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혼합방법론(Mixed methodology), 혹은 혼합연구방법론은 하나 의 연구에 2 가지 이상의 연구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Boyd, 2001; Tashakkori, & Teddlie, 2002). 1989 년 Denzin 은 혼합연구 방법을 across method 와 within method 로 분류하였다. Across method 는 하나의 연구에 양적,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말하 고(Boyd, 2001) within method 는 같은 변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한 가지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수집을 하는 경우를 말한다(Denzin, 1989). 혼합연구방법의 목적은 자료의 확인과 완성이다(Streubert, &

Carpenter, 1999). 이 방법의 장점은 양적 연구나 질적 연구를 하나만 적용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좀 더 포괄적이고 통찰적인 자료를 도출해 낼 수 있다는 것이다(Halcomb, & Andrew, 2005). 그러나, 선택된 방 법이나 연구 질문이 부정확할 수 있다는 단점도 있어 올바르고 정확한 연구 문제의 선택과 연구 방법의 적용이 관건이라 할 수 있겠다 (Dootson, 1995; Fieldig, & Fielding, 1986).

혼합연구방법은 대상자들의 행동을 더 깊게 이해할 수 있게 해주 고 현재 일어나고 있는 현상을 있는 그대로 해석하는 것을 넘어서 더 나은 해석을 가능하게 하며 모든 참여자들의 행동 안에 포함된 의미들 을 분석함으로써 그들의 문화도 파악할 수 있다(Wurtz, 2015). 또한,

16

글을 읽거나 쓰지 못 하는 대상자들에게 적합하지 않은 자가응답 설문 지 대신 이야기를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연구에 참여하는 방법을 선택할 권한을 주기도 한다.(Taket, 2013).

본 연구에서 질적 연구 방법은 내용 분석을 자료 분석법으로 사용 하였다. 질적 내용 분석법은 단어나 문맥에서 의사소통으로서의 언어 의 특성에 중점을 둔다(Budd, Thorp, & Donohew, 1967). 자료는 말, 문서, 전자 형태로 수집할 수 있는데 진술, 개방형 조사 질문, 면담, 그 룹 토의, 관찰 등의 방법을 통하여 얻어질 수 있다(Kondracki, 2002).

내용 분석의 목표는 연구를 통하여 현상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제공하 기 위함이며(Downe-Wamboldt, 1992) 질적 내용 분석은 글자로 이루 어진 자료의 주관적인 해석을 위한 연구방법이다(Hsieh, & Shannon, 2005). 이와 같은 질적 내용 분석은 크게 전통적 내용 분석 (Conventional Content Analysis), 직접적 내용 분석(Directed Content Analysis), 부가적 내용 분석(Summative Content Analysis) 의 3 가지로 나뉜다(Hsieh, & Shannon, 2005).

전통적 내용 분석(Conventional Content Analysis)은 어떤 현상 에 대한 연구나 이론이 제한적일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사전에 형성된 카테고리를 피하고 개방형 질문을 통하여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 방 법이다. 장점은 이미 형성된 카테고리를 사용하지 않고 대상자에게서 직접적인 정보를 얻는다는 것이다(Hsieh, & Shannon, 2005). 직접적 내용 분석(Directed Content Analysis)은 어떤 현상에 대한 이론이나

17

이전의 연구가 있으나 현상을 설명하기에 불완전할 때 이론이나 이론 틀을 확장하기 위하여 사용하며 전통적 내용 분석 방법보다 더 구조화 된 과정이다(Mayring, 2000). 마지막으로 부가적 내용 분석 (Summative Content Analysis)에서는 단어의 문맥 안에서의 사용을 이해하기 위하여 특정 단어나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사용되는 횟 수를 측정한다. 사용되는 단어의 빈도만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내용 을 분석하고 해석하여 이면에 내포된 의미를 발견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상자와의 대화에서 연구의 주제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단어들이 사 용되는 횟수를 파악하고 대상자와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빈도를 분류 하고 그 단어들에 기초하여 내용을 분석한다(Hsieh, & Shannon, 2005).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 내용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대상자들이 말 하는 위내시경 검사 전 불안의 경험에 대한 내용이 무엇인지 분석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