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II. 결과 및 고찰

1. 돈사 농장별 악취물질 농도

1.2 황화합물

1.2.1 황화수소 농도

제주지역 양돈장에서 자돈사, 육성돈사, 비육돈사의 내부 정중앙에서 간접흡 입방식을 이용하여 황화수소(H2S)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그 결과를 Figure 5와 Table 7~8에 나타내었다. H2S의 평균농도를 돈사별로 비교한 결과 자돈사, 육성 돈사, 비육돈사의 H2S 농도가 각각 134.8~404.9 ppb, 587.7~1,126.3 ppb, 423.7~

945.8 ppb의 범위로 육성돈사에서 H2S의 평균농도가 195.5 ppb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각 농장별 H2S의 평균농도를 확인해 본 결과, A-농장에서 자돈사 310.5 ppb, 육성돈사 1,820.4 ppb, 비육돈사 1,745.4 ppb을 보였다. 월별로 H2S의 농도를 비 교한 결과에서 육성돈사 9월과 비육돈사 11월에 농도가 급격히 증가하였는데, 이 는 시료 채취 시 돈사 피트 상단에 분양이 다른 채취일에 비해 증가하여 농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B-농장의 H2S 농도는 자돈사 116.0~232.2 ppb, 육성돈사 434.1~1,193.2 ppb, 비육돈사 110.9~531.7 ppb의 범위로 육성돈사에서 886.1 ppb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비육돈사 394.6 ppb, 자돈사 170.2 ppb 순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5의 결과를 보듯이, 비육돈사의 H2S 농도가 5월에 낮았는데, 이는 시료채취 당시 돼 지출하로 인한 사육두수 20% 감소로 농도가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

C-농장의 H2S 평균농도는 자돈사 86.0 ppb, 육성돈사 38.1 ppb, 비육돈사 36.1 ppb로 다른 농장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H2S 발생이 다른 농장들에 비해 적게 일어나기 때문이라고 예상된다. 또한 8월부터 H2S의 농도가 증가한 이유는 농장 자체 요인으로 인하여 미생물제재 공급이 원 활하지 못한 것으로 사료된다.

D-농장에서는 자돈사의 농도가 213.4~824.1 ppb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육 성돈사 166.9~564.6 ppb, 비육돈사 55.3~391.0 ppb의 농도 범위를 보였다. 이들 돈사들의 H2S 평균농도는 각각 377.2, 352.8, 254.2 ppb의 수치로 자돈사, 육성돈 사, 비육돈사 순으로 높은 농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모든 돈 사에서 8월과 9월에 일시적으로 농도가 증가하였는데, 그 이유는 분뇨 순환 시스 템 가동 중단으로 인하여 피트 하부의 분뇨 발효로 H2S의 농도가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4개 농장 모두 악취공정시험법 배출허용기준(60 ppb)보다 높은 농도 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는 양돈장 내에서 발생하는 주요 악취물질로 판 단되며,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H2S 평균농도를 돈사환기 방식별 로 비교한 결과에서는 자돈사, 육성돈사, 비육돈사 모두 무창형방식이 윈치커튼 형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이유는 H2S 성분이 다른 계열 성분들에 비해 무창형방식에서 황화수소의 비중이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외기로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가축시설 내부에서도 하부에서 농도가 더 높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준민 등, 2007).

자 돈 육 성 돈 비육 돈

Figure 5. Comparison of hydrogen sulfide concentrations in four swine farms.

Sample

WR 396.2 225.1 256.5 157.8 468.3 83.9 473.7 422.8 310.5 139.8 GR 2715.7 1478.0 1651.3 1653.8 2366.2 1316.8 1850.4 1531.1 1820.4 448.8 FR 2600 1441 1207.4 1604.3 1349.3 1403.5 1487.8 2869.7 1745.4 584.9

B

WR 118.1 116.0 190.5 193.0 232.2 204.9 198.0 109.2 170.2 44.9 GR 1193.2 691.3 1011.6 562.4 1530.5 434.1 733.1 932.7 886.1 335.0 FR 333.5 110.9 353.3 351.4 488.9 509.0 478.2 531.7 394.6 130.2

C

WR 28.3 60.7 53.4 32.0 95.0 99.4 157.0 161.9 86.0 48.7 GR 10.0 14.7 32.8 22.7 46.8 56.0 62.4 59.4 38.1 19.5 FR 11.4 13.2 33.9 21.2 53.1 39.4 62.4 54.4 36.1 18.3

D

WR 310.3 217.8 213.4 156.5 824.1 805.1 214.0 276.6 377.2 256.2 GR 326.3 166.9 416.4 231.0 561.7 564.6 267.2 288.4 352.8 138.8 FR 391.0 129.5 137.1 55.3 337.8 364.5 291.1 327.3 254.2 119.1

Mean

WR 213.2 154.9 178.5 134.8 404.9 298.3 260.7 242.6 236.0 81.9 GR 1061.3 587.7 778.0 617.5 1126.3 592.9 728.3 702.9 774.4 195.5 FR 834.0 423.7 432.9 508.1 557.3 579.1 579.9 945.8 607.6 174.6 Table 7. Concentrations of hydrogen sulfide in four swine farms.

*WR : Weaned Room, GR : Growing Room, FR : Fattening Room

Sample

Concentration (ppb) (A-farm)ES ES

(B-farm) WS

(C-farm) WS

(D-farm) ES

Mean WS

Mean WR 310.5 170.2 86.0 377.2 240.4 231.6 GR 1820.4 886.1 38.1 352.8 1353.3 195.5 FR 1745.4 394.6 36.1 254.2 1070.0 145.2 Table 8. Concentrations of hydrogen sulfide in two type swine farms.

*WR : Weaned Room, GR : Growing Room, FR : Fattening Room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