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통계 처리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7-59)

읽기 과제와 그림설명하기 과제 수행 시 조음중증도(경도,경도-중등도)별 화 자의 말명료도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조음중증도와 과 제 유형(읽기 과제,그림설명하기 과제)에 따라 말명료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보기 위해 이요인 혼합분산분석(two-way mixed-design ANOVA)을 실시하였다.

이요인 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한 후 유의한 상호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Bonferroni 교정을 사용한(corrected alpha=.025,overallalpha=.05)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 하였다.경도와 경도-중등도 집단 모두를 대상으로 두 과제간 말명료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화자의 조음중증도별로 두 과제 간 말명료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 다.모든 통계처리는 통계분석패키지인 윈도우용 SPSS21.0을 사용하였다.

화자

중증도 과제 청자의

수(명)

말명료도(%)

평균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경도

읽기 30 94.03 4.46 81.40 100.00

그림설명하기 30 94.39 5.75 80.27 100.00

경도-중등도

읽기 30 72.65 14.73 42.78 96.68

그림설명하기 30 78.05 12.07 61.63 99.26

I V.연구 결과

1. 경직형 마비말장애인의 조음중증도(경도, 경도-중증도)와 과제 유형(읽기, 그림설명하기)에 따른 말명료도 비교 결과

경직형 마비말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읽기와 그림설명하기 과제 수행 시 말명료 도를 측정한 결과는 <표-4>에 제시하였다.읽기 과제와 그림설명하기 과제 모두 경도 집단의 평균 말명료도가 경도-중등도 집단의 평균 말명료도보다 높았으며, 경도-중등도 화자의 말명료도 표준편차가 경도 화자의 표준편차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과제 유형에 따른 말명료도는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경도 집단의 경 우 과제별 평균 말명료도가 비슷하였으나 경도-중등도 집단은 읽기 과제보다 그 림설명하기 과제의 평균 말명료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표-4>경직형 마비말장애인의 과제 유형별 말명료도 기술통계 결과

제 III

유형 제곱합 자유도 평균 제곱 F 유의확률 과제 유형 220.12 1 220.12 11.96 .001**

중증도 10482.18 1 10482.18 57.96 .000***

과제 유형×중증도 165.81 1 165.81 9.01 .004**

이러한 평균 말명료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살펴보기 위하여 이요인 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5>와 같다.분석 결과,과제 유형과 조음중증 도에서 각각 유의한 주효과가 있었으며,과제 유형과 조음중증도 간 유의한 상호 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1,58)=9.01,p=.004)

<표-5>조음중증도(경도,경도-중등도)와 과제 유형(읽기 과제,그림설명하기 과 제)에 따른 말명료도 차이 분석 결과

**p<.01,***p<.001

<그림-1>은 화자의 중증도와 과제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를 도표로 나타 낸 것이다.기술통계 결과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경도와 경도-중등도 화자의 평 균 말명료도는 서로 다른 양상을 나타냈는데 경도 집단은 과제 유형간 말명료도 의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경도-중등도 집단은 그림설명하기 과제의 말 명료도가 읽기 과제의 말명료도에 비해 높은 모습을 보였다.이러한 양상을 확인 하기 위해 조음중증도별 화자 집단내에서 Bonferroni교정을 사용하여(corrected alpha=.025,overallalpha=.05)과제 유형간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해 평균 말명 료도를 비교한 결과,경도 집단은 과제 유형 간 평균 말명료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t(29)=-.39,p=.702),경도-중등도 집단에서는 그림설명하기 과 제의 평균 말명료도가 읽기 과제에서의 평균 말명료도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t(29)=-3.95,p<.001).

<그림-1>화자의 조음중증도와 과제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

2. 읽기 과제와 그림설명하기 과제간의 말명료도 상관분석 결과

읽기 과제와 그림설명하기 과제 간 전반적인 상관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경도, 경도-중등도 집단 모두를 대상으로 과제 간 말명료도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상 관계수가 .90으로 매우 높았으며,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인 것으로 나타났다(p<.001).

경도 집단에서 읽기 과제와 그림설명하기 과제 간의 말명료도 상관을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가 .53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02).

경도-중등도 집단의 읽기 과제와 그림설명하기 과제 간의 말명료도 상관분석 결과 역시 상관계수 .86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V.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경직형 마비말장애인을 대상으로 조음중증도 및 과제 유형에 따라 말명료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으며,과제 유형간 말명료도가 어떠한 상관을 보이는지 조사하였다.이를 통해 경직형 마비말장애인의 말명료도 특징을 파악하 고 향후 치료 방향을 선정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연구결과 요약

첫째,경직형 마비말장애 화자의 조음중증도와 과제 유형별 말명료도를 비교한 결과 읽기 과제와 그림설명하기 과제 모두 경도 집단의 평균 말명료도가 경도-중등도 집단의 평균 말명료도보다 높았으며,경도-중등도 집단의 경우 그림설명 하기 과제의 평균 말명료도가 읽기 과제의 평균 말명료도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 타났다.

둘째,읽기 과제와 그림설명하기 과제간 말명료도의 상관을 보이는지 살펴보 았다.경도 집단과 경도-중등도 집단을 모두 포함하여 과제 유형간 말명료도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그림설명하기 과제와 읽기 과제간 유의하게 높은 정적 상관 이 나타났다.

경도 집단의 경우 과제간 말명료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경도-중 등도 집단 역시 과제 간 말명료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 논의

1 .조음중증도와 과제 유형에 따른 말명료도 비교

경도 집단의 평균 말명료도가 경도-중등도 집단의 평균 말명료도보다 높게 나 타난 결과는 조음 능력이 좋을수록 말명료도가 높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의 연 구 결과와 일치한다(송한내 외,2013;최여진,2013;Ellis& Fucci1992;Hustad

& Katherine,2008;Platt,Andrews,& Howie,1980).

송한내 외(2013)는 조음중증도별로 말명료도를 비교한 결과 중증도가 경도인 집단이 경도-중등도 집단보다 더 높은 말명료도를 보였으며,Plattetal(1980)은 마비말장애인의 조음중증도가 심할수록 조음오류의 빈도가 많아 말명료도가 낮 게 나타난다고 하였다.이러한 결과들은 마비말장애인의 조음중증도가 말명료도 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은(2013)은 마비말장애인의 조음중증도(경도,경도-중등도)에 따라 말 운동 통제(speechmotorcontrol)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고 하였다.경도-중등도 집단이 경도 집단보다 제한된 운동 수행력을 보여 말 운동 통제 능력이 낮은 모 습을 보였으며 이는 조음중증도가 심할수록 말산출 근육의 약화,마비,불협응 등으로 인해 운동 조절이 불완전하기 때문으로 분석하였다.

경도-중등도 집단에서 그림설명하기 과제의 평균 말명료도가 읽기 과제의 평균 말명료도 보다 높게 나타난 연구 결과는 Baudonck etal.(2009)와 Hustad(2007) 의 결과를 지지한다.

Hustad(2007)는 마비말장애인의 조음중증도(경도,중등도,중도,최중도)에 따 라 과제 유형(낱말 읽기,문장 읽기,이야기)간 말명료도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한 결과,최중도 집단을 제외하고는 과제 유형에 따라 평균 말명료도에 유의한 차이 가 있음을 보고하였다.경도,중등도,중도 집단에서 자발화 과제인 이야기 과제 의 평균 말명료도가 낱말과 문장수준의 읽기 과제 수행 시 평균 말명료도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이러한 결과는 최중도 집단의 경우 낮은 조음능력으로 인해

청자가 화자의 음향소리를 이해하기 어려워 문맥 정보를 파악하는 데 제한을 갖 는 반면 최중도 집단 보다 상대적으로 조음오류가 덜 심각한 경도,중등도,중도 마비말장애 집단의 경우 청자가 문맥 정보를 많이 활용할 수 있는 이야기 과제 의 말명료도가 읽기 과제 보다 높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하였다.

Baudoncketal.(2009)역시 그림설명하기 과제의 경우 화자가 이야기 하는 주 제를 청자가 추측하는 것이 읽기 과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쉽기 때문에 그림설명 하기 과제의 평균 말명료도가 읽기 과제의 평균 말명료도 보다 높게 나타났다고 해석하였다.일반적으로 그림설명하기 과제는 그림으로 제시 가능한 구체적인 상 황이나 내용을 사용한다.따라서 화자가 그림을 보며 산출한 발화는 청자들이 읽 기 과제에 비해 그 내용을 상대적으로 더 쉽게 느낄 수 있으며 읽기 과제 보다 더 구체적인 문맥 정보(contextualinformation)를 얻을 수 있다(Baudoncketal., 2009).이로 인해 읽기 과제 보다 그림설명하기 과제에서 화자가 산출하는 단어 와 문법 사용 능력을 청자가 좀 더 쉽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특히 조음중증 도가 더 심한 경도-중등도인 화자 발화의 경우 청자가 문맥정보를 보다 더 적극 적으로 활용하여 그림설명하기 과제의 평균 말명료도가 읽기 과제 보다 높게 나 타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Kempler& Van Lanker(2002)는 본 연구 결과와 다소 다른 결과를 보 고하였다.Kempler& Van Lanker(2002)는 파킨슨씨병 환자를 대상으로 과제 유 형(스스로 말하기,따라말하기,읽기,반복되는 노래하기,자발적으로 노래 부르 기)에 따른 평균 말명료도를 비교한 결과,스스로 말하기 과제보다 읽기 과제의 평균 말명료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이러한 결과는 시각적 단서의 유무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하였는데,Kempler& Van Lanker(2002)의 연구 에서 시각적 단서가 제공된 읽기 과제에 비해 시각적 단서가 제공되지 않았던 스스로 말하기 과제의 경우 화자가 말산출을 위한 운동을 개시하는 데 어려움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스스로 말하기 과제의 평균 말명료도가 더 낮게 나타났다 고 하였다.이는 읽기 과제의 경우 제공되는 시각적 단서가 화자가 발화를 계획 하고 시작하는 데 필요한 노력을 감소시켰을 수 있음을 뜻한다.하지만 Kempler

& Van Lanker(2002)와 본 연구는 사용한 과제에 차이가 있었다.Kempler&

Van Lanker(2002)의 연구에서 스스로 말하기 과제의 경우 화자의 어린 시절에

대해 이야기하는 주제를 사용하여 자발화를 수집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그림설 명하기 과제를 사용하여 화자에게 그림 단서가 제공되었으며 그림의 내용을 스 스로 설명하는 방법으로 발화를 수집하였다.따라서 시각적 단서의 유무로 말명 료도의 차이를 해석한 Kempler& VanLanker(2002)의 연구와 읽기 과제와 그림 설명하기 과제 모두 화자에게 시각적 단서가 제공되었던 본 연구의 결과에는 차 이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연구에서 경도 집단은 읽기 과제와 그림설명하기 과제의 말명료도가 비슷하게 나타났다.이러한 결과는 Hustad(2007)의 연구 결과 중 경도 집단에서 도 과제 간 차이가 있었던 결과와 상반된 결과이다.이러한 차이는 사용한 실험 과제가 달랐기 때문으로 보인다.Hustad(2007)는 문장 말명료도 평가지(Sentence Intelligibility Test:SIT.,Yorkston,Beukelman,& Tice,1996)의 문항으로 문장 읽기 과제 발화를 수집하였으며 스포츠,자연재해,차량구매 방법의 주제로 이야 기 과제 발화를 수집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읽기 과제와 그림설명하기 과제를 사용하여 사용하였다.본 연구에서 사용한 읽기 과제는 우리나라 사계절 중 가을 의 아름다움을 묘사한 내용을 주제로 하였으며,그림설명하기 과제는 일상생활에 서 자주 접할 수 있는 공원과 시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그림단서를 사용하였다.

즉 경도-중등도 집단보다 조음오류가 덜한 경도 집단의 경우 난이도가 비슷하게 통제되고 일상생활에서 자주 겪을 수 있으며 일반적인 사람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의 읽기 과제와 그림설명하기 두 과제 모두 청자가 화자의 문맥 정보 를 크게 활용하지 않고도 화자의 발화를 이해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었던 것으 로 보인다.때문에 두 과제의 평균 말명료도에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은 것으 로 해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마비말장애 화자의 발화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 청자가 화자의 발화를 이해하는 데 마비말장애인 화자의 조음능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또한 조음중증도가 심할수록 화자가 발화한 문장의 문맥 정보를 청자 가 파악하는 정도가 전체적인 말명료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알 수 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7-5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