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DQI(Design Quality Indicator)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5-200)

영국의 디자인 품질척도는 디자인과 새로운 건축물의 건설 기존 건물의 보수 공사, 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DQI는 건물의 개발의 모든 단계에 사용할 수 있는 건축 프로 젝트로 품질향상에 기여한다 디자인 품질평가지표는. 2002년에 디자인 품질을 평가하 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경찰서 오피스 빌딩, , 대학 및 대학 의 건물 , 라이브러리 보수/ 공사 및 기타 다수의 민간 건물 프로젝트에 사용되고 있다. DQI는 디자인 품질 평가 를 위하여 건물 및 공간 환경의 질적 향상을 위해 개발되었다.

의 평가분류 및 세부항목은

DQI [표3-4]35)과 같다.

35) 김범식,opt,pp.37

분류 세부 항목 문항수

How well it works

접근성

Access( ) 12

사용성

Use( ) 6

타인의 느낌

Other People( ) 9

The space itself

유지관리

Maintenance( ) 14 환경성

Environment( ) 15 디자인 및 외관

Design and Appearance( ) 7 The difference

it makes

지역사회

Community( ) 7

개별평가

You( ) 11

[표3-3] Spaceshaper의 평가분류 체계

국내 디자인평가 사례 3.2.2

서울특별시 공공디자인 인증제 1)

서울특별시의 ‘서울우수공공디자인 인증제’36)는 우수 디자인을 통한 디자인서울의 품격을 높이고 경쟁을 통한 서울의 공공디자인 수준의 획기적 향상 및 디자인 서울, ‘ ’ 실현을 가속화하고자 지난 2007년 처음 시행된 인증제이다 서울특별시 우수공공디자. 인인증제의 공공시설물 인증 세부부문은 [표3-5]과 같다.

분류 세부 항목 문항수

Functionality 기능성 ( )

접근성

Access( ) 12

공간

Space( ) 6

공간

Space( ) 9

Build Quality 건축의 질

( )

성능

Performance( ) 14 기계 전기설비

Engineering( / ) 15 시공

Construction( ) 7

Impact 영향력 ( )

도시 지역과의 조화

Urban and Social Integration( / ) 7 내부 환경

Internal Environment( ) 11 형태와 재료

Form and Materials( ) 6 특성과 혁신

Character and Innovation( ) 9 [표3-4] DQI 평가항목 분류

구분 항목

휴게 시설물 벤치 그늘막,

위생 시설물 휴지통 공중화장실 부스형, ( ), 음수대 서비스 시설물 자전거 보관대 관광안내소 공중전화 부스 우체통, , ,

판매 시설물 가로 판매대

통행 시설물 버스정류장 쉘터 택시정류장 쉘터 마을버스정류장 쉘터, , , [표3-5] 공공시설물 인증 세부부문

제 장 공공시설물디자인 평가방법3

48

-서울특별시 우수공공디자인인증제 심사항목 및 배점은 [표3-6]과 같다.

디자인 서울 가이드라인

2)

37)

서울시는 2010년 5월 ‘맑고 매력 있는 세계도시 서울 구현과 고품격 디자인 도’ ‘ 시 로 도시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아여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 을 제정 발표했다 디’ ‘ ’ · . 자인서울 가이드라인은 도시디자인에 큰 영향을 미치는 공공건축물 공공시설물 공공, , 공간 공공시각매체 옥외광고물 등, , 5개 분야에 대한 도시디자인 기준을 발표하였다. 디자인서울의 4대 기본전략은 비우는‘ ’, ‘통합하는’, ‘더불어 사는’, ‘지속가능한 디자인’ 도시로서의 서울을 만들어 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해외 주요도시들의 디자인 가.

37)http://design.seoul.go.kr/에서 정리

지하철출입구 캐노피 지상노출승강기 보도블록 점자블록 보차도, , , , 경계석 육교 교량, ,

녹지 시설물 가로 화분대 가로수 보호덮개 가로수 지주대, , 보호 시설물 볼라드 보호 펜스 방음벽 도로변 옹벽 터널 전면부 옹벽, , , , ,

무단횡단 방지시설 신호등주,

관리 시설물 지상 기기 교통 신호 제어기 맨홀뚜껑 트랜치, , , , 지하철 환기구

조명 시설물 가로등주

기타 시설물 디지털 영상매체 시계탑 상징 조형물 벽화 공사장 가림막, , , , · 가림벽 기타,

심사항목 배점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 준수 여부 30~40

심사위원회에서 일부조정 기능성 내구성 사용편의성 유니버셜 무장애( / / / ) 20~30

경제성 / 지속가능성 15

장소성 / 환경친화성 / 조화성 15

창의성 / 심미성 10

총 점 100

[표3-6] 심사항목 및 배점

이드라인은 교통약자 배려나 가독성 증진 등에 한정되어 있거나 적용분야의 폭이 좁아 도시 전체의 연계성이나 규모면에서 제한적인 반면에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은 시민, 의 보행안전 편리성 등을 중시한, 5개 분야 156종류의 방대한 세계 최초의 종합적인 도시디자인 가이드라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울특별시는 공공시설물 디자인 원칙을.

가지로 규정하고 있다

10 .

기능을 우선으로 하여 장식적인 형태요소 최소화 1.

규모와 형태를 최적화하고 연계 가능한 시설물간 통합

2. ,

시각적 심리적 개방감 확보가 가능하도록 디자인하여 도시경관의 연속성 확보 3. ,

시설물 점유면적을 최소화하여 보행공간 확대 4.

다양한 색채의 적용을 지양하고 재료 자체의 색 적용

5. ,

친환경성 및 내구성을 고려한 재료 사용으로 지속 가능한 디자인 적용 6.

안전성과 범용성을 고려한 디자인 7.

교통약자 등을 배려한 디자인을 통해 다양한 이용자의 편의성 제고 8.

단순성과 결합성을 바탕으로 한 표준형 디자인 우선 적용 9.

경사진 장소 등에서도 항상 수직과 수평을 유지 등이다

10. .

시설물디자인 가이드라인은 색채 형태 재질, , 3가지를 적용하고 있다.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 10대원칙은 공공시설물디자인의 개선을 위하여 반드시 지켜 야 할 10가지 기본 원칙을 제시한다.

장식적 요소를 최소화하고 기능을 우선시하여 디자인 한다 1

크기와 형태를 최적화하고 연계 가능한 시설물들을 통합 한다

2 ,

시각적 심리적 개방감 확보가 가능하도록 디자인하여 도시 경관의 연속성을 높인

3 ,

시설물의 도로 점유 면적을 최소화하여 보행 공간을 확대 한다 4

무계획적인 색채 사용을 지양하고 재료 자체의 색을 활용 한다

5 ,

친환경성과 내구성을 고려한 재료 사용으로 지속 가능한 디자인을 실현 한다 6

누구나 안심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안전성과 인체공학을 고려하여 디자인 7

한다

교통약자를 배려한 디자인으로 다양한 이용자의 편의성을 제고 한다 8

단순성과 결합성을 바탕으로 표준화된 공공시설물 디자인을 우선 적용 한다 9

시설물이 수직 수평을 유지하고 마감 부위가 미려하도록 치밀하게 설치한다

10 · .

제 장 공공시설물디자인 평가방법3

50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 디자인 평가항목은 [표3-7]와 같다.

디자인평가 관련 연구사례 3)

국내의 디자인관련 평가 연구는 공공디자인을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조정형(2010)의 공공디자인의 효율적 적용을 위한 공공시설물 평가TOOL 개발에 관한 연구 에서 연구 대상 공공시설물과 공공시설물 평가항목을 정리하면 [표3-8]과 같다.

정희정(2009)은 공공디자인의 평가척도어 추출에 관한 연구 에서 연구대상 공공

분류 평가항목 평가형용사

방음벽

시인성 조화성 기능성 안전성 심미성 지역성 사후관리

기타

조화스럽다 자연스럽다 정리되어있다

심플하다 개성있다 주목성있다

차갑다 역동적이다

세련되다 화려하다 깔끔하다 기능적이다

부드럽다 버스 택시정류장/

가로 판매대 벤치 볼라드 자전거 보관대

전기배전함 맨홀덮개 전화부스 가로등

[표3-8] 공공시설물디자인 평가분류 세부항목 평가형용사, ,

분류 평가항목

공공건축물 경관성 공공성 접근성 환경성, , , 공공공간 기능성 안전성 질서 환경성 효율성, , , ,

공공시설물 기능성 통합성 안전성 보편성 환경성 연속성 정체성, , , , , , 공공시각매체 기능성 가독성 통합성 안전성 보편성 정체성, , , , , [표3-7]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 평가항목

시설물 디자인 분류와 평가 요소를 정리하면 [표3-9]과 같다.

공공시설물디자인 평가척도어 3.2.3

공공시설물디자인 평가척도어는 2장에서 연구된 공공시설물의 특성과 국내외 디자 인관련 평가 사례연구 분석에서 빈도수가 적은 항목을 제외하고 빈도수가 높은 조화 성 심미성 안정성 기능성 친환경성 지속가능성의, , , , 6개 항목을 평가척도어로 선정하 였다 국내외 공공시설물 디자인의 평가척도어 비교분석은. [표3-10]와 같다.

분류 세부항목

교통시설

가로등

심미성 관리성 장소성 문화성 조화성 소통성 친환경 자전거주차대

버스정류장 택시정류장 횡단보도 보행신호등/

핸드레일 신호등 주차시설 자전거신호등 횡단보도/

편의시설

벤치 휴지통 음수대 화장실 가판대 특산물판매장

공급시설

신호전 우체통 소화전 공중전화 [표3-9] 공공시설물디자인 평가분류 및 세부항목

제 장 공공시설물디자인 평가방법3

52

-국내외 디자인관련 평가사례를 통하여 추출된 평가척도어의 개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평가척도어 토론토시 Spaceshaper DQI

서울특별시 공공디자인 인증제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

조정형연구 공공시설물

( )

정희정연구 공공시설물

( )

정체성

지속가능성

내구성

통합성

적합성

안전성

경제성

접근성

사용성

관리성

친환경성

지역성

기능성

장소성

조화성

창의성

심미성

경관성

공공성

보편성

가독성

효율성

시인성

문화성

소통성

[표3-10] 국내외 공공시설물 디자인 평가척도어 비교 분석표

평가척도어의 개념 1)

조화성 (1)

조화성은 공원에 설치된 공공시설물디자인이 공원 주위의 다른 공공시설물디자인과 잘 조화되는가 그리고 공원의 주위 경관과도 잘 조화되는가를 평가하는 척도어다, .

심미성 (2)

공원에서의 공공시설물 디자인은 공원의 이용자에게 용이함과 즐거움 상쾌함 등 심, 리적 안정감을 주어야 한다 심미성은 시대성 국제성 민족성 사회성 개성 등이 복합. , , , , 되어진 의미로 시각적 심리적 개방감 확보로 아름다운 외형과 디자인인가 하는 것을, 평가하는 척도어다.

안전성 (3)

안전성은 공원 이용객들에게 위험한 요소는 없는가 하는 것을 평가요소로 시설물의 이용에 있어 위험이나 사고로부터 예방할 수 있는 안전한 구조나 재료의 물리적 안정 성뿐만 아니라 심리적 안정성을 평가하는 디자인 척도어다.

기능성 (4)

공공시설물은 모든 사람이 이용하는 시설물로 공공의 기능을 갖추어야하고 시설물 자체의 특성 즉 사용상의 편리함과 관리가 용이한가 하는 것을 갖춘 디자인이어야 한, 다 공원의 공공시설물 디자인은 주어진 조건을 충족시킬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가 하. 는 디자인 평가 척도어다.

친환경성 (5)

세기는 녹색성장의 시대이며 국내외적으로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21

노력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공원에서의 공공시설물 디자인의 친환경성은 공. 원의 환경을 헤치지 않도록 친환경적인 재료와 구조 관리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디, 자인 되어야 하는 평가 척도어다.

지속가능성 (6)

지속가능성은 공공시설물 디자인의 특성이 지속 가능한가 하는 미래의 공원 환경을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5-20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