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0-61)

본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미약했던 점들을 중점적으로 차후에 실행 될 후 속 연구에서 고려해야 할 몇 가지를 제언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고학년(4,5,6학년)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결 과의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등 다양한 연령층의 대 상을 선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대상의 개인적 성격과 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인식, 성 격, 성적등의 개인적인 특성을 고려하지 않았으나 차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배경과 특성의 구별 및 선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설문지>

초 등 학 생 의 성 별 과 학 년 에 따 른 표 현 활 동 태 도 차 이 와 학 습

환 경 과 의 관 계

안녕하십니까?

이 설문조사는 즐겁고 신나는 표현활동 수업을 만들기 위하여 평소 신체활동(운동)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을 알아보기 위한 것입니다. 이 설문지에는 시험처럼 옳고 그른 정답이 없습니다. 각 질문지는 여러 분의 생각과 태도를 솔직하게 느끼는 대로 답해 주시면 됩니다. 먼저 각 글을 읽고, 그 의미와 가장 알맞다고 생각되는 내용을 선택하여 해당 번호에 표시하여 주십시오. 여러분이 응답해 주신 내용은 철저 한 비밀이 보장되며, 학술적 연구를 위한 통계적 자료로만 처리될 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귀한 시간을 내어 연구에 도움을 주 셔서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2011년 5월 16일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무용교육전공 연 구 자 : 김 선 아

※ 다음은 여러분의 개인적인 사항입니다. 해당되는 번호에 ✔표하여 주십시오.

1. 학 년 : ①4학년____ ②5학년 ____ ③ 6학년 ____

2. 성 별 : ① 남 ____ ② 여 ____

3. 선생님의 성별 : ① 남자 선생님 ____ ② 여자 선생님 ____

4. 학생의 표현활동의 참여 빈도는 어떠합니까?(1년(12개월) 기준)

① 전혀 하지 않는다.____ ②가끔한다. ____ ③1년이상 규칙적으로 한 다.____

☞ 위의 질문에 응답을 모두 하셨다면, 지금부터 설문지를 작성하여 주십시오.

표현활동 학습 환경에 관한 질문

※ 다음은 평소 표현활동 수업환경에 대한 여러분의 느낌을 알아보는 것 입니다. 각 질문을 주의 깊게 읽으십시오. 그런 다음에 여러분이 가장 가깝다고 생각되는 번호에 ✔표를 하여 주십시오.

[질문]체육시간

(표현활동)에 관한 나의 생각은?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

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1.표현 활동을 잘 하는 것은 내가

열심히 노력하기 때문이다. ① ② ③ ④ ⑤

2.표현 활동시간은 나를 열심히 하

도록 만든다. ① ② ③ ④ ⑤

3.표현 활동 시간에 우리는 서로

경쟁을 한다. ① ② ③ ④ ⑤

4.표현 활동을 잘 하지 못하는 것 은 선생님이 제대로 지도하지 않 았기 때문이다.

① ② ③ ④ ⑤

5.표현 활동에 몸과 마음의 상태가

좋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① ② ③ ④ ⑤

6.표현 활동에 잘 하는 것은 나의

기분이 좋기 때문이다. ① ② ③ ④ ⑤

7.우리는 표현 활동에 누가 가장 잘 하는가를 알아보려고 시도한 다.

① ② ③ ④ ⑤

8. 표현 활동 시간에 내 실력을 최

대한 발휘해 본다. ① ② ③ ④ ⑤

9. 표현 활동을 잘 하는 것은 운이

좋기 때문이다. ① ② ③ ④ ⑤

10.표현 활동 은 내 자신을 기분

좋게 만든다. ① ② ③ ④ ⑤

[질문]체육시간

(표현활동)에 관한 나의 생각은?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

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11.표현 활동을 잘 하지 못하는 것은 몸

과 마음에 여유가 없기 때문이다. ① ② ③ ④ ⑤

12.표현 활동 시간에 선생님이 바라

는 것을 쉽게 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13.표현 활동 동작을 익히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① ② ③ ④ ⑤

14.표현 활동을 잘 하는 것은 선생

님이 나를 열심히 가르쳤기 때문이다. ① ② ③ ④ ⑤

15.나는 표현 활동을 잘 하지 못할

까봐 걱정한다. ① ② ③ ④ ⑤

16.나는 표현 활동을 열심히 한다는

생각이 든다. ① ② ③ ④ ⑤

17.표현 활동을 잘 하지 못하는 것은 내

가 열심히 노력하지 않기 때문이다. ① ② ③ ④ ⑤

18.표현 활동 중에 우리는 상대팀보다

더 잘 하려고 노력한다. ① ② ③ ④ ⑤

19.표현 활동을 잘 하지 못하는 것은 단

지 운이 나쁘기 때문이다. ① ② ③ ④ ⑤

20.표현 활동은 내 기분을 상하게 만든

다. ① ② ③ ④ ⑤

21.표현 활동을 잘 하는 것은 과제

가 쉽기 때문이다. ① ② ③ ④ ⑤

22.표현 활동시간은 내 실력을 시험

한다. ① ② ③ ④ ⑤

23.표현 활동을 잘 하지 못하는 것

은 과제가 너무 어렵기 때문이다. ① ② ③ ④ ⑤

24.나는 표현 활동시간에 열심히 하

지 않는다. ① ② ③ ④ ⑤

표현활동 태도에 관한 질문

※ 다음의 질문은 여러분이 표현 활동 수업에 대하여 어떠한 생각과 태도 를 갖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입니다. 아래의 각 문항을 주의 깊 게 읽은 후, 자신의 생각과 가장 가깝다고 생각되는 번호에 ✔표를 하 십시오.

[질문] 여러분은 표현 활동수업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까?

전혀 아니다

거의 아니다

가끔 그렇다

자주 그렇다

매우 그렇다 1.내가 표현 활동시간에 배우는 게임은 나에

게 수업에 대한 흥미를 갖게 한다. ① ② ③ ④ ⑤

2.내가 표현 활동 시간에 배우는 게임은 나

에게 학습에 대한 재미를 없어지게 만든다. ① ② ③ ④ ⑤

3.내가 표현 활동 시간에 배우는 게임은 나

에게 표현활동에 대한 흥미를 갖게 한다. ① ② ③ ④ ⑤

4.표현 활동 선생님은 수업이 나에게 별로

중요하지 않은 것처럼 생각되도록 만든다. ① ② ③ ④ ⑤

5.나는 표현 활동 시간에 배우는 게임이 수

업을 지루하게 만든다고 느낀다. ① ② ③ ④ ⑤

6.나는 표현 활동 시간에 배우는 게임이 나

에게 별로 유익하지 않다고 느낀다. ① ② ③ ④ ⑤

7.내가 표현 활동 시간에 배우는 게임은

나에게 중요한 것처럼 생각된다. ① ② ③ ④ ⑤

8.표현 활동 선생님은 수업이 나에게 무

척 중요한 것처럼 생각되도록 만든다. ① ② ③ ④ ⑤

9.표현 활동 선생님은 나에게 수업에 대

해 흥미를 느끼도록 만든다. ① ② ③ ④ ⑤

10.내가 표현 활동 시간에 배우는 게임

은 나에게 유익하다. ① ② ③ ④ ⑤

[질문] 여러분은 표현 활동수업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 까?

전혀 아니다

거의 아니다

가끔 그렇다

자주 그렇다

매우 그렇다

11.표현 활동 선생님은 나에게 학습

에 대한 재미를 느끼도록 만든다. ① ② ③ ④ ⑤

12.나는 표현 활동 선생님이 수업을

지루하게 만든다고 느낀다. ① ② ③ ④ ⑤

13.나는 표현 활동 시간에 배우는 게

임이 나에게 유익하다고 느낀다. ① ② ③ ④ ⑤

14.내가 표현 활동 시간에 배우는 게 임은 나에게 별로 중요하지 않은 것처럼 생각된다.

① ② ③ ④ ⑤

15.표현 활동 선생님은 학습에 대한

재미를 잃게 만든다. ① ② ③ ④ ⑤

16.표현 활동 선생님은 수업이 나에

게 도움이 되도록 가르친다. ① ② ③ ④ ⑤

17.표현 활동 선생님은 학습이란 나 에게 매우 가치 있는 것이라고 생 각되도록 만든다.

① ② ③ ④ ⑤

18.표현 활동 선생님은 학습이란 나 에게 유익하지 않은 것이라고 생 각되게 만든다.

① ② ③ ④ ⑤

19.표현 활동 선생님은 나에게 체육

에 대한 흥미를 갖게 만든다. ① ② ③ ④ ⑤

20.표현 활동 시간에 배우는 게임은 나에

게 학습에 대한 재미를 갖게 만든다. ① ② ③ ④ ⑤

오 랜 시 간 성 실 히 조 사 에 응 하 여 주 셔 서 감 사 합 니 다 .

참 고 문 헌

<국내문헌>

김두훈(2003). 청소년 스포츠 참여와 학습태도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상명대 학교 교육대학원.

김수천(1971). 문담 유형과 학업성취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대교육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김종희(2001). 5분 명상이 초등학생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창원 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 철(2003). 기독교 묵상이 대학생들의 주의력집중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남궁선주(2009). 표현활동 수업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석 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pp11-13

무용교육학회(1996). 무용교육이란 무엇인가?. 서울: 한학문화사.

박순이(2000). 아동 신체활동의 즐거움 검사지 개발 및 활용. 경북대학교 박사학 위 논문.

박준희(1998). 아동 무용활동이 생활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학회 제9권.

박준희(2010). 무용수업에서 학습환경과 교사의 피드백 지각이 내적 동기에 미치 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2010년 제49권, 361-372. 조선대학교.

박중길(2008). 무용 전공 대학생의 지각된 학습환경에 따른 무용 수업 흥미. 한 국체육학회지 제2008년 제 47권 제 3호 439-449. 고려대학교.

박중길(2011). 혼성과 동성학급에서 중학생의 체육 수업 태도와 자기효능감, 결 과 기대. 한국체육학회지 제50권 제6호, 1-13. 고려대학교. pp 2-8, 46-60.

박중길 외(2011). 체육교사의 피드백과 학습환경 지각이 중학생의 수업관련 만족

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지 제2011년 제6호, 1-12. 고려대학교.

우명일(2009). 초등학생의 신체적 자기 효능감과 체육수업태도.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교육대학원. pp1, 6-8

원용호(2004). 초등학생의 스포츠참여와 학교 학습태도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정기호(2008). 초등체육의 학습환경요인과 수업태도와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제 17권 제4호, pp921~929.

장상환(2005). 초등학생의 체육교과 영역별 선호도 분석.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pp 5.

정성태(1988). 체육과 교육. 서울:갑을출판사.

조하희(1998). 학습환경과 심리적 제변인과의 상관연구. 인문사회과학논문집 제 27집. pp 172,174.

최민영(2008). 초등학교 고학년 표현활동 영역수업의 교육적 효과. 석사학위논 문. 한양대학교 무용교육대학원. pp 1-3.

최민정(2009). 신체표현활동이 초등학생들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학예발표회 중심으로-.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pp7

한수정(2000). 초등학교 무용 교육의 현황조사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황정규(1984). 학교학습과 교육평가. 서울: 교육출판사.

<국외문헌>

Anderson, E. S., Wojcik, J. R., Winett, R. A., & Williams, D. M. (2006).

Social-cognitive determinants of physical activity. Health Psychology, 25(4), 510-520.

Bagozzi, R. P., & Burnkrant, R. E. (1979). Attitude and attitude-behavior relationship.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7, 913-929.

Bernstein, E., Phillps, S. R., & Silverman, S. (2011).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toward competitive activities in physical education.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30, 69-83.

Birtwistle, G. E., & Brodie, D. A. (1991). Children's attitudes towards activity and perceptions of physical education. Health Education Research, 6(4), 465-478.

Dismore, H., & Bailey, R. (2010). It's been a bit of a rocky start:

Attitudes toward physical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Pedagogy, 15(2), 175-191.

Fazio, R. H., & Zanna, M. P. (1981). Direct experience and attitude-behavior consistency. In L. Berkowitz (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pp. 161-202). New York:

Academic.

Fishbein, M., &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on- Wesley.

Hicks, M. K., Wiggins, M. S., Crist, R. W., & Moode, F. M. (2001). Sex differences in grade three students' attitude toward physical activity. Perceptual and Motor Skills, 93(1), 97-102.

Hilgard, E. R. (1980). The trilogy of mind: Cognition, affection, and conation. Journal of the History of Behavioral Sciences, 16, 107-117.

Hunuk, D., & Demihan, G. (2010). Turkish adolescents'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Perceptual and Motor Skills, 111(5), 324-332.

McGuire, W. J. (1989). The structure of individual attitudes and attitude system. In A. R. Pratkanis, S. J. Breckier, & A. G. Greenwald (Eds.), Attitude structure and function (pp. 37- 69).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Shropshire, J., Carroll, B., & Yim, S. (1997). Primary school children's attitudes to physical education: Gender Differences. Europ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2, 23-38.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0-6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