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향후 과제

문서에서 규제 연구 (페이지 34-40)

<표 4> 2007년 말 기준 정부부채의 추정

구 분 금 액 대GDP 비율 대GDP 비율(누적)

정부발표 국가채무 298.9 33.2 33.2

중앙정부 289.1 지방정부 19.1 지방정부의 대 중앙정부 채무 9.3

중앙정부 특별회계 전체의 부채(A) 41.7 4.6 37.8

중앙정부 기금 전체의 부채(B) 88.5 9.8 47.6

중앙정부 준정부기관의 부채(C) 68.6 7.6 55.2

준정부기관 247개인 경우(C-1) 68.6 준정부기관 251개인 경우(C-2) 287.9 준정부기관 269개인 경우(C-3) 375.1 준정부기관 275개인 경우(C-4) 403.6

지방정부 준정부기관의 부채(D) 21.9 2.4 57.6

정부부문 전체의 민간투자사업 부채(E) 20.6 2.3 59.9

준재정활동의 거래재설정 148.2 16.4 76.3

통화안정증권 150.3 (16.7)

-주요 공사의 대민간 채무 146.1 (16.2)

-국제비교를 위한 일반정부 총금융부채 688.4 76.4 76.4 주: 2007년 말 현재 GDP(경상가격)는 9,011,886억 원으로 901조2천억 원으로 계산

수지 등의 제반 재정지표도 국제적 비교가능성이 훨씬 제고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제기될 수 있는 향후 정책과제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재정규모, 재정수지, 정부부채 등의 제반 재정지표를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방법 으로 산정하되 이들의 과거 시계열도 가능한 넓게 파악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과거 의 재정운용을 합리적으로 평가하고 미래의 재정운용 방향을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재정범위 또는 일반정부의 범위를 책정하는 것은 재정운용의 규율을 설정하기 위한 기 본 인프라라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선진국들이 GDP대비 일반정부 지출 또는 일반정부 부채를 기준으로 재정 준칙을 설정하기 때문에 일반정부의 범위를 책정하는 것은 국가적으로 대단히 긴요한 일이 된다. 따라서 일반정부의 범위는 정치적 영향력을 가능한 배제한 상태에서 결정하 는 것이 중요한 일이다. 재정규율에 대한 국민적 합의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학문적 논의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공공기관 분류에 대해 자체수입비율이라는 개념을 기계 적으로 적용하고 있는데 이를 개선해야 할 것이다. 자체수입비율은 ‘매출액/생산원가’와 무관한 개념이며 또 개별 공공기관의 자체수입비율이 평가되는 방법도 충분히 알려지 지 않고 있다. 공공기관을 준정부기관과 공기업으로 구분하는 개념적 내용을 경제이론 과 함께 국제지침 및 선진국의 다양한 사례를 참조하여 분류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재정범위 산정에서는 공기업의 준재정활동을 충분히 감안하는 것이 적정한 재정지표를 평가하는 올바른 방법이 될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나라에서는 준재정활동이 다양한 형 태로 폭넓게 수행되기 때문이다.

공공기관의 분류에 적용되는 다양한 개념들은 공공부문의 구조조정 방향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매출액/생산원가’ 기준이 반영하고자 하는 시장성 기준과 공공기관의 권한 과 책임이 규정되는 방법, 즉 자기책임성 기준을 통해 공공부문의 구조조정 방향이 설 정될 수 있는 것이다. 정부가 공공기관에 지급하는 재정지원은 가능한 시장기구적 방법 을 준용하고, 또 공공기관의 운용에 자율과 함께 책임성을 보다 강화해야 할 것이다. 시 장성과 자기책임성을 강화하는 구조조정이 이루어진다면 재정규모와 정부부채의 규모 는 크게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곽윤직, 󰡔민법총칙󰡕, 서울: 박영사, 1995.

고영선 외, 「재정위험의 관리와 중장기 재정지출구조 개선」, 한국개발연구원, 2004. 12.

박경돈․유지영 외, 「새 정부 초기의 여건분석을 위한 재정지표 검토」, 한국행정연구원, 2008. 8.

박형수․박기백, 「재정건전화를 위한 국가채무 관리방안」, 한국조세연구원, 2003. 12.

옥동석, 「공공부문과 국가재정의 범주: 현황, 문제점 및 개선방향」, 「재정논집」 제12집 제2호, 한국재정학회, 1997. 12.

, 「재정범위의 산정기준과 주요 쟁점」, 󰡔재정규모, 어떻게 볼 것인가󰡕, 대한상공 회의소 주최, 기획예산처․중앙일보 후원, 국가경쟁력 플랫폼(회장 김광두 서강 대 교수) 주최 토론회, 2006. 4. 19.

, 「재정지표로서의 국가채무와 정부부채」, 󰡔재정논집󰡕}제22집 제1호, 한국재정학 회, 2007.

이 영, 「국제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조세부담 수준과 구조의 평가」, 미발간자료, 2006.

한국조세연구원 외, 󰡔경제․사회환경 변화에 대응한 국가채무 관리방안󰡕, 경제인문사회 연구회 협동과제 최종보고 워크숍, 2008.

황성현, 「재정규모 어떻게 볼 것인가」, 󰡔재정규모, 어떻게 볼 것인가󰡕, 대한상공회의소 주최, 기획예산처․중앙일보 후원, 국가경쟁력 플랫폼(회장 김광두 서강대 교수) 주최 토론회, 2006. 4. 19.

EUROSTAT, European System of Accounts, 1996.

, ESA Manual on Government Deficit and Debt, European Commission, 2002.

Glaeser, Edward L. (ed.), The Governance of Not-for-Profit Organizations,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3.

Grossman, S. J. and O. D. Hart, “The costs and benefits of ownership: a theory of vertical and lateral integratio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94, 1986, pp.691-719.

Hansmann, Henry, The Ownership of Enterprise,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

IMF, Manual on Government Finance Statistics, 2001.

Oak, Dongsuk and Koh Youngsun, “Coverage of Public Finance in Korea,” in Reforming the Public Expenditure Management System, The World Bank and Korea Development Institute Conference Proceedings, Korea Development Institute/The World Bank, March 2004, pp.263-277.

OECD, Guidelines on Corporate Governance of State-Owned Enterprises, 2005.

UN, System of National Accounts 1993, prepared under the auspices of the Inter-Secretariat Working Group on National Accounts,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Eurostat, IMF, OECD, 1993.

, System of National Accounts 2008, 2008.

Williamson, Oliver E., “Transaction Cost Economics,” Chapter 3, Handbook of Industrial Organization, VolumeⅠ, edited by R. Schmalensee and R. D. Willig, Elsevier Science Publishers B.V.s, 1989.

Journal of Regulation Studies Vol.18 No.1 June 2009

The Size of Government Liabilities in Korea : Concept, Issues and Policy Implications

Dongsuk, Oak, Yunhee, Ha

The concept of National Debt, being used traditionally by Korean government, is very much different from that of ‘General Government Gross Financial Liabilities’ defined by SNA and GFSM criteria.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show which public institutions are included in the general government sector and to estimate the size of the Korean

‘General Government Gross Financial Liabilities’ in 2007.

Key words: National Debt, General Government Gross Financial Liabilities, Public Sector, General Government

규제연구 제18권 제1호 2009년 6월

유럽공동체 (EC) 카르텔 자진신고자에

대한 과징금 감면정책과 그 시사점

문서에서 규제 연구 (페이지 3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