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기본모형

기본모형 추정결과는 원/달러 환율을 이용한 결과가 <표 5>에, 실 질실효환율을 이용한 결과가 <표 6>에 각각 나타나 있다. 두 모형 모두에서 추정치의 부호가 산업생산지수 외에는 경제이론에 부합하 였으며 유의성도 높게 나타났다.

❙표 5. 기본모형 추정결과(원/달러 환율)

19892006 19891997 19982006 20022006 20042006

상수항 -0.083***

(-23.68)

0.009*

(1.89)

-0.090***

(-22.06)

-0.124***

(-20.32)

-0.061***

(-4.90)

원/달러 0.038***

(13.03)

0.007*

(1.80)

0.080***

(16.56)

0.025**

(2.04)

0.027 (0.88)

엔/달러 -0.018***

(-5.60)

0.003 (0.74)

-0.078***

(-14.37)

-0.179***

(-17.87)

-0.148***

(-9.95)

경제성장률 0.004***

(32.44)

0.001**

(2.31)

0.003***

(16.76)

0.006***

(13.93)

-0.005**

(-2.24) 산업생산 증가율 -0.008***

(-7.76)

-0.000 (-0.32)

0.014***

(5.58)

-0.008 (-1.48)

-0.012*

(-1.74) 단위노동비율 -0.036***

(-38.27)

-0.017***

(-12.01)

-0.040***

(-34.86)

-0.044***

(-27.74)

-0.038***

(-20.60)

0.0078 0.0008 0.0128 0.0160 0.0191

관측수 66828 19793 47035 28919 17850

기업수 6801 3657 6792 6753 6662

wald 2448.61 197.49 2078.73 1205.17 667.64 : 1) ( ) 안은 t값을 나타냄.

2) *, **, ***는 각각 10%, 5%, 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을 나타냄.

환율요인을 살펴보면 <표 5>의 경우 전 기간(1989~2006년)에 걸쳐 원/달러 환율의 유의적인 추정계수가 ()인데 이는 원/달러 환율이 하락할 경우 기업의 채산성이 악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원/달러 환 율이 10% 하락할 경우 전체 제조업의 매출액 영업이익률이 0.36%

포인트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14)15)

원/달러 환율은 외환위기 이후인 19982006년 기간과 원화강세 가 지속된 20022006년 기간 및 나홀로 원화강세 시기인 2004 2006년 기간에도 유의적인 추정계수가 ()를 보여 원화강세가 제조 기업의 채산성을 악화시키는 주요 요인임을 뒷받침하고 있다.

전 기간(1989~2006년)에 걸쳐 엔/달러 환율의 유의적인 추정계수는

()인 것은 나타나 달러화에 대해 엔화환율이 하락(엔화강세)이어야 국내 기업의 수출채산성이 개선된다는 사실을 뒷받침하고 있다. 엔/ 달러 환율이 10% 상승할 경우 전체 제조업의 매출액 영업이익률이

0.17%포인트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외환위기 이후(1998~2006년)와 원화강세가 지속된 기간(2002~2006 년)및 나홀로 원화강세 기간(2004~2006년)에도 엔/달러 환율의 유의 적인 추정계수가 모두 ()인 것으로 나타나 주요 수출시장에서 일 본 기업과 치열한 경합을 벌이고 있는 국내 기업들에게 엔/달러 환 율 상승(엔화약세)이 큰 부담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14) 환율변동률이 로그를 취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고 매출액 영업이익률을 %로 환산

하여 산정하였다.

15) 기업경영분석 자료에 의한 분석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이 10% 하락하면 수출단 가 및 수출물량 등의 조정이 없다고 가정할 경우 제조업의 매출액 영업이익률이 2.7%포인트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장광수・김명식・장희창, 2007, p.10). 기업 경영분석 자료에 의한 분석보다 매출액 영업이익률 하락폭이 크게 줄어든 것은 기업들의 수출단가 및 물량조정, 원가절감노력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표 6. 기본모형 추정결과(실질실효환율)

1 9892006 19891997 199 82006 20022006 20042006

상수항 -0.080***

(-22.90)

0.010**

(2.10)

-0.091***

(-22.02)

-0.098***

(-17.70)

0.009 (1.03) 실질실효환율 0.029***

(11.62)

-0.015**

(-2.34)

0.029***

(10.13)

0.044***

(10.17)

0.089***

(14.90)

경제성장률 0.004***

(29.59)

0.001**

(0.59)

0.003***

(19.17)

0.001***

(4.09)

-0.018***

(-11.93) 산업생산 증가율 -0.001

(-0.90)

-0.016 (-11.91)

0.014***

(5.57)

0.002 (0.45)

-0.004 (-0.66) 단위노동비율 -0.036***

(-38.20)

-0.002***

(-1.70)

-0.040***

(-34.76)

-0.044***

(-27.53)

-0.038***

(-20.57)

0.0076 0.0007 0.0110 0.0126 0.0191

관측수 66828 19793 47035 28919 17850

기업수 6801 3657 6792 6753 6662

wald 2414.41 204.31 1962.48 931.68 572.86 : 1) ( ) 안은 t값을 나타냄.

2) *, **, ***는 각각 10%, 5%, 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을 나타냄.

<표 6>에서 실질실효환율을 이용한 기본모형의 경우에도 전 기간

(1989~2006년)에 걸쳐 실질실효환율의 추정계수의 유의적인 추정치

가 ()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기간별로는 외환위기 이전 기간

(1989~1997년)을 제외한 모든 기간에서 실질실효환율의 추정계수는

유의적인 ()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주요 교역국간 물가변동에 따 른 실질구매력을 반영하는 실질실효환율이 하락할 경우 기업의 채 산성이 악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실질실효환율의 추정계수와 원/달 러의 추정계수의 부호가 대부분의 기간 중 동일한 것은 미 달러화의 결제 비중16)이 여전히 높고 최대 무역상대국인 중국의 위안화가 달 16) 2005년의 경우 달러화의 결제 비중은 수출이 82.4%, 수입이 81.3%를 차지했다.

러화에 연동되어 있어 실질실효환율이 주로 미달러화의 흐름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외환위기 이전 기간(1989~1997년)보다 외환위기 이후 기간

(1998~2006년)의 원/달러 환율의 유의적인 계수값 추정치 절대치가

크고 유의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원화강세가 지속된 20022006년 기간의 경우 외환위기 이후 전 기간(1998~2006년)보다 원/달러 환율의 유의적인 계수값 추정치 절대치가 하락하고 유의수 준도 낮아진 것으로 나타나 원/달러 환율의 변동이 기업의 채산성에 미치는 영향이 약화된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반면 같은 기간 중 엔/달러 환율의 유의적인 계수값 추정치 절대 치는 상승하고 유의수준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 원화강세가 지속된 20022006년 기간 중 엔/달러 환율의 변동이 기업의 채산성에 미치 는 영향은 강화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원화강세가 지속된 2002 2006년 기간보다 나홀로 원화강세 시기인 20042006년 기간에 엔/ 달러 환율의 유의적인 계수값 추정치 절대치는 하락하고 유의수준도 낮아진 것으로 나타나 최근 수년간에는 엔/달러 환율의 변동이 기업 의 채산성이 미치는 영향은 다소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실질실효환율의 경우 원화강세가 지속된 20022006년 기 간보다 나홀로 원화강세 시기인 20042006년 기간에 유의적인 계 수값 추정치 절대치이 상승하고 유의수준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 고 있다.

종합하면 원화강세가 지속된 2002년 이후 원/달러 환율과 엔/달 러 환율의 경우 기업의 채산성에 미치는 영향이 약화되고 있으나 실 질실효환율의 경우는 반대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2002년 이후 환 율이 기업의 채산성에 미치는 영향이 약화되고 있다는 결론은 원/달

러 환율과 엔/달러 환율의 경우에만 제한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외환위기 이후 원/달러 환율과 엔/달러 환율은 물론 명목실효환율까 지 영향력이 약화된 것으로 나타난 김승원・장희창(2006)의 분석결과 와는 다소 다르다고 볼 수 있다. 명목실효환율 대신에 실질실효환율 을 사용할 경우 채산성에 미치는 환율의 영향력이 오히려 더 커질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원/달러 환율과 기업채산성 간의 관계가 약화된 것은 무엇보다도 외환위기 이후 원/달러 환율이 수출가격과 수출물량에 미치는 영향 이 크게 약화17)되어 원화환율 하락 시 수출기업의 매출액 감소폭이 축소된 것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수출대금의 달러화 결제비중 이 하락하고,18) 소재・부품의 수입의존도가 높아진데다 기업들의 원 가절감노력으로 비용구조가 개선된 점도 환율의 영향을 줄인 요인 들로 보인다.19)또 엔/달러 환율의 영향이 약화된 것은 최근 수년간 의 엔화약세가 일제 중간재 및 자본재의 수입비용부담을 줄이는 긍 정적 효과가 수출경쟁력을 약화시키는 부정적 효과를 어느 정도 상 쇄시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다른 설명변수들이 채산성에 미친 영향을 보면 경제성장률의 추 정계수는 예상대로 대부분 ()로 나타나 국내 전반적 경기가 호조 를 보일 경우 기업의 채산성도 개선되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또

17) 장광수・김명식・장희창(2007)은 수출단가의 환율탄력성이 외환위기 이전(1990 1/4분기~19974/4분기)-0.3184에서 외환위기 이후(19981/4분기~2006 4/4분기)-0.1003로 그 절대값이 하락했다고 밝혔다. 또 수출물량의 환율탄 력성은 같은 기간에 0.1244에서 0.0113로 낮아졌다고 밝혔다.

18) 달러, 엔 등 약세 통화의 수출결제 비중을 낮추고 강세 통화인 유로화 비중을 높 여 원/달러 환율절상의 영향이 일부 상쇄되었다.

19) 김승원・장희창(2006) p.72.

기업의 대표적 비용요인인 단위노동비용의 경우 모든 기간에서 () 로 나타나 인건비 상승이 기업들에게 큰 부담이 되는 것을 뒷받침하 고 있다. 반면에 업종별 국내외 경기를 나타내는 산업생산지수가 기 업의 수익에 미치는 영향은 기간별로 엇갈리게 나타나 있다. 이는 업종별로 산업생산지수의 증가율이 개별기업의 채산성을 제대로 반 영하지 못하는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대부분의 기간 에서 회귀식의 결정계수()가 낮게 나온 것은 기업의 수익성이 환 율, 경기변수 및 비용변수 외에 시장지배력, 시장구조, 기술력, 마케 팅능력 등 다양한 변수들의 영향을 받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환율변동이 업종별 채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업종별로 기업들을 나누어 기본모델의 매출액 영업이익률 방정식을 추정하였다. <표 7>은 업종별로 추정한 환율계수를 정리한 것이다. 전 기간(1989~2006년)에 걸쳐 섬유, 봉제의복・모피, 가죽・가방・신발, 펄프・종이, 출판・인쇄, 화학, 고무・플라스틱, 1차금속, 기계・조립금속, 전기기기・전기변환장치, 반도체・전자부품・통신장비, 자동차・자동차 부품, 조선・기타운송장비, 가구・기타제조업 등의 업종이 원/달러 환 율의 추정계수의 부호가 유의적인 ()를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이 10% 하락할 경우 매출액 영업이익률이 반도체・전자부품・통신장비 가 0.91%포인트, 섬유가 0.83%포인트, 조선・기타운송장비가 0.67%

포인트, 자동차・자동차부품이 0.27%포인트 각각 하락한 것으로 나 타났다. 이들 업종은 매출액 대비 수출비중이 다른 업종보다 높아 환율절상에 따른 채산성 악화 폭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20) 이들 업

20) 2005년 한국은행 기업경영분석에 따르면 매출액 대비 수출 비중에서 수입재료비 비 중을 뺀 비율을 보면 조선・기타운송장비(56.6%), 자동차(45.6%), 전자부품(44.0%), 섬유의복(39.4) 순으로 높다(장광수・김명식・장희창, 2007, p.11).

종 중에서 반도체・전자부품・통신장비, 자동차・자동차부품 등은 엔/ 달러 환율이 상승할 경우 매출액 영업이익률이 각각 0.97%포인트

및 0.16%포인트씩 하락하여 엔화약세가 채산성 악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외환위기 이후 기간 중 유의적인 원/달러 환율의 추정계수가 상대 적으로 많은 19982006년 기간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반도체・전자부 품・통신장비(1.14%포인트), 자동차・자동차부품(0.41%포인트), 섬유(1.34%

포인트) 등 수출비중이 높은 업종에서 원/달러 환율절상이 채산성 악 화에 미치는 영향이 전 기간(1989~2006년)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보 다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들 업종의 경우 외환위기 이전 보다 외환위기 이후에 원/달러 환율절상이 채산성 악화에 미치는 영 향이 더 커진 것을 의미한다. 또 이 기간 중 엔/달러 환율절하가 채 산성 악화에 미치는 영향도 반도체・전자부품・통신장비(1.68%포인트 ), 자동차・자동차부품(0.43%포인트), 섬유(0.59%포인트)등 수출비중이 높 은 업종에서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요 수출시장에서 일 본과 치열한 경합관계에 있는 업종들이 최근 수년간의 엔화 약세로 고전하고 있는 것을 뒷받침하고 있다.

한편 외환위기 이후 기간(1998~2006년)의 경우 원/달러 환율이 하 락할 경우 화학(0.92%포인트), 기계・조립금속(0.51%포인트), 컴퓨터・사

무기기(1.49%포인트), 전기기기・전기변환장치(0.66%포인트)등 수출비

중이 높은 다른 업종의 매출액 영업이익률이 크게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1) 또 엔/달러 환율이 상승할 경우 화학(0.55%포 인트), 기

21) 2005년 한국은행 기업경영분석에 따르면 매출액 대비 수출 비중에서 수입재료비 비 중을 뺀 비율을 보면 화학제품(25.6%), 기계장비(22.1%), 컴퓨터・사무기기(15.7%) 등의 순이다(장광수・김명식・장희창, 2007, p.11).

계・조립금속(0.92%포인트), 컴퓨터・사무기기(1.41%포인트), 전기기기・전 기변환장치(0.76%포인 트)등의 채산성이 크게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따라서 반도체・전자부품・통신장비, 자동차・자동차부품, 섬유, 화 학, 기계・조립금속, 컴퓨터・사무기기, 전기기기・전기변환장치 등 수 출주력업종의 경우 원화강세와 엔화약세가 동시에 나타날 경우 채 산성에 더 크게 악화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표 7. 업종별 환율변동이 기업채산성에 미치는 영향

구 분 19892006 19891997 19982006 20022006 20042006

음식 료품

원/달 러 0.001 (0 .1 4)

-0.0 03 (-0.24 )

0 .1 62 (0.96)

-0.07 5 (-1.59)

-0.307* * (-2.4 8) 엔/달 러 -0.0 22**

(-2 .0 7)

-0.0 08 (-0.65 )

-0.040 **

(-2.14)

-0.121* **

(-3.44)

-0.2 13** * (-3.6 7) 실 질실 효환율 -0.007

(-0 .7 4)

-0.0 01 (-0.07 )

-0 .00 5 (-0.50)

-0.00 6 (-0.41)

0.005 (0.23) 관측 수

(기업 수) 4138

(3 74) 1 445

(22 7) 26 93

(374 ) 16 41

(370) 101 2 (3 64)

섬 유 (봉 제의복 제외 )

원/달 러 0 .0 87** *

(6 .1 2) 0.005

(0 .32 ) 0.141 ***

(6.07) 0.112 *

(1.77) 0.256 (1.34) 엔/달 러 -0.020

(-1 .3 9)

-0.0 22 (-1.27 )

-0.062 **

(-2.32)

-0.144* **

(-3.10)

-0.033 (-0.4 2) 실 질실 효환율 0 .0 49** *

(4 .3 4)

0.0 44*

(1 .72 )

0.047 ***

(3.67)

0.050 **

(2.15)

0.0 90** * (2.59) 관측 수

(기업 수)

3327 (3 04)

1 078 (19 2)

22 49 (303 )

13 30 (301)

7 99 (2 95)

봉 제의 복, 모 피

원/달 러 0 .0 78** * (3 .9 3)

0.030 (1 .45 )

0.080 ***

(2.90)

-0.160 **

(-2.12)

0.010 (0.07) 엔/달 러 0.010

(0 .5 6)

-0.0 21 (-1.13 )

0 .0 25 (0.86)

-0.05 8 (-1.18)

-0.018 (-0.3 2) 실 질실 효환율 0.014

(1 .3 2)

-0.0 23 (-0.85 )

0 .0 12 (0.85)

-0.065 **

(-2.49)

0.024 (0.82) 관측 수

(기업 수)

2047 (2 19)

54 5 (99)

15 02 (219 )

942 (217)

5 77 (2 15)

표 7. 계속

구 분 19892006 19891997 19982006 20022006 20042006

가 죽, 가방 , 신발

원/달러 0.104* **

(4.00)

0.033 (1.35)

0 .1 39** * (3 .8 2)

0.28 3***

(2 .59 )

0 .3 16 (0.72) 엔/달러 0 .00 1

(0.06)

0.012 (0.57)

-0.033 (-0 .7 9)

0.021 (0 .28 )

0 .0 59 (0.25) 실질 실효환 율 0.038 **

(2.23) -0.051

(-1.28) 0 .0 63** *

(2 .9 7) 0.0 75*

(1 .82 ) 0 .0 64 (0.84) 관 측수

(기업수 )

817 (7 4)

257 (46 )

5 60 (74)

33 1 (73)

194 (70)

목재, 나무

원/달러 0 .01 8 (0.57)

0.007 (0.21)

0.047 (1 .1 0)

0.014 (0 .25 )

-0 .0 39 (-0.09) 엔/달러 -0.05 1

(-1.40)

-0.038 (-0.80)

-0.062 (-1 .3 1)

-0 .14 8**

(-2.48 )

-0 .1 16 (-0.68) 실질 실효환 율 -0.00 6

(-0.30)

-0.059 (-1.15)

-0.00 01 (-0 .0 1)

0.016 (0 .67 )

0 .0 42 (0.84) 관 측수

(기업수 )

312 (3 6)

76 (16 )

2 36 (36)

14 5 (36)

9 1 (36)

펄프, 종이

원/달러 0.078* **

(5.00)

0.034 (0.92)

0 .1 38** * (4 .9 0)

0.068 (0 .78 )

-0 .0 21 (-0.09) 엔/달러 0 .02 0

(1.16)

-0.017 (-0.85)

-0.007 (-0 .2 8)

-0 .15 8**

(-2.47 )

-0 .0 69 (-0.63) 실질 실효환 율 0.060* **

(4.15)

0.040 (0.87)

0 .0 57** * (3 .1 6)

0 .0 47**

(2 .03 )

0 .0 34 (1.31) 관 측수

(기업수 )

18 71 (157)

670 (104)

1201 (1 57)

71 8 (15 7)

432 (156 )

출판, 인쇄

원/달러 0.039 **

(2.06)

0.038 (1.56)

0.029 (0 .9 0)

-0.0 45 (-0.58 )

-0 .1 26 (-0.74) 엔/달러 -0.02 4

(-1.13)

-0.044 * (-1.71)

-0.041 (-1 .0 1)

-0 .1 18*

(-1.85 )

-0 .0 67 (-0.87) 실질 실효환 율 0 .00 9

(0.51)

0.007 (0.18)

-0.00 07 (-0 .0 4)

0.005 (0 .16 )

-0 .0 09 (-0.23) 관 측수

(기업수 )

18 06 (194)

532 (105)

1274 (1 93)

79 1 (18 9)

492 (183 )

코크 스, 석유정 제

원/달러 -0.02 5

(-0.73) 0.024

(0.19) 0.012

(0 .3 1) 0.032 (0 .54 ) -엔/달러 0 .01 7

(0.60)

0.057 * (1.66)

-0.1 02**

(-2 .2 4)

-0 .1 09*

(-1.80 )

-0.159 ***

(-2.73) 실질 실효환 율 -0.03 6

(-1.63)

-0.107 (-1.53)

0.009 (0 .3 6)

0.045 (1 .63 )

0.107 ***

(2.73) 관 측수

(기업수 ) 394

(3 0) 154

(26 ) 2 40

(29) 14 0

(29) 8 5 (29)

관련 문서