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평가 및 마스터링

문서에서 컴퓨터와 멀티미디어 교육 (페이지 36-55)

Flowchart- Harry and the Haunted House

5. 평가 및 마스터링

평가 및 수정

사전 마스터링

• 프로그램을 국제포준조직(ISO)이 인정한 광 매체정보기록표준방식으로 변환

( )

• 검사: CD-ROM으로 개발되었다고 가정하여 프로그램 검토

• 마스터링: 사전마스터링 한 내용을 글래스 마스터디스크에 기록

검사 및 마스터링

멀티미디어의 설계와 개발

멀티미디어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이론적 근거

 듀얼코딩(dual coding)의 원리

◆ 데일(Dale)의 경험의 원추

◆ 브루너(Bruner)는 학습경험을 크게 직접적·목적적 경 험 (direct purposeful experience), 영 상 을 통 한 경 험 (iconic experience), 상 징 적 경 험 (symbolic experience)의 세 유형으로 분류하고, 이에 따라 학습형태가 행위에 의한 학습, 영상을 통한 학습, 추상적·상징적 개념에 의한 학습(언어적 설명)으 로 진행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스마트교육

스마트교육의 개념

스마트러닝은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요구되 는 새 로 운 교 육 방 법 (pedagogy), 교 육 과 정 (Curriculum), 평가(Assesment), 교사(Teacher) 등 교육 체제 전반에 변화를 이끌기 위한 지능형 맞춤 교수-학습 지원체제

최상의 통신 환경을 기반으로 인간을 중심으로 한 소셜러닝(social learning)과 맞춤형 학습(adaptive learning)을 접목한 학습 형태

 스마트(SMART) 교육은 디지털세대의 특성 및 사회변화를 고려한 역량중심 교육체제 로의 전환 모색

 (전통적으로 중시하던 3R(읽기 reading, 쓰 기 writing, arithmetic 셈하기) 보다는)

 4C 강조

 creativity 창의성

 citizenship 인성

 collaboration 협업능력

 communication 의사소통능력

스마트 학습 (SMART Learning)

스마트 교육은 "21세기 학습자 역량 강화를 위한 지능형 맞춤 학습 체제로 교육환경, 교 육내용, 교육방법 및 평가 등 교육체제를 혁신하는 동력“을 말한다(에듀넷, 2015).

40

 교육내용:

 디지털교과서의 단계적 개발, 스마트 학습 모델 개발 및 적용, 디지털교과서 법·제도의 정비를 통한 디지털 교과서 확대 및 적용을 추진한다.

 교육방법 및 평가:

 정규교과온라인 수업 활성화, 온라인 대학과목 선이수(UP)제 도 활성화, 국가 및 학교수준 온라인평가 체제도입, 온라인 기 초학력진단·처방 체제를 구축

교육체제의 통합적 변화 모색

 교육환경:

 교육콘텐츠의 공공목적 이용활성화와 역기능 해소를 위한 정보통신 윤리교육의 강화

 교원의 스마트교육 역량을 강화

 스마트교육 학교 인프라 구축

 교육콘텐츠 오픈마켓 조성

 스마트교육 표준 플랫폼 개발 추진

교육체제의 통합적 변화 모색

국정과제와의 연계성 검토

44

국정과제와의 연계성 검토

45

ㆍ학생들의 목표 도달 여부와 상관없이 진도를 나가는 학습이 아님 ㆍ학생들마다의 개인차를 인정하는 맞춤 학습

ㆍ합의된 교육과정 목표 설정

ㆍ다양한 정보가 제공되는 교육 자료 확보 및 제공 ㆍ학생들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하는 학습 방법 구현

ㆍ정해진 시간이외에도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학습할 수 있는 환경 구축

ㆍ참고서가 별도로 없어도 교과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가 제공되는 교과서 : 학생 입장에서 이해한다는 관점, 다양한 자료 관점

ㆍ교과 내용을 평가할 수 있는 문제를 풀고, 부족한 점을 확인하고, 보충, 심화할 수 있 는 교재 : 문항의 양과 질적 문제, 확인 방안, 개인별 수준에 맞는 보충, 심화학습 제공

참고서와 문제지가 필요 없는 교과서

교과서 완결학습 체제 개념

모든 학생이 교육과정 목표에 도달하는 완결학습

교육 내용, 방법, 환경의 통합적 체제

To-Be 창의교육

ㆍ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한 교과서 ㆍ언제 어디서나 학습이 가능한 환경

‘교과서 완결 학습’체제 마련

ㆍ협력 학습 기회 확대

ㆍ발표, 토론, 조사 등 학생 참여 수업

인성교육 중심 수업 강화

ㆍ학교 공부만으로 대학 진학이 가능 ㆍ개별화 맞춤학습 지원

사교육비 경감 정책 추진

As-Is 입시교육

정보 압축형 교과서

교과서 지식 전달 수업 (강의식 수업)

적성ㆍ소질 존중 교육 미흡

과도한 사교육비

서책형교과서와 연계한 디지털교과서 활용 학습체제

풍부한 학습자료 구성

다양한 학습 활동 기능 제공

수준별, 영역별 프로그램 연계

46

국정과제와의 연계성 확보

고른 교육기회 보장을 위한 교육비 부담 경감

언어 및 아동 심리 전문가 들이 제공하는 특별

수업을 통해 다문화 가정 학생의 학습 역량 향상

저소득층 자녀들이 수준 높고 다양한 방과후 학습 프로그램

참여 기회 제공

도서•벽지 학생에게 도시와 동등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도심 아이들에게 다양한 농어촌 체험 제공 병원에서 지내는 학생 및

장애학우들이 실시간 으로 수업에 참여 할 수 있

는 기회 제공 다문화가정

농산어촌 소외계층

장애학생

47

교과서 완결학습 체제의 큰 기대효과

디지털 교과서

디지털 교과서

추진 현황

2007년부터 디지털교과서 개발 사업을 시범적으로 추진

•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방안’ 수립 및 발표 : ’13 년 상용화를 목표로 디지털 교과서 개발 시범 적 용(‘07.3)

디지털교과서 플랫폼 개발

• 디지털교과서 콘텐츠의 원활한 작동과 다양한 상 호작용 및 학습관리 등을 지원하는 국가,국제표 준에 따른 디지털교과서 플랫폼 개발(SCORM 2004, KEM 3.0기준)(‘08.12)

• 윈도우, 리눅스 공동 활용 통합 플랫폼 개발 (’08.12)

50

201 4

2015~

2017 2013

2012

디지털 교과서

디지털 교과서

문제점

사용자의 편의 등을 고려한 디지털교과서 개발 미흡

• 현재까지의 디지털교과서는 여러 가지 기능들이 다소 복잡하게 설계되어, 사용자를 위한 편의성 고려 미흡

•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자료, 생각하고 창의성을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 텐츠 개발 부족

• 민간 출판사가 디지털교과서를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개발 표준(저작도구, 뷰어) 및 내용, 기 술 표준 등 부재

디지털 교과서

문제점

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효과적 교수-학습 모델 계발 미흡

•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수-학습 방법 연구 등이 진행되 었으나, 수업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모델이나 과정안 개발, 공유 미흡

 디지털교과서 법, 제도적 기반 취약

• 교과서로서의 지위 확보를 위한 법적 근거가 취약하여 교과용 도서에 관한 규정 개정 필요

• 디지털 교과서 검,인정 절차, 심사기준, 유통체계 등 부재

디지털 교과서

문제점

기존의 디지털교과서 사업은 막대한 재원소요가 예상 되어 사업의 지속적 추진 애로

• 단말기 보급을 기반으로 한 기존의 디지털교과서 사업은 막대한 재원 소요가 예상되어 “e-교과서 의 사업 틀 내에서 연계 운영하는 방안”으로 추 진(‘11.1)

• 초등 4~6학년을 대상으로 디지털교과서 4과목 (국,영,수,과)보급 시 약 2조원 소요

문서에서 컴퓨터와 멀티미디어 교육 (페이지 36-5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