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태풍활동과 관련된 환경인자 분석

Table 2. Correlations between PDI and environmental factors(vertical wind shear and sea surface temperature) in the Main Activity Region (MAR) of the western North Pacific, eastern North Pacific, and North Atlantic. Bold face indicates statistical significance at the 99%

level.

Factor WNP ENP NA

VWS 0.1699 -0.6104 -0.6684

SST -0.1147 0.4544 0.5129

앞선 분석과 동일한 방법으로 태풍활동과 관련된 두 환경인자와 태풍활동 지

치지 못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설정 구역으로부터 동쪽으로 벗어난 해역에 서 오히려 강한 양의 상관도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이 해역의 해수면온도의 변 동은 연직바람쉬어와 더불어 북서태평양의 전체 태풍활동 변동에 큰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예상된다.

북동태평양의 경우 설정된 연구 영역에서 250˚E로 갈수록 양의 상관도가 감소 하고 있지만, 전체적으로 95% 이상 신뢰 수준의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Fig. 13b). 이때 양의 상관도가 감소하는 구역은 Fig. 5b와 Fig. 6b에서 상관도의 급격한 감소를 보인 구역과 매우 유사한 지점이다. 즉, 태풍과 관련된 열역학적 환경인자들과 태풍의 발생빈도 및 활동의 상관도가 북동태평양의 일부 해역에서 특징적인 감소 형태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때 염두에 두어야 할 점은 급격한 상관관계의 감소를 보이는 지점이 태풍의 발생과 활동이 집중된 지 역인 것이다(Fig. 2, Fig. 3). 따라서 태풍의 활동이 집중적으로 이뤄지는 해역의 열적 환경은 PDI 변동에 기여하는 바가 상대적으로 감소하며, 그 지역을 벗어난 해역의 환경일수록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해수면온도와 태풍활동 간의 상관도가 가장 큰 값을 보였던 북대서양은 넓은 해역에 걸쳐 양의 상관도 분포를 보였으며, 특히 열대 해역을 중심으로 매우 강 한 양의 상관관계를 이루고 있었다(Fig. 13c). 이는 여름철 북대서양 해수면온도 의 태풍활동에 기여하는 정도가 전반적으로 크며, 열대해역의 해수면 온도가 비 교적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북대서양에서는 연직바람쉬어와 더불어 해수면온도의 변동에 의해 태풍활동이 민감하게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 WNP (b) ENP (c) NA

Fig. 12. Maps of correlation coefficients of gridded vertical wind shear with PDI in JASO. Box indicates the MAR for each basin. Contour indicates area where the correlat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95% confidence level.

(a) WNP (b) ENP (c) NA

Fig. 13. Same as Fig. 12, but correlation between sea surface temperature and PDI.

4.2 태풍의 주요 활동구역의 환경인자와 PDI 간 상관도의 해역별 차이 (2004)는 습윤정적에너지의 EOF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s) 분석을 통해 두 번째 모드가 태풍활동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결과를 보였다. 특히 북서태평 양의 남동쪽 해역에서 높은 변동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태풍활동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밝혔다. 따라서 이번 절에서는 북서태평양 태풍의 주요 활동구역 의 동쪽 해역을 HCR(High-Correlation Region, 8-21˚N, 158-180˚E)으로 설정하 고, HCR의 환경인자가 북서태평양 PDI와 강한 상관관계를 갖는 이유와 북서태 평양 태풍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한다.

Table 3은 북서태평양 태풍의 주요 활동구역(Main Activity Region, MAR)과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