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토양수분관리 방법이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시험포장과 시험수 조건은 제1절 결실관리방법이 수량 및 과실품질에 미 치는 영향과 같았다.

1차년도에는 과실의 성숙기인 1999년 10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단수관 리구(斷水管理區)와 관수관리구(灌水管理區) 2수준과 12월 1일부터 2000년

Table 2-1. Treatment to control soil moisture level in the 1999-00 season.

Treatment Oct. ∼ Nov. Dec. ∼ Mar

DD Not irrigated Not irrigated

DW Not irrigated Irrigated

WD Irrigated Not irrigated

WW Irrigated Irrigated

3월 29일 수확시까지 월동기간에 단수관리구와 관수관리구 2수준을 조합하 여 4처리로 수행하였다(Table 2-1).

시험기간에는 외부로부터 비나 눈이 하우스 속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천정 비닐을 완전하게 피복하여 차단하였다.

토양수분 측정은 석고블럭을 조사나무의 수관 하부 토심 15 cm에 설치하 여 매일 오전 10시에 soilmoisture meter(model 5910-A)를 이용하여 토양수 분장력을 측정하였다. 관수관리구에서는 이 결과에 따라 -0.05 MPa일 때 점적관으로 관수를 실시하였으며, 단수 기간은 관수를 중단하였다.

2차년도에는 성숙기부터 월동기 전기간 즉 10월 상순부터 최종수확기인 다음해 3월 하순까지 토양수분을 -1.0∼-0.5 MPa 범위의 건조구, -0.5∼-0.1

MPa 범위의 소습구, -0.1∼-0.05 MPa 범위의 다습구로 나누어 관리하였다 (Table 2-2).

Table 2-2. Target soil moisture level in the 2000-01 season.

Treatment Target soil moisture tension

Low level -1.0 ∼ -0.5 MPa

Medium level -0.5 ∼ -0.1 MPa

High level -0.1 ∼ -0.05 MPa

수분관리는 FLORICOM(네타핌사, 이스라엘)을 이용하여 토양수분장력이 목표범위를 벗어나면 자동 점적관수가 되도록 하였다.

1, 2차년도 시험결과 성숙기의 당도가 낮으면 그 이후의 당도의 증가는 크지 않다는 것이 밝혀졌으므로 3차년도에는 과실 비대기의 건조스트레스와 성숙기 이후 토양수분 수준 조합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2001년 7월 21일부 터 9월 17일까지 단수를 실시하여 건조스트레스를 준 다음 2002년 3월 30일

수확할 때까지 소습(SD), 적습(SM), 다습(SW)의 3처리와 7월 21일부터 계 속 다습(NW)으로 관리한 처리 등 4처리를 난괴법 2반복으로 시험하였다 (Table 3-3). 토양수분관리는 전년도와 같이 FLORICOM을 이용하여 관수 량을 조절하였으며, 나무 8그루가 심어 있는 한 줄을 한 시험구로 처리하였 는데 가운데 2그루의 나무에 대하여 과실품질을 조사하였다.

Table 2-3. Treatment to induce drought stress during cell enlargement and thereafter target soil moisture level in the 2001-02 season.

Treatment July 21 ∼ Sep. 17 Sep. 17 ∼ Mar. 30

SD Not irrigated -1.0∼-0.5 MPa

SM Not irrigated -0.5∼-0.1 MPa

SW Not irrigated -0.05∼-0.03 MPa NW Irrigated (-0.05∼-0.03MPa) -0.05∼-0.03 MPa

잎수분포텐셜은 해뜨기 직전에 전년도 봄가지의 세번째 잎을 채취하여 가 압상법(pressure chamber)으로 측정하였다. 근활력은 수확후 4월 4일에 수 관내 1 m 내에서 동서남북 4군데를 토심 10 cm 내외, 가로×세로 30 cm의 흙을 떠서 그 속에 있는 뿌리 선단 10 cm의 세근을 채취하여 TTC법으로 조사하였다.

낙엽율 조사는 1, 2차년도에 수확하는 날 50cm 정도의 곁가지를 동서남북 으로 선정하여 전체 가지의 마디수에 대한 남은 잎의 비율로 계산하였다. 3 차년도에는 수확하기 전 3월 5일과 3월 18일에 1, 2차년도와 같은 방법으로 조사하였고, 수확후 낙엽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4월 13일 최종 조사를 하였다.

과실 횡경의 시기별 변화는 3차년도에 조사하였다. 생리적 낙과가 끝나는

시기인 2001년 7월 28일 시험구당 2그루에서 각각 20과씩 40과를 표지하여 2주 간격으로 최종 수확시인 2002년 3월 29일까지 조사하였다.

과실품질의 변화는 1차년도에는 1999년 11월 25일부터 대략 한달 간격으 로 5회에 걸쳐 처리당 3그루를 대상으로 각 10과씩 채취하여 당도, 산함량, 비중, 부피지수를 조사하였다.

2차년도에는 월동기부터 최종 수확시까지 한달 간격으로 3회에 걸쳐 처리 당 3그루에서 과실 10과씩 30과를 채취하여 1차년도와 같은 방법으로 조사 하였다.

3차년도의 과실 품질조사는 2001년 8월 20일부터 10일 또는 한달 간격으 로 중앙부위에 달려있는 과실을 나무당 10과, 시험구당 20과씩을 채취하여 당도, 산함량, 부피지수 등을 조사하였다.

유리당 함량은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료조제는 과피를 벗긴 후 과육을 일정량씩 분리한 후 착즙기를 이용하여 착즙한 과즙을 15 mL 튜브 에 넣고 3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징액을 취하여 0.45 ㎛ 여과지 로 여과한 후 200배로 희석하였다. HPLC를 이용한 유리당 분석에는 Waters 2690 XE(미국) 기기를 사용하였고 검출기는 Alltech ELSD 2000을 이용하여 검출하였다. 이동상은 75 : 25 %(acetonitril : water)를 혼합하여 유 기용매용 0.25 ㎛ 여과지로 여과한 후 이용하였다. 기기조건은 유속 1.0 mL/min, 시료주입 10㎕, 분리시간 20분으로 하였다. 당분석 컬럼으로는 Waters사의 carbohydrate 컬럼(3.9×300 mm)을 사용하였다. 표준곡선은 유 리당 중 sucrose, glucose, fructose를 각각 50, 100, 250, 500, 1000 ppm로 제 조하여 검량선을 구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