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많은 역학적 연구에서 흡연과 건강의 위험에 대하여는 알려져 있다6). 흡연은 조기 사 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당뇨병 환자에서도 대혈관 합병증의 이환율과 이로 인한 사망 률을 증가시킨다. 또한 흡연은 미세혈관 합병증과 연관되어 있으므로 금연이 필요하다.

많은 연구에서 금연에 대한 상담이 효과적임이 밝혀져 있으므로 당뇨병 환자에서도 적 절한 상담을 통해 흡연을 감소시켜야 한다. 주기적으로 흡연여부를 관찰하는 것이 금연 을 유지하고 재흡연을 방지할 수 있다7).

참고 문헌

1. Klein S, Sheard NF, Pi-Sunyer X, Daly A, Wylie-Rosett J, Kulkarni K, Clark NG. Weight management through life style modification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type 2 diabetes: rationale and strategies: a statement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the North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and the American Society for Clinical Nutrition. Diabetes Care 27:2067-73, 2004.

2.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Clinical guidelines on the identifica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 the evidence report. Obes Res 6(suppl 2):51S-209S, 1998.

3. Holler PA, Elbein SC, Hirsch IB, et al. Role of orlistat in the treatment of obese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 1-year randomized double blind study, Diabetes Care 21:1288-94, 1998.

4. Finer N, Bloom SR, Frost GS, et al. Sibutramine is effective for weight loss and diabetic control in obesitywith type 2 diabetes: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Diabetes Obes Metab 2:105-12, 2002.

5. Sj str m CD, Lissner L, Wedel H, et al. Reduction in incidence of diabetes, hypertension and lipid disturbances after intentional weight loss induced by bariatric surgery: the SOS Intervention Study. Obes Res 7:477-84, 1999.

6. Haire-Joshu D, Glasgow RE, Tibbs TL. Smoking and diabetes. Diabetes Care 22:1887-98, 1999.

7.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Smoking and diabetes(position statement). Diabetes Care 27(Suppl 1):S74-5, 2004.

23

03_기타 생활습관

문헌 대상 중재/분석 임상경과/결과

Brown SA, 1996. meta(I)

1,800명을 포함하는 89개 임상연구

식사조절,행동요법, 운동이 체중감소에 미치는 영향

식사조절이 체중감량에 가장 효과적임

Pi-Sunyer FX

1999 RCT(II) 202 당뇨병 환자 식사 계획에 따른 혈당, 지질, 체중의 변화

두 가지 식사 계획 모두 체중, 혈당, 인슐린의 감소와 지질의 호전, 혈압의 감소가 관찰됨

Polansky WH

2003 RCT(II) 1,2형 당뇨병(167명)

Diabetes outpatient intensive treatment program(DOIT) - 6개월

DOIT 군에서 혈당조절, 당뇨병 관련 자가 행동양상이 향상이 있음 김소헌,

2004 RCT(II) 2형 당뇨병(22) 12주간 생활습관조절

혈당감소, 총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감소, 체중, 체질량 지수의 감소 김태연,

2004 RCT(II)

2형당뇨병:

교육군31, 대조군 31 식생활습관 및 보건소 영양교육 혈당감소 송민선

2005 RCT(II)

2형 당뇨병 75명 vs. 대조군(47명)

체계적인 당뇨병 교육 4년 추적조사 연구

교육 1년 뒤에 SDEP군에서 혈당 감소, 자가관리 행동향상에 유용함 Wolf AM,

2004 RCT(II)

비만한 2형 당뇨병

147명 생활습관중재 12개월 중간 정도의 교육비용으로

혈당감소, 약물 감량됨 Brekke HK

2005 RCT(II)

당뇨병 가계력 있는

경우 생활습관중재 1년, 2년 생활습관호전, 혈중 지질,

인슐린이 감소됨 DPP group

20001 RCT(II) 522 과체중 생활습관중재 4년 당뇨병 발생에 대한 상대 위험도가 58% 감소됨 Trento M

2002 RCT(II)

2형 당뇨병(56명,

대조군 56명) 생활습관중재 51.2개월 대사조절, 삶의 질에 비용대비 효율적임 Banister NA,

2004 RCT(II) 2형 당뇨병(70명) 당뇨병 자가관리 훈련 2-12개월

중등도 비용으로 혈당조절이 호전됨

Mayer-Davis EJ, RCT(II) 2004

2934 과체중 생활습관중재 1년 1년 뒤 식사량의 감소

Tsunehara CH 1990 RCT(II)

229 미국거주

2세대 일본인 식사평가 당뇨병군에서 동물성 단백질,

지방의 섭취가 높음

Turner 2005 RCT(II)

2형 당뇨병

4,075명 식사단독, 설폰요소제, 메트포민

3년 뒤 50%, 9년 뒤 25%에서 목표에 도달함. 대부분의 환자에서 복합치료가 필요함

24

2형 당뇨병 생활습관지침

문헌 대상 중재/분석 임상경과/결과

Ziemer DC

2003 RCT(II) 2형 당뇨병 648명 식사중재방법의 비교 두 가지 방법 모두 효과적으로 이용 가능함 Goldhaber-Fieb

ert JD 2003 RCT(II)

2형 당뇨병 75명 영양, 식사 중재 체중과 혈당이 감소됨

Lemon CC

2004 RCT(II) 2형 당뇨병 244명 영양상담. 6개월

체중, 혈당,

관상동맥혈관질환 위험인자, 자가관리가 호전됨

Wing, 1994 RCT(II)

비만한 2형 당뇨병(93명)

400 kcal/일 vs 1,000 kcal/일 (20주)

체중 감소와 독립적으로 칼로리 제한은 공복 혈당, 인슐린 감수성 개선 Yu-Poth

Shaomei 1999 meta(I)

37 식사중재연구 NCEP 식사 중재 심혈관 위험인자가 감소됨

Raben, 2001 비무작위 비교 시험(III)

정상 체중 비만, 비만 후 여성(18명).

대상은 비 당뇨병자

고전분식(59% carbohydrate (2%설탕) vs 고설탕식군(59%

carbohydrate (23%설탕)

고설탕식의 혈당 상승 면적은 고전분식에 비해 유의하게 작으며, 인슐린 상승에 차이가 없었다 Bantle, 1993

비무작위 비교 시험(III)

2형 당뇨병(12명)

고설탕식(섭취 에너지 중 19%

설탕) vs 고전분식(3% 미만의 설탕)

양 식사의 혈당치는 어느 시점에서나 차이가 없었다.

중성지방도 공복, 식후 최고치에 차이가 없었다 McCargar, 1998

RCT(III)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32명)

고지방식(50% fat)군 vs 고당질식 (55% carbohydrate)군

고지방식, 고당질식은 당질·지질대사에 영향 없음

Jarvi, 1999 RCT(II)

2형 당뇨병(여성 5, 남성 15)(계 20명)

고혈당지수식(82.7 ± 3.1 U) vs 저혈당지수식(56.8 ± 3.6 U) (각 24일 간)

저혈당지수식으로 혈당, 인슐린 반응 저하.

혈청 지질, 혈액응고 용해 활성도 개선

Brand-MillerJ,

2004 meta(I) 14 연구 저혈당지수식 혈당개선효과 있음

Chandalia,

2000 RCT(II) 2형 당뇨병(13명) 식이섬유 중등량(24 g) vs 고식이섬유(50 g) (6주)

고식이섬유식으로 혈당조절 개선과 고인슐린혈증 개선.

총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 저하

25

03_기타 생활습관

문헌 대상 중재/분석 임상경과/결과

Klein S 2004(IV) Rationale and strategies

2형 당뇨병 생활습관중재

체중감소는 제2형 당뇨병이 동반되어 있는 과체중과 비만 환자에서 중요함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1998

Holler PA

1998 RCT(II) 2형 당뇨병(391명) 120 mg Orlistat vs. 위약 (57주)

Orlistat 사용으로 혈당조절의 향상과 체중의 감소, 고지혈증의 완화로 임상적 의미 있음

Finer N

2000 RCT(II) 2형 당뇨병(91명) 15 mg sibutramine (47명) vs 위약(44명)(12주)

Sibutramine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혈당조절의 향상과 체중의 감소, 당화혈색소 감소에 효과

Sj str m CD 1999 RCT(I)

수술 받은 비만군:

845명

수술 받지 않은 비만군: 845명

수술적 치료를 받은 군(845명) vs 수술적 치료 받지 않은 비만군(845명):

2년동안

적극적인 체중 감소치료는 혈압, 당뇨와 고지혈증의 유병률 감소

Haire-Joshu D

1999 meta(II) 200 연구 당뇨병, 흡연

당뇨병의 유병률은 금연 교육의 횟수와 강도에 밀접한 연관성 있음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004 supplement

금연에 대한 상담

금연의 효과적인 방법 제시와 상담을 위해 상담자의 체계적인 교육과 역할이 필요

Boule NG, 2001 meta(I)

8주 이상 운동요법 시행한 2형 당뇨병 (11 중재 임상연구)

운동요법(154명) vs 대조 (156명)

체중감소는 유의하지 않으나 당화혈색소 개선

(-0.66%) Wei M, 2000

Prospective cohort study (IV)

제 2형 당뇨병 환자 1263

(50 ± 10세)

당뇨병 환자에서 심폐능력과 신체적 활동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낮은 심폐능력과 신체적 비활동이 사망률의 독립적으로 유의한 위험 인자

26

2형 당뇨병 생활습관지침

문헌 대상 중재/분석 임상경과/결과

Church TS, 2004 observational cohort study (III)

2,196 당뇨병환자 (49.3 ± 9.5 세)

당뇨병 환자에서 체력과 사망률의 관계

체질량지수에 상관없이 체력과사망률은 역의 상관 관계

Whelton SP, 2002 meta(I)

18세 이상의 2419명의 환자들

2주이상의 운동요법 vs 대조군, 혈압변화 비교

유산소 운동요법이 혈압을 낮추는 효과를 보임 SBP -3.84 mmHg [-4.97 to -2.72 mm Hg], DBP -2.58 mmHg [CI, -3.35 to -1.81 mmHg]

Leon AS, 2001 Review(I)

4700명을 포함한 51 연구(28 RCT),

12주 이상의 중등도 이상 유산소 운동요법 vs 대조군, 지질대사 변화 비교

중등도-고강도의 유산소 운동을 시행하였을 때 지질 대사 개선 효과

Kraus WE, 2002 RCT(II)

84명, 40 to 65세,

체질량지수 25-35 운동강도 중재

운동 강도에 관계없이 운동량이 증가할수록 지질 대사 개선 효과 큼. 미세한 체중변화

Cox KL, 2001 RCT(II)

40-65세 건강한 여성, 18개월

중등도 운동(40 ± 55% HRres) vs. 격렬한 운동(65 ± 80%

HRres)

중등도 강도 운동군에서 혈압 강하 효과

(수축기 -2.81 mmHg, 이완기 -2.70 mmHg)

Kukkonen-Harj ula K, 1998, RCT(II)

119 일반인 65-75% of VO2max, 50 분/회, 4/주, 15주 연구

중등도의 운동 시 VO2max의 중등도 상승과 지단백의 미약한 호전 효과 Hu FB, 2001

prospective cohort study(III)

5125 당뇨병 간호사 주당 활동량 (< 1, 1 to 1.9, 2 to 3.9, 4 to 6.9, > 7)

신체 활동량의 증가가 심혈관 질환의 발생 위험도를 감소 시킴

Boulé NG,

2003 meta(I) 제2형 당뇨병 환자 8주 이상 유산소 운동 vs control

11.8% vs 1.0% VO2max 상승, 고강도의 유산소 운동시 심폐기능 강화와 HbA1c 개선 효과 Murphy MH,

1998 RCT(II)

44.4 ± 6.2세 47명

여성, 10주 연구 일 10분 걷기, 30분 걷기의 비교 유사한 정도로 체지방 감소 효과 보임

27

03_기타 생활습관

문헌 대상 중재/분석 임상경과/결과

Jakicic JM, 1999 RCT(II)

148 여성, 과체중 (평균 체질량 지수 32.8 ± 4 kg/m2

18 개월, long-bout, multiple short-bout, multiple short-bout exercise with home exercise equipment

Long bout에 비해 short bout는 체중감소, 심폐기능 호전 효과가 유지 되지 못함, 집안 운동기구 이용 시 체중 감소 유지

Dunstan DW, 2002 RCT(II)

과체중 제2형 당뇨병, 60-80세

고강도운동과 체중감소 vs.

중등도 체중감소, 6개월

운동과 체중감소군에서 당화혈색소(3개월: 0.6 ± 0.7 vs. 0.07 ± 0.8%, 6개월 1.2

± 1.0 vs. 0.4 ± 0.8%), 근력과 제지방량의 호전 보임 Castaneda C,

2002 RCT(II)

2형 당뇨병 62명(40 여성, 22 남성 평균연령 66 ± 8세)

16주, high intensity progressive resistance training (PRT) vs 대조군

PRT 시행 시 당화혈색소, 근육, lean body mass, 혈압, 지방량의 개선

Durak EP,

1990 RCT(II) 1형 당뇨병 8명 heavy-resistance weight training 3 일/주, 10주

운동 시행 시 당화혈색소, 중성지방 개선 효과 Schiffrin A,

1985 RCT(II) 1형 당뇨병 7명 45분 에르고미터 운동(55% VO2) 운동 시행 후 혈당 강화 효과 및 저혈당 발생 Frid A, 1990

(IV) 1형 당뇨병 10명 자전거 운동

(최대맥박의 60% 40분)

운동 시행 시 인슐린 흡수속도 증가 및 혈당 감소 발생

당뇨진료지침 시리즈 5

문서에서 2형 당뇨병 생활습관지침 (페이지 34-4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