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해염입자 침착농도의 시간적 변동특성

Fig. 8은 Site-C, E, F, G, H에서 측정한 SD-1에서 SD-12까지의 해염입자의 침착농도를 계절별로 나타내었다. 해염입자의 침착농도 분포특성을 보면 농도의

변동폭이 크게 나타났던 Site-F에서는 겨울>봄>가을>여름 순으로 나타났으며, Site-H에서는 여름>겨울>가을>봄 순으로 나타나 해안으로부터의 거리가 1km이 내의 지점에서는 뚜렷한 계절별 농도변화를 나타내었다. 이는 각 Site에서의 대 기와 해수의 온도차, 월평균풍속 그리고 해염입자의 제거에 영향을 주는 월 강수 량 등의 기상 현상이 다르게 변화는 것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Site-C, G에서는 가을>여름>겨울>봄 순으로, Site-E에서는 겨울>가 을>봄>여름 순으로 나타났지만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는 Site-C, E, G 지점이 해안으로부터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어서 바다로부터 생성된 해염입자 가 해안에서 각 지점으로 이동하는 동안 해염입자의 염소이온 성분이 휘발하는

‘chloride loss' 또는 ’chloride deficiency'가 일어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Keene 등, 1990)

Fig. 8. Seasonal variations of sea salt concentration in Jeju Island.

0.00 0.05 0.10 0.15

spring summer fall Winter

Concentration(㎎NaCl/d/100㎠)

S ite-F S ite-H S ite-G S ite-C S ite-E

Fig. 9는 Site-C, E, F, G, H에서 측정한 SD-1에서 SD-12까지의 해염입자의 침착 농도를 월별로 나타내었고 Table 11은 Site-C, E, F, G, H에서 SD-1에서 SD-12까지의 시료채취 기간 동안의 월 총강수량과 월 평균풍속, 월 최다풍향을 나타내었다.

Table 11. Weather conditions during the Sampling period in Jeju Island.

Sample No.

Rainfall (mm) Wind speed (m/s) Wind direction S-F S-H S-G S-C S-F S-H S-G S-C S-F S-H S-G S-C SD-1 152 445 286 358 5.1 2.5 3.2 2.7 N NW NNW NW SD-2 23 41 25 31 7.1 2.4 3.2 2.9 NNW NNW SW W SD-3 90 259 121 121 7.9 2.1 3.2 2.9 NNW NNW W NNW SD-4 12 34 12 20 10.3 1.6 3.1 4.0 N NNW W NNW SD-5 16 69 16 41 7.5 2.9 2.9 3.5 N N W NNW SD-6 70 45 97 48 10.1 3.4 3.2 3.7 WNW NNE WSW NNW SD-7 73 108 87 58 8.3 3.6 3.2 2.9 WNW WNW WSW SW SD-8 118 143 258 56 7.9 3.2 2.8 2.5 NNW NNE W NNW SD-9 169 291 421 125 6.6 2.8 2.6 2.3 NNW S S SE SD-10 85 114 180 66 4.7 2.4 2.6 2.0 W SSW NE ESE SD-11 48 61 53 56 6.3 3.2 3.0 2.8 W S SSE SW SD-12 364 553 421 405 4.9 2.9 3.3 2.4 NNW SSW SSE NNE

Fig. 9. Monthly variations of sea salt concentration in Jeju Island.

0.00 0.03 0.06 0.09 0.12 0.15 0.18

SD-1 SD-2 SD-3 SD-4 SD-5 SD-6 SD-7 SD-8 SD-9 SD-10 SD-11 SD-12 Concentration(NaCl/d/100㎠)

0.00 0.01 0.02 0.03

Site-F Site-H Site-G Site-C Site-E

제주도의 서쪽에 위치하는 Site-F에서의 해염입자의 침착농도는 월별 농도가 큰 차이를 보였으나 월 최다풍향이 1년 동안 북풍과 서풍 계열로 유지되어 바람 이 항상 바다로부터 불어 들어오므로 풍향이 해염입자의 침착농도 특성에 영향 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월 평균풍속이 10.3m/s로 가장 강하게 바 람이 불었던 시기의 SD-4에서는 해염입자의 침착농도가 최대값을 보였다.

제주도의 동쪽에 위치하는 Site-H에서는 월 최다풍향이 북풍 계열이 유지되다 가 SD-9에서부터 남풍계열이 불어 해염입자의 농도가 높게 나타나야 하나 SD-9에서는 월강수량이 많아 해염입자가 제거되어 낮은 농도를 보였고 SD-1 0~SD-12에서는 SD-9이전보다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SD-10에서는 최대값을 보였고 SD-1에서는 최소값을 나타냈다.

제주도의 남쪽에 위치하는 Site-G에서는 월 강수량도 많고 월 평균풍속이 가 장 적은 SD-9, SD-10에서 아주 낮은 농도를 보였고 월 평균풍속이 3.3m/s로 가 장 높게 나타난 SD-12에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다. Site-G에서는 월 최다풍향 의 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제주도의 북쪽에 위치하는 Site-C에서는 월 최다풍향이 주로 북풍계열 로 유지되었으나 SD-7, SD-9~SD-11에서는 남풍계열의 바람이 불었고 그때 월 평균풍속도 낮은 SD-9, SD-10에서 낮은 농도를 보였다. Site-C에서는 해안으로 부터의 거리가 2km이어서 월 강수량의 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 났다.

각 Site의 해염입자 월별 침착농도를 전체적으로 볼 때 바람이 바다로부터 불 어오며 월 평균풍속이 강하고 월 강수량이 적을수록 해염입자의 침착농도가 높 게 나타났다. 그리고 해안과의 거리가 가까운 지점에서의 해염입자의 월별 농도 는 월 강수량과 월 최다풍향, 월 평균풍속의 기상인자에 예민하게 반응하여 큰 변동을 보였으나 해안과의 거리가 1km이상인 경우에는 수송과정 동안 물리․화 학적 과정으로 대기 중에서 제거되어 기상인자에 의한 해염입자 침착농도의 변 동 폭이 크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