 노후준비는 개인 및 가족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시나요?

- 현재의 노후준비에 어느 정도 만족을 하며 그 이유는 무엇 인가요?

- 노후준비를 위해 어떤 정책적 지원을 기대하시나요?

- 노후준비를 해야겠다고 다짐하는 계기는 언제인가요?

노후준비를 하고 있거나 관심이 많은 밀레니얼세대

1명

노후준비를 끝내고 노후를 보내고 있는 사람

1명

- 노후준비로 인해 노후가 어떻게 변했다고 생각하시나요?

- 노후준비를 하는데 있어 제약이 되는 요인은 무엇인가요?

- 미래 세대의 노후준비를 위해 어떤 정책적 지원이 있기를 기대하나요?

공정한 의견을 줄 수 있는 사람 노인일자리사업,

시니어 클럽 담당자 (2년차)

1명

- 노후준비 실태는 어떠한가요?

- 진행되고 있는 사업이 참여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하나요?

- 노후준비를 할 수 있도록 돕는 방안은 무엇이 있을까요?

권위자 또는 전문가 성공적 노후에

대한 연구 경험이 있는 자

1명

- 개선되어야할 여러 제도들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을까요?

- 베이비붐세대와 밀레니엄세대의 노후준비에 대한 인식에 있어 차이점과 유사점은 무엇일까요?

일반적인 관심이 있는 사람 노후준비를 하고 있는

베이비붐세대와 밀레니얼세대 사이의 연령층

2명

- 노후준비하면 떠오르는 것이 무엇입니까?

- 노후준비가 된 모습과 노후준비가 되지 않은 모습을 상상 하였을 때 어떻습니까?

- 사회에서는 노후준비를 위해 어떤 활동들을 해줄 수 있을 것 같나요?

주제에 관해 어둡거나 흥미가 없는 사람 노후준비에 대해

관심도가 낮은 밀레니얼세대

이후 세대

2명

- 주변에서 노후준비를 하는 모습을 본 적 있나요?

- 어떤 사례였고 준비들 중 어떤 점이 노후준비에 있어 가장 모범적인 요소라고 생각되었나요?

<표 3-4> 톰슨의 스키마타에 따른 심층면접 대상자 특성의 면접 질문

주제 경제 건강 정서·사회 정책 기타

진술문 수 12개 4개 12개 7개 7개

번호 진술문 주제

1 젊을 때부터 번 돈을 자식 교육에 쓰는 것이 아니라 나에게 쓰는 것이 현명한 삶이다.

경제 2 노후에는 돈만 있으면 된다.

3 정신 멀쩡하고 튼튼할 때 한 푼이라도 더 모아야 한다.

4 퇴직 후 바로 재취업이 가능하다면 적어도 70세까지는 일하고 싶다.

5 노후자금 마련을 위해서는 과감한 투자보다는 안정적인 저축을 해야 한다.

6 은퇴 후 일을 한다면 직종, 환경보다 보수수준이 우선이다.

7 정년 연장의 대상이 될 수 있다면 임금을 덜 받아도 된다.

8 국민연금만 믿으면 안 되고 개인적으로 사적연금도 준비해야한다.

9 퇴직금은 일시불이 아닌 연금으로 받아야 한다.

10 노인장기요양보험, 국민연금 등 기금이 고갈되어 받을 수 없을까봐 걱정이다.

11 노후를 위해서는 공무원 등과 같이 정년보장, 연금지급이 되는 안정적인 직업을 찾아야 한다.

12 은퇴를 빨리 하고 싶지만 노후준비 때문에 그만두지 못한다.

문헌연구와 심층 면접을 통해 수집된 Q모집단은 133개였고, 중복된 내용을 제외 후 60개가 추출되었다. 이 후, 선행연구(배계희, 1989; 김윤정·최윤희, 2004; 김정임, 2009; 권보경, 2015)를 참고하여 경제, 건강, 정서·사회, 정책, 기타로 분류하여 5가지 주제로 유형화하였다<표 3-5>.

<표 3-5> Q모집단의 구성

이 후, Q방법론 연구 경험이 있는 전문가 2인에게 자문을 구하여 연구자 포함 3인 이 모두 일치하게 선택한 진술문이 상대적으로 대표성이 크다고 판단하여 총 42개의 진술문으로 확정하였다<표 3-6>.

<표 3-6> Q진술문

13 우리나라는 의료비제도가 잘 되어 있어 노후에 의료비 걱정이 없다.

건강 14 뜻밖의 건강에 있어 민간 보험을 충분히 들어놓아야 한다.

15 젊을 때 돈을 많이 모으는 것도 좋지만 음주, 금연, 식단 관리 등 건강관리가 우선이다.

16 돈 많이 벌어도 아프면 끝이다.

17 노후준비는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다.

정서

· 사회 18 노후를 생각하면 씁쓸하고 별 볼일 없다.

19 노후에는 외롭지 않게 친구(이성, 동성)가 필요하다.

20 노후까지 생각할 겨를이 없다.

21 부모가 키워주신 은덕을 알고 가족부양은 무조건 해야 한다.

22 언제 죽을지 모르는데 노후준비가 무슨 의미가 있나 싶다.

23 노후는 혼자이므로 고독을 견디는 힘을 길러야 한다.

24 기도, 명상, 신앙 등 마음 수양을 통한 영적 준비가 필요하다.

25 노후에는 다른 것들에 얽매이지 않고 오직 나에게 집중하는 시간을 갖고 싶다.

26 노후준비는 의, 식, 주 해결 뿐 아니라 삶의 질 향상까지도 준비되어야 한다.

27 노후를 위하여 비혼 또는 무자녀를 지향하는 것도 괜찮은 선택이다.

28 돈을 많이 벌던 적게 벌던 소득이 단절된다는 것은 어쩌면 공포에 가깝다.

29 젊은 세대가 노인복지에 대한 짐을 지는 것은 불합리하다.

정부 30 청년들을 대상으로 한 노후준비에 대한 정보 제공 및 홍보가 필요하다.

31 기업에서도 노후준비에 대한 박람회, 직장 내 교육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32 정년을 연장시키면 청년의 일자리가 줄어들기 때문에 도입되면 안 된다.

33 노후에 있어 정부는 돈만 주려고 하지 서비스를 확대하려고 하지 않는다.

34 현재 시행중인 노후준비서비스가 있긴 있는지 모르겠다.

35 개인이 노후준비를 하는 것보다 사회에서 일자리 창출을 해주는 것이 우선이다.

36 노후준비는 정부나 가족이 돕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해야 한다.

기타 37 나는 노후를 위해 체계적으로 잘 준비하고 있다.

38 진학, 취직, 결혼도 노후준비 중 하나이다.

39 노후준비에 대하여 보고 배운 것이 많지 않아 실천이 어렵다.

40 노후준비는 꼭 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41 노후준비보다는 현재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더 중요하다.

42 노후준비에 있어 이민이 답이다.

번 호

별 종교 나이

(년) 직업 가족사항 월 소득

(원)

국민연금 가입여부

노후준비 여부

1 남 무교 1960 전기 배우자, 아들2 200만 20년 O

2 여 기독교 1956 미화 아들2, 딸1 130만 25년 O

3 여 기독교 1963 자영업 배우자, 딸2 300만 16년 O

4 남 불교 1961 자영업 배우자, 딸1, 아들1 750만 없음 O 5 남 천주교 1961 건축 배우자, 아들3,딸1 500만 18년 O 6 여 천주교 1960 사무직 배우자, 아들3,딸1 300만 14년 O 7 남 기독교 1959 사회복지사 배우자, 아들1, 딸1 450만 없음 O 8 남 기독교 1962 사회복지사 배우자, 아들1, 딸1 400만 모름 O 9 남 기독교 1962 사회복지사 배우자, 아들1 120만 7년 O 10 여 기독교 1963 주부 배우자, 아들1, 딸1 300만 모름 O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5-3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