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Engine Room Area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3-93)

는 를 연료로 사용하는 과 를 이송하는 Engine Room Area LNG Engine Gas

압력과 유량을 제어하는 가 주 구성요소 이다 의 경우

Pipe, GVU . Pipe Engine

내에서는 중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Room 2 .

Fig. 50 Engine Room Area Hazard

의 경우 개의 합산 결과 총 개 평균 개의 위 Engine Room Area 5 Case 43 , 8.6

해도가 도출되었다. 43개의 위해도중 High Risk 2 , Medium Risk 31 , Low 건 건 건이 도출되었다

Risk 10 .

0 2 4 6 8 10 12 14 16 18

0 2 4 6 8 10 12 14 16 18

Case 1 Case 2 Case 3 Case 4 Case 5

8

5

7

17

6

Fig. 51 Engine Room Area Risk Index

Fig. 52 Case별 Engine Room Area Risk Index

10

31 2

Low Medium High

0 2 4 6 8 10 12 14 16 18

0 2 4 6 8 10 12 14 16 18

Case 1 Case 2 Case 3 Case 4 Case 5

3 5 0

0 5 0

0 7 0

2 13 2

5 1 0

Low Medium High

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의 위해도 분석 결과 3.4 LNG

앞장에서 각 Case 선박의 HAZID 결과를 일관성 있는 분석을 하기 위해 Area 별로 정리하여 분석을 하였다 각각의 . Area별 분석 결과를 아래와 같이 정리 하여 보았다.

Table 16 Case 1~5 Area별 HAZID 분석표

Fig. 53 Case 1~5 통합 Risk Index

Area Risk Index Sub

Total Average Ratio(%) Low Mid High

LNG Bunkering Area 16 26 1 43 8.6 17.84

LNG Tank Area 32 34 3 69 13.8 28.63

FGSS Room Area 32 50 4 86 17.2 35.68

Engine Room Area 10 31 2 43 8.6 17.84

Sub Total 90 141 10 241 -

-Average 22.50 35.25 2.50 - -

-Ratio(%) 37.34 58.51 4.15 - - 100

90 141

10

Low Medium High

은 선박의 통합적 분석표이다 가지 선박의 Table 13 Case 1~5 HAZID . 5 Case

전체 Hazard는 241건으로 집계되었으며, Risk Index별 통합 분석 결과는 Fig 53 과 같다 전체 . 241건의 Hazard Event중 High Risk는 건으로 약 10 2.50%의 비율 을 차지하고 있다. Medium Risk는 141건으로 전체의 절반이 넘는 58.51%의 비 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Low Risk는 건으로 90 37.34%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Fig. 54 Case 1~5 Area별 Risk Index 별로 통합 분석을 한 결과는 와 같다

Area Fig. 54 .

는 건으로 집계되었으며 전체 연료공급 시스템 LNG Bunkering Area 43 , LNG

위해도 분석 결과의 17.84%의 위험도가 내재되어 있다는 결과를 도출 하였다. 의 경우 건의 위해도 건수가 집계 되었으며 비율로는

LNG Tank Area 69 28.63%

로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을 보여주었다. FGSS Room Area의 경우 86건의 위해 도가 집계되었으며 35.68%로 가장 높은 위해도가 내재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 Engine Room의 경우 LNG Bunkering Area와 같은 분포를 보 였다.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LNG Bunkering

Area

LNG Tank Area FGSS Room Area

Engine Room

Area 16

26 1

32 34 3

32 50 4

10 31 2

Low Medium High

제 장 결론 4

본 논문은 LNG 연료 추진 선박에 대해 고찰하고 실제 위해도 평가가 진행된 몇 , 가지 사례 선박들의 위해도 분석을 통해 위해 LNG 연료 공급 시스템의 주요 위험 요소 분포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현존하는 연료 추진 선박 시스템 분석 1. LNG

연료 공급 시스템의 종류와 별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LNG LNG Fuelled Engine

각각의 Engine Type별 연료 공급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았다 보았다 또한 상기 . 시스템 구성시 HYSYS를 이용하여 공정 구성에 대해 검토를 해보았다.

연료 추진 선박의 위해도 분석 2. LNG

위해도 분석의 원리 방법론에 대해 고찰하여 보았으며 실제 몇 가지 위해도 , , 분석을 진행한 LNG 연료 추진선 사례를 분석해 보았다 각각의 . Case 선박들은 선종 크기, , Engine에 따라 LNG 연료 공급 시스템의 구성이 각각 다름을 확인하였다 또한 . Case 선박별 위험도 분석 결과에서도 Facilitator의 성향에 따라

의 진행 방향과 분석 결과가 각각 다르게 도출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HAZID .

연료 추진 선박의 통합적 위해도 분석 3. LNG

기존 Sample Case의 경우 각 선박별로 위해도 분석은 되어 있으나 각각 달리 , 선택된 Node로 인해 일관성을 찾기 힘들었다 본 연구에서는 각 . Case별로 조사된 자료를 일관된 잣대로 변환하여 통합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기존 . HAZID의 Node 분류가 각각 달랐으나, LNG 연료 추진 선박의 공통 변수인 Area를 활용하여 개의 를 분류하고 그에 알맞도록 를 재분류 하였다 그

4 System Node Hazard Event .

결과 FGSS Room Area부분이 전체 비중대비 35.7%로 가장 많은 Hazard 분포를 보여주고 있었으며, Tank Area(28.7%), LNG Bunkering Area(17.8%), Engine Room

로 그 뒤를 이었다 또한 가장 많은 으로는 및 Area(17.8%) . Hazard Item Valve

연결부의 가스 누설로 인한 화재 폭발이 가장 많은 위험도로 분류 되었다

Flange .

최근 국제 사회의 환경 규제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됨으로써 친환경 연료인 , 는 불가피한 선택이며 현재로써 가장 큰 대안중 하나이다 그리고 연료

LNG . LNG

추진선은 최근 불거진 환경 규제에 걸맞은 대안이며 새롭게 시작되는 블루오션이라 할 , 수 있다 새롭게 시작되는 트렌드지만 그에 따른 위험도도 같이 존재하고 있으며 초기 . , 설계시 그 위험도를 인지하고 그 위험 요소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중 하나가 위해도 분석(HAZID)이다.

본 연구를 통해 실제 진행된 실 사례 HAZID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추후 LNG 연료 추진선 또는 연료 공급시스템의 초기 설계시 참고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Hall, L., 2015. Sulphur requirements in IMO emission control areas. [Online]

(Updated 26 Feb. 2015) Available at:

https://www.shipownersclub.com/louise-hall-sulphur-requirements-imo-emission-c ontrol-areas [Accessed 10 Nov. 2017]

박형순 양회관, . 2015. [인터뷰 기계저널] , 55(1), pp.18-22.

Hagiwara, R., Ohashi, I., 2015. Development of Pure Marine Gas Engine. Journal of the JIME, Vol.50, No.6, pp.719-725.

김종민 등, 2015. 해상 부유식 LNG 벙커링 터미널의 위해도에 대한 연구. 대 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pp.1090-1095.

Chang, K.P., Rausand, M., & Vatn, J., 2008. Reliability assessment of reliquefaction systems on LNG carriers. Reliability Engineering & Safety, Vol.93, pp.1345-1353.

Vanem, E., Antao, P., Ostvik, I., & Del Castillo, F., 2007. Analysing the risk of LNG carrier operations. Reliability Engineering & Safety, Vol.93, pp.1328-1344.

Paltrinieri, N., Tugnoli, A., & Cozzani, V., 2014. Hazard identification for

innovative LNG regasification technologies. Reliability Engineering & Safety, Vol.137, pp.18-28.

Lee, S., Seo, S., & Chang, D., 2015. Fire risk comparison of fuel gas supply for LNG fuelled ships. Journal of Nature Gas Science and Engineering, 27, pp.1788-1795

Stefana, E., Marciano, F., & Alberti, M., 2015. Qualitative risk assessment of a Dual Fuel (LNG-Diesel) system for heavy-duty trucks. Journal of Loss Prevention in the Process Industries, 39, pp.39-58

Lee, D.H., Ha, M.K., Kim. S.Y. & Shin, S.C., 2014. Research of Design Improvement regarding Foundation Technologies for Floating LNG.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51(3), pp.220-230.

김성국, 2005. [특집 : LNG선박 추진용 디젤엔진] LNG 선박 주기용 ME 및 디젤 엔진

ME - GI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지, 29(6), pp.603-611.

남정길 김진우, , 2005 [특집 : LNG선박 추진용 디젤엔진] LNG 선박 추진을 위한 바르질라 DF50 엔진.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지, 29(6), pp.612-617.

Aspen HYSYS V7.3

Wärtsila. Wärtsila Methane Number Calculator. [Online] Available at:

https://www.w rtsila.com/products/marine-oil-gas/gas-solutions/methane-number-ä calculator [Accessed 10 Nov. 2017]

조정호, 2002. 공정모사기에 사용되는 열역학 모델식의 소개. [Online]

Available at: https://www.cheric.org/research/ip/ipview.php?code=p200201 [Accessed 30 Nov. 2017]

Hatzigrigoris, S., 2014. Gas Fuelled LNG Carriers :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effect on efficiency and emissions. 8th World Ocean Forum, Session 6

Strodecke, D., 2015. Low and high pressure dual fuel technology comparison. Licensees Conference 2015, Interlaken [Online] (Updated 8 Sep. 2015)

Available at:

https://www.wingd.com/en/media/papers/dual-fuel-technology-selection-d-stroede cke/ [Accessed 30 Nov. 2017]

극동선박설계, 2016. HAZID for 50,000 DWT Product Tanker.

성동조선해양, 2016. Hazard Identification SSME LNG Fuelled 11,000 TEU Containership.

한국선박기술, 2016. 1,040 TEU LNG Fuelled Container Vessel HAZID Report.

조선해양

STX , 2014. 10,000 TEU 컨테이너선용 LNG연료가스공급시스템의 보고서

HAZID .

대우조선해양, 2010. A HAZID Study on the LNG fueled propulsion system for VLCC.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3-9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