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장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편익을 , 해외로부터의 기술료 편익」

국내 치매치료제 시장은 2009년 720억원에서 2012년 4000억원 규모로 급 증했으며 연평균 성장률은 , 20%에 달해 2020년에는 약 조 이상 확대될 2 것으로 전망 보건신문( , 2015.1)

8r

7 m l

동 사업의 치매치료 신약에 국내 판매를 통한 부가가치 창출편익 산정을 위해서는 편익 산정기간 V2034년부터 2045년 까지의 국내 치매치료제 W 시장 전망자료가 필요

그러나 현재 2030년 이후의 치매치료제 시장 규모에 대해 전망한 자료는 없는 상황임

따라서 국매 치매 치료제 시장규모는 치매 환자수에 비례한다는 가정하에 치매 환자수 증가율을 적용하여 국내 치매치료제 시장규모를 추정함

년부터 년까지의 연평균 치매환자 증가율

- 2020 2030 : 4.24%

년부터 년까지의 연평균 치매환자 증가율

- 2030 2040 : 4.44%

년부터 년까지의 연평균 치매환자 증가율

- 2040 2050 : 3.27%

7 C m e w m ·

B 7 m

2012년 전국치매역학조사결과로부터 추정한 치매환자 연평균 증가율을 년 시장규모에 적용하여 년부터 년까지의 국내 치매치료제

2020 2020 2050

시장규모를 추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표와 같음

B B B B B B B B B B

8r m

·

B B B B B B B B B B

8r m

·

B B B B B B B B B B

8r m

·

7 m · l N 7 m 8r

J

d

치매 치료 신약의 국내 시장 점유율 추정

기여율 ⓒ R&D

기여율은 기술기여도와 유사한 개념으로 사업을 통해 창출된 부가 가치산출액 중에서 에 의해서 창출된 부분의 비율 즉 창출된 부가가 치 중 기술개발이 기여한 정도를 의미함

동 사업의 기여율은 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일반적으로 인용되고 있는 기술개발의 경제성장 효과와 관련한 선행연구 신태영

를 참조하여 를 적용함

사업화 성공률 ⓓ

사업화성공률은 신약의 종류별로 차이가 있으며 전임상, /IND 단계에서 성 공률이 1.7%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며, NDA까지의 최종성공률은

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남 0.07~0.32%

4

4 ./

(

3 N

D

+ J/ 2e

0 > . 6

시장에서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NDA 단계까지 성공해야 하기 때 문에 각 치매 즉 신경계 분야의 신약별 , NDA까지의 누적성공률 0.14%를 적용함

./

+ J/ E 2e

+ J/ 2e E 1 ` /

부가가치율 ⓔ

산업연관표 2013년 연장표에서 의료 및 보건(153 )번 의 부가가치율 47.7%

를 적용함

편익발생시점 및 발생기간 ⓕ

동 사업을 통해 개발될 치매치료 신약은 사업 종료 후 년 동안의 전임상9 -임상-NDA승인을 거쳐 2034년부터 국내시장에서 판매되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

즉 동 사업의 편익은 , 2034년부터 편익산정 기간 동안 발생되는 부가가치 금액을 그 대상으로 함

또한 신약 물질에 대한 특허 출원이 일반적으로 전임상, /IND를 통과하고 이루어지기 떄문에 사업종료 후 전임상/IND에 소요되는 2.3년 이후인

년에 특허출원이 이루어 질 것으로 예상 2025

특허출원이후 20년간 그 권리를 보장받아 2034년부터 2045년까지를 부가 가치 편익발생기간으로 적용함

ⓖ 사회적 할인율

사회적 할인율은 한국개발연구원 의 예비타당성 수행을 위한 일반 지 침의 사회적 할인율 를 적용하였으며 본 사업의 기획 시점인 년 의 직전 연도인 년 말을 기준으로 편익과 비용의 현재가치를 산출함

글로벌 신약 개발에 의한 국외 기술로열티 수입

□ 해외로부터의 기술료 편익

치매 치료 신약개발과 관련된 기술료는 크게 계약금 마일스톤 경상기술, , 료로 구분됨

- 계약금( ) 일반적으로 전임상과 IND를 통과하면 기술료 계약을 체결하 며 예상 연매출액의 , 5~10% 수준에서 책정함

- 마일스톤( ) 임상 I, II, III상을 통과할 때마다 예상 연매출액의 8~30% 수 준에서 기술료를 지급하며 임상단계가 높아질수록 로열티율이 높아짐, - 경상기술료( ) 제품이 출시되면 매출액의 5% 내외를 기술료로 지급하

며 통상적으로 특허가 만료되는 시기까지 계속 지급함,

기술료 편익산정은 범부처 전주기 신약개발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2010) 의 분석틀을 준용하여 추정하였으며 계약금 마일스톤 경상기술료는 각, , , 기 다음과 같은 식으로 추정됨

/ < m / < > + 2e

%

m ` J/ > + 2

e

. > m . ` 2e

m / 8r

세계

새로운 치매치료 후보물질 발굴을 주 목적으로 하는 동 사업의 결과를 미 리 예측하여 메이저 제약 회사를 통한 세계 치매치료 시장 점유율을 객관 적인 자료를 기반으로 추정하는 것은 한계가 있음

따라서 본 경제성 분석에서는 주요 치매치료 제품의 평균 점유율을 동 사 업을 통해 발굴될 후보 물질의 세계 시장 점유율로 적용하여 연매출액을 추정함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제의 주요 품목은 도네페질(donepezil, 주요제품 아리셉트), 메만틴(memantine, 주요제품 나멘다), 리바스티그민

주요제품 엑셀론 갈란타민 주요제품 라자다 (rivastigmine, ), (galantamine,

인) 4가지 품목임

2011년 기준 전 세계 시장에서 아리셉트는 32.34%, 나멘다는 20.94%, 엑셀 론은 7.85%, 라자다인은 5.62%씩 각각 시장을 점유

따라서 동 사업을 통한 후보 물질의 전 세계 시장 연매출액 점유율 추정치 는 주요 개 제품의 평균 점유율 4 16.69%를 적용

세계 치매 치료제 시장 규모

세계 치매 치료제 시장규모는 2011년 억달러에서 53 2021년 126억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치매 환자수 증가에 따라 시장규모도 급격히 확, 대될 것으로 전망

/ m l

동 사업의 치매치료 신약에 해외 판매를 통한 기술로열티 수입 산정을 위 해서는 편익 산정기간 V2034년부터 2045년 까지의 세계 치매치료제 시W 장 전망자료가 필요

그러나 현재 2030년 이후의 치매치료제 시장 규모에 대해 전망한 자료는 없는 상황임

따라서 세계 치매 치료제 시장규모는 세계 치매 환자수에 비례한다는 가 정하에 세계 치매 환자수 증가율을 적용하여 세계 치매치료제 시장규모를 추정함

- 전 세계 치매 인구는 2010년 약 3,560만명에서 연평균 2.98%씩 증가하 여 2050년에는 약 배에 가까운 억 3 1 1,540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0 m ,

- 전 세계 치매 인구 연평균 증가율 2.98%를 적용한 세계 치매시장규모는 년 조원에서 년 조원 년 조원 년 조원 2021 13 2030 16.9 , 2040 22.7 , 2050 30.4 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B B B B B B B B B B

8r

B B B B B B B B B B

8r

B B B B B B B B B B

8r

/ m 8r

J

계약금 요율 및 로열티율

계약

○ 금 요율은 통상 5% 또는 10%를 적용하나 동 사업의 경제성분석에 서는 5%를 적용하며 로열티율도 , Nature Biotechnology (2003)에서 조사 한 각 단계별 로열티율에서 최소값을 적용함으로써 보수적 관점에서 기 술료 편익을 추정함

+ J/ `

`

에 따르면 년간 건의 로열티에 대한 통계분석을 한 AUS (2003) , 17 534

결과 의약 및 생명공학 분야에서 로열티 평균은 판매금액 대비 7.3%

이며 중앙값이 , 5.5%로 분석됨.

따라서 동 사업의 경제성분석에서는 경상로열티율을 AUS (2003) 에서 제시한 중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