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상자의 수술 후 통증정도와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로지스틱 회귀 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환자의 특성 수술적 요인 마취적 요, , 인으로 나누어 상관관계가 있는 변수들과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변수들로 분 석하였다.

다중 공선성 분산팽창인자(variation inflation factor, VIF) 값은 로 측정되었다 이 값은 을 넘지 않으므로 독립 변수간 다중

1.000~4.557 . 10

공선성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었으나 마취시간과 마취 중 투여된, remifentanil 양 수액양은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임상적으로 투여된 약물과 수액, , 의 양은 마취시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므로 마취시간을 대푯값으로 독립변수 에 사용하였다.

종속변수는 통증점수를 낮음(0-4 )점 와 높음(5-10 )점 로 나누어 높은 통증점 수를 가질 위험을 분석하였다.

가 수술 후. 24시간 활동 시 통증 관련요인

Table 6.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ctivity pain in 24hr.

TE, tissue expander; PACU, post anesthesia care unit

Model I Model II Model III

OR 95% CI OR 95% CI OR 95% CI

AGE<41 1 1 1

40<AGE<51 0.4 0.15 1.26 0.5 0.16 1.74 0.4 0.09 1.51

50<AGE 0.5 0.13 1.57 0.4 0.11 1.55 0.1 0.03 0.76

BMI 0.9 0.79 1.09 0.9 0.74 1.15 0.9 0.69 1.15

neo_adjuvant 0.4 0.11 1.72 0.4 0.08 1.97 0.2 0.04 1.56

pre_operation 0.4 0.1 1.63 0.5 0.12 2.34 0.4 0.07 2.14

nipple- sparing 1 1

total

mastectomy 2.5 0.77 8.30 9.1 1.79 46.2

skin- sparing 1.9 0.39 8.93 4.2 0.7 24.8

specimen 1 0.99 1 1 0.99 1

TE vol. 1.0 1 1 1 1 1.03

TE initial vol. 1 0.98 1 1 0.98 1

anes. time >4hr. 0.1 0.04 0.52

Desflurane 1

Sevoflurane 2 0.39 9.89

OP_opioid 2.5 0.63 10.2

PACU_opioid 3.3 1.01 10.6

나 수술 후. 48시간 활동 시 통증 관련요인

Table 7.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ctivity pain in 48hr.

TE, tissue expander; PACU, post anesthesia care unit

Model I Model II Model III

OR 95% CI OR 95% CI OR 95% CI

AGE<41 1 1 1

40<AGE<51 0.5 0.18 1.65 0.6 0.17 2.08 0.6 0.15 2.11

50<AGE 0.5 0.13 1.84 0.5 0.12 1.98 0.5 0.1 2.16

BMI 0.8 0.67 0.97 0.7 0.57 0.95 0.7 0.56 0.95

neo-adjuvant 4.5 0.83 24.5 11.9 1 141.33 11.3 0.79 160

pre-operation 0.2 0.03 2.14 0.2 0.02 2.49 0.2 0.02 2.66

nipple sparing 1 1

total

mastectomy 0.8 0.22 3.12 0.8 0.2 3.27

skin sparing 1.6 0.27 9.60 1.7 0.26 10.8

specimen 1 1 1.01 1 1 1.01

TE vol. 1 0.99 1.01 1 0.99 1.01

TE initial vol. 1 0.99 1.01 1 0.99 1.01

anes. time >4hr. 1 0.3 3.11

Desflurane 1

Sevoflurane 1.3 0.17 9.34

OP opioid 0.8 0.23 2.75

PACU opioid 2.2 0.71 7.09

고찰

일치한다(Lanford et al., 2015; Rehberg et al., 2017; Andersen and 젊은 환자의 통증이 더 심한 이유로는 Kehlet, 2011; Vilholm et al., 2008).

젊은 환자에서 발견된 종양이 좀 더 진행되고 공격적인 양상이기 때문에 치료 2003; Howard-Anderson et al., 2012) .

환각 유방감각(phantom breast sensation)이 젊은 환자에서 더 많이 발견된 다는 보고(Hansen et al., 2011)를 함께 고려해 볼 때 젊은 환자에서 수술 후

회복에 있어서 좀 더 세심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북미와 유. ,

시간내에 을 투여한 경우 에 만성 통증 발생이 24 morphine (Cho et al., 2013)

유의하게 크다는 연구들을 고려했을 때 향후 같은 환자군을 대상으로 만성통, 증 발생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높여준다.

마취제와 통증과의 관련성을 본 연구결과에는 정맥 마취제보다 흡입 마취제 를 사용한 경우 만성통증 발생이 적었다(Steyaert et al., 2016)는 결과와

에 비해 이 만성통증 발생 위험을 높였다

Propofol Sevoflurane (Cho et al.,

는 결과가 서로 일치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Miaskowski et al., 2012) .

첫째 기존 연구들의 환자군이 다양한 재건 수술을 모두 포함하여 연구한 결, 과인데 반해 본 연구는 조직 확장제를 이용한 재건 수술을 한 환자군 만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일 수 있다 둘째 위 연구들의 체질량 지수의 평균이. , 26 인데 비해 본 연구에서는 22정도로 같은 조직확장제라도 작은 체질량지수에 서 상대적으로 크고 이는, Gassman의 연구에서처럼 절대적인 조직 확장제의

크기에 따른 통증(Gassman et al., 2016)이 아닌 상대적인 크기의 통증의 차 이로 생각 할 수 있다 환자들의 체질량지수가 높은 경우 가슴이 처진 경우가. 많고 이 경우 횡복직근 피판을 이용한 재건수술이 용이하고 이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게 된다 반면 조직 확장제를 이용한 재건수술의 선택한 환자들의. 체질량지수는 피판을 이용한 환자군에 비해 비교적 작다 이처럼 재건 수술의. 종류에 따라 환자들의 특징이 달라지게 되므로 각 재건수술 방법에 따른 추가 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연구 대상자들이 서울의 종합병원 한 곳에서 1년간 수술 받은 명의 환자로 이루어져 표본의 대표성에 한계가 있으며 결과를 일반화시키

92 ,

기 어렵다 그러나 본 연구는 유방절제술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재건 수술 중. 조직 확장제를 이용한 환자들만을 대상으로 하여 이 수술 이후의 급성통증과 환자의 특성 수술 마취적 요소를 분석 하였다는데에 의의가 있으며 이에 따, , , 라 조직 확장제를 이용한 재건수술을 받은 환자들의 주술기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향후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조기 유방암 환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수술 후 통증조절과 이에 따른 만성통증의 양상 및 다른 방법을 통한 재건수 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 .

본 연구는 조기 유방암 환자에서 유방 절제술과 조직 확장제(tissue 를 이용한 재건수술을 받는 경우 급성통증과 관련요인을 분석하였 expander)

다 유방 절제술과 재건수술을 받은 후. 급성통증은 환자의 나이가 어릴수록, 전 절제술을 할 때 마취시간이, 4시간 이하일 때와 회복실에서 마약성 진통제 를 사용한 경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체질량 지수가 높을 때 낮은 통증점수를. 보였다. 임상에서 이러한 요인을 고려하여 주술기 관리가 행해져야 할 것이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