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글 맞춤법 이해, 적용 정답률 34.6%

문서에서 국어영역 언어(문법) (페이지 45-48)

정답 해설

PLUS

<보기>의 1가지 조건 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한글 맞춤법’에 따르면, 사이시옷은 아래의 조건 ⓐ ~ ⓓ가 모두 만 족되어야 표기된다. 단, ‘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는 예외 이다.

○사이시옷 표기에 고려되는 조건 ⓐ 단어 분류상 ‘합성 명사’일 것.

ⓑ 결합하는 두 말의 어종이 다음 중 하나일 것.

•고유어+고유어 •고유어+한자어 •한자어+고유어 ⓒ 결합하는 두 말 중 앞말이 모음으로 끝날 것.

ⓓ 두 말이 결합하며 발생하는 음운 현상이 다음 중 하나일 것.

•앞말 끝소리에 ‘ㄴ’ 소리가 덧남.

•앞말 끝소리와 뒷말 첫소리에 각각 ‘ㄴ’ 소리가 덧남.

•뒷말 첫소리가 된소리로 바뀜.

㉠ ~ ㉤ 각각의 쌍은 위 조건 ⓐ ~ ⓓ 중 1가지 조건 만 차이가 나 서 사이시옷 표기 여부가 갈린 예이다.

사이시옷이 없는 단어 사이시옷이 있는 단어

㉠ 도매가격[도매까격] 도맷값[도매깝]

㉡ 전세방[전세빵] 아랫방[아래빵]

㉢ 버섯국[버섣꾹] 조갯국[조개꾹]

㉣ 인사말[인사말] 존댓말[존댄말]

㉤ 나무껍질[나무껍찔] 나뭇가지[나무까지]

한자어+한자어

한자어+한자어

버섯+국. 앞말이 자음으로 끝남.

‘ㄴ’ 소리가 덧나지 않음.

뒷말 첫소리가 된소리로 바뀌지 않음.

보기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

함정 탈출 비법 사이시옷 표기에 고려되는 여러 조건을 제시한 후, 사례에서 어떤 차이에 따라 사이시옷 적용 여부가 갈리는지를 판단하도록 한 까다로운 문항이어서 오답률이 높았다. 여러 조건이 제시되어 복잡하게 느껴지더라도 당황하지 말고 차분하게 제시된 조건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해 가면 답을 찾을 수 있다.

정오답 체크

❶ ‘도매가격(都賣價格)’과 ‘도맷값(都賣-)’은 둘 다 합성 명사이다(ⓐ). 그 런데 결합하는 두 말의 어종이 ‘도매가격(都賣價格)’은 ‘한자어(도매) + 한 자어(가격)’이고 ‘도맷값(都賣-)’은 ‘한자어(도매) + 고유어(값)’라는 점에 서 사이시옷 표기 여부가 갈린다(ⓑ). 두 단어 모두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 며(ⓒ), 뒷말 첫소리가 된소리로 바뀐다(ⓓ). 따라서 ㉠의 1가지 조건은 ⓑ 이다.

② ‘전세방(傳貰房)’과 ‘아랫방(--房)’은 둘 다 합성 명사이다(ⓐ). 그런데 결합하는 두 말의 어종이 ‘전세방(傳貰房)’은 ‘한자어(전세) + 한자어(방)’

이고 ‘아랫방(--房)’은 ‘고유어(아래) + 한자어(방)’라는 점에서 사이시옷 표기 여부가 갈린다(ⓑ). 두 단어 모두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며(ⓒ), 뒷말

44

난도

첫소리가 된소리로 바뀐다(ⓓ). 따라서 ㉡의 1가지 조건은 ⓑ이다.

③ ‘버섯국’과 ‘조갯국’은 둘 다 합성 명사이며(ⓐ), 결합하는 두 말의 어종 이 둘 다 ‘고유어 + 고유어’이다(ⓑ). 그런데 ‘버섯국’은 앞말이 자음으로 끝나고, ‘조갯국’은 모음으로 끝난다는 점에서 사이시옷 표기 여부가 갈린 다(ⓒ). 두 단어 모두 뒷말 첫소리가 된소리로 바뀐다(ⓓ). 따라서 ㉢의 1가 지 조건은 ⓒ이다.

④ ‘인사말(人事-)’과 ‘존댓말(尊待-)’은 둘 다 합성 명사이며(ⓐ), 결합하 는 두 말의 어종이 ‘한자어 + 고유어’이다(ⓑ). 또한, 두 단어 모두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다(ⓒ). 그런데 ‘존댓말’은 앞말 끝소리에 ‘ㄴ’ 소리가 덧남에 비해 ‘인사말’은 그렇지 않다는 점에서 사이시옷 표기 여부가 갈린다(ⓓ).

따라서 ㉣의 1가지 조건은 ⓓ이다.

⑤ ‘나무껍질’과 ‘나뭇가지’는 둘 다 합성 명사이며(ⓐ), 결합하는 두 말의 어종이 ‘고유어 + 고유어’이다(ⓑ). 또한 두 단어 모두 앞말이 모음으로 끝 난다(ⓒ). 그런데 ‘나뭇가지’는 뒷말 첫소리가 된소리로 바뀜에 비해 ‘나무 껍질’은 그렇지 않다는 점에서 사이시옷 표기 여부가 갈린다(ⓓ). 따라서

㉤의 1가지 조건은 ⓓ이다.

ܭ①

MEMO

MEMO

문서에서 국어영역 언어(문법) (페이지 45-4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