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탐구 활동의 유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1-34)

본 연구에서는 탐구 활동의 유형으로 토의, 실험, 조사, 견학, 과제 연구 등 5개로 구 분하여 제시하였다. 이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한 것은,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교육부, 1997)에 따라 과학 또는 화학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 내용이 대체적으로 이 유형 의 범위 안에 포함되며 이 범위에 따라 특색있게 구분할 수 있기 때문이다.

4. 선행 연구의 고찰

북한 과학(물리, 화학, 생물)교과서의 활동 분석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자는 각 선행연구의 여러 분석 내용 중 탐구 및 실험 등 여러 활동에 관 한 분석 내용 위주로 고찰하였다.

첫째, 노유경의 「화학교과서를 통한 남북한 중등학교 화학교육의 비교 분석」 연구 에서는, 남북한 중등학교 화학교육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 남북한의 학제, 교육과정, 교과과정, 화학교육목표를 비교하였고, 남북한의 교과서를 비교 분석을 위해서 외부적 으로 교과서의 체제비교, 단원 전개 구성 비교, 단원의 배열 차이 비교, 내부적으로는 화학영역별 가중치 비교, 화학의 기본개념 학습시기 비교, 화학법칙 교육 비교, 실험 수업의 차이 비교, 개념의 심화도 비교, 화학 용어의 비교 등으로 세부적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자는 화학교과서의 ‘활동’ 부분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하므로 이 연구의 분석 결과 중 활동에 해당하는 ‘실험 수업의 차이 비교’ 부분만 살펴보았다.

실험 수업의 비교에서 분석한 내용은 실험의 수, 실험 그림, 실험기구 제시, 과학 용 어, 용어 차이, 실험의 목적 등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남북한의 실 험 수업은 많은 유사점이 있지만 근본적인 차이점은 남북한 화학교육의 목표가 다름으 로 인해 실험을 하는 목적에 있어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 남한은 기본 개념의 원리 에 대한 이해와 창의력 신장을 위한 것에 목표를 둔다면, 북한은 학생의 창의적인 문 제해결 능력의 함양보다는 혁명의 실천에 목표를 두기 때문에 새로운 물질을 만들어 내는 것에 목적이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남북한이 처해있는 분단 교육의 현실 로 인해 추구하는 과학(화학)목표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고 통일교육을 위해서 가장 먼저 검토해야 할 과제라고 하였다(노유경, 2002).

둘째, 임영아의 「남북한 중등학교 화학교과서 영역별 내용 비교분석」연구에서는, 남북한의 화학교과서를 주변의 물질, 물질의 구조, 화학반응이라는 대범주로 나누어 교과서의 구성 체제, 그림과 표, 실험내용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비교 내용 중 실험내 용을 보니 남북한 화학교과서의 실험의 개수, 실험 내용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주변의 물질에 해당하는 실험의 수가 북한이 남한보다 더 많지만 비율로 따져보 았을 때 북한은 43.6%, 남한은 58.0%로 남한이 더 많음을 알 수 있다고 하였고, 물질 의 구조는 남한과 북한이 비슷한 비율을 가지며, 화학반응에 해당하는 실험은 북한이 더 많다고 하였다. 실험 내용에 대한 부분은 남한과 북한의 화학교과서에 공통으로 실 린 실험을 조사하고 그 중 하나의 실험을 선택하여 실험 제목, 실험기구와 시약 안내 방법, 실험방법, 주의사항 등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남북한 화학교과서의 내용면에

20 -안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보았다(임영아, 2008).

셋째, 북한 과학교과서 연구 중에 활동중심으로 분석한 김희숙의「한국과 북한의 중 등학교 생물교과서 비교분석-탐구활동 중심으로」라는 분석자료를 살펴보았다. 일반적 인 교과서 내용 중심으로 다룬 것과 달리 탐구활동 중심으로 TIMSS 과학 내용 분석 틀을 사용하여 탐구활동의 형태, 탐구활동에 사용한 기구, 재료, 화학약품의 특징과 차 이점을 분석하였다(김희숙, 2001).

넷째, 이석황의「남ㆍ북한 과학 교과서 화학 영역에 대한 비교 분석」의 연구에서 여 러 연구 내용 중 탐구 활동에 관한 분석 내용으로, 남북한의 과학교과서의 탐구 활동 수, 단원(장)별 탐구 주제, 실험기구와 약품 및 재료를 비교하였다. 탐구 활동의 수는 남한이 더 많고 탐구 활동의 영역을 다양하게 기술하고 있으며, 단원(장)별 탐구 주제 에 따른 그림, 표 역시 남한이 북한에 비해 더 많이 차지하고 있었다. 실험 기구 종류 수와 사용빈도에 대해서는 남한이 더 많았고 시약의 수와 사용빈도는 남한이 종류는 더 많지만 북한의 사용 빈도가 8더 높았다. 그리고 무엇보다 남한은 탐구 과정 및 활 동인 관찰, 분류, 측정, 예상, 추리 및 문제인식, 가설 설정, 변인통제, 자료 변환, 결론 도출, 일반화과정과 토의, 실험, 조사, 견학, 과제, 연구활동 등으로 다양하게 전개하고 있으나, 북한은 단원에 따른 학습 주제 인식을 위한 직접적인 설명과 구성 체제로 되 어 있는 차이를 보이며, 이런 차이점으로 인한 구체적인 통합과 보완의 필요성을 강조 하고 있다(이석횡, 2003).

북한의 과학 및 화학교과서에 대한 여러 가지 선행 연구가 있었으나, 대부분 남한의 과학 및 화학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준하여 북한의 교과서를 비교한 내용이 많았으며, 비교 분석된 내용은 교육체제 및 교과서 전반적인 내용분석의 형태와 양적 분석이 주 를 이루었다. 북한이탈학생들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 지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북한이탈학생들이 북한에서 학습한 교과서의 분석이 필요하고, 북한 교과서에서 여러 영역의 분석 대상이 있지만, 과학의 본성을 파악할 수 있고 과학 교육 목표의 도달 정 도를 파악할 수 있는 내영 및 활동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북한이탈학생들의 학습상황 을 파악하고 그들을 위한 교육과정과 지도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1-3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