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복사무 발생시 3시간 전,발생시,소멸 3시간 후의 덕적도 수온과 기온의 차,즉 해기차를 Fig.13에 나타내었다.

부이의 고장 및 점검 일을 제외한 복사무 발생일 58회 중에서 발생 3시간 전에는 해기차 0∼2℃에 20회,-2∼0℃에11회 2∼4℃에 9회 순으로 나타났고.발생시에는 해기차 0∼2℃에 17회,2∼ 4℃에 14회,-2∼0℃에 10회순으로 나타났다.소멸 3시 간 후에는 해기차 2∼4℃에 16회,-2∼0℃에 14회,0∼2℃에 12회 순으로 나타났다.

해수면 온도가 기온보다 높을 때가 37회로 64%를 나타내었고,해기차 -2∼4℃에서 41회로 71%가 발생하여 복사무 발생시 해기차의 절대 값이 4℃이하에서 많이 발생 하였다.

0 5 10 15 20 25

-6 -6~-4 -4~-2 -2~0 0~2 2~4 4~6 6 Temperature difference(℃)

Frequency

before 3 hour present after 3 hour

Fig.13Thedifferenceairtemperaturefrom SST inradiationfogcases.

이는 인천공항에서의 복사무 발생은 지면 복사냉각과 해기차에 의해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자료조사 중에 나타난 것으로 장소에 따른 해 기차가 상이하고 있어 향후 이에 대한 별도의 연구가 이루어 져야하겠다.

이류무 발생 3시간 전,발생시,소멸 3시간 후의 해기차를 Fig.14에 나타내었다.

부이고장 및 점검 일을 제외한 이류무 발생일 117회 중에서 발생 3시간 전에는 해 기차 -2∼0℃에 39회,-6∼-4℃에 18회,2∼4℃에 16회 순으로 나타났고,발생시에는 -2∼0℃에 42회,-6℃미만에서 17회,0∼2℃에서 14회 순으로 발생되었다.소멸 후에 는 -2∼0℃에 42회,-6℃미만에서 19회,0∼2℃에 13회 순으로 소멸하였고,나머지 -2℃이하에서 구간에서는 약 10%로 정도로 나타났다.이는 온난한 기류가 상대적으 로 찬 해수면 위를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이류무 발생 메커니즘을 잘 뒷받침해 주 고 있고,해기차 -2℃미만에서 75회로 64%가 발생되었으나,분류기준 이하인 해기 차 -2∼0℃에서 42회로 36%가 발생되어 이류무 예보 발표 시 참고 해야 한다.

0 5 10 15 20 25 30 35 40 45

-6 -6~-4 -4~-2 -2~0 0~2 2~4 4~6 6

Temperature difference(℃)

Frequency

before 3 hour present a fter 3 hour

Fig.14Thedifferenceairtemperaturefrom SSTinadvectionfog.

증기무 발생 3시간 전,발생시,소멸 3시간 후의 해기차를 Fig.15에 나타내었다.

부이의 고장 및 점검 일을 제외한 발생일 31회 중에서 발생 3시간 전에는 해기차 가 0∼2℃에서 8회 ,2∼4℃이상에서 7회,4∼6℃이상에서 6회 순으로 나타났고.발 생시에는 해기차가 0∼2℃에서 12회 ,2∼4℃이상에서 6회,4∼6℃이상에서 4회 순 으로 나타났다.소멸 후에는 해기차가 0∼2℃에서 9회,2∼4℃이상에서 6회,4∼6℃ 이상에서 6회 순으로 나타났다.이는 증기무가 한랭한 기류가 상대적으로 따듯한 해수면 위를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원인을 잘 뒷받침해 주고 있고,찬 수면위에 따 듯한 기류가 이동하여 이류무의 발생할 때의 해기차와 따듯한 수면위에 찬 기류가 이동하여 증기무가 발생할 때의 해기차는 비슷하게 분포되었다.

0 2 4 6 8 10 12 14

-6 -6~-4 -4~-2 -2~0 0~2 2~4 4~6 6

Temperature difference(℃)

Frequency

before 3 hour present after 3 hour

Fig.15Thedifferenceairtemperaturefrom SST insteam fog.

전선무 발생 3시간 전,발생시,소멸 3시간 후의 해기차를 Fig.16에 나타내었다.

부이의 고장 및 점검 일을 제외한 발생일 129회 중에서 발생 3시간 전에는 해기 차가 -2∼0℃에서 49회,2∼4℃에서 20회,0∼2℃에서 18회 순으로 나타났고,발생 시에는 해기차가 -2∼0℃에서 43회,2∼4℃에서 22회,0∼2℃에서 20회 순으로 나타 났다.소멸 후에는 해기차가 -2∼0℃에서 45회,2∼4℃에서 26회,0∼2℃에서 190회 순으로 나타나 전선무 발생은 해수면온도 보다 기온이 높을 때에 81회로 63% 발생 하였고,이 중에서도 해기차 -2∼4℃에서 85회로 66%가 발생하여 해기차의 절대치 가 적을 때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이는 겨울철을 제외한 계절에 전선 또는 기압골 통과로 인하여 강수가 있을 때는 해수면 온도보다 기온이 높은 것으 로,겨울철 한랭건조한 대륙성 기단의 확장으로 눈 또는 비가 올 때에는 해수면온 도 보다 기온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어 전선무 발생시에도 해기차가 양의 상관관계 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0 10 20 30 40 50 60

-6 -6~-4 -4~-2 -2~0 0~2 2~4 4~6 6

Temperature difference(℃ )

Frequency

b efo r e 3 hour pr esen t aft er 3 hour

Fig.16Thedifferenceairtemperaturefrom SST infrontfog.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