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치유정원에 관한 연구동향

Ⅱ. 이론적 고찰

1. 치유정원에 관한 이론적 고찰

1.3 치유정원에 관한 연구동향

치유정원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치유정원 요소와 공간에 관련한 연구는 다음과 같다. 박선희 외(2008)는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치유정 원의 이용희망의사, 치유정원에 도입할 수 있는 시설과 공간에 대한 선호도 등을 조사하여 치유정원의 시장성을 분석하였다. 노인과 관련한 치유정원에 대한 연구 는 조주영 외(2010), 최영미 외(2007), 송효주 외(2009) 등이 진행하였다. 김혜연 외(2010)는 어린이전문 의료 시설의 치유공간에 대한 분석방법을 행태 심리적 측 면에서 제시하여 대기공간 혹은 병원 시설내의 치유공간적 특징을 보고자 하였 다. 원예치료프로그램의 연구로, 정성혜(2003)는 원예치료사들의 원예치료 및 식 물치료경관에 대한 인식을 통해 원예의 치료효과와 이용을 조사, 실내 치료정원 의 조경계획을 위한 식물 및 이용시설의 기초 설계지침 마련하고자 하였다. 원예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는 김혜상 외(2003), 이은숙 외(2003), 조현구 외(2003), 한인자 외(2003) 등이 연구를 진행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치유정원에 대한 연구는 이용대상자로 분류하였을 때 치매노인, 여성을 위한 치 유정원 조성을 위한 디자인 지침서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아동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정원에 관한 연구는 미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원예치료에 관 한 연구의 경우 치유정원이 갖고 있는 다양한 측면 중에 원예라는 작은 부분만 을 보며 프로그램을 제안하였기 때문에 장애 아동을 위한 총체적인 설계 지침에 관한 연구는 찾기 힘들었다.

2. 아동을 위한 치유정원(Healing Garden for Children)에 관한 이론적 고찰

2.1 아동을 위한 치유정원의 특징

아동의 성장 과정은 자연과의 만남에서부터 이루어지며, 자연 환경에 둘러 싸 여 자라고 그 속에서 성장한다(Wilson, 1996). 자연은 아동에게 있어서 존재의 정

체성을 갖게 하고 알맞은 삶의 형태를 찾아내는 교육의 장소가 되는 동시에 그 들이 활동하는 주변 환경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장옥선(2010)은 정원 을 포함하고 있는 놀이 환경이 아동들에게 유익하다는 것을 보여준 Rusk Institute

4)

의 연구를 언급하며, 재활시설의 환자들에게 놀이터가 아니라 자연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놀이정원을 제안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Sabastino Santotefano(1999)는 정원의 역할에 대하여,

“어린이들은 돌 위에 올라감으로써 “상승”을 경험하고 기억하게 된다. 또한 나뭇가지들로 동굴을 만들어봄으로써 은둔과 위요감에 대해 경험하게 된다. 이 런 “기억”들은 어린이들의 경험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으로 다양한 행위를 통 해 정신과 신체의 연결고리를 찾을 수 있다.(Marcus B, 1999)”라고 언급한 바 있다.

이처럼 아동과 놀이, 자연에 대한 관계는 오래전부터 학자들에게 이슈가 됐던 주제이다. 아동을 위한 정원에 대한 연구는 아동 교육과 관련하여 몬테소리나 페 스탈로치, 스테이너, 프뢰벨과 드웨이와 같은 학자들이 선구자 역할을 수행하였 으며 이를 바탕으로 설계가들이 이론과 실제 설계에 반영할 수 있도록 발전시켰 다. 아동 심리학자이자 소아과의사인 Winnicott(1971)은 치유정원을 “아동들의 잠재적인 공간”이라고 불렀으며, 정원에서 놀이를 통해 아동이 내적 갈등이나 공포를 표현하고 주변과 소통할 수 있다고 하였다. 최영애(1999)는 정원활동을 통해 아동은 식물 생육의 필수적인 원리, 전체와 부분의 관계를 배우게 되며, 정 원 가꾸기는 아동이 볼 수 없는 힘의 작용을 관찰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간 주될 수 있다고 하였다. 아동은 정원 안에서 식물의 생명주기를 체험하고, 관찰 하고, 원예 활동을 통해 정서 순화를 돕고 사회성과 협동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 며 안정과 평화, 휴식 등의 심리적 치유를 도모할 수 있다. 병원이라는 공간을 친숙하게 만들어주고 질병 치료에서 오는 스트레스와 지친 심신을 회복할 수 있

4) 통합적 재활시설로 근골격계 재활, 뇌졸중 재활 소화 재활, 심장 재활 프로그램이 운영되 며 환자에 따라 문제점을 진단하여 장애 아동들의 편하고 안전하게 살기 좋은 환경으로 바꿔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어린이 전문병원에서의 치유정원은 반드시 필요한 공 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림 Ⅱ-2] 식물이 이용자에게 적용되는 네 가지 측면

2.2 아동을 위한 치유정원의 역사

아동을 위한 치유정원 분야는 50여 년 전부터 서서히 발전해왔다. 이 분야에 선구자는 Hutwood의 영국 조경가 Lady Allen이었다. 1940년 중반에 Lady Allen은 덴마크 건축가 C. Th. Sorenson이 설계한 코펜하겐에 있는 Emdrup Adventure Playground에 방문했다. Adventure playground는 숙련된 놀이지도자의 관리 하에 아동들이 손으로 직접 물리적 환경을 조작해보고, 활동을 통해 커뮤니티를 생성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혁명적인 콘셉트를 가졌다고 표현된다(Marcus c, 1999).

Lady Allen은 이런 공간에 매우 깊은 인상을 받고 런던에 2차 세계대전 이후 포 탄으로 인해 정신적 외상(trauma)을 갖게 된 가족들을 위해 유사한 시설을 설립 하는 운동을 시행했고, 그녀는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장애 아동들을 포함하여

1970년대에 런던에서 Handicapped Adventure Playground Association(이하 HAPA) 이란 자선단체를 설립했다. HAPA는 장애가 있는 아동들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야외 공간에 대한 전문가들이 활동하는 곳으로 어린이 농장을 포함하여 동 물을 유치하고 있다(Brett et al., 1993). Lindheim 외의 여러 연구자들은 1972년에 어린이 전문병원에 대한 설계 지침서를 제안하였고 아동의 놀이와 야외활동의 환경, 자연을 경험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1987년도에 Anita Olds와 Patricia Nadiel의 지휘아래 아동의 건강을 위한 협회(Association for the care of children's health)가 아동의 건강 시설 설계에 관한 첫 책을 발행하였다(Mardelle, 미상). 1997년 아동과 가족들을 위한 건강관리 시설의 종합적인 방법에서 Shepley(1998)은 “Healing Activity”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이후에도 많은 녹지 환경과 아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진행 중에 있다, 2003년에 미국 조경가 협회(American Society of Landscape Architects, 이하 ASLA) 산하 치유조 경분과 주최로 매년 의료 시설 조경설계 전문가 교육프로그램(Healthcare Garden Design Professional Development Certificate Program, 이하 HGD)을 주최하여 병 원 및 의료 시설의 치유정원 및 조경설계의 전문가를 육성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계속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치유정원들이 의학계에서 1990년도에 언급되는 것 을 보아 아동과 관련된 건강관리 시설 설계에 관련된 연구는 최근에 발전되었다 고 할 수 있다.

2.3 아동을 위한 치유정원의 사례

2.3.1 The Leichtag Family Healing Garden, Children's Hospital and Health Center, San Diego

Topher Delaney의 주최로 Cochran과 Castillo가 함께 설계하였으며, Delaney는 존재하는 그 순간보다 더 많은 것들을 상상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계 개념을 설정하였다. 설계가는 각각의 요소(색감, 질감, 형식, 스케일)를 모두 아동의 시각에서 바라보고자 하였으며, 방문객들이 편안함을 느끼고 스트레스 감 소를 경험하도록 했다. 아동을 위한 치유정원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인 “놀 이”가 정원에 반영되도록 노력하여 아동들이 선호하는 색상과 오감을 자극할 수 있는 설계 요소들을 반영하였다. 앉아서 쉴 수 있는 공간과 빈 공터는 이용자 들에게 프라이버시와 영역성을 제공해주는 동시에 부모나 의료진들이 아동들을 감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진입부에 보이는 공룡모양의 조형물은 입구를 강조할 뿐만 아니라 랜드마크의 역할도 한다. 비선형의 벽체들은 개방과 위요의 연속성을 나타내며, 아동의 스케 일에서 “공간”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Star-fish와 버섯의자는 아동 혼 자 혹은 부모와 함께 앉을 수 있으며, 우산의자는 여러 명이서 앉을 수 있도록 한다. 전체적으로 캘리포니아의 느낌을 반영한 것으로 바다나 모래, 열대나무를 형상화한 질감과 색을 표현하였다.

[그림 Ⅱ-3] The Leichtag Family Healing Garden의 평면도와 공간 사례

2.3.2 Chicago Botanic Garden, Boston

Chicago Botanic Garden은 1977년에 원예치료부를 설립하여 매우 다양한 원예 관 련 주제에 중점을 두고 있는 개인 수업, 워크숍, 그리고 전문 훈련과정으로 이루어 진 초기의 현장 프로그램과 야외과정을 개발시켰다(정일영, 2001). 그 중 Enabling garden의 경우 1999년에 개장하여 아동을 위한 채소정원을 조성하여 학기동안 초 등학생을 모집하고 유기농법과 야채와 화초 재배에 관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감 각정원의 경우 치료정원의 모델로 제시되기 위해 원예치료사와 조경설계가, 건강분 야의 종사자들이 아이디어를 모아 설계하였다. 치료정원의 특징은 그늘에 앉아서 쉴 수 있는 장소에서 휠체어에 앉아 식물을 돌볼 수 있도록 설계된 계단식 화단, 벽걸이 식물 장식판, 화장실, 물소리를 들을 수 있는 분수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Ⅱ-4] Botanic Garden 내 Enabling garden

2.3.3 The Prouty Terrace and Garden, Children's Hospital, Boston

이 병원은 미국에서 최고의 어린이 전문병원으로 알려져 있으며 보스톤에 위 치하고 있다. 병원의 주진입부가 있는 1층에서 바로 정원으로 진입할 수 있게 조 성되어 있으며 병원 건물과 병원 도서관, 정원수 등으로 위요되어 있다. 정원 공 간은 분수대와 함께 빈 터가 조성되어 있는 공간, 카페 테라스에서 오픈 스페이 스가 보이는 공간, 상록수로 분리된 뒤쪽 잔디광장으로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 다. 정원의 유지 및 보수는 공간 계획 및 시설 계획 사무실(Office of Facility Planning and Space Planning Through a Garden Committee)에서 위원회를 선출

이 병원은 미국에서 최고의 어린이 전문병원으로 알려져 있으며 보스톤에 위 치하고 있다. 병원의 주진입부가 있는 1층에서 바로 정원으로 진입할 수 있게 조 성되어 있으며 병원 건물과 병원 도서관, 정원수 등으로 위요되어 있다. 정원 공 간은 분수대와 함께 빈 터가 조성되어 있는 공간, 카페 테라스에서 오픈 스페이 스가 보이는 공간, 상록수로 분리된 뒤쪽 잔디광장으로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 다. 정원의 유지 및 보수는 공간 계획 및 시설 계획 사무실(Office of Facility Planning and Space Planning Through a Garden Committee)에서 위원회를 선출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