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NOAA-7,9,11

1. 표층수온(SST, Sea Surface Temperature)

⑴ 1998년

1998년 제주도 서부 해역에서 NOAA 위성을 통해 관측된 SST의 분포 특 성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Fig 7). 2월과 4월에 관측된 SST 자료들은 제주 도 서부 연안해역과 바깥해역이 거의 균질한 수온 분포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었다.

그러나, 5월에 관측된 SST 자료에서는 제주도 서부 연안해역이 바깥해역보 다 상대적으로 약 2℃정도 낮게 나타내고 있었다. 분포양상은 연안에서 바깥 을 향하여 부채꼴 형태로 넓게 퍼져나가는 양상을 이루고 있었다. 7월과 8월 에 관측된 SST 자료들에서는 여름철이라는 계절적인 영향 때문에 대체적으 로 제주도 서부 해역의 표층수온이 고온이지만, 제주도 서부 연안해역과 바깥 해역과의 수온차가 약 1.5℃정도이다. 분포양상은 5월의 분포양상과 유사한 형태이나 그 분포범위가 좁게 나타나고 있었다. 11월의 SST 자료를 분석해 보면, 제주도 서부 연안해역이 바깥해역보다 상대적으로 약 1.5 ℃정도 낮게 나타났다. 분포양상은 제주도 서부 연안선을 따라 남북으로 길게 퍼져있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와 같이 5월 - 11월에 관측된 SST 자료에서 제 주도 서부 연안해역이 바깥해역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수온 분포 특성을 나타 내고 있었다. 이것은 연안에서 저층의 저온 해수가 표층으로 공급되어 연안 해역이 바깥해역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수온 분포 특성을 형성하게 만드는 연 안용승(coastal upwelling) 또는 연안에서 조석의 영향에 의해 저층의 저온 해 수와 표층 해수와의 강한 혼합이 이루어져 바깥해역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수 온 분포 특성을 형성하게 하는 조석혼합(tidal mixing)에 의한 것이라고 생

각한다. 이것은 기존의 연구결과(방과 김, 1993; 강 등, 1996; Kim and Lee, 1982)와 잘 일치하고 있다.

12월의 SST 자료에서는 제주도 서부 연안해역과 바깥해역이 대체적으로 균질한 수온 분포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는데, 계절이 겨울철인데 비해 수온이 높다는 것은 대마난류에서 분지하여 제주도를 오른쪽에 끼고 시계방향으로 돌아나가는 제주난류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생각한다(Lie et al., 1998).

Feb. 15. 1998 Apr. 27. 1998

May. 30. 1998 Jul. 27. 1998

Fig. 7. Sea Surface Temperature(SST) distributions in the western sea area of Cheju Island in 1998 by NOAA Satellite.

Aug. 04. 1998 Nov. 01. 1998

Dec. 21. 1998

Fig. 7. (continue).

⑵ 1999년

1999년 제주도 서부 해역에서 NOAA 위성을 통해 관측된 SST 자료들을 분석해보면(Fig. 8), 1월 - 4월까지 관측된 SST 자료에서는 제주도 서부 연 안해역과 바깥해역이 거의 균질한 수온 분포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그러나, 5월에 관측된 SST 자료에서는 제주도 서부 연안해역이 바깥해역보 다 약 3℃정도 낮게 나타났고, 연안에서 바깥쪽으로 부채꼴 형태로 퍼져나가 는 분포양상을 띠고 있었다. 6월에서는 제주도 서부 연안 해역이 바깥역보다 약 2.5℃정도 낮게 나타났고, 제주도 남서 연안에서 바깥쪽으로 부채꼴형태로 퍼져나가는 분포양상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와 같이 5월과 6월의 SST 분포 특성은 1998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연안용승 또는 조석혼합에 의해서 형성 된 수온분포 특성이라고 생각된다.

Jan. 28. 1999 Feb. 22. 1999

Mar. 31. 1999 Apr. 29. 1999

May. 28. 1999 Jun. 14. 1999

Fig. 8. Sea Surface Temperature(SST) distributions in the western sea area of Cheju Island in 1999 by NOAA Satellite.

⑶ 2000년

2000년 제주도 서부 해역에서 NOAA 위성을 통해 관측된 SST 자료들을 분석해보면(Fig. 9), 2월, 3월, 4월에 관측된 SST 자료들에서는 제주도 서부 연안해역과 바깥해역이 거의 균질한 수온 분포를 나타내고 있었다.

그러나, 5월에 관측된 SST 자료에서는 제주도 서부 연안해역이 바깥해역보 다 상대적으로 약 2℃정도 낮게 나타났다. 분포양상은 고산 앞 연안해역에서 남동방향의 바깥쪽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6월 SST 자료에서는 5월과 마찬가 지로 연안해역이 바깥쪽보다 상대적으로 약 2℃정도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분포양상은 제주도 서부 연안선을 따라 길게 분포하면서 남서방향의 바깥쪽 으로 돌출된 형태를 이루고 있었다. 8월 SST 자료에서는 제주도 서부 연안 해역이 바깥해역보다 상대적으로 약 2.5℃정도 낮은 수온 분포특성을 나타내 었고, 제주도 서부 연안선을 따라 부채꼴 모양으로, 남서 방향의 바깥쪽으로 넓게 분포하고 있다. 9월 자료에서는 제주도 서부 연안해역이 바깥쪽보다 상 대적으로 약 2℃정도 낮게 나타났고, 제주도 서부 연안선을 따라 바깥쪽으로 퍼져나가는 분포양상을 나타내고 있었다. 11월 자료에서는 제주도 남서 연안 해역이 바깥해역보다 상대적으로 약 3.5 ℃정도 낮은 수온 분포특성을 나타내 었다. 분포양상은 제주도 남서 연안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분포양상을 하고 있었다. 따라서 5월 - 11월 동안에 관측된 SST 분포특성은 1998년, 1999년 과 마찬가지로 연안용승 혹은 조석혼합에 의해 형성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한 다.

12월에 관측된 SST 자료에서는 제주도 서부 연안해역과 바깥해역이 거의 균질한 수온 분포특성을 나타내고 있었고, 1998년 12월의 SST 자료와 마찬가 지로 제주난류의 영향을 받아 고온의 해수가 제주도 서부 해역에 분포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Feb. 29. 2000 Mar. 17. 2000

Apr. 16. 2000 May. 28. 2000

Jun. 06. 2000 Jul. 21. 2000

Fig. 9. Sea Surface Temperature(SST) distributions in the western sea area of Cheju Island in 2000 by NOAA Satellite.

Aug. 28. 2000 Sep. 19. 2000

Nov. 06. 2000 Dec. 01. 2000

Fig. 9. (continue).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