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측정 지점별 온도 분포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7-68)

냉기의 거동을 예상해 보았을 때, 증발기로부터 토출되는 냉기는 모멘 트를 가지고 P3 지점을 향해 이동하고 P3 지점에 도달한 냉기는 Jet와 유 사하게 y방향으로 P2, P4, P10 지점 그리고 z방향으로 P6, P8 지점으로 퍼져나가게 됨을 쉽게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챔버 출구가 아래에 위치해 있으므로 확산 된 냉기의 거동 방향은 압력차에 의해 –y방향으로 집중될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P1 지점은 전체 계에서 가장 유속이 낮은 정체 지 점이 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온도 측정 실험 결과, 앞서 유체 거동을 예상한 바와 동일한 결과를 얻 을 수 있었다. Figure 4.1에 단열챔버 내부 벽면에서 측정한 온도 분포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a)는 단열 두께 30mm, (b)는 단열 두께 60mm, (c) 는 단열 두께 90mm의 온도 측정 결과이다. P2, P3, P4 지점은 실험 Case 전체에 대해 온도가 낮게 측정이 되었고, 반대로 P1, P5, P6은 온도가 높 게 측정되었다. 단열챔버의 출구와 가까운 P9번의 경우, 온도값이 모든 지점과 비교하였을 때 높게 측정되지는 않았으나, 인접한 위치점과 비교 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벽면에서 3cm 이격 된 위치에서의 온도는 Figure 4.2에 나타내었고

별로 벽면의 온도보다 낮게 측정되는 경향을 보였다. 3cm 이격 된 지점에 서의 공기 온도는 벽체의 온도보다 항상 낮게 분포하였고, 벽면 온도와 이격 지점의 온도 차이는 단열 두께 및 측정 지점에 따라 약 0.5℃에서 2.5℃까지 변화하였다.

대류열전달계수 산출에는 실험을 통해 얻은 벽면에서의 온도와, 3cm 이 격 된 지점에서의 온도의 차이를 구하여 사용한다. Figure 4.2에 각 측정 지점에서의 온도차를 단열 두께 별로 나타내었다. 먼저, 세 가지 모든 단 열 두께의 경우에 P1지점의 온도차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는 P1지점에 서 유동이 정체되어 대류열전달이 잘 일어나지 않음을 뜻한다. 두 번째로 단열챔버 출구와 인접한 P5, P7, P9에서의 온도차보다 P6, P8, P10의 온 도차가 작게 측정됨을 확인하였다. 세 번째로 단열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온도차가 감소하고, 그 편차 또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내부 체적의 감소로 인한 열 침입량 감소, 측정 지점에서의 국소 유속 증가, 냉방 부하 감소로 인한 결과로 분석된다. 특히 단열 두께가 90mm인 경우 P5 ~ P10 에서의 온도차가 크게 감소하였는데,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 이 내부 체적이 감소함에 따라 냉기가 전체적으로 잘 순환하게 됨을 뜻한 다.

Figure 4.1 (a) Inside wall Temperature at each point

Figure 4.1 (b) Inside wall Temperature at each point in case of Insulation Thickness 60mm

Figure 4.1 (c) Inside wall Temperature at each point

Figure 4.2 (a) Inside 3cm Temperature at each point in case of Insulation Thickness 30mm

Figure 4.2 (b) Inside 3cm Temperature at each point

Figure 4.2 (c) Inside 3cm Temperature at each point in case of Insulation Thickness 90mm

Figure 4.3 (a) Temperature differences between Tin,w & Tin,3cm

Figure 4.3 (b) Temperature differences between Tin,w & Tin,3cm

in case of Insulation Thickness 60mm

Figure 4.3 (c) Temperature differences between Tin,w & Tin,3cm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7-6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