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eGFR CKD-EPI 수준에 따른 Kaplan-Meier법을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2-43)

B. 통계 분석 방법

9. eGFR CKD-EPI 수준에 따른 Kaplan-Meier법을

eGFRCKD-EPI level에 따른 Kaplan-Meier법을 이용한 총 사망과 심인성 사

망과의 생존분석 결과는 Figure1, Figure2와 같다. 생존 분석결과 eGFR level 에 따라서 총 사망(p<0.001, Fig. 1) 및 심인성 사망(p<0.001, Fig. 2)은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

Figure 1.

Kaplan-Meier curves of all cause mortality according to eGFR levels during the three-year follow-up.

Log rank test: p<0.001

Log rank test: p<0.001

Figure 2.

Kaplan-Meier curves of cardiovascular mortality according to eGFR levels during the three-year follow-up

IV. 고 찰

본 연구는 한국인 급성 심근경색증 등록 연구(KAMIR-NIH)에 등록된 급 성 심근경색증(AMI) 환자를 대상으로 생존군과 사망군으로 분류하여, 각 군 간의 임상적 특징과 사구체 여과율의 결과에 따른 3년 사망률과 관련된 사망 예측인자 및 임상결과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 eGFR 낮을수록 사망률 이 증가 되었고, 여러 변수를 보정한 후에도 사망률은 증가 하였으며, eGFR 의 CKD-EPI 평가공식이 MDRD 평가공식보다 AUC 값이 더 컸다.

본 연구에서는 eGFR이 낮을수록 총사망률과 심인성 사망률이 통계학적으 로 유의하게 높았다. 6,223명을 대상으로 11년 정도 추적관찰 했던 Framingham Heart Study는 크레아티닌 수치에 따라 정상 크레아티닌과 경 증의 신장질환자 분류하여 사망률을 분석한 결과 경증의 신장질환자에서 유 의하게 심인성 사망률이 1.7배 높았다[27]. 2004년에 발표 되었던 1,120,295 명 일반인 대상으로 3년 추적 관찰한 대규모 연구에서는 신장 기능 저하가 심혈관계 이환율 및 사망률을 높이는 독립적인 인자임이 확실하게 보여 주 었으며, eGFR이 심하게 감소된 중등증 경우는 사망률이 증가됨을 알수 있 었다[27].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도 동일하게 eGFR이 낮을수록 모든 원 인에 의한 사망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한국인 AMI 환자 13,901명 대상으로 AMI 발생후 1년 추적관찰 하였던 선행 연구에서도 eGFR이 낮을수록 심인 성 사망률 및 합병증이 높았고, eGFR은 독립적인 위험 인자였으며[28]. 1년 후 심장사망률은 eGFR 심하게 낮은 그룹 중등증과 중증에서 차이가 거의 없 었는데[28], 본 연구에서는 3년 후 심인성사망률은 eGFR이 가장 심하게 낮은 중증그룹이 심하게 낮은 중등증 그룹의 사망률 보다 1.5배 증가 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만성신장 질환은 eGFR이 감소할수록 빈혈, 산화 스트레스, nitric oxide 합성 억제, 염증 및 응고인자의 활성화 되고, 이런 요소들이 죽상판 경화증 의 악화, 내피세포의 기능장애 및 혈전증의 발생 위험을 증가 시키는 역할 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29-33]. 선행 연구에서 건강한 성인 4,484명을 8.6년 추적 관찰한 결과에 따르면 eGFR 낮을수록 MI 발생률이 3배 증가 하는 것

을 알 수 있었으며[34], MI 발생 후 eGFR이 낮을수록 사망률 증가하여 본 연구와 비슷한 결과 보였다[7,35-37].

eGFR의 평가는 평가 방법에 따라 만성 신장 질환의 유병률 및 eGFR의 분포는 차이를 보인다[38]. 신장 기능의 평가를 위해 가장 흔한 방법인 혈장 creatinine 수치는 개인의 근육량에 따라 영향을 받기 때문에 근육량이 적은 여성이나 노인에서 eGFR이 감소해 있어도 creatinine 수치가 정상으로 나타 날 수 있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39]. MDRD 공식은 백인과 흑인 대상으로 연구하여 개발된 공식이여서 아시아인에서 실제 eGFR 보다 높게 측정되는 경향이 있고 eGFR이 정상이거나 약간 감소한 경우에 정확도가 약간 떨어진 다는 문제점이 있다[25]. 이러한 문제점을 교정하고자 하여 개발된 공식이 CKD-EPI 공식이다[40,41]. MDRD 공식을 사용한 경우에 eGFR이 60mL/minper 1.73 m2 이하의 만성신장질환으로 진단되는 비율이 13%인 대 상군에서 CKD-EPI 공식으로 다시 분류한 경우에 만성신장질환의 유병률이 11.5%로 감소하였다[42]. 만성 신장질환은 질병의 특성상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아 조기발견이 되지 않으면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쳐 신장 기능의 손실 및 심혈관 질환의 합병증을 초래 할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으로 관리를 위 한 노력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만성 신장 질환의 중증도를 평가 하기 위해 두 가지 공식인 MDRD 공식과 CKD-EPI 공식를 사용하여 eGFR 을 측정하였고, 유용하고 신뢰할수 있는 CKD-EPI 평가에 의한 eGFR 값으 로 그룹을 나누었다[24]. 본 연구에서 다기관부전에 의한 사망에서 MDRD와 CKD-EPI 공식에 따른 검정에서 ROC curve상 AUC값이 0.766, 심인성 사망 에서 0.77로 CKD-EPI 평가공식이 MDRD 평가공식에 비해 더 유용하고 통 계적으로 유의한 공식이었다. 다른 선행 연구에서도 급성심근경색증 환자 대 상으로 eGFRCKD-EPI와 eGFRMDRD 결과를 AUC값으로 비교한 결과 급성심근 경색증후 사망률을 예측할수 있는 더 유용한 예측값을 보여 주었다[43].

만성 신장질환 환자는 고혈압, 당뇨병, 빈혈 등의 유병률이 증가 하는 것 으로 알려져 있는데[44], 본 연구에서도 eGFR이 낮을수록 고혈압, 당뇨병, 과거력으로 협심증, 심근경색증, 심부전증을 가진 환자가 많았고, 급성심근경 색증 후의 임상 결과를 악화 시키는 위험 인자중 하나인 Killip class는

eGFR이 낮은 그룹에서 높았다[7, 45-48]. 심혈관질환의 재발 위험을 낮추고 생존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대표적인 약물은 Aspirin, Beta blocker, Statin, ACEI로 알려져 있다[49]. 본 연구에서 eGFR이 감소돤 환자에서는 처방률이 낮았는데, 이 결과는 선행 논문의 내용과 일치 하였으며[49], 다른 문헌에서 는 만성신장질환이 진행된 환자에서 지질 강하 치료가 심혈관 사망률의 위 험을 감소시키지 않았다는 연구도 발표 되었다[50]. 하지만, 신기능이 저하 될수록 적극적인 약물치료에 제한이 있음을 알수 있었다[32].

본 연구는 단일기관이 아닌 우리나라 대학 및 수련병원이 참여한 다기관 참여 연구로서 우리나라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의 기본적인 자료를 충분히 보여 줄 수 있는 보고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입원 전 약물에 대한 사전 조사가 되어 있지 않다. 둘 째, 혈청 크레아티닌이 입원시 측정되어 급성 신장 손상 환자가 포함 되어 있다. 셋째, 사구체여과율이 직접 측정하지 않고 계산식으로 산출 하였다.

넷째, 후향적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이 연구는 사구체 여 과률 평가 공식에 따른 차이점을 파악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결론적으로 eGFR의 감소는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에서 3년 후 유의한 사망 예측인자였으며, 사구체 여과율의 CKD-EPI 평가공식이 MDRD 평가공식에 비해 사망을 예측 할수 있는 더 유용한 방법 이였다. 향후 급성심근경색증 환자를 대상으로 eGFR 평가의 방법에 따른 사망 예측인자 차이를 비교 할 수 있는 전향적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본다.

V. 요약 및 결론

배경 및 목적: 감소된 사구체 여과율은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사망률을 예측 할 수 있는 중요한 인자이다. 사구체 여과율에 따른 3년 사망률의 차이 를 비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11월부터 2015년도 12월까지 KAMIR-NIH에 등록된 13,0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급성심근경색증 발생 후 3년 추적조사 하여 생 존한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를 I군 11,503명(62.6±12.4세, 88.3%) 사망한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를 II군 1,518명(73.6±10.5세, 11.7%)로 분류하여, 각 군 간의 임상적 특징과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및 사구체여과율에 따른 3년 사망률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사망한 그룹은 평균 연령이 높았으며, 고혈압과 당뇨병의 유병률이 높았다. II군은 Killip class II 이상이 유의하게 많았으며, 사구체여과율은(82.2

± 24.1 vs. 55.2 ± 28.6ml/min/1.73㎡, p<.001) 유의하게 낮았다. 다변량 분석 결과 3년 추적 관찰 기간중 사망사건 발생의 독립적인 인자인 사구체 여과율 은 낮을수록 사망률이 증가 되었으며, 사구체 여과율의 CKD-EPI 평가공식이 MDRD 평가공식에 비해 사망을 예측할 수 있는 더 유용한 방법이였다(0.738, 95% CI, 0.724-0.753 vs. 0.766, 95% CI 0.753-0.779, p=0.001)..

결론: 신기능의 감소는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에서 3년 후 유의한 사망 예측 인자였으며, 사구체 여과율의 CKD-EPI 평가공식이 MDRD 평가공식에 비해 사망을 예측할 수 있는 더 유용한 방법 이였다.

중심단어: 심근경색증; 사구체여과율; 사망률

Reference

[1] Global Health Estimates 2016: Disease burden by Cause, Age, Sex, by Country and by Region, 2000-2016.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8.

[2] Statistics Korea, Causes of Death Statistics [Internet]. c2018[cited 2020 Jun 10].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 _1B34E01&conn_path=I2.

[3] HK Moon, YD Kim, DG Yang etc al. Age and Gender Distribution of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dmitted to University Hospitals during the Period of 1990 -1999. Korean Circulation J, vol. 33, no. 2, pp.

92-96, 2003.

[4] Al Suwaidi J, Reddan DN, Williams K, Pieper KS, Harrington RA, Califf RM et al. Prognostic implications of abnormalities in renal function in patients withacute coronary syndromes. Circulation, vol. 106, pp. 974-980, 2002.

[5] Anavekar NS, McMurray JJ, Velazquez EJ, Solomon SD, Kober L, Rouleau JL et al. Relation between renal dysfunction and cardiovascular outcomes after myocardial infarction. N Engl J Med, vol. 351, pp. 1285-1295, 2004.

[6] McCullough PA, Soman SS, Shah SS, Smith ST, Marks KR, Yee J, Borzak S. Risks associated with renal dysfunction in patients in the coronary care unit. J Am Coll Cardiol, vol. 36, pp. 679-684, 2000.

[7] Sadeghi HM, Stone GW, Grines CL, Mehran R, Dixon SR, Lansky AJ et al.

Impact of renal insufficiency in patients undergoing primary angioplasty for acute myocardial infarction.Circulation, vol. 108, pp. 2769-2775, 2003.

[8] HJ Yoon, MH Jeong, KH Kim. Predictors of in-hospital complications and one-year clinical events in patients with acute cardial infarction. Korean J Medicine, vol. 77, no. 6, pp. 723-733, 2009.

[9] KH Lee, H Kang, HS Yeom, KH Kim. A longitudinal study on the

patients and renal survival by specific causes of the chronic kidney disease in Korea. KMbase. vol. 11, no. 13, pp. 384-391, 2018.

[10] Imai E, Horio M, Iseki K, Yamagata K, Watanabe T, etc al. Prevalence of chronic kidney disease (CKD) inthe Japanese general population predicted by the MDRD equationmodified by a Japanese coefficient. Clin Exp Nephrol.

vol. 11. pp. 156-163, 2007.

[11] Go AS, Chertow GM, Fan D, McCulloch CE, Hsu C. Chronic Kidney Disease and the Risks of Death, Cardiovascular Events, and Hospitalization. NE J M. vol. 351, pp. 1296-1305, 2004.

[12] Kim S, Lim CS, Han DC, Kim GS, Chin HJ, Kim SJ et al. The prevalence of chronic kidney disease (CKD) and the associated factors to CKD in urban Korea: a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epidemiologic study. J Korean Med Sci. vol. 24, pp. 11-21, 2009.

[13] NI Parikh, SJ Hwang, MartinG Larson, ScD, L Daniel, Caroline S. Fox.

Chronic Kidney Disease as a Predi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From the Framingham Heart Study) Am J Cardiol. vol. 102, no. 1, pp. 47–53, 2008.

[14] Luxia Zhang 1, Li Zuo, Fang Wang, Mei Wang, Shuyu Wang, Jicheng Lv et al. Cardiovascular Disease in Early Stages of Chronic Kidney Disease in a Chinese Population. Am J Soc Nephrol. vol. 17, pp. 2617–2621, 2006.

[15] Rule AD, Larson TS, Bergstralh EJ, et al. Using serum creatinine to estimate glomerular filtration rate: accuracy in good health and in chronic kidney disease, Ann Intern Med, vol. 141, pp. 929-937, 2004.

[16] Rule AD, Gussak HM, Pond GR, et al. Measured and estimated GFR in

healthy potential kidney donors, Am J Kidney Dis, vol. 43, pp.

112-119, 2004,

[17] Kontos MC, Jamal SM, Ornato JP, et al. Comparison of the 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 and the Cockcroft-Gault equations for predicting mortality in patients admitted for exclusion of myocardial ischemia, Am J Cardiol, vol. 102, pp. 140-145, 2008.

[18] Szummer K, Lundman P, Jacobson SH, et al. Cockcroft-Gault is better than the 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 study formula at predicting outcome after a myocardial infarction: data from the Swedish Web-system

for Enhancement and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care in Heart disease Evaluated According to Recommended Therapies (SWEDEHEART), Am Heart J, 2010, vol. 159, pp. 979-986, 2010.

[19] Skali H, Uno H, Levey AS, et al. Prognostic assessment of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by the new Chronic Kidney Disease Epidemiology Collaboration equation in comparison with the 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 Study equation, Am Heart J, vol. 162, pp. 548-554, 2011.

[20] Stevens LA, Schmid CH, Greene T, et al. Comparative performance of the CKD Epidemiology Collaboration (CKD-EPI) and the 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 (MDRD) Study equations for estimating GFR levels above 60 mL/min/1.73 m2, Am J Kidney Dis, vol. 56, pp. 486-495, 2010.

[21] KCDC. Prospective Cohort Study fo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Prognostic and Surveillance Index protocol. 2012.

[22] Thygesen K, Alpert JS, White HD. Joint ESC/ACCF/AHA/WHF task force

for the redefinition of myocardial infarction. Universal definition of myocardial infarction. Eur Heart J, vol. 28, pp. 2525–2538, 2007.

[23] Killip T 3rd, Kimball JT: Treatment of myocardial infarctionin a coronary care unit. A two year experience with 250patients. Am J Cardiol, vol. 20, pp. 457-464, 1967.

[24] Lesley A. Inker, Brad C. Astor, ChesterH. Fox, et all. KDOQI US Commentary on the 2012 KDIGO Clinical PracticeGuideline for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CKD. Am J Kidney Dis, vol. 63, no. 5, pp.

713-735, 2014.

[25] Levey AS, Stevens LA, Schmid CH, Zhang YL, Castro AF 3rd, Feldman HI, et al. A new equation to estimate glomerular filtration rate. Ann Intern Med, vol. 150, pp. 604-612, 2009.

[26] Kidney Disease: Improving Global Outcomes (KDIGO) CKD Work Group.

KDIGO 2012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chronic kidney disease. Kidney Int Suppl, vol. 3, pp. 1-150, 2013.

[27] Culleton BF, Larson MG, Wilson PW, Evans JC, Parfrey PS, Levy D.

Cardio vascular disease and mortality in a community-based cohort with mild renal insufficiency. Kidney Int, vol. 56, pp. 2214-2219, 1999.

[28] EH Bae, SY Lim, KY Cho, etc al. GFR and cardiovascular outcomes after acute myocardiac infarction: results from the Korea acute myocardial infarction registry. Am J Kidney Dis, vol. 59, pp. 795-802, 2012.

[29] D'Elia JA, Weinrauch LA, Gleason RE, Lipinska I, Lipinski B, Lee AT et al. Risk factors for thromboembolic events in renal failure. Int J Cardiol, vol. 101, pp. 19-25, 2005.

[30] Johnson DW, Armstrong K, Campbell SB, et al. Metabolic syndrome in severe chronic kidney disease: prevalence, predictors, prognostic significance and effects of risk factor modification. Nephrology , vol. 12, pp. 391-398, 2007.

[31] McCullough PA, Jurkovitz CT, Pergola PE, McGill JB, Brown WW, Collins

AJ et al. Independent components of chronic kidney disease as a cardiovascular risk state: results from the Kidney Early Evaluation Program

(KEEP). Arch Intern Med, vol. 167, pp. 1122-1129, 2007.

[32] Soriano S, Gonzalez L, Martin-Malo A, Rodriguez M, Aljama P. C-reactive protein and low albumin are predictors of morbidity and cardiovascular events in chronic kidney disease (CKD) 3-5 patients. Clin Nephrol, vol. 67, pp. 352-357, 2007.

[33] Valkonen VP, Paiva H, Salonen JT, Lakka TA, Lehtimaki T, Laakso J, Laaksonen R. Risk of acute coronary events and serum concentration of asymmetrical dimethylarginine. Lancet, vol. 358, pp. 2127-2128, 2001.

[34] Brugts JJ, Knetsch AM, Mattace-Raso FU, Hofman A, Witteman JC. Renal function and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in an elderly population: The Rotterdam Study. Arch Intern Med, vol. 165, pp. 2659-2665, 2005.

[35] Al Suwaidi J, Reddan DN, Williams K, Pieper KS, Harrington RA, Califf RM et al. Prognostic implications of abnormalities in renal function in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s. Circulation, vol. 106, pp. 974-980,

2002.

[36] Anavekar NS, McMurray JJ, Velazquez EJ, Solomon SD, Kober, L, Rouleau JL et al. Relation between renal dysfunction and cardiovascular outcomes after myocardial infarction. N Engl J Med, vol. 351, pp. 1285-1295, 2004.

[37] McCullough PA, Soman SS, Shah SS, Smith ST, Marks KR, Yee J et al.

Risks associated with renal dysfunction in patients in the coronary care unit.

J Am Coll Cardiol, vol. 36, pp. 679-684, 2000.

[38] DH Kim, SW Kang, KI Ko, CH Kim, JH Lee, etc al. Comparison of Various Methods for Estimating Glomerular Filtration Rate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Kor J Nephrology, vol. 27, pp. 560-568, 2008.

[39] Lin J, Knight EL, Hogan ML, Singh AK. A comparison of prediction equations for estimating glomerular filtration rate in adults without kidney disease. J Am Soc Nephrol, vol. 14, pp. 2573-2580, 2003.

[40] Rule AD, Larson TS, Bergstralh EJ, et al. Using serum creatinine to estimate glomerular filtration rate: accuracy in good health and in chronic kidney disease, Ann Intern Med, vol. 141 pp. 929-937, 2004.

[41] Rule AD, Gussak HM, Pond GR, et al. Measured and estimated GFR in healthy potential kidney donors, Am J Kidney Dis, vol. 43, pp. 112-119, 2004.

[42] Levey AS, Stevens LA. Estimating GFR using the CKD Epidemiology Collaboration (CKD-EPI) creatinine equation: more accurate GFR estimates, lower CKD prevalence estimates, and better risk predictions. Am J Kidney Dis, vol. 55, pp. 622-627, 2010.

[43] JS Choi, CS Kim, EH Bae, SK Ma, et al. Predicting Outcomes After Myocardial Infarction by Using the Chronic Kidney Disease Epidemiology Collaboration Equation in Comparison With the 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 Study Equation: Results From the Korea Acute Myocardial Infarction Registry. Nephr Dialysis Trans, vol. 27, pp. 3868–3874, 2012.

[44] Marenzi G, Moltrasio M, Assanelli E, et al. Impact of cardiac and renal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2-4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