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ㄱ. 헤파린 치료 5-8일 후에 발생하는 전형적인 경우 ㄴ. 혈전증이 주된 문제

ㄷ. 헤파린 재투여시 혈소판감소증 재발 가능성

ㄹ. 헤파린-platelet factor 4 (PF4) 복합체에 대한 항체가 혈 소판을 활성화시켜 혈전증을 유발

ㅁ. 고분자량 헤파린이 혈소판감소증을 더 자주 유발 ㅂ. 혈전증은 대개 진단 후 첫 주에 발생하며, 높은 사망률을

초래

ㅅ. 예방 : warfarin 치료를 헤파린과 동시에 시작하여, warfarin에 의한 항응고 작용이 빨리 치료적 수준에 도달하게 하여 조기에 헤파린 중단

ㅇ. 혈소판 수가 50,000/μL 이하로 감소하거나 혈전증 발생 : 헤파린치료를 중단한다. 헤파린치료를 대체해야 하는 경우에는 danaparoid, agartroban이나 recombinant hirudin 을 사용

나) 혈전저혈소판혈증자색반병(Thrombotic thrombocytopenic purpura : TTP) : TTP는 다양한 원인이나 질환에 의하여 촉발되는 임상 증후 군이다. 혈장 von Willebrand factor (VWF)-cleaving protease (ADAMTS13) 유전성 혹은 자가면역성 결핍으로 혈장내 VWF의 고분자량 중합 체가 증가하면서 혈소판응집을 유발하여 혈전을 형성하는 것이 병 인이다.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분만 후, 감염(HIV, E.coli나 Shigella toxin), 약제(ticlopidine, mitomycin, cyclosporin A), 골수이식 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

(1) 증상

① 혈소판감소증, 미세혈관병변성 용혈빈혈, 신경학적 이상, 신장기능 이상, 발열

혈 액 종 양

②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므로 다른 원인이 없는 혈소판감소 증 및 미세혈관병변성 용혈빈혈이 있는 경우 진단 (2) 치료 : 혈장교환술을 즉시 시행

① 반응이 있을 때까지 1 plasma volume (40 mL/kg)의 혈장교 환술을 시행

② 즉시 치료시 거의 90%에서 반응

③ 신경학적 증상이 소실되고, 혈소판 수 및 lactate dehydrogenase가 정상화되면 재발 방지를 위해 혈장교환술 의 간격을 늘려가면서 1-2주간 더 시행한다.

④ 반응 지연시는 비장절제술 고려

⑤ 후천성 TTP에서 면역치료로 부신피질호르몬, vincristine, rituximab 등도 이용된다.

7) 임신성 혈소판감소증(Gestational thrombocytopenia)

별다른 이상이나 출혈증상 없이 혈소판 수 80,000/μL 전후 분만 후 혈소판 수가 정상으로 회복

8) 혈소판 기능이상 질환

가) 약제에 의한 혈소판기능 이상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spirin, indomethacin, ibuprofen, sulindac, naproxen, meclofenamic acid, piroxicam, zomepirac Antibiotics; Penicillins, cephalosporins, nitrofurantoin

Thienopyridines; Ticlopidine, clopidogrel GP IIb/IIIa antagonists

Abciximab, tirofiban, eptifibatide

Drugs that affect platelet cAMP levels or function Prostacycline, dipyridamole, cilostazol

Anticoagulants, fibrinolytic agents, and antifibrinolytic agents

Heparin, streptokinase,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urokinase, ε-aminocaproic acid Cardiovascular drug

Nitroglycerin, isosorbide dinitrate, propranolol, nifedipine, verapamil, quinine Volume expanders; Dextran, hydroxyethylstarch

표. 혈소판기능을 억제하는 약제

(1) Aspirin : 비가역적으로 cyclooxygenase를 억제하여 혈소판기능 억제 - 복용을 중단하여도 출혈시간의 연장은 4일까지 지속, 혈소판응집 이상은 1주까지 지속

(2) 항생제 : 대부분의 penicillin, 일부 cephalosporin

혈 액 종 양

출혈시간의 연장에 비해 임상적으로 유의한 출혈은 빈도가 낮 다. 응고이상이 같이 있는 환자에선 출혈의 위험

(3) Thienopyridines (4) GP IIb/IIIa 길항제

나) 요독증에서의 혈소판 기능이상 다) Cardiopulmonary bypass

라) 유전성 질환

9) 응고이상에 의한 출혈성 질환

가) 혈우병 : 혈우병 A와 B는 Ⅷ 및 IX인자의 유전적인 결핍에 의한 질 환이다. 모두 X-염색체 열성유전 질환으로, 남자에서만 발현한다.

(1) 혈우병 A : 임상 양상은 Ⅷ 인자치에 의해 달라진다.

분 류 혈우병 A

Ⅷ 인자치 임상 양상

중 증 ≤정상의 1%

(≤0.01 U/mL)

유아기부터 자발적 출혈, 잦은 자발적 혈관절증 및 다른 출혈들로 응고인자보충 필요.

중등도 정상의 1-5% 외상이나 수술 후 출혈, 간혹 자발성 혈관절증

경 증 정상의 6-25% 외상이나 수술 후 출혈, 드물게 자발성 출혈 발생

표. 혈우병의 분류

① 진단

ㄱ. 증상 : 혈관절증(중증 환자의 출혈 중 75% 정도), 근육 내 혈종, 혈뇨, 중추신경계 출혈, 수술 후 출혈(흔히 수 시간 혹은 수일 후 발생), 수술상처의 회복 지연, 발치 혹은 국소마취 후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기도 주변의 혈종

ㄴ. Activated PTT 연장, 확진을 위해 VIII인자 활성도 검사

② 치료

ㄱ. 아스피린 및 항혈소판제제, 근육주사를 피한다.

ㄴ. 출혈시 즉시 치료하고, 중증 환자에선 예방적 치료를 고려. 모든 환자에서 가정에서의 자가 치료가 가능하여 야 한다.

ㄷ. DDAVP : 경증 및 중등도 환자, 증상이 있는 보인자 0.3 μg/kg로 정맥투여 하면 대부분에서 VIII인자치가

혈 액 종 양 2-3배 상승

ㄹ. 응고인자의 보충

필요한 제 Ⅷ 응고인자 용량계산

- 투여용량 = Weight (kg)×(목표 농도-환자 Ⅷ 인자 농도)/2 예 : 70 kg 환자, Ⅷ level<1%, 100% 교정목표

= 70×(100-1)/2 => 70×50 = 3,500 U

- 반감기는 8-12시간 이므로, 부하용량의 1/2을 매 8-12시 간마다 투여하여 Ⅷ인자치를 50-100% 사이로 유지 ㅁ. 경증 출혈 : 30-50%의 Ⅷ 인자치로 교정하며, 대개 1-3

회 투여

중등도 혹은 중증 출혈 : 정상치의 50-100%로 수일간 투여 및 입원 치료, 치명적일 수 있는 출혈의 경우 100%로 교정

ㅂ. 중증 출혈의 경우는 치료 후 Ⅷ 인자치를 매일 검사 ㅅ. Antifibrinolytic agent : 점막출혈, 특히 발치 후 출혈시

유용

혈뇨가 있는 경우에는 금기

-Epsilon-aminocaproic acid : 부하용량 4-5 g 투여, 이후 4-6시간 마다 4 g 복용

-Tranexamic acid (Transamin)은 1 g, qid로 복용

③ Ⅷ인자 억제인자(항체)

ㄱ. 주로 IgG 항체로 Ⅷ 인자와 cofactor들의 상호작용을 방 해하며, 투여된 Ⅷ 인자의 효과를 급격히 감소 ㄴ. High responder : 항체가가 >10 Bethesda units (BU) 이거

나 Ⅷ 인자 투여 후 10 BU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Low responder : Ⅷ 인자 투여 후에도 항체가가 10 BU

미만인 경우

Low-responder, inhibitor<10 BU High-dose human or porcine factor Ⅷ High responder, inhibitor>10 BU

or Ⅷ replacement ineffective

Factor Ⅷ inhibitor bypassing agent, recombinant VIIa, prothrombin complex preparations

표. Ⅷ 인자 억제인자 양성인 환자의 치료

(2) 혈우병 B

혈 액 종 양

① 진단

ㄱ. 증상 : 출혈의 임상양상은 혈우병 A에서와 같다.

ㄴ. Activated PTT 연장, 확진을 위해 제 IX 응고인자 활성 도 검사

② 치료 : 고순도 Ⅸ인자 농축액

Ⅸ인자 농축액 투여 후 혈관 내에 50%만 남아 있으므로, kg 당 1 U 투여하면 혈장 Ⅸ 인자치가 1% 상승한다.

- 필요한 IX인자 용량계산 :

투여용량=Weight(kg)×(목표 농도- 환자 Ⅸ 인자 농도) 예 : 70 kg 환자, IX level<1%, 100% 교정목표

= 70×(100-1)=>70×100=7,000 U

- 반감기는 18-24시간이므로, 부하용량의 1/2을 매 12-24시 간마다 투여. 유전자재조합 IX인자의 경우는 더 많은 용 량이 필요하다.

나) Von Willebrand disease (VWD) (1) 분류

① Type 1 : VWD의 70%, VWF의 부분적 결핍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

증상 : 비출혈, 멍이 잘드는 증상, 혈종, 생리과다, 치은출혈 및 위장관 출혈, 외상 후 출혈

② Type 2A, 2B : VWD의 20-30%, VWF의 질적인 이상 질환 대개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

Type 2B에선 혈소판감소증이 나타날 수 있다.

③ Type 3 : 심한 VWF 결핍, 대개 상염색체 열성유전 증상 : 중증 혈우병처럼 혈관절증 및 혈종이다.

(2) 진단

① Ⅷ 인자 활성 검사, VWF 항원 검사, ristocetin cofactor 활성 검사, 출혈시간, ristocetin-유발 혈소판 응집검사 및 VWF multimer 검사

② VWD 진단 혹은 배제를 위해 대개 위의 검사들을 세트로 검사한다.

(3) 치료

① DDAVP : Type 1 환자에서 기저 Ⅷ 인자 활성도, VWF 항원 및 ristocetin cofactor 활성도를 2-5배 올린다. 많은 경우 출

혈 액 종 양 혈시간도 교정. Type 1에서 경증 혹은 중등도 출혈시, 수 술 전 예방으로 사용 가능

- 수술 환자 : DDAVP를 수술 1시간 전에 투여하고, 이후 12 시간 마다 투여. 0.3 μg/kg(최대 20 μg)을 정맥주사한다.

DDAVP가 안 듣는 경우에 대비하여 VWF-함유 농축액이 나, 냉동침전제제를 준비한다.

- 비강 분무형 DDAVP도 사용 가능

② VWF-함유 Ⅷ인자 농축액

- 초기 목표 : Ⅷ 인자치의 정상화와 출혈시간의 단축 혹은 정상화

- 주요 수술의 경우 7-10일간, 경한 수술의 경우 3-5일간 투여

③ 에스트로겐, 경구피임약 : 생리과다에 복용

④ ε-aminocaproic acid : 발치 전 예방치료로 추가적으로 사용, 생리과다, 반복적인 비출혈시 투여

항암치료의 원칙

1. 우리나라 암환자의 현황

매년 16만여 명이 발생하고, 이 중 6만 7천여 명이 사망하고 있다.

1) 발생빈도 순위: 위암, 갑상샘암, 대장암, 폐암, 간암, 대장암, 유방암 2) 사망자 중 10대 암의 사망분율 순위: 폐암, 간암, 위암, 대장암, 췌장암

2. 암 환자의 평가

조직검사를 통해 확진하고 병기를 조사한다. 구체적인 치료는 환자의 전 신상태를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1) 조직검사

병리검사를 통해서 확진된다. 면역조직 병리검사를 통해 더 세밀하게 분류되고, 동일 조직형 내에서도 등급(histologic grade)이 치료 및 예후 결정에 영향을 준다.

2) 병기

종양마다 다른 기준이 적용되나, 병기결정의 원칙은 다음과 같다.

혈 액 종 양

T (tumor): 종양의 크기, 조직 침윤 정도에 따라 결정 N (regional node): 원발 종양 주변의 림프절 침범정도 M (distant metastasis): 원격전이 여부

TNM상태를 총괄하여, I, II, III, IV병기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I, II, II 병기는 국소진행암으로, IV병기는 원격전이암으로 분류된다.

3) 환자 전신상태

계량화하기 쉽지 않으나, 치료방침 결정에 중요하다. 다음과 같은 지 표가 고려된다.

가) 활동도

(1) ECOG 0: 증상 없음. 정상 활동력 (2) ECOG 1: 증상 있음. 그러나 활동 가능

(3) ECOG 2: 증상 있음. 하루 50%미만의 침상생활, 약간의 보조 가 요구됨.

(4) ECOG 3: 증상 있음. 하루 50%이상의 침상생활, 상당한 보조 가 요구됨.

(5) ECOG 4: 100% 침상생활, 심한 불능상태

나) B증세: 악성림프종의 경우, 최근 6개월간 10% 이상의 체중감소, 발 열(38℃ 이상), 야간 발한(drenching night sweats) 등의 증세가 있으 면 나쁜 예후인자이다.

다) 기타: 영양상태, 다른 질환의 동반 여부, 연령 등이다. 예로, 고령 환자의 경우, 합병증이 발생이 위험이 높다.

3. 항암치료의 목표 설정

조직형, 병기, 환자의 전신상태를 평가하여 치료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 표에 부합되게 치료하여야 한다.

1) 초기: 원발부위에 국한된 종양의 경우, 완치를 목표로 치료 된다.

2) 진행기: 원격전이가 발견되었거나, 일차 치료 후 재발한 환자에서는 완치의 가능성은 적으며 생명연장이 주된 목표이다.

3) 말기: 항암치료에 더 이상 반응하지 않으면서, 점점 악화되는 시기로 환자가 편안하게 임종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추천된다. 호스피스-완 화의료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초기에 발견된 환자에게 증세완화나 생명연장 목적의 치료만 하고 있다 면 이는 비윤리적이라고 판단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진행기나 말기환자에

혈 액 종 양 게 완치를 목표로 무리한 항암치료를 시도한다면 부적절한 치료를 하고 있 는 셈이다. 따라서 암의 진행 정도를 정확히 평가하여 적절한 치료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추천된다.

4. 치료방침의 결정

1) 국소질환 vs. 전신질환

국소병변 → 국소치료(수술, 방사선치료)

전신병변 → 전신치료(항암제, 호르몬요법, 면역요법)

그림 1. 항암치료의 원리

암을 논에 자라난 잡초와 유사한 상황으로 비유한다면(그림 1A), 수술

혈 액 종 양

은 물리적인 방법으로 잡초를 제거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그림 1B). 따 라서, 수술이 고려되기 위해서는 암이 원발부위에 국한된 국소질환이어 야 한다. 그런데, 잡초가 일정지역에만 한정되어 있지 않고, 인근 지역으 로 퍼져 있다면 그 지역을 불로 태울 수 있다(그림 1C). 이를 인체암과 비교한다면 국소병변에 대한 방사선치료를 시행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 다.

잡초가 널리 퍼져, 벼와 뒤섞여 손으로 뽑거나, 태우는 방법으로 제거 할 수 없는 경우(그림 1D), 제초제를 고려할 수 있다(그림 1E). 제초제 란 잡초만 선택적으로 죽이는 선택성을 염두에 둔 약이다. 인체 암에 서 항암제를 사용하는 경우는 제초제를 적용하는 것과 유사하다. 암세 포가 전신에 퍼져 있어, 국소치료(수술이나 방사선치료)로는 조절이 어려운 상황에 대해 전신요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항암화학요 법의 성공은 항암제가 정상세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암세포 만 선택적으로 죽일 수 있는가 하는 ‘선택성’의 문제가 중요하다.

2) 득실의 평가

항암치료는 어느 정도의 부작용을 피할 수 없다. 따라서 어떤 환자에 서 항암치료를 실시할지 여부를 결정할 때는 치료로 기대되는 효과와 부작용으로 우려되는 환자의 삶의 질 저하 등을 함께 고려하여야 한 다. 예로, 다소간의 부작용이 있을지라도 항암효과가 현저한 경우 환 자에게 주어지는 혜택이 더 많기 때문에 항암치료가 추천된다. 반대로, 항암치료로 효과보다 불필요한 고통을 가중시킬 위험이 더 많으면 항 암치료는 중단되어야 한다.

그림 2. 항암치료 결정의 판단기준

따라서 항암제의 사용에는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고려가 함께 이루 어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활동도가 불량한 환자에서는 항암치료가 추 천되지 않는데, 이는 심각한 부작용으로 환자에게 손해를 끼칠 것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