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앞서 3가지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를 종합하여 출연연 융합연구영역을 발굴할 수 있다. 다양 한 분류의 관점에서 Alliance(Intra) 영역으로 나타난 기술 분야는 향후 NST 소속 출연연 간 융합연구과제 후보군으로 추천될 수 있을 것이며, 반면, Alliance(Inter) 영역의 기술 분야는 NST 외부의 산학연과 융합연구과제로 추진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핵심 융합연구영역을 발굴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NTRM 분류기준으로 Alliance(Intra) 및 Alliance(Inter) 분야를 추출한 후, 6T 분류기준으로 동일 작업을 반복, 비교분석하여 후보군을 선별하였다. 이때, 출연연 참여과제수가 극소수인 분야는 가급적 제외하고, 급부상 미래 어젠다 관련여부를 반영한 후, 전문가 정성분석으로 과제명을 작명하는 과정을 거쳐 (그림 12)의 30대 융합연구분야를 도출하였다. 30대 분야를 <표 5>에 제시하였다(기초기술연구회・한국과학기술 정보연구원, 2012).

12) 분류코드 중심으로 계량적 분석을 수행할 때 나타나는 한계점이 있는데, 특정 융복합분야가 이미 독립적 분류코드 로 존재하여 타 분류코드 간 융합이 일어나지 않아 융합지수 계산값이 낮게 나타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위 성, 항공” 분야가 이 경우에 해당한다.

(그림 12) 30대 융합연구분야의 융합맵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융합맵의 효용성을 가늠하기 위해 최근 선정되어 진행되고 있는 출연연 융합연구 과제를 살펴보았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2014년부터 ‘융합연구단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출연연 융합연구과제로 꼽을 수 있다. 이 사업은 국가, 사회 현안 및 산업계 대형 기술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출연연 간의 협업과 융합연구지원을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래서 지원 분야를 선정할 때, 연구과제의 융합특성 뿐만 아니라 국가사회에 대한 중요성과 경제적 파급성을 함께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bottom-up 방식으로 과제가 기획되고 선정되기 때문에 기존의 top-down 방식의 과제보다 자유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융합연구단사업은 2014년도부터 2016년도 사이에 총 11개의 과제가 선정되어 현재 추진 중에 있는데, 11개 융합연구단사업을 살펴본 결과, 3개의 융합연구사업의 주제가 본 연구에서 제안 하고 있는 30대 융합연구분야 중 5개 분야와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것으로 사료된다. 11개 융합 연구단 사업 중에서 ‘치매 조기예측, 치료제 및 환자케어 기술 개발’ 과제는 본 연구에서 제시하 는 30대 융합연구분야의 ‘4. 생체기능 모니터링’, ‘26. 뇌기능 규명 기술 및 응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줄기세포 유래 맞춤형 융복합 NK세포치료제 개발’ 과제는 30대 융합연 구분야의 ‘17. 표적 지향형 약물전달 시스템’, ‘12. 신약개발을 위한 선도물질 도출’, 그리고

‘산업 실용화를 위한 고성능 3D 프린팅 시스템 및 소재 개발’ 과제는 30대 융합연구분야 중

‘7. 지능형 생산 시스템’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비록 11개 융합연구단 사업 중에서 연관 성이 높은 과제는 3개 정도이지만, 11개의 융합연구단 사업은 자유공모 형식으로 제안된 과제

이며 또한 과제 선정 시에 연구과제의 융합특성 외에도 사회 현안 및 산업계 대형 기술 현안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