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학습자의 특성

문서에서 학습의 개요 (페이지 34-37)

- 일반적인 특성

3~4학년군 학습자들은 주변 환경에 관한 인식 능력과 감수성이 크게 발달하면서 사물을 보는 방식에 관심과 주의를 기울인다. 즉 주관에서 객관적인 사실로 넘어가 는 과도기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3~4학년군 학습자들의 사고력, 문제 해결력 등 의 발달을 촉진하고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환경과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 는 다양한 미술 활동이 제공되어야 한다. 3~4학년군 학습자들의 사물에 관한 관심 과 주의력은 몇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첫째, 사물이나 동물의 형상을 나타낼 때 사용하던 단순한 상징적 표현 양식에서 벗어나, 나타내고 싶은 중요한 부분을 확대, 생략하는 등 다양한 상징을 구사한다.

같은 상징을 반복함으로써 나타나는 형태의 반복이 사라지고 새로운 형태를 표현하 려고 시도한다.

둘째, 사물에 관한 관찰력이 민감해지면서 대상과 닮게 그리려고 노력하는 단계 로 명암, 원근, 질감 등에 관심을 가지고 사실적으로 표현하려 한다. 한편으로는 주 관적인 표현을 시도하기도 하는데, 어린이의 정서에 따라 특정 부분이 강조되거나 과장되기도 한다.

셋째, 또래 집단 속에서 사회적 독립심이 점차 발달하여 역동적인 발견의 시기로, 성의 차이를 인식하게 되면서 인물의 세부적인 표현을 통하여 남성과 여성을 구별 한다.

넷째, 환경에 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공간의 의미를 깨닫게 되고, 기저선에서 벗 어나기 시작하면서 원근이나 중첩된 표현을 시도한다.

- 표현 능력의 발달 ① 인물표현

3~4학년군 학습자들은 자아 인식의 확대로 환경에 관한 인식과 감수성이 크게 발달하며 사실 표현의 개념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사실적 표현이란 물체 그대 로의 재현이 아니라 특정한 대상에 관하여 자신이 느낀 경험의 재현이다. 인물 표현에서도 도식을 사용하지 않고, 형태를 자연보다 가깝게 표현하고자 한다.

그러나 아직은 시각적으로 묘사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시기이다. 성의 차이에

줄선으로 표현한다. 이에 반해 3~4학년군 학습자들은 기저선에 의존하는 데에 서 벗어나 사물이 하나의 선 위가 아니라 지평면 위에 놓여 있다는 것을 발견 하게 된다. 먼 곳이 사물들은 지평면의 상단부에 나타나 보이고, 반대로 가까 운 사물들은 뒤에 있는 것보다 저평면의 앞쪽에 중첩되어 나타난다는 것을 지 각하게 된다. 이러한 사물들의 중첩은 곧 공간 개념의 발달을 말해 주는 것으 로 이후 기저선과 하늘의 표현은 사라지게 된다. 학생의 공간 개념 발달은 표 현 발달과 마찬가지로 학생의 개인차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공간의 깊이 와 원근감을 표현하는 학생이 있는가 하면 공간의 깊이감 없이 평면으로 표현 하는 학생이 있기도 하다.

③ 공간표현

3~4학년군 학습자들은 입체 재료를 활용하여 대상을 입체적으로 표현하지만, 상징적 표현의 단계에서 아직 탈피하지 못하고 사실적 표현을 탐색한다. 입체 재료로 앉아 있는 표현이 많은 형태와 전체적인 직립의 형태에 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팔이나 다리의 세부 표현에서 움직임 표현이 증가한다. 부분에 서 전체를 표현하기 보다는 전체의 덩어리에서 부분으로 표현해 가는 경우도 나타난다. 그러나 아직 입체 표현에서 형태의 비례에 맞는 사실적인 표현은 어 려워한다. 몸의 세부 표현은 이전 단계보다 표현 비율이 비슷해져 가는 경향을 보이며, 전체 형상을 염두에 두고 입체 표현을 한다.

④ 색채표현

색채 표현에서 3~4학년군 학습자들은 도식적인 색채와 대상의 관계에서 벗어 나 특징 있는 색채로 표현하기 시작한다. 색의 차이점을 점차 알아가는 시기이 며, 어둡고 밝은 것, 맑은 것과 탁한 것에도 주의를 기울여 같은 색에도 다양 한 색조가 있음을 알게 된다. 그리고 대상과 특성에 맞는 색, 자신들이 나타내 려는 것에 알맞은 느낌의 색을 골라 쓰는 경향도 서서히 나타난다. 혼색은 3~4학년군 학습자들이 성취해야 할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이다. 처음에는 우 연한 혼색의 효과로 흥미를 가지다가 혼색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이 나타내고 싶은 것을 표현하려고 일부러 색을 섞어 쓰기 시작한다.

- 감상능력의 발달

인간의 시각, 지각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감상 능력의 발달에 관하여서도 많 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가드너(미국, 1943~ )는 학생의 감상 능력의 발달 단계 를 지각의 단계(0~2세), 상징 인식의 단계(2~7세), 사실주의 단계(7~9세), 탈사실주 의 단계(9~13세), 예술적 위기의 단계(청소년기)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가드너의 관점에 비추어 볼 때, 초등학교 3~4학년군 학습자의 감상 능력이 발달 정도는 사실주의 감상단계라 할 수 있다. 이 시기의 학생들은 표현의 기능에서 아 직 상징적 표현의 수준에 머물러 있으면서도 지각의 능력에서는 엄격한 사실 지향 적 관점을 가진다. 그래서 작품의 선호도에서 사진과 같은 사실적인 작품을 매우

존중하고 선망하는 심리를 가진다. 이 단계의 학생들에게는 이러한 사실주의적 고 정 관념을 깨고 잠재하는 개성과 창의성을 흥미 있는 방법으로 이끌어 내는 것이 교사의 과제라 할 수 있다.

미적 능력의 발달은 아동의 인지적 발달에 영향을 받아 보편적으로 나이에 따라 어느 정도 성장하지만, 예술적 지각의 발달은 개인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난다. 따라 서 감상 능력을 개발하는 데 교육적, 문화적 환경과 경험은 중요한 요소가 되며, 학 교 미술을 바탕으로 아동의 미적 인식 능력이 향상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기회가 제 공되어야 한다. 파슨스는 미적 인식의 발달을 5단계로 제시하였는데, 1단계는 선호 에 따른 감상, 2단계는 아름다움과 사실주의에 기초한 감상, 3단계는 표현성에 주목 하는 감상, 4단계는 양식과 형태를 고려한 감상, 5단계는 자율성에 기반을 둔 감상 이다. 즉 감상능력은 나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성숙하는 것이 아니며, 미술작품을 꾸 주니 탐구하는 노력으로 성장할 수 있다.

※자료 출처

1. 서울교대미술교육연구회. 『미술 교육학』

2. 로웬펠드, 브리테인 지음, 서울교육대학교미술교육연구회 옮김. 『인간을 위한 미 술교육』

3. 박휘락. 『미술 감상과 미술 비평 교육』

문서에서 학습의 개요 (페이지 34-3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