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Field R.GreenhouseIndoor R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0-75)

벼메뚜기 사육모델별 사육온도 환경 Fig. 10.

연 1세대, 연 세대2 , 다회순환사육 및 이동사육에서 부화약충 입식시기와 첫 산란기를 도식화한 것은 Fig. 11과 같다.

사육모델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 세대1 ▒ ◉

연 세대2 ▣ ◉ ▣ ◉

다회순환사육 ▣

◉ ▣

◉ ▣

◉ ▣

◉ ▣

이동사육 ▣ ◉▣ ◉▣ ◉ ▣ ◉

자연부화 부화약충 입식 첫산란기

: , : , :

▒ ▣ ◉

벼메뚜기 사육모델별 부화약충 입식 및 첫 산란기 Fig. 11.

현재까지 벼메뚜기 사육시설은 농촌진흥청에서 발간한 산업곤충 사육기준 및 규격( )Ⅱ에서 개략적인 개념도만 언급되어 있지만 최영철 등( , 2014) 좀더 효율적이고 보급 가능한 사육기준 모델은 개발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연. , 1세대 노지 사육을 대조구로 유리온실에서 연 세대 실내사육 시설에서 다회순환사육과 이동2 , 사육을 Fig. 10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이 실험결과는. Table 30에서 보는바와 같이 암컷의 발육량을 보면 연 세대 노지사육에 비하여 실내 다회순환사육 또는, 1 이동사육 모델에서 다소 낮은 발육을 나타냈지만 생존율은 노지사육에 비교하여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실내사육 모델에서 천적 등의 피해가 적어 생존율이 높게. 나타나기 때문일 것으로 사료된다.

벼메뚜기 사육모델별 발육량

Table 30. ( )♀

사육모델 얼굴길이

(mm)

가슴길이 (mm)

날개길이 (mm)

몸길이 (mm)

더듬이 길이(mm)

몸무게 (g)

생존율 (%)

연 세대1 9.5±0.9 9.3±0.8 25.9±1.1 36.5±1.2 11.3±1.0 0.8±0.1 43.8± 3.1

연 세대2 9.3±1.0 9.0±0.9 24.5±1.4 34.8±1.1 10.7±0.9 0.7±0.1 66.8± 6.3

다회순환사육 8.7±0.9 8.5±0.7 24.0±1.5 32.1±1.5 9.7±1.0 0.7±0.1 75.7±11.5

이동사육 8.5±0.7 8.0±0.8 23.8±1.6 32.3±1.9 10.5±1.1 0.7±0.1 79.3±13.4

각 사육모델별 최종탈피까지 약충기간은 실내에서 다회순환사육 또는 이동사육, 모델이 자연과 유사한 연 세대 노지사육에 비교하여1 Table 31에서 보는바와 같이 약 34~35일 단축되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첫 산란까지의 소요일수 또한 35일 단축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인위적인 환경조건이 노지 자연환경과. 비교하여 온도 습도 등의 환경조건의 변화 폭이 적기 때문일 것으로 추측된다.

벼메뚜기 사육모델별 첫 교미 및 첫 산란까지 소요일수 Table 31.

사육모델 3회

탈피기간 일( )

약충기간 일 ( )

우화후 첫교미 일( )

교미후 첫산란 일( )

첫산란까지

소요일 일( ) 비고

연 세대1 34.6±4.3 78.7±10.6 9.7±3.1 9.2±2.3 97.6±16.0 노지망실

연 세대2 22.6±2.7 62.8±4.4 9.0±2.8 9.0±2.5 80.8±9.7 유리온실

다회순환사육 15.9±1.4 45.4±4.0 8.8±2.5 8.5±1.7 62.7±8.2 실내사육

이동사육 15.6±1.5 43.9±3.7 8.9±2.6 8.5±1.8 61.3±8.1 실내사육

실내 고정사육을 추가한 2차 실험결과 Table 32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내 고정 또는 이동사육은 노지사육에 비교하여 3회 탈피까지 기간이 약 1/2로 단축 되었고 첫 산란까지 소요일수 또한 30~35일 단축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온실. 사육은 2세대 사육이 가능하였으며 실내사육은 빠른 부화방법 또는 전년에 생산, 한 난괴를 저온 저장하여 이용하면 연 4회 사육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벼메뚜기 사육모델별 약충기간 및 식용출하 소요일 Table 32.

단위 일 ( : ) 사육모델 3회

탈피기간 약충기간 우화후 첫교미

교미후 첫산란

첫산란까지 소요일

식용출하 소요일 노지사육 1세대 35.1 81.2 8.8 8.0 98.0 101.2

온실사육

세대

1 24.5 66.4 8.5 8.2 83.1 86.4 세대

2 21.6 61.2 8.9 8.9 79.0 81.2 평 균 23.1 63.8 8.7 8.6 81.1 83.8

실내사육 고정사육

( )

1 17.2 45.7 8.8 8.5 63.0 65.7 회

2 15.8 43.8 8.1 8.0 59.9 63.8 회

3 16.0 45.0 8.5 7.8 61.3 65.0 회

4 16.5 45.8 8.7 8.6 63.1 65.8 평 균 16.4 45.1 8.5 8.2 61.8 65.1

실내사육 이동사육

( )

1 17.0 45.2 8.5 8.2 61.9 65.2 회

2 15.5 43.0 8.3 7.8 59.1 63.0 회

3 15.7 43.8 7.9 8.1 59.8 63.8 회

4 16.2 45.3 8.6 8.4 62.3 65.3 평 균 16.1 44.3 8.3 8.1 60.7 64.3

노지사육은 천적의 영향으로 생존율이 22% 정도로 낮지만 단위면적당 개체수가 적어 체중은 0.95 g으로 높은 발육량을 나타냈다(Table 33). 온실사육은 자연환경에 의한 인위적 환경조절이 어려워 개체 체중이 0.72~0.76 g으로 낮게 측정되었으며, 온도변화가 심해 이른 봄이나 늦가을에는 보조 난방을 이용하여 사육환경 조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실내사육은 노지사육에 비하여 밀도가 높아 다소 발육량은. 떨어지지만 환경조절로 연중 4회 이상 생산할 수 있는 장점으로 나타났다.

벼메뚜기 연중 사육모델별 암컷 성충의 발육 Table 33.

사육모델 얼굴길이

(mm)

가슴길이 (mm)

몸길이 (mm)

날개길이 (mm)

촉각장 (mm)

체중 수 (g/1 )

생존율 (%)

노지사육 1세대 9.2±0.8 9.8±1.1 37.8±4.1 27.0±3.6 9.8±1.1 0.95±0.13 22.2

온실사육

세대

1 7.9±0.8 8.3±0.3 34.7±1.6 23.3±2.4 10.0±0.6 0.76±0.07 69.5

세대

2 7.4±0.5 7.8±0.4 33.4±1.5 21.4±1.2 9.8±0.8 0.72±0.06 67.6

실내사육 고정사육

( )

1 8.0±0.6 8.2±0.3 33.9±1.3 22.0±1.9 9.8±0.8 0.79±0.07 81.6

2 8.1±0.8 8.4±0.4 35.4±1.7 24.6±2.2 10.1±0.5 0.76±0.09 78.4

3 7.9±0.7 8.0±0.4 34.7±1.8 22.0±0.8 10.2±0.6 0.78±0.06 75.0

4 7.3±0.5 7.7±0.4 33.0±1.6 21.5±1.4 9.5±0.8 0.73±0.05 77.8

실내사육 이동사육

( )

1 8.3±0.4 8.8±0.6 36.4±1.4 25.8±1.3 9.0±0.9 0.81±0.07 80.4

2 8.4±0.4 8.9±0.7 36.6±1.1 25.6±1.5 9.8±0.3 0.79±0.07 83.8

3 7.9±0.4 8.4±0.2 34.6±2.7 24.0±1.6 9.1±0.7 0.78±0.08 79.0

4 8.1±0.4 8.6±0.4 36.4±2.4 25.0±0.8 9.5±0.3 0.77±0.04 75.8

벼메뚜기의 연중사육 모델에 따른 사육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사육모델을 도식으로 표현하면 Fig. 12와 같다. 실내 이동사육은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형태로 실내 고정사육에 비교하여 사육실을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사육 모델을 잘 운용한다면 실내 고정사육에 비교하여 사육횟수를 회 더 증가시킬 수 있어 가장 효율적인 인공사육 모델이라고 사료된다

1~2 .

노지사육 연 회

- ( 1 )

구 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세대

1 부화 약충. 약충 약 성충. 성충 성충

온실사육 연 회

- ( 2 )

구 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세대

1 부화 약충. 약충 성충 산란 보호저온․ 저온처리

세대

2 부화 약충 약 성충․ 산란

실내 고정사육 연 회

- ( 4 )

구 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고정형 부화 약충 약충

성충

약충

성충

약충 2

성충 2

약충 2 2성충

부화 2부화 2부화

실내 이동사육 연 회

- ( 4 )

구 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12월

이동형 부화 및

약충전기

령이동 3

성충

부화 및 약충전기

령이동 3

성충

부화 및 약충전기

령이동 3

성충

부화 및 약충전기

령이동 3

성충

수확시기의 설정 및 방법 4.

가 적합한 수확시기 조사 .

우화 후 5일 간격으로 발육량을 조사한 결과 수컷의 발육량은 우화 후, 20일경 성충으로 발육이 완성단계에 이르면서 가장 높은 체중에 도달하였다(Table 34).

벼메뚜기 우화 후 경과일수에 따른 수컷의 발육양상 실내

Table 34. ( )

구 분 얼굴길이 (mm)

머리폭 (mm)

가슴길이 (mm)

몸길이 (mm)

날개길이 (mm)

촉각장 (mm)

체중 (g)

5 6.7±0.8 4.1±0.4 6.6±0.6 27.6±2.3 19.4±2.0 8.7±1.4 0.37±0.07

10 6.8±0.8 4.2±0.4 6.8±0.6 27.7±2.2 19.5±2.1 8.8±1.4 0.41±0.08

15 6.7±0.6 3.8±0.5 6.9±0.7 27.8±2.7 19.5±2.4 8.9±1.0 0.43±0.08

20 6.7±0.8 3.4±0.3 7.0±0.9 28.2±2.7 19.9±2.6 9.0±1.3 0.44±0.07

25 6.6±0.8 3.5±0.3 6.8±0.9 28.0±2.6 20.1±2.9 9.1±1.3 0.42±0.06

30 7.2±0.7 3.2±0.4 7.2±0.6 27.8±3.0 20.0±2.5 9.5±1.3 0.40±0.07

40 7.4±0.7 3.4±0.3 7.2±0.7 28.8±2.1 20.5±1.6 9.5±1.1 0.39±0.07

암컷의 발육량은 우화 후 25일에 성충으로 발육이 완성단계에 이르고 체중도 높은 시기에 도달한다. 이 시기는 이미 뱃속에 알을 함유하고 있는 개체가 증가하여 으로 가장 높은 체중을 나타냈다 따라서 중량단위로 판매되는

0.82 g (Table 35). ,

식용 벼메뚜기는 이 시기가 가장 적절한 수확시기라고 사료된다.

벼메뚜기 우화 후 경과일수에 따른 암컷의 발육양상 실내

Table 35. ( )

구 분 얼굴길이 (mm)

머리폭 (mm)

가슴길이 (mm)

몸길이 (mm)

날개길이 (mm)

촉각장 (mm)

체중 (g)

5 8.7±0.6 5.2±0.6 8.5±0.6 33.5±2.2 23.0±1.9 8.9±1.2 0.68±0.08

10 8.9±0.7 5.4±0.6 8.6±0.5 34.5±2.3 23.8±2.0 9.4±1.2 0.72±0.09

15 8.4±0.7 4.9±0.6 8.8±0.5 34.7±2.3 24.2±2.0 8.7±1.2 0.75±0.09

20 8.4±0.8 4.3±0.5 8.7±0.7 35.0±2.1 24.0±2.5 8.5±0.9 0.80±0.07

25 8.3±0.8 4.4±0.5 8.7±0.8 35.6±1.9 24.3±2.1 8.5±1.2 0.82±0.08

30 8.7±0.9 3.9±0.3 8.7±0.8 34.6±1.9 23.5±2.2 8.8±1.2 0.76±0.09

40 9.1±0.8 4.2±0.4 8.6±0.7 33.7±2.8 23.5±2.3 8.9±1.1 0.75±0.12

벼메뚜기의 적정 수확시기를 구명하기 위해 최종탈피 후 5~30일까지 5일 간격 으로 성충을 채취한 후 40℃에서 열풍 건조하여 일반성분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에서 보는바와 같이 조단백질 함량은 일 이후가 가장 높았고 점차 감소

Table 36 5

하다 20일째 다시 높아졌다. 조지방 함량은 25일째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였고 조회분 함량은 20일째에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벼메뚜기 수확시기별 일반성분 함량 Table 36.

5 10일 15일 20일 25일 30일 수 분 12.5±0.29 11.9±1.08 10.3±0.35 10.1±0.79 12.6±0.81 12.9±0.92 단백질 69.5±0.13 64.3±0.40 57.0±0.69 60.7±0.56 53.2±1.38 55.0±1.54 조지방 6.41±0.18 6.95±0.07 7.5±0.29 8.3±0.30 10.1±0.41 9.6±0.23 조회분 0.91±0.01 1.78±0.07 1.8±0.01 2.3±0.02 0.58±0.01 0.4±0.02

단위 ( : %)

벼메뚜기의 무기성분 함량 분석결과는 보는바와 같이 칼륨 함량은 5일째 칼슘, 함량은 20일째 그리고 마그네슘 함량은 10일째에 성분별로 다양한 시기에 가장 높게 나타냈다(Table 37).

벼메뚜기 수확시기별 무기성분 함량 Table 37.

5 10일 15일 20일 25일 30일 칼 륨 119.67 61.97 53.46 87.64 78.53 51.28 칼 슘 13.15 10.32 29.26 30.05 18.04 33.92 마그네슘 19.36 50.04 38.69 44.78 27.02 14.04

단위

( : mg/100g)

총 아미노산 가운데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우화 후 5일째 가장 높았으며 시기가 경과할수록 점차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Table 38).

벼메뚜기 수확시기별 아미노산 함량 Table 38.

단위 ( : %) 일

5 10일 15일 20일 25일 30일 Phosphoserine 0.03 0.03 0.02 0.02 0.01 0.02 Taurine 0.12 0.11 0.10 0.11 0.09 0.08 Urea 0.81 0.61 0.34 0.29 0.32 0.24 Aspartate 0.02 0.11 0.18 0.13 0.12 0.14 Serine 0.00 0.15 0.36 0.15 0.09 0.24 Asparagine 0.23 0.14 0.17 0.14 0.11 0.13 Glutamate 1.06 0.82 0.55 0.62 0.54 0.49 Proline 0.73 0.65 0.57 0.70 0.66 0.38 Glycine 0.63 0.30 0.41 0.25 0.26 0.28 Alanine 1.67 0.66 1.06 0.71 0.64 0.70 Citrulline 0.17 0.15 0.11 0.03 0.03 0.01 Cystine 0.01 0.01 0.01 0.01 0.01 0.01 Cystathionine 0.02 0.01 0.00 0.00 0.00 0.01 Tyrosine 0.27 0.10 0.11 0.13 0.09 0.15 Arginine 0.29 0.06 0.35 0.22 0.25 0.16 Histidine* 0.19 0.11 0.07 0.09 0.08 0.08 Valine* 1.04 0.43 0.46 0.45 0.44 0.40 Methionine* 0.31 0.11 0.08 0.11 0.11 0.10 Isoleucine* 0.76 0.28 0.36 0.35 0.34 0.34 Leucine* 1.33 0.42 0.63 0.60 0.57 0.56 Phenylalanine* 0.50 0.19 0.21 0.22 0.22 0.26 Lysine* 0.83 0.41 0.48 0.50 0.30 0.27 Tryptophan* 0.12 0.05 0.03 0.05 0.04 0.03 총아미노산 11.72 6.46 7.43 6.47 5.81 5.69

우화 후에 나타나는 벼메뚜기의 성분 분석결과에서 조단백질, 아미노산, 칼륨 등은 일 후 지방과 칼슘 등은5 , 10~25일 후에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나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벼메뚜기의 가장 적합한 수확시기는 체중 성분 및. , , 섭식량을 고려하여 수컷과 암컷의 체중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우화 후 20~25일경이 효율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나 수확 전 적합한 절식시간 측정 .

벼메뚜기 수확 후 절식기간에 따른 경과시간별 폐사한 마리수를 조사한 결과는 Fig. 13과 같다. 6월과 9월 2회의 실험결과 모두 수확 후 72시간 경과시 가장 높은 폐사율을 나타냈고 암컷이 수컷보다 초기 폐사율이 낮았으며 전체 폐사까지 더, 긴 시간이 이어졌다. 식용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장내 분변이 모두 배출되고 폐사율이 10% 미만이 되는 시점이 가장 경제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 이에 상응하는 가장 적절한 절식시간은 Fig.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36~48시간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온에서는 단시간에 폐사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나므로 실제 사육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0 20 40 60 80 100 120

24hr 48hr 72hr 96hr 120hr 144hr 168hr 암컷 수컷

0 20 40 60 80 100 120

24hr 48hr 72hr 96hr 120hr 암컷 수컷

조사기간: 9 16 ~22 ( )월 일 일 좌 조사기간: 6 26 ~30 (월 일 일 우)

벼메뚜기 절식시간별 폐사율 Fig. 13.

다 수확방법 .

벼메뚜기 수확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실험으로 7.5, 10, 12.5, 15℃ 처리구에서 시간별 미동비율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수컷의. Fig. 14와 암컷의Fig. 15에서 보는바와 같이 수컷 성충은 10℃에서 3시간 암컷은, 4시간 경과할 때 움직임이 적어 손으로 한 번에 90% 이상 수확이 가능했다. 7.5℃의 경우 10℃ 처리구에 비해 1시간 이전에 둔한 움직임을 나타냈다 따라서 효과적인 수확방법은 온도 저하시간에 의한 경제. , 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10℃가 가장 효율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우리벼메뚜기 성충의 저온 경과시간별 미동(微動) 비율

Fig. 14. 저온 경과시간별 수컷의 미동비율 Fig. 15. 저온 경과시간별 암컷의 미동비율

또 다른 방법으로 야간 비닐하우스 내 온도는 20시 이후부터 점차 낮아져 새벽 시경 일 최저온도에 도달하고

5~6 (Fig. 16) 외부와의 온도차에 의하여 습도가 높아 벼메뚜기 날개가 젖어 있어 활동에 제약이 되기 때문에 손으로 일시수확이 가능 하였다(Fig. 17) 그러나 해가 뜨고 온도가 오르면서 급격히 벼메뚜기의 활동이. , 활발해져 수확에 어려움이 있었다.

야간 비닐하우스 내 우리벼메뚜기 수확 비율

Fig. 16. 20시 이후 비닐하우스 내 온도변화 Fig. 17. 야간 비닐하우스내 수확비율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0-7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